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942A -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 - Google Patents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942A
KR20130118942A KR1020137020768A KR20137020768A KR20130118942A KR 20130118942 A KR20130118942 A KR 20130118942A KR 1020137020768 A KR1020137020768 A KR 1020137020768A KR 20137020768 A KR20137020768 A KR 20137020768A KR 20130118942 A KR20130118942 A KR 2013011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arrier
group
adsorption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522B1 (ko
Inventor
나오토시 토미타
요시유키 우에노
카즈히로 타나하시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9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52Several layers of identical or different sorbents stacked in a housing, e.g. in a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14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 B01J20/3217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 B01J20/3219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involving a particular spacer or linking group, e.g. for attaching an active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48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01J20/3251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heteroatoms selected from nitrogen, oxygen or sulph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57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together with at least one silicon atom,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57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together with at least one silicon atom,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01J20/3259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together with at least one silicon atom,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heteroatoms selected from nitrogen, oxygen or sulfur with at least one silicon a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3Coatings on a core, the core being particle or fiber shaped, e.g. encapsulated particles, coated fi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8Use in a single colum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립구 및 단구를 선택적이고 고효율로 흡착 제거할 수 있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해서도 동시에 흡착 제거할 수 있는 혈액 성분 흡착 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가 도입되어서 이루어지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CARRIER FOR BLOOD COMPONENT ADSORPTION AND BLOOD COMPONENT ADSORPTION COLUMN}
본 발명은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의 염증성 질환의 병인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저분자 의약품이나 항체 등의 생물 제제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불활화하면 이들 염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단독으로 염증 부위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종류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염증성 질환을 발병 및 진행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기 때문에, 최근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공급원인 활성화된 백혈구를 혈중으로부터 제거하는 백혈구 제거 요법이 효과적인 것으로서 주목이 집중되고 있다.
활성화된 백혈구를 혈중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섬유나 비즈를 충전제로 한 백혈구 제거 컬럼을 이용하여 염증성 질환을 수반하는 환자의 혈액을 체외 순환시켜 활성화된 백혈구를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과립구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담체로서는 표면에 일정한 요철을 갖는 비즈를 충전제로서 사용하는 예가 보고되고(특허문헌 1), 활성화된 백혈구와 사이토카인을 동시에 흡착하는 담체로서는 표면이 아미노기 수식된 부직포나 비즈를 충전제로서 사용하는 예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2 및 3).
일본 특허 제2501500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2006-3128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080062호 공보
그러나, 활성화된 백혈구를 선택적으로 흡착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흡착 담체는 현재 상태로는 충분한 흡착 능력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고, 백혈구 제거 요법을 사용해서 염증성 질환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백혈구 중에서도 특히 과립구 및 단구에 대한 흡착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과립구 및 단구를 선택적이고 고효율로 흡착 제거할 수 있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해서도 동시에 흡착 제거할 수 있는 혈액 성분 흡착 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과립구 및 단구에 추가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고효율로 흡착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혈액 성분 흡착 담체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9)에 기재된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을 제공한다.
(1)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가 도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2) (1)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담체의 프로톤 흡착능은 1.5×10-5~3.0×10-3eq/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실릴기의 규소 원자와 상기 아미노기의 질소 원자는 알킬쇄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4) (3)에 있어서, 상기 알킬쇄는 탄소수 6 이하의 알킬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릴기는 알킬기 및/또는 알콕시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6) (5)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7)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담체는 섬유 또는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9) (8)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섬유 지름 또는 상기 입자의 입자 지름은 0.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10)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 컬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에 의하면 염증성 질환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과립구 및 단구를 고효율로 흡착 제거할 수 있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해서도 동시에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를 충전한 혈액 성분 흡착 컬럼은 백혈구 제거 요법에 사용할 수 있고, 중증화된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적합한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는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가 도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란 혈액으로부터 혈액 성분을 흡착 제거 가능한 재료를 말한다.
혈액 성분이란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인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적혈구, 백혈구 또는 혈소판 등의 혈구 성분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액성 인자가 예시되지만,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백혈구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흡착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란 특정의 세포에 정보를 전달하는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을 말하고, 예를 들면 인터루킨, 종양 괴사 인자-α, 트랜스포밍 그로스 팩터 베타, 인터페론-γ, 혈관 신생 증식 인자 및 면역 억제 산성 단백이 예시된다.
