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685A -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685A
KR20130120685A KR1020120043773A KR20120043773A KR20130120685A KR 20130120685 A KR20130120685 A KR 20130120685A KR 1020120043773 A KR1020120043773 A KR 1020120043773A KR 20120043773 A KR20120043773 A KR 20120043773A KR 20130120685 A KR20130120685 A KR 2013012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essing member
auxiliary
coupled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192B1 (ko
Inventor
정용훈
Original Assignee
정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훈 filed Critical 정용훈
Priority to KR102012004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1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2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에 견인 차량의 후륜이 결합하는 후륜축, 후륜축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축, 고정축의 전방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제1 가압부재, 고정축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가압부재의 전방에 결합하여 제1 가압부재의 신축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축, 고정축의 하측에 결합하는 상부 브라켓, 후륜축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단에 견인 차량의 보조바퀴가 결합하는 보조축 일단이 보조축과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후륜축과 힌지 결합하는 결합부재, 보조축의 후방에 결합하는 하부 브라켓, 양단이 각각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제2 가압부재, 일단이 슬라이딩축과 결합하고, 타단이 하부 브라켓에 결합하는 체인 및 체인의 방향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 구비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가압부재와 체인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제1 가압부재만으로도 보조축을 승강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체인 및 기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조바퀴를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어 체인의 마모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가압부재는 스프링 또는 압력 조절 풍선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Apparatus for elevating auxiliary wheel of toe truck}
본 발명은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인 차량의 보조바퀴를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견인 차량은 사고 차량 같은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거나, 주차위반 차량 등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특수 차량으로서, 일반적으로 견인하는 방식으로는 토우 바(tow bar) 방식과 언더 리프팅(under lifting) 방식이 있다.
토우바 방식은 삼각대 방식이라고도 불리며, 견인 보조물인 토우바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방식이다. 또한, 언더 리프팅 방식은 차량의 전륜을 들어올려서 견인하는 방식이다. 토우바 방식은 피견인 차량의 차륜이 펑크가 난 경우나 피견인 차량의 전방부가 크게 파손된 경우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견인 차량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차량의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언더 리프팅 방식의 견인 차량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견인 차량은 주행하다가 피견인 차량을 견인해야 할 경우, 붐(boom)(B)을 내려 피견인 차량을 결속한 후 피견인 차량의 전륜(W)을 들어올린 상태로 견인하게 된다. 최근에는 견인 차량에 전륜(FW), 후륜(BW)과 더불어 보조바퀴(AW)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즉, 보조바퀴(AW)를 통해 전륜(FW)과 후륜(BW)에 인가되는 피견인 차량의 중량을 분산 경감하여 부하량을 줄이고,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견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보조바퀴(AW)는 다른 차량을 견인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올린 상태에서 주행하고, 다른 차량을 견인할 경우에는 보조바퀴(AW)를 지면에 접하도록 내린 상태에서 주행한다.
이렇게 보조바퀴(AW)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도 2와 같은 장치가 사용되었다. 즉, 보조바퀴(AW)가 결합된 보조축(11)은 ㄴ자 형상의 프레임(12) 한 쌍과 결합되고, 이 프레임(12)의 양단에는 각각 압력 조절 풍선(13)(14)이 결합된다.
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13)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고 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14)에서 공기가 빠지면 힌지(H)를 통해 프레임(12)이 하강하고 이와 결합된 보조축(11)이 하강하면서 결국 보조바퀴(AW)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반대로, 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14)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고 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13)에서 공기가 빠지면 힌지(H)를 통해 프레임(12)이 상승하고 이와 결합된 보조축(11)이 상승하면서 결국 보조바퀴(AW)가 지면과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승하강 장치는 압력 조절 풍선(13)(14)이 4개나 필요하고 각각의 압력을 공기압에 의해 조절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10-1096390호에서는 탄성부재와 금속와이어를 구비하여 하나의 압력 조절 풍선으로 보조바퀴를 승하강 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여 간단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제10-1096390호에 의한 장치는, 구비된 금속와이어가 보조바퀴를 승하강 할 때 유연하게 움직이지 않아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또한, 보조바퀴를 승하강하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와이어가 절단 및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이고, 보조바퀴의 승하강이 용이하여 반영구적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는 양단에 견인 차량의 후륜이 결합하는 후륜축; 상기 후륜축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전방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제1 가압부재; 상기 고정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압부재의 전방에 결합하여 상기 제1 가압부재의 신축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축; 상기 고정축의 하측에 결합하는 상부 브라켓; 상기 후륜축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단에 견인 차량의 보조바퀴가 결합하는 보조축; 일단이 상기 보조축과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후륜축과 힌지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보조축의 후방에 결합하는 하부 브라켓;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제2 가압부재;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축과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브라켓에 결합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방향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 구비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체인과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기어와, 중앙부가 상기 피동기어의 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피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축 및 상기 피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동축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압부재는, 공기압 조절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압력 조절 풍선이고 제2 가압부재는, 외측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는, 각각 공기압 조절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압력 조절 풍선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브라켓, 상기 결합부재, 상기 하부 브라켓, 상기 제2 가압부재, 상기 체인 및 상기 기어부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에 의하면,
첫째, 제1 가압부재와 한 쌍의 제2 가압부재만으로 보조바퀴를 승하강 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둘째, 체인 및 기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조바퀴를 용이하게 승하강 할 수 있고 체인의 마모가 적어 반영구적이다.
