KR20120136851A - 스트립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851A
KR20120136851A KR1020110056034A KR20110056034A KR20120136851A KR 20120136851 A KR20120136851 A KR 20120136851A KR 1020110056034 A KR1020110056034 A KR 1020110056034A KR 20110056034 A KR20110056034 A KR 20110056034A KR 20120136851 A KR20120136851 A KR 20120136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guide
unit
fram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319B1 (ko
Inventor
박현서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5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3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스트립 가이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는 스트립의 이송 또는 설비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에 연계되되, 가이드부를 스트립의 진행 경로에 대응하여 위치가변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가이드 장치 {STRIP GUIDE APPARATUS}
본 발명은 스트립의 이동 또는 설비 진입을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공장에서 제조되는 스트립은 맨드릴에 의해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또한, 이와 같이 코일 형태로 권취된 스트립은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거나, 결함 부위 등이 제거된 후 다시 맨드릴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 또는 이동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열간 압연 공정 또는 맨드릴(10)로부터 공급되는 스트립(S)은 컨베이어(12) 또는 구동 테이블 등에 이송되며 압연기(30) 등에 의해 압연 등이 이루어지거나 전단기(40)에 의해 소정의 단위로 전단되거나 불량 부위 등이 제거된 후, 다른 맨드릴(20)에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립(S)은 맨드릴(10, 20)에 풀리거나 감길 경우, 스트립의 밴딩을 조절하기 위한 입측 밴딩롤(14) 또는 출측 밴딩롤(24)이 구비된다.
한편, 스트립(S)은 전단된 선단부가 상향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향된 스트립(S)의 선단부가 맨드릴(20)에 권취되지 못하고 맨드릴(20) 또는 출측 밴딩롤(14)이나 후단 설비 등에 추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스트립(S)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스트립 가이드 장치(50)가 스트립(S)의 이동선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립 가이드 장치(50)는 액츄에이터(52) 등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푸시롤(Push Roll)(54)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롤(54)은 스트립(S)의 선단부가 상향으로 휜 상태로 이동할 경우, 스트립(S)의 선단부 등을 눌러 스트립(S)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종래에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50)는 스트립(S)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스트립(S)의 이동 선상에서 약 400mm 정도 상부에 푸시롤(54)이 위치되며, 스트립(S)의 상향 휨이 감지될 경우 액츄에이터(52)에 연동하여 푸시롤(54)이 하강하며 스트립(S)을 가압하여 휘어짐을 억제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스트립(S)이 푸시롤(54)에 진입되기 전에 상향으로 휘어져 푸시롤(54)에 추돌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3과 같이, 스트립(S)이 푸시롤(54)에 의해 눌려진 후 맨드릴(20)에 진입되기 전에 다시 상향으로 휨이 발생하여 푸시롤(54)과 맨드릴(20) 또는 출측 밴딩롤(24)과 추돌하거나 그 사이의 공간 등으로 진입하여 후단설비에 간섭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간섭 등을 일으킨 스트립을 제거하거나 파손된 장비 등의 교체 등으로 인한 처리시간 지연이 발생하여 생산성 및 실수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설비 및 작업자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원가 경쟁력 향상 등을 위해 탄소 함량이 증가된 중탄강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스트립이 제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립은 두께가 두꺼운 후판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제조되는 스트립(S) 중 일례로, SS400, STK490, SAE1002 등의 후판 중탄강의 경우, 선단부가 푸시롤(54)에 진입되기 전에 상향으로 휘거나 또는 푸시롤(54)을 통과후 다시 상향으로 휘는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트립의 이송 또는 설비에 진입시 스트립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는 스트립의 이송 또는 설비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에 연계되되, 가이드부를 스트립의 진행 경로에 대응하여 위치가변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스트립의 진행경로에 대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평판부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만곡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스트립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트립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는 스트립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한열의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는 롤러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은 스트립의 이동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의 전방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부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제1액츄에이터와, 프레임의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의 후방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부의 후방을 승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액츄에이터는 프레임의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립이 휜 상태에서 공급될 경우,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므로 스트립의 이송 또는 설비 진입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스트립의 진행 경로에 대응하여 가이드부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트립이 크게 휘어진 경우에도 스트립의 이송 또는 설비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스트립의 진행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스트립의 진행 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어 스트립을 설비의 입구 근처까지 가이드할 수 있으며, 스트립이 가이드부를 통과한 후 다시 휘어지며 진행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스트립의 휘어진 정도에 따라 2단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되어 휘어진 스트립을 펴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트립 가이드 장치는 스트립의 이송 또는 설비 진입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스트립과 후단 설비 등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트립의 이송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생산성 및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설비사고 또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에 스트립이 추돌한 상태의 상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통과한 한 스트립이 후단 설비에 추돌한 상태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에 의해 스트립의 진행이 안내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Ⅰ-Ⅰ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Ⅱ-Ⅱ선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Ⅲ-Ⅲ선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에 의해 스트립의 진행이 안내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150)는 가이드부(170) 및 가이드부 위치가변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트립 가이드 장치(150)는 열간 압연 공정 또는 맨드릴(110)로부터 공급되는 스트립(S)의 진행을 안내하도록 제공된다. 일례로, 열간 압연 공정 또는 맨드릴(110)로부터 공급되는 스트립(S)은 컨베이어(112) 또는 구동 테이블 등에 이송되며 압연기(130) 등에 의해 압연 등이 이루어지거나 전단기(140)에 의해 소정의 단위로 전단되거나 불량 부위 등이 제거된 후, 다른 맨드릴(120)에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립(S)은 맨드릴(110, 120)에 풀리거나 감길 경우, 스트립의 밴딩을 조절하기 위한 입측 밴딩롤(114) 또는 출측 밴딩롤(124)이 구비된다.