인터루킨이란 백혈구가 분비되고 면역계의 조절에 기능하는 사이토카인인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인터루킨-1, 인터루킨-6(이하, IL-6), 인터루킨-8(이하, IL-8), 인터루킨-10, 인터루킨-17이 예시된다.
흡착이란 혈액 성분이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수불용성 담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테프론(등록상표) 등의 불소화 폴리머, 폴리(p-페닐렌에테르술폰) 등의 폴리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페닐렌 술파이드, 폴리스티렌 또는 아크릴 폴리머, 또는 이들 고분자 화합물을 블렌딩, 합금화한 것이 예시되지만,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으로의 관능기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고, 내열성 또는 가공시의 형상 유지의 관점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란 관능기의 화학 구조의 일부에 적어도 1개씩 실릴기 및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말한다.
「실릴기」란 이하에 나타내는 화학 구조의 관능기를 말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 R2 및 R3의 화학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R1, R2 및 R3은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1, R2 및 R3이 모두 동일한 알킬기인 실릴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기 또는 트리에틸실릴기가 예시된다. 또한, R1, R2 및 R3이 모두 동일한 알콕시기인 실릴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톡시실릴기 또는 트리에톡시실릴기가 예시된다. 또한, R1, R2 및 R3이 복수 종의 알킬기 및/또는 알콕시기인 실릴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디메톡시실릴기가 예시된다.
또한, 상기 실릴기는 1 이상의 실록산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실록산 결합이 지나치게 연속되면 관능기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억제되어 버리기 때문에 연속하는 실록산 결합의 수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릴기에 있어서, R1, R2 및 R3이 모두 알킬기 및/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릴기인 경우에는 실릴기와 혈액 성분의 상호작용이 보다 용이하도록 알킬기 및/또는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및 산소 원자의 수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기」란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의 관능기를 말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R4 및 R5의 화학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R4 및 R5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가 예시된다.
R4 및 R5가 모두 수소인 구조를 제1급 아미노기라고 말하고, R4 및 R5 중 어느 하나가 수소 이외의 화학 구조인 구조를 제2급 아미노기라고 말하며, R4 및 R5 모두 수소 이외의 화학 구조로 치환된 구조를 제3급 아미노기라고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아미노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의 관능기, 즉 제4급 암모늄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6, R7 및 R8은 모두 수소 이외의 화학 구조를 나타내고, 그 화학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R6, R7 및 R8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가 예시된다.
상기 관능기의 말단에 아미노기가 존재하는 경우, 즉 상기 관능기의 말단에 반응성이 높은 제1급 아미노기가 있는 경우에는, 이 아미노기가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가 갖는 다른 화학 구조에 가교 등을 할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생체로의 과도한 자극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아미노기는 제2급 또는 제3급 아미노기, 또는 제4급 암모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의 화학 구조 중, 실릴기와 아미노기 사이에 존재하는 화학 구조, 즉 실릴기의 규소 원자와 아미노기의 질소 원자를 결합하고 있는 화학 구조(이하, 스페이서)는 수소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페이서가 과대하게 되면 실릴기의 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원자수는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페이서는 알킬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이하의 알킬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를 도입할 때에 수불용성 담체와 상기 관능기의 결합을 매개하는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메틸기, 할로아세틸기, 할로아세트아미노메틸기 또는 할로겐화 알킬기 등의 활성 할로겐기, 에폭사이드기, 카르복실기, 이소시안산기, 티오이소시안산기 또는 산무수물기가 예시되지만, 적당한 반응성을 갖는 관점에서 활성 할로겐기가 바람직하고, 할로아세트아미드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릴기가 말단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스페이서가 알킬쇄인 상기 관능기는, 예를 들면 시판의 시약이며 그 입수가 용이한 실릴알킬아민을 할로아세트아미드메틸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가 탄소수 3의 알킬쇄인 상기 관능기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할로아세트아미드메틸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수불용성 담체」의 형상은 백혈구의 흡착 제거 효율을 높인다고 하는 관점에서 「섬유 또는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담체가 섬유인 경우, 섬유의 단면은 진원형 이외의 이형 단면이어도 상관없고, 섬유가 중공사여도 상관없다. 또한, 「섬유 또는 입자」의 「섬유의 섬유 지름」 및 「입자의 입자 지름」은 백혈구의 탐식능을 보다 안정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0.5~20㎛인 것이 바람직하고, 4~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의 바람직한 값은 0.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이다. 상한값의 바람직한 값은 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어느 바람직한 하한값이나 어느 바람직한 상한값과 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백혈구의 탐식능이란 과립구 및 단구가 인간 등의 체내에 침입한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포획하여 이것을 먹으려고 하는 성질을 말한다.
