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029B1 - 가이드 테이블 - Google Patents

가이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029B1
KR101540029B1 KR1020130154660A KR20130154660A KR101540029B1 KR 101540029 B1 KR101540029 B1 KR 101540029B1 KR 1020130154660 A KR1020130154660 A KR 1020130154660A KR 20130154660 A KR20130154660 A KR 20130154660A KR 101540029 B1 KR101540029 B1 KR 10154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guide table
tilting means
table member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697A (ko
Inventor
김정호
김경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5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7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heating in fluidised be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은 래그부재, 래그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이블부재, 테이블부재를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수단 및 테이블부재가 스트립의 이송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스트립의 이송방향에 따라 가이드 테이블의 틸팅될 수 있으므로, 스트립의 끼임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테이블{GUIDE TABLE}
본 발명은 가이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이 가능한 가이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소둔공정(Continuous Annealing Line)은 복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냉연강판이 연속 소둔로 내부에서 850°C ~ 950°C의 고온으로 열처리되는 공정을 말한다. 이 같은 연속소둔공정은 소재코일을 페이오프릴(Pay off reel)에 장입한 후 스트립의 형태로 언코일링(Uncoiling)하여 공정에서 이송시킨다. 또한, 이때 공정에 투입되는 스트립의 선단부를 공정 상에서 이송 중인 스트립의 후단부에 용접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공정이 진행된다.
또한, 위와 같은 페이오프릴에서 용접기까지 무장력구간이므로 스트립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테이블(Guide table)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테이블은 스트립의 선단부가 롤러의 하부로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립의 진행방향 측으로 경사가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가이드 테이블의 경사가 스트립의 진행방향 측으로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정상에 차질이 생겨 스트립을 반대방향으로 진행시킬 경우에는 스트립의 후단부가 롤러의 하부에 끼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절단기의 제어가 미흡하여 스트립의 후단부를 절단하지 못했을 시에는 스트립을 반대방향으로 진행시켜서 절단작업을 다시 진행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스트립의 후단부가 롤러에 끼이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위와 같은 스트립의 끼임현상에 따라 롤러에 손상이 발생하고 공정상에 차질이 생기므로, 생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트립의 이송방향에 따라 틸팅되는 가이드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롤러 간에 배치되어 스트립을 지지하는 가이드 테이블에 있어서, 래그부재; 상기 래그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이블부재; 상기 테이블부재를 틸팅시키는 틸팅수단; 및 상기 테이블부재가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이드 테이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테이블부재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유를 조절하는 서보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부재는 상기 스트립에 의한 열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립의 이송방향에 따라 가이드 테이블의 틸팅될 수 있으므로, 스트립의 끼임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설비나 스트립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설비나 스트립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생산성 및 업무효율이 증대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의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의 작동 상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스트립이 정방향으로 이송될 때 가이드 테이블의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스트립이 역방향으로 이송될 때 가이드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100)은 래그부재(120), 테이블부재(110), 틸팅수단(13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100)은 페이오프릴(10)로부터 롤러(20)에 의해 이송되는 스트립(S)을 지지한다. 가이드 테이블(100)은 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롤러(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스트립(S)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 테이블(100)은 스트립(S)이 롤러(20)의 하부 틈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래그부재(120)는 테이블부재(110)를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그부재(120)는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재와 이러한 받침부재에 결합되어 테이블부재(110)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둥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래그부재(120)는 테이블부재(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테이블부재(110)는 래그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트립(S)을 지지한다. 이러한 테이블부재(110)는 회동축을 포함하여, 회동축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부재(110)의 상면에는 고온의 스트립(S)에 의해 테이블부재(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같은 절연체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로 형성됨으로써, 테이블부재(11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틸팅수단(130)은 테이블부재(110)를 어느 한 측으로 틸팅시킨다. 이러한 틸팅수단(130)은 유압실린더, 유압펌프 및 서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는 래그부재(120)에 결합되어 테이블부재(110)의 하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틸팅시킬 수 있다. 유압펌프는 이러한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고, 서보밸브는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유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실린더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테이블부재(110)를 틸팅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틸팅수단(130)은 유압실린더뿐만이 아닌 테이블부재(110)를 틸팅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테이블부재(110)가 스트립(S)의 이송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틸팅수단(13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테이블(100)은 스트립(S)이 정방향으로 이송될 때 정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조절될 수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이 역방향으로 이송될 때 역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조절될 수 있다. 즉, 테이블 부재는 스트립(S)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란 페이오프릴(10)로부터 롤러(20) 측으로 이송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역방향은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처럼, 테이블부재(110)가 스트립(S)의 이송방향에 따라 틸팅될 수 있으므로, 공정에 차질이 생겨 역방향으로 스트립(S)을 이송할 때 스트립(S)이 롤러(20)의 하부 틈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스트립(S)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판단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부(210)는 롤러(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트립(S)의 이송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10)는 롤러(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트립(S)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롤러(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트립(S)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20)의 회전방향은 롤러(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00)는 판단부(210)가 감지한 스트립(S)의 이송방향에 기초하여, 틸팅수단(130)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판단부(2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립(S)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센서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테이블(100)은 스트립(S)의 이송방향에 따라 틸팅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테이블(100)은 롤러(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제어신호와 연동되어 틸팅될 수 있으므로, 스트립(S)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가 설비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 스트립 10: 페이오프릴
20: 롤러 100: 가이드 테이블
110: 테이블부재 120: 래그부재
130: 틸팅수단 200: 제어부
210: 판단부