셋째, 제2 가압부재는 스프링 또는 압력 조절 풍선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변경제작이 용이하다.
넷째, 고정축의 중앙부가 전방을 향하여 ㄷ자로 굴곡되고, 보조축의 양단이 후방을 향하여 절곡되면, 견인 차량의 붐(boom)과 간섭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견인 차량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차량의 차량의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기어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기어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는 후륜축(110), 고정축(120), 제1 가압부재(130), 슬라이딩축(140), 상부 브라켓(150), 보조축(160), 결합부재(170), 하부 브라켓(180), 제2 가압부재(210), 체인(220) 및 기어부(230)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부 브라켓(150), 결합부재(170), 하부 브라켓(180), 제2 가압부재(210) 체인(220) 및 기어부(230)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먼저, 후륜축(110)은 일반적인 견인 차량에 구비되어 양단에 견인 차량의 후륜(BW)이 결합하는 축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후륜(BW)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배치된다.
고정축(120)은 후륜축(110)과 이격되어 후륜축(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고정축(120)은 견인 차량의 붐(B)과 간섭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앙부(120a)가 전방을 향하여 ㄷ자로 굴곡될 수 있다(도 5 참조).
제1 가압부재(130)는 고정축(120)의 전방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하다. 제1 가압부재(130)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압력 조절 풍선이 구비되어 공기압 조절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압 조절은 차량에 구비된 에어탱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축(140)은 고정축(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가압부재(130)의 전방에 결합하여 제1 가압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축(140)은 양측의 지지대(S)에 형성된 슬라이딩홈(SH)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된다. 즉, 제1 가압부재(130)에 가압이 작용하면 슬라이딩축(140)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반대로 제1 가압부재(130)에서 가압이 작용하지 않으면 슬라이딩축(140)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물론 제1 가압부재(130)에서 가압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슬라이딩축(14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은 후술할 제2 가압부재(210)의 가압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부 브라켓(150)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서 고정축(120)의 하측에 결합한다.
보조축(160)은 후륜축(1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단에 견인 차량의 보조바퀴(AW)가 결합한다. 보조바퀴(AW)에는 추가적인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별도의 제동 장치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조축(160)은 붐(B)과 간섭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양단(160a)이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다. 이때, 보조바퀴(AW)는 보조축(160)의 절곡된 양단(160a)에 결합하게 된다.
결합부재(170)는 일단이 보조축(160)과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후륜축(110)과 힌지 결합한다. 결합부재(170)에 의해서 보조축(160)은 후륜축(110)에 대해서 힌지 운동을 할 수 있다.
하부 브라켓(180)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서 보조축(160)의 후방에 결합한다.
제2 가압부재(210)는 외측으로 압력을 가하고 양단이 각각 상부 브라켓(150)과 하부 브라켓(180)에 결합한다. 즉, 상부 브라켓(150)과 하부 브라켓(180)은 제2 가압부재(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제2 가압부재(210)는 차량에 사용되는 스프링 또는 압력 조절 풍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가압부재(210)가 스프링인 경우 스프링은 외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보조바퀴(AW)를 승하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가압부재(210)가 압력 조절 풍선인 경우 공기압 조절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여 보조바퀴(AW)를 승하강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압력 조절 풍선의 공기압 조절은 차량에 구비된 에어탱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체인(220)은 일단이 슬라이딩축(140)과 결합하고, 타단이 하부 브라켓(180)에 결합한다. 슬라이딩축(14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체인(220)은 하부 브라켓(180)을 당기게 되고, 반대로 슬라이딩축(14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체인(220)은 하부 브라켓(180)을 당기던 힘을 해제하게 된다.
기어부(23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체인(220)과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기어(231)와, 중앙부가 피동기어(231)의 중심에 고정되어 피동기어(231)와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축(232) 및 피동축(232)이 회전 가능하도록 피동축(232)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233a)이 형성된 지지부재(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재(233)는 하측이 상부 브라켓(15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230)는 상부 브라켓(150)의 상면에 구비된다.