이를 위한 본 실시예의 스트립 가이드 장치(150)는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과, 이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에 연계되어 스트립(S)의 이송을 가이드하거나, 스트립이 다른 설비 등에 진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은 가이드부(170)를 스트립(S)의 진행 경로에 대응하여 위치가변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은 스트립(S)의 이동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60a, 16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레임(160a, 160b)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60a) 일측에는 가이드부(170)의 전방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부(170)를 승강하도록 제공된 제1액츄에이터(16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액츄에이터(162)는 가이드부(170)의 전방 일측에 힌지부재 또는 핀부재 등의 회전결합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 프레임(160a, 160b)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60a)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160b)의 일측에는 가이드부(170)의 후방 일측에 결합된 제2액츄에이터(16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액츄에이터(166)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160a)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160b)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액츄에이터(162)의 승강에 대해 개별적으로 작동하며 가이드부(170)를 승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액츄에이터(166)는 가이드부(170)의 후방 일측에 힌지부재 또는 핀부재 등의 회전결합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액츄에이터(162)와 제2액츄에이터(164)는 실린더(162a, 166a) 및 이 실린더에 유압 등을 이용하여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조절수단과, 실린더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작동로드(162b, 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액츄에이터(162)와 제2액츄에이터(166)는 실린더(162a, 166a) 및 작동로드(162b, 166b) 등의 구성 외에도 모터 등과 같이 가이드부(170)를 승강하도록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은 제1액츄에이터(162)와 제2액츄에이터(166)가 개별적으로 승강 작동하도록 제어되며, 이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162)는 가이드부(170)의 상부를 상승시키고, 제2액츄에이터(166)는 가이드부(170)의 하부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170)가 전방이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위치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70)는 전방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위치 가변됨에 따라 상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진입되는 스트립(S)이 진입할수록 가이드부(170)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안내되며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액츄에이터(166)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160a)의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166b)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프레임(160a)의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166b)의 일측에는 힌지부재 또는 핀부재 등이 결합되는 브래킷(168)이 형성되고, 이 브래킷(168)에 힌지부재 또는 핀부재 등을 매개로 제2액츄에이터(16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은 제1액츄에이터(162)와 제2액츄에이터(166)가 개별적으로 승강 및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제1액츄에이터(162) 또는 제2액츄에이터(166) 중 어느 하나가 상승하고 다른 하나는 하강하여 가이드부(17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액츄에이터(166)는 하나의 프레임(160a)의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160b)의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168)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며 제2액츄에이터(166)와 가이드부(170)의 결합부 사이에 발생하는 위상각(α)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Ⅰ-Ⅰ선의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가이드부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70)는 스트립(S)의 진행경로에 대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 평판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평판부(172)는 후단에 설치된 설비, 일례로 스트립(S)을 후단의 맨드릴(120)로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는 출측 밴딩롤(124)의 진입구와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트립 가이드 장치(150)를 통과한 스트립(S)이 후단에 설치된 설비로 안정적으로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평판부(172)는 적어도 일측에 만곡가이드부(174)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가이드부(174)는 평판부(172)의 전면측에 제공될 수 있다. 만곡가이드부(174)는 평판부(172)의 전면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별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평판부(172)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평판부(172)의 전면에 제공된 만곡가이드부(174)는 상향으로 만곡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진입되는 스트립(S)이 만곡가이드부(174)에 안내되어 평판부(172)의 아래쪽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만곡가이드부(174)는 상향으로 만곡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스트립(S)의 진행 경로 또는 휘어지는 형태 등에 따라 하측으로 만곡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만곡가이드(174)는 평판부(172)의 전면에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평판부(172)의 후면 또는 측면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170)는 후술되는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70)과의 결합 및 구조의 보강을 위한 보강브래킷(176)이 구비될 수 있다.