Claims (5)

  1. 복수의 롤러 간에 배치되어 스트립을 지지하는 가이드 테이블에 있어서,
    래그부재;
    상기 래그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이블부재;
    상기 테이블부재를 틸팅시키는 틸팅수단; 및
    상기 테이블부재가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가이드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테이블부재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유를 조절하는 서보밸브; 를 포함하는 가이드 테이블.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가이드 테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재는 상기 스트립에 의한 열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를 더 포함하는 가이드 테이블.
KR1020130154660A 2013-12-12 2013-12-12 가이드 테이블 KR10154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60A KR101540029B1 (ko) 2013-12-12 2013-12-12 가이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60A KR101540029B1 (ko) 2013-12-12 2013-12-12 가이드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97A KR20150068697A (ko) 2015-06-22
KR101540029B1 true KR101540029B1 (ko) 2015-07-28

Family

ID=5351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660A KR101540029B1 (ko) 2013-12-12 2013-12-12 가이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851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851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97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511B2 (ja) 切断方法およびワイヤソー装置
CN101722195B (zh) 冷轧带钢生产机组保持带钢稳定运行的装置及方法
KR10168747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JP4735769B2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KR101540029B1 (ko) 가이드 테이블
KR101615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JP2008183900A (ja) ゴムをゴム消費装置に給送する方法及びゴムをゴム消費装置に給送する設備
JP4780246B2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KR102011668B1 (ko) 릴 스탠드의 공급코일 처짐 방지 장치
JP5618075B2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JP2011167708A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JP6636820B2 (ja) 巻締装置
KR101510804B1 (ko) 스트립 이탈 방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203317A (ja) サーマルクラウン制御装置、圧延機及びその圧延機を用いた金属帯の製造方法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101572362B1 (ko) 원료 이송 컨베이어
JP2018103243A (ja) ピンチロ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帯状体供給装置
KR20100011678A (ko) 불량제품 이송용 롤러테이블의 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46953B1 (ko) 사이드 트리머의 나이프 오일공급장치 및 오일공급방법
JP6898116B2 (ja) ワイヤソー
CN220533109U (zh) 一种切割机构
JP7294270B2 (ja) 金属帯コイルの装着方法および金属帯コイルの装着設備
KR102424572B1 (ko) 위치보정유닛을 구비한 슬리팅장치
JP5027547B2 (ja) 縦型ルーパ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09192730A (ja) スパイラル鋼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