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634A -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634A
KR20110046634A KR1020090103156A KR20090103156A KR20110046634A KR 20110046634 A KR20110046634 A KR 20110046634A KR 1020090103156 A KR1020090103156 A KR 1020090103156A KR 20090103156 A KR20090103156 A KR 20090103156A KR 20110046634 A KR20110046634 A KR 20110046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steel
clamping housing
section steel
ja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성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6634A/ko
Publication of KR2011004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8H- or I-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최종 압연기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형강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클램핑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삽입된 형강을 파지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을 상기 클램핑부로 파지된 형강과 함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최종 압연기에서 배출된 형강의 단부를 파지하여 형강과 함께 이동하면서 형강을 일직선으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종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형강의 배출을 직진으로 안내하여 냉각 후 형강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형강의 재 교정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불량율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Guide Apparatus for Steel Transfer}
본 발명은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최종 압연 후 형강의 배출을 안내하여 형강의 직진도를 개선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의 기본이 되는 열간 압연 공정은 연속 주조에 의하여 제조한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편 즉, 압연재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한 후 압연기가 다수 배치된 압연 라인을 통해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압연 제품인 형강을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형강은 H형강, 부등변 부등후 앵글, 레일 등이 있으며, 압연 공정으로 제조된 형강은 최종 압연기를 통해 배출된 후 최종 압연기의 출구 측에 배치된 롤 테이블을 따라 이송된 후 스토퍼로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형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로 정지된 후 냉각상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냉각 공정을 거친 후 교정 공정을 통해 냉각 공정에서 변형된 부분을 교정하여 완제품으로 출고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종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형강의 직진도를 개선하여 재교정율을 줄이고 형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최종 압연기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형강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클램핑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삽입된 형강을 파지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을 상기 클램핑부로 파지된 형강과 함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종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형강의 배출을 직진으로 안내하여 냉각 후 형강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형강의 재 교정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불량율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가 최종 압연기의 배출구 측에 배치된 롤 테이블의 롤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레일부재 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클램핑 하우징 내에서 클램핑부로 형강의 양 측면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발명인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가 최종 압연기의 출구에서 배출된 형강의 단부를 파지하여 형강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의 클램핑 하우징(10)은 상면부와, 상면부의 양 측에 측면부가 구비되며 형강(3)의 이송 방향에 대응되는 전, 후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은 최종 압연기(1)에서 배출된 형강(3)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로 위치된 형강(3)의 단부를 파지하는 클램핑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20)는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일 측에 배치되며 형강(3)의 일 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 1 조우부재(21)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타 측에 배치되며 형강(3)의 타 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 2 조우부재(22)와;
상기 제 1 조우부재(21) 및 제 2 조우부재(22)를 이동시켜 형강(3)을 파지하고, 파지된 상태를 해제하는 조우 작동 기기(23)를 포함한다.
상기 조우 작동 기기(23)는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의 일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조우부재(21)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제 1 유압 실린더(23a)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의 타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조우부재(21)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제 2 유압 실린더(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23a) 및 제 2 유압 실린더(23b)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조우부재(21) 및 제 2 조우부재(22)를 각각 연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 조우부재(21) 및 제 2 조우부재(22)는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23a) 및 제 2 유압 실린더(23b)의 작동에 의해 사이 간격이 좁혀지게 이동되어 사이에 배치되는 형강(3)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고, 넓어지게 이동되어 형강(3)을 파지한 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은 구동부(30)에 의해 파지한 형강(3)과 함께 이동하여 형강(3)의 배출을 일직선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30)는 최종 압연기(1)의 출구 측에 배치된 롤 테이블(2)의 롤 지지대(2a) 상부면에 형강(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부재(31)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레일부재(31)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바퀴부재(32)와;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연결된 바퀴부재(32)를 회전시키는 모터(3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30)는 모터(33)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부재(32)가 구동력을 발생 시켜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을 클램핑부(20)로 파지한 형강(3)과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을 최종 압연기(1)에서 배출되는 형강(3)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이동시켜 형강(3)이 이동 속도 차이로 인해 형강(3)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강(3)을 이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압연기(1)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형강(3)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40)와;
최종 압연기(1)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형강(3)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50)와;
상기 속도 센서(40)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50), 클램핑부(20), 구동부(30)에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로 클램핑부(23) 즉, 조우 작동 기기(23) 및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속도 센서(40)는 형강(3)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달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50)는 형강(3)이 최종 압연기(1)에서 배출되는 시점과 상기 클램핑 하우징(10) 내로 삽입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50)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우 작동 기기(23)를 작동시켜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 형강(3)의 단부를 상기 제 1 조우부재(21) 및 제 2 조우부재(22)로 일정한 위치에서 파지하게 한다.
또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구동부(30)를 구동시켜 속도 센서(40)에서 감지된 형강(3)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형강(3)은 도 3a 내지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최종 압연기(1)에 치입되어 물린 상태에서 최종 압연기(1)에서 배출된 단부가 상기 클램핑 하우징(10) 내에서 클램핑부(2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 하우징(10)은 상기 형강(3)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형강(3)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이동하여 최종 압연기(1)에서 배출된 형강(3)을 롤 테이블(2)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열간 압연 공정으로 제조되는 형강(3)은 최종 압연기(1)에서 배출된 후 롤 테이블(2)을 따라 이송되면서 1차 냉각된 후 냉각상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2차 냉각된다.
형강(3)은 냉각 중에 형강(3)의 위치별 냉각 불균일로 인해 단면 형상 불량, 직진도 불량, 끈 단부 휨 등의 형상 불량이 발생하며, 이러한 형상 불량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 후 교정기를 통과시켜 교정한 후 출하하고 있다.
그러나 형강(3)은 초기 냉각 중 즉, 롤 테이블(2)을 따라 이송하면서 1차 냉각 시 변형이 크게 발생한 경우 교정에 한계가 있고 교정율이 높으면 무리한 교정으로 인해 제품이 변형되고,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H형강은 다른 형강에 비해 형상이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냉각 중 변 형량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최종 압연기(1)에서 배출되는 형강(3)의 단부를 파지하여 일직선으로 안내함으로써 배출 초기의 냉각 시 온도 편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최종 냉각 후 온도 편차에 의한 변형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 후 형강(3)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형강(3)의 재 교정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클램핑 하우징 20 : 클램핑부
21 : 제 1 조우부재 22 : 제 2 조우부재
23 : 조우 작동 기기 30 : 구동부
31 : 레일부재 32 : 바퀴
33 : 모터 40 : 속도 센서
50 : 위치 감지 센서 60 : 제어부