「섬유의 섬유 지름」이란 섬유의 소편 샘플 10개를 랜덤하게 채취해서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2000배의 사진을 각각 촬영하고, 각 사진당 10개소(총 100개소)의 섬유 직경을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입자의 입자 지름」이란 입자의 소편 샘플 10개를 랜덤하게 채취해서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2000배의 사진을 각각 촬영하고, 각 사진당 10개소(총 100 개소)의 입자의 직경을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말한다.
상기 섬유의 섬유 지름이 10㎛ 미만인 경우,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보다 큰 지름의 섬유를 혼합해도 좋지만, 이러한 큰 지름의 섬유의 섬유 지름은 10~50㎛가 바람직하다.
섬유로 이루어진 수불용성 담체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면포 또는 중공사가 예시될 수 있지만, 형상이 부직포인 경우에는 그 형상 유지를 위해서 폴리프로필렌 등의 골격재 섬유를 넣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 담체가 섬유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여과의 원리에 의해서 혈액 성분을 제거해도 상관없지만, 막힘에 의한 압력 손실을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여 과립구 및 단구에 대해서는 그 탐식능과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의 상호작용을 이용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해서는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와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각각을 흡착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 담체를 컬럼 등의 용기에 충전해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공극률을 크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공극률이 너무 큰 경우에는 흡착 담체의 형상 유지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상기 수불용성 담체의 공극률은 85~98%인 것이 바람직하고, 90~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의 바람직한 값은 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다. 상한값의 바람직한 값은 9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이다. 어느 바람직한 하한값이나 어느 바람직한 상한값과 조합시킬 수 있다.
「공극률」이란 혈액 성분 흡착 담체에 있어서의 공극의 용적의 비율로서, 혈액 성분 흡착 담체에 있어서의 공극의 용적을 혈액 성분 흡착 담체의 겉보기 체적으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를 말하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이용해서 혈액 성분 흡착 담체의 단면의 200배의 사진을 촬영하고, 그 화상 해석 결과를 이용해서 이하의 식 1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공극률(%)={(b-a)/b}×100ㆍㆍㆍㆍㆍㆍ식 1
a: 수불용성 담체에서 차지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
b: 혈액 성분 흡착 담체의 단면의 전체 면적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에 포함되는 실릴기는 과립구 및 단구의 선택적인 흡착에 크게 기여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반면에, 실릴기가 고밀도로 존재하면 관능기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억제되게 되어 과립구 및 단구의 상호작용이 충분하지는 않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에 포함되는 아미노기도 과립구 및 단구의 선택적인 흡착에 크게 기여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반면에, 아미노기가 고밀도로 존재하면 음성 전하를 갖는 단백질과의 경쟁 흡착이 생기기 때문에 과립구 및 단구의 흡착률은 감소할 것으로 추측된다. 아미노기의 밀도는 프로톤 흡착능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 담체의 프로톤 흡착능은 1.5×10-5~3.0×10-3eq/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4~2.0×10-3eq/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의 바람직한 값은 1.5×10-5eq/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4eq/g이다. 상한값의 바람직한 값은 3.0×10-3eq/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3eq/g이다. 어느 바람직한 하한값이나 어느 바람직한 상한값과 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1eq/g의 프로톤 흡착능이란 1g의 흡착 담체가 1㏖의 프로톤을 흡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에 포함되는 실릴기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흡착에도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세한 기서는 불명확하지만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1~수10kDa 정도의 단백질이며, 여러 종류의 소수성 아미노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기와 같은 소수성의 실릴기와 상호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가 충전된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 컬럼의 용기 형상으로서는 혈액의 입구와 출구를 갖는 용기라면 좋지만,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의 각기둥 형상 용기가 예시되고,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를 적층 형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용기,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를 원통 형상으로 감은 것을 충전할 수 있는 용기 또는 혈액이 원통의 외주로부터 들어가 내측으로 흘러서 용기 밖으로 나가는 용기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 컬럼에 대해서 실험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 wt%는 중량%의 의미이다.
(PP제 부직포의 제작)
36도의 해도 복합 섬유이며, 도가 또한 심초복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다음의 성분을 이용해서 방사 속도 800m/분, 연신 배율 3배의 제사 조건으로 얻었다.