보강브래킷(176)은 가이드부(17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길게 형성된 판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강브래킷(176)에는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70)과의 결합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홀에 결합되는 힌지부재 또는 핀부재를 매개로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7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가이드부(270)는 평판부(272)와 만곡가이드(274) 및 보강브래킷(276)을 포함하고, 스트립(S)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트립(S)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는 스트립(S)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롤러부(278)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278)는 가이드부의 일측에 각각의 롤러(279)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롤러(279)들은 각각의 롤러(279) 사이의 공간으로 스트립(S)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경이 작은 롤러(279)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롤러부(278)는 가이드부(270)에 롤러(279)들이 열을 지어 배열될 수 있으며, 한 열 또는 복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278)는 각 롤러(279)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롤러부(278)는 롤러(279)들이 복수열로 제공될 경우, 다른 열에 제공된 롤러(279')들과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S)은 롤러부(278)의 어느 한 열의 롤러(279) 사이로 진입될 경우, 이 롤러(279)와 어긋나게 배열된 다른 열의 롤러(279')에 의해 롤러(279 또는 279')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279, 279')들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270)가 스트립(S)에 압력을 가할 경우, 탄성에 의해 압축되어 파손 등이 방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Ⅲ-Ⅲ선의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고하면, 가이드부(370)는 평판부(372)와 만곡가이드(374) 및 보강브래킷(376)을 포함하고, 스트립(S)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트립(S)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 일례로 롤러부(3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는 각각의 롤러(379)들 사이로 스트립(S)의 진입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롤러부(378)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벨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380)는 각각의 롤러(379)들을 감싸도록 제공되어 스트립(S)의 이동방향을 따라 각 롤러(379)들에 의해 무한궤도를 이루며 회전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마찰저감부는 각 롤러(379) 사이의 공간이 벨트(380)에 의해 차폐하여 스트립(S)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트립(S)이 가이드부(370)의 저면에 직접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트립 가이드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립(S)은 열간 압연 공정 등에서 공급되거나, 열간 압연 공정에서 맨드릴(110)에 의해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이와 같이, 열간 압연 공정에서 공급되거나 코일 형태로 맨드릴(110)에 권취된 상태의 스트립(S)은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거나, 결함 부위 등이 제거된 후, 또는 연속주조 공정 등을 위해 다른 맨드릴(120) 등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 또는 이동된다.
이때, 스트립(S)은 열간 압연 공정의 후공정 또는 맨드릴(110)로부터 풀리면서 컨베이어(112) 또는 구동 테이블 등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립(S)은 이동되는 과정에서 전단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트립 가이드 장치(150)는 스트립(S)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스트립(S)이 정상적인 진행 경로로 이동할 경우, 스트립 가이드 장치(150)는 스트립(S)의 진행 경로의 상측으로 위치 가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스트립 가이드 장치(150)는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의 제1액츄에이터(162) 및 제2액츄에이터(166)가 모두 신축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170)가 스트립(S)의 진행 경로의 상측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스트립(S)의 정상 진행시 가이드부(170)는 스트립(S)의 진행 경로로부터 약 700mm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스트립(S)은 전단가공을 통과하는 등의 일련의 공정에 의해 상향 등으로 휘어진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스트립(S)의 휘어진 상태는 작업자에 의해 직접 검출되거나, 검출센서를 구비한 검출부에 의해 제어장치(HMI)로 전송되고, 작업자 또는 제어장치에 의해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을 조절하여 가이드부(17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160)은 먼저 제2액츄에이터(166)가 가이드부(170)의 후방측을 하강시킨다. 이때, 제2액츄에이터(166)는 가이드부(170)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각도(α)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70)의 후방측이 하강하면, 이에 연동하여 가이드부(170)의 전방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경사지게 지지된다.