또한, 피동기어(231)는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22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인(220)이 쇠사슬형 체인으로 구비된다면 피동기어(231)는 체인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체인(220)이 원판모양으로 둘레에 이가 형성된 체인으로 구비된다면 피동기어(231)는 스프로킷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부 브라켓(150)의 상면에 구비된 기어부(230)는 체인(220)의 방향전환을 유도하여 체인(220)의 마모를 줄여준다. 이에 따라 기어부(230) 및 체인(230)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부(230)는 수평구동에서 수직구동으로 또는 수직구동에서 수평구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90°로 체인(220)의 방향전환을 유도한다. 더불어, 체인(220)은 상부 브라켓(15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90°로 방향전환되어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견인 차량이 다른 차량을 견인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견인을 위한 붐(B) 장치를 접어 올린 상태이며, 보조축(160)에 장착된 보조바퀴(AW)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조바퀴(AW)를 올린 상태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가압부재(130)에 가압이 작용하면 제1 가압부재(130)가 외측으로 팽창하고, 제1 가압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딩축(14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축(14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체인(220)이 하부 브라켓(180)을 당기게 된다. 하부 브라켓(180)이 당겨지면 결합부재(170)의 힌지 작용에 의해 보조축(160)이 올라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견인 차량이 다른 차량을 견인하는 상태일 때에는 견인을 위한 붐(B) 장치가 내려진 상태이며, 보조축(160)에 장착된 보조바퀴(AW)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보조바퀴(AW)를 지면에 내린 상태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가압부재(130)에서 가압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1 가압부재(130)가 수축하고, 제1 가압부재(130)의 수축에 의해 슬라이딩축(14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축(14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제2 가압부재(210)의 가압이 작용하여 체인(220)이 하부 브라켓(180)에 가하던 인장력이 자연스럽게 감소한다. 하부 브라켓(180)에 대한 인장력이 감소하면 결합부재(170)의 힌지 작용에 의해 보조축(160)이 내려오게 되어 결국 보조바퀴(AW)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주행이 시작되면 지면과 접한 보조바퀴(AW)는 지면과 접촉되어 구르면서 견인되는 차량의 중량을 분산시키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압부재(210)와 체인(220)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제1 가압부재(130)만으로도 보조축(160)을 승강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체인(220) 및 기어부(230)를 구비함으로써 보조바퀴를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어 체인(220)의 마모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가압부재는 스프링 또는 압력 조절 풍선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변경제작이 용이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후륜축 120...고정축
130...제1 가압부재 140...슬라이딩축
150...상부 브라켓 160...보조축
170...결합부재 180...하부 브라켓
210...제2 가압부재 220...체인
230...기어부

Claims (5)

  1. 양단에 견인 차량의 후륜이 결합하는 후륜축;
    상기 후륜축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전방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제1 가압부재;
    상기 고정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압부재의 전방에 결합하여 상기 제1 가압부재의 신축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축;
    상기 고정축의 하측에 결합하는 상부 브라켓;
    상기 후륜축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단에 견인 차량의 보조바퀴가 결합하는 보조축;
    일단이 상기 보조축과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후륜축과 힌지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보조축의 후방에 결합하는 하부 브라켓;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제2 가압부재;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축과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브라켓에 결합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방향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 구비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체인과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기어와,
    중앙부가 상기 피동기어의 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피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축 및
    상기 피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동축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가압부재는,
    공기압 조절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압력 조절 풍선이고
    제2 가압부재는,
    외측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는, 각각
    공기압 조절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이 가능한 압력 조절 풍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상기 결합부재, 상기 하부 브라켓, 상기 제2 가압부재, 상기 체인 및 상기 기어부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20120043773A 2012-04-26 2012-04-26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134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773A KR101344192B1 (ko) 2012-04-26 2012-04-26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773A KR101344192B1 (ko) 2012-04-26 2012-04-26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685A true KR20130120685A (ko) 2013-11-05
KR101344192B1 KR101344192B1 (ko) 2013-12-20

Family

ID=4985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773A KR101344192B1 (ko) 2012-04-26 2012-04-26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6326A1 (de) * 2018-03-29 2019-10-02 Andreas Ott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höhung der traktion einer zug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42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리어 적재함 구동장치
KR100789750B1 (ko) * 2001-08-08 2008-01-02 김기충 불법주차차량 강제이동 차
KR200422303Y1 (ko) * 2006-04-26 2006-07-27 수성특장 주식회사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KR101096390B1 (ko) * 2011-11-02 2011-12-20 정용훈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6326A1 (de) * 2018-03-29 2019-10-02 Andreas Ott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höhung der traktion einer zug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192B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4885B (zh) 救援车提升装置
CN103118969B (zh) 车辆支撑装置
US20120165162A1 (en) Apparatus for Pivoting a Platform of a Treadmill
US20070154295A1 (en) Side loading vehicle system
CN102858593A (zh) 装载有平台的拖车的枢转平台组件及使用方法
EP3132971A1 (en) Platform for a vehicle-carrier lorry
CN105127642A (zh) 一种起重机小车架焊接翻转设备
EP2082922B1 (en) Carrier device, in particular for bicycles
CA2635886A1 (en) Ground level loading trailer
US11312601B1 (en) Movable lifting bracket
KR101344192B1 (ko)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0635134B1 (ko) 견인차량
KR101096390B1 (ko)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JP4678628B2 (ja) 坂道運送車の牽引機構
CN204296683U (zh) 一种拖车架
CN206485327U (zh) 牵引装置
KR101417683B1 (ko) 견인차량의 붐대 승하강 구조
KR200470711Y1 (ko)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GB2354744A (en) A vehicle trolley
WO2017150987A1 (en) A wheel frame for positioning a work machine on a track
TWM444343U (zh) 直升機拖運結構改良
KR200475604Y1 (ko)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CN217048583U (zh) 一种车辆防滑刹车设备
KR101481379B1 (ko) 견인차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