도의 심 성분: 폴리프로필렌
도의 초 성분: 폴리스티렌 90wt%, 폴리프로필렌 10wt%
해 성분: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고, 공중합 성분으로서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3wt%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복합 비율(중량 비율): 심:초:해=45:40:15
이 섬유 85wt%와 직경 20㎛의 폴리프로필렌 섬유 15wt%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작한 후, 이 부직포 2장 사이에 시트 형상의 폴리프로필렌제 네트(두께 0.5㎜, 단사 지름 0.3㎜, 개구부 2㎜×2㎜)를 끼워 니들펀칭함으로써 3층 구조의 부직포(이하, PP제 부직포)를 얻었다.
(PSt+PP제 부직포의 제작)
PP제 부직포를 95℃, 3wt%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해 성분을 용해함으로써 심초 섬유의 직경이 5㎛이고 부피 밀도가 0.02g/cm3인 부직포(PSt+PP제 부직포, 이하, 부직포 A)를 제작했다.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부직포의 제작)
니트로벤젠 46wt%, 황산 46wt%, 파라포름알데히드 1wt%, N-메틸올-α-클로로 아세트아미드(이하, NMCA) 7wt%를 10℃ 이하에서 혼합, 교반, 용해시켜 NMCA화 반응액을 조제했다. 이 NMCA화 반응액을 5℃로 하고, 1g의 부직포 A에 대해 약 40㎖의 고액비로 NMCA화 반응액을 첨가하고, 수욕 중에서 반응액을 5℃로 유지한 채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부직포를 인출하여 NMCA 반응액과 동량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하여 세정했다. 계속해서, 부직포를 인출하여 메탄올에 침지시키고, 세정을 행하여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B)를 얻었다.
(테트라에틸렌펜타민화 부직포의 제작)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이하, TEPA)의 농도가 20mM, 트리에틸아민의 농도가 473mM이 되도록 각각을 500㎖의 디메틸술폭사이드(이하, DMSO)에 용해시킨 액에 10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TEPA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C)를 얻었다. 부직포 C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1에 나타낸다.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부직포의 제작)
0.22㎖의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시킨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D)를 얻었다. 부직포 D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부직포의 제작)
0.27㎖의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시킨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E)를 얻었다. 부직포 E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화 부직포의 제작)
0.21㎖의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시킨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F)를 얻었다. 부직포 F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부직포의 제작)
0.18㎖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시킨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G)를 얻었다. 부직포 G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부직포의 제작)
0.18㎖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시킨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H)를 얻었다. 부직포 H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에톡시프로필아민화 부직포의 제작)
0.12㎖ 3-에톡시프로필아민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시킨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3-에톡시프로필아민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I)를 얻었다. 부직포 I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화 부직포의 제작)
0.14㎖의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한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J)를 얻었다. 부직포 J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화 부직포의 제작)
0.16㎖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을 46.5㎖의 DMSO에 첨가하고, 3.3㎖의 트리에틸아민을 더 첨가하여 혼합시킨 액에 1g의 부직포 B를 담그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부직포를 DMSO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수세함으로써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화 부직포(이하, 부직포 K)를 얻었다. 부직포 K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의 제작)
32㎖의 5wt% 폴리술폰/니트로벤젠 용액에 0℃에서 조제된 2㎖의 2wt% NMCA/황산 용액을 첨가하고, 1시간 교반했다. 여기에, 빙랭된 8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클로로 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20㎖의 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DMF)에 용해시킨 액에 다시 빙랭된 4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얻었다.