한편, 스트립(S)은 진행이 진행됨에 따라 스트립(S)의 선단부가 경사진 가이드부(170)의 저면에 닿게 되며 하방으로 안내되어 정상적인 진행 경로로 이동된다.
일례로, 스트립(S)은 가이드부(170)의 저면에 닿게 되면, 선접촉이 이루어지며 진행이 안내될 수 있고, 가이드부(170)에 부가될 수 있는 롤러부(도 9와 도 10에 도시된 278) 또는 벨트(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280)에 의해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화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더불어, 제1액츄에이터(162)는 가이드부(170)의 전방측을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측으로 휘어진 스트립(S)이 가압되며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립(S)이 완전히 이송되어 후속 설비, 일례로 스트립(S)을 맨드릴로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는 출측 밴딩롤(124)의 진입구로 진입되면, 제1액츄에이터(162) 및 제2액츄에이터(166)가 상승하여 가이드부(170)를 스트립(S)의 진행 경로 상측으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120 : 맨드릴 112 : 컨베이어
114, 124 : 밴딩롤 130 : 압연기
140 : 전단기 150 : 스트립 가이드 장치
160 :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 160a, 160b : 프레임
162 : 제1액츄에이터 162a, 166a : 실린더
162b, 166b : 작동로드 166 : 제2액츄에이터
168 : 브래킷 170 : 가이드부
172 : 평판부 174 : 만곡가이드부
176 : 보강브래킷

Claims (8)

  1. 스트립의 이송 또는 설비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계되되,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스트립의 진행 경로에 대응하여 위치가변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립의 진행경로에 대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 평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평판부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만곡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한열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롤러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스트립의 이동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 일측에 회전결합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 또는 다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 일측에 회전결합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을 승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또는 상기 다른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결합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가이드 장치.
KR1020110056034A 2011-06-10 2011-06-10 스트립 가이드 장치 KR10125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34A KR101259319B1 (ko) 2011-06-10 2011-06-10 스트립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34A KR101259319B1 (ko) 2011-06-10 2011-06-10 스트립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851A true KR20120136851A (ko) 2012-12-20
KR101259319B1 KR101259319B1 (ko) 2013-05-06

Family

ID=4790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034A KR101259319B1 (ko) 2011-06-10 2011-06-10 스트립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29B1 (ko) * 2013-12-12 2015-07-28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67A (ko) * 2002-02-25 2003-08-30 박장기 오이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73397B1 (ko) * 2002-06-27 2005-03-08 오성천 오이 및 생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437Y1 (ko) 1996-12-26 2000-12-01 이구택 스트립의 자동안내장치
KR100787586B1 (ko) 2001-07-11 2007-12-21 주식회사 포스코 엔트리가이드의 스트립 선단부 유도장치
KR100969486B1 (ko) * 2003-07-19 2010-07-14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테이블상 스트립 선단부 상향 휨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29B1 (ko) * 2013-12-12 2015-07-28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319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902B2 (en) Production line for recycling and processing waste materials of steel rolling
US9265261B2 (en) Oven transfer apparatus with laterally displaceable conveyor belt
KR100583864B1 (ko) 열간압연재의권취설비및권취방법
WO2017150061A1 (ja) ロールフィーダ、およびコイル材搬送方法
KR101259319B1 (ko) 스트립 가이드 장치
EP1770031B1 (en) Assembly for conveying sheets on machines for working sheets, particularly glass sheets and the like
CN102284565B (zh) 一种斜辊矫直机的自动出料、收料装置
KR100813570B1 (ko) 파이프 절단 장치
KR101633211B1 (ko) 스탬핑되는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모듈
KR20150134450A (ko) 스트립 안내 장치
US11325408B2 (en) Device for driving a stamping foil, stamping station and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stamping foil
KR102499675B1 (ko) 웹 저장소와 함께 재료 웹을 개별 시트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
KR101746966B1 (ko) 스트립 유도장치
KR101536458B1 (ko) 강판제조설비 및 강판제조방법
KR20170033922A (ko) 스트립 유도 장치
KR100496539B1 (ko) 소재 비틀림 방지를 위한 소재의 그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JP7384676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設備
US7878502B2 (en) Slowing device for a machine for working elements in sheets
JP2001179323A (ja) 上反り防止装置及び上反り防止方法
KR101867679B1 (ko) 스트립 중앙 위치 제어 장치
US20050098601A1 (en) Processing of cut-to-length goods
USRE24638E (en) E parker
KR20100025903A (ko) 압연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115591954A (zh) 一种灵活生产金属带的冷却系统、生产线及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