Claims (5)

  1. 최종 압연기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형강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클램핑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삽입된 형강을 파지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을 상기 클램핑부로 파지된 형강과 함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클램핑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 측에 배치되며 형강의 일 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 1 조우부재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의 내부에서 타 측에 배치되며 형강의 타 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 2 조우부재와;
    상기 제 1 조우부재 및 제 2 조우부재를 이동시켜 형강을 파지하고, 파지된 상태를 해제하는 조우 작동 기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최종 압연기의 출구 측에 배치된 롤 테이블의 롤 지지대 상부면에 형강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부재와;
    상기 클램핑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바퀴부재와;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연결된 바퀴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종 압연기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형강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
    최종 압연기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형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속도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 클램핑부, 구동부에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로 클램핑부,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하우징은 상기 클램핑부로 형강을 파지하고 형강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KR1020090103156A 2009-10-29 2009-10-29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KR20110046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56A KR20110046634A (ko) 2009-10-29 2009-10-29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56A KR20110046634A (ko) 2009-10-29 2009-10-29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634A true KR20110046634A (ko) 2011-05-06

Family

ID=4423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156A KR20110046634A (ko) 2009-10-29 2009-10-29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66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874B1 (ko) * 2012-07-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이송장치
KR101412370B1 (ko) * 2012-05-30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포지션 확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70B1 (ko) * 2012-05-30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포지션 확인장치
KR101399874B1 (ko) * 2012-07-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9750A (ko) 슬래브 가공 방법 및 장치
KR102144607B1 (ko) 소둔로용 노 머플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6634A (ko)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KR101368259B1 (ko) 소재 권취장치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594717B1 (ko) 압연방법,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KR20130002920A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101193866B1 (ko) 압연소재 변형량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3095B1 (ko) 소재 상향 교정장치
KR101277580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3102B1 (ko) 소재 만곡 조정장치
KR101330296B1 (ko) 주편의 스카핑 방법
KR101523964B1 (ko) 소재 정렬장치
KR101310831B1 (ko) 가속냉각기 내 열연소재의 위치 검출장치
KR101435055B1 (ko) 바 상향 조정장치 및 방법
KR101552835B1 (ko) 주편 교정장치
KR20120001835A (ko) 압연재 수평 이송 장치 및 방법
KR20130023685A (ko) 가속냉각기 내 열연소재의 위치 검출장치
KR20130046576A (ko) 소재 상향 제어 장치
JP2794875B2 (ja) 幅圧下プレスによる鋼材のキャンバ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277579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2641A (ko) 핀치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설비
KR101257466B1 (ko) 압연기용 편심감지장치
KR101411869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