(테트라에틸렌펜타민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테트라에틸렌펜타민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테트라에틸렌펜타민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시킨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테트라에틸렌펜타민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L)를 얻었다. 부직포 L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시킨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M)를 얻었다. 부직포 M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시킨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N)를 얻었다. 부직포 N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 한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한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O)를 얻었다. 부직포 O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한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인상하여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P)를 얻었다. 부직포 P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한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Q)를 얻었다. 부직포 Q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에톡시프로필아민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3-에톡시프로필아민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3-에톡시프로필아민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3-에톡시프로필아민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한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3-에톡시프로필아민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R)를 얻었다. 부직포 R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 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한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4-아미노부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화 폴리 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S)를 얻었다. 부직포 S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화 폴리술폰 부직포의 제작)
1g의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폴리술폰을 30㎖의 DMF에 용해하고, 거기에 농도가 20mM이 되도록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을 첨가하여 17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빙랭된 600㎖의 메탄올을 첨가함으로써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화 폴리술폰을 석출시켜 회수했다. 회수한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화 폴리술폰을 20㎖의 DMF에 다시 용해한 액에 0.1g의 부직포 A를 담근 후, 곧바로 들어올려서 메탄올에 더 담금으로써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화 폴리술폰 부직포(이하, 부직포 T)를 얻었다. 부직포 T에 도입된 관능기의 구조식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1)
Figure pct00004
(표 1-2)
Figure pct00005
(실시예 1)
부직포 D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이하의 식 2~식 4에 따라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또한, 각 혈액 성분 수의 측정은 다항목 자동 혈구 분석장치 XT-1800i(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하여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과립구 흡착률(%)={(순환 전 혈액 중의 과립구 수)-(순환 후 혈액 중의 과립구 수)}/(순환 전 혈액 중의 과립구 수)×100ㆍㆍㆍㆍㆍㆍ식 2
단구 흡착률(%)={(순환 전 혈액 중의 단구 수)-(순환 후 혈액 중의 단구 수)}/(순환 전 혈액 중의 단구 수)×100ㆍㆍㆍㆍㆍㆍ식 3
림프구 흡착률(%)={(순환 전 혈액 중의 림프구 수)-(순환 후 혈액 중의 림프구 수)}/(순환 전 혈액 중의 림프구 수)×100ㆍㆍㆍㆍㆍㆍ식 4
(실시예 2)
부직포 E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부직포 F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부직포 G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부직포 H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부직포 M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부직포 N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부직포 O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부직포 P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부직포 Q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부직포 C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부직포 I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부직포 J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부직포 K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부직포 L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부직포 R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부직포 S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부직포 T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사람 혈액(헤파린 농도 30U/㎖)을 1㎖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혈액 성분의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부직포 D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소태아혈청(이하, FBS)을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ELISA법으로 IL-6 및 IL-8의 잔류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이하의 식 5 및 식 6에 따라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IL-6 흡착률(%)={(전도 혼화 전의 IL-6 농도)-(전도 혼화 후의 IL-6 농도)}/(전도 혼화 전의 IL-6 농도)×100ㆍㆍㆍㆍㆍㆍ식 5
IL-8 흡착률(%)={(전도 혼화 전의 IL-8 농도)-(전도 혼화 후의 IL-8 농도)}/(전도 혼화 전의 IL-8 농도)×100ㆍㆍㆍㆍㆍㆍ식 6
(실시예 12)
부직포 E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부직포 F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부직포 G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부직포 H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부직포 M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부직포 N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부직포 O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부직포 P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부직포 Q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9)
부직포 C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부직포 I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부직포 J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부직포 K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부직포 L을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부직포 R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5)
부직포 S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6)
부직포 T를 직경 8㎜의 원판 형상으로 2장 잘라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IL-6 및 IL-8의 농도가 모두 500pg/㎖가 되도록 조제한 FBS를 0.8㎖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전도 혼화시키고 나서,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L-6 및 IL-8 흡착률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6
표 2의 결과로부터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실릴기를 갖는 관능기를 도입한 본 발명의 혈액 성분 흡착 담체는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의 관능기가 실릴기를 갖지 않는 담체와 비교한 경우에 대해서 과립구 및 단구의 흡착률이 높고, 또한 IL-6 및 IL-8 흡착률도 높은 것이 명확해졌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의료 분야의 혈액 성분 흡착 컬럼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실릴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관능기가 도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담체의 프로톤 흡착능은 1.5×10-5~3.0×10-3eq/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기의 규소 원자와 상기 아미노기의 질소 원자는 알킬쇄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쇄는 탄소수 6 이하의 알킬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기는 알킬기 및/또는 알콕시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담체는 섬유 또는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섬유 지름 또는 상기 입자의 입자 지름은 0.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성분 흡착 컬럼.
KR1020137020768A 2011-02-25 2012-02-24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 KR101513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39980 2011-02-25
JP2011039980 2011-02-25
PCT/JP2012/054506 WO2012115217A1 (ja) 2011-02-25 2012-02-24 血液成分吸着用担体及び血液成分吸着カ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942A true KR20130118942A (ko) 2013-10-30
KR101513522B1 KR101513522B1 (ko) 2015-04-20

Family

ID=4672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768A KR101513522B1 (ko) 2011-02-25 2012-02-24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67927B2 (ko)
EP (1) EP2679258B1 (ko)
JP (1) JP5954172B2 (ko)
KR (1) KR101513522B1 (ko)
CN (1) CN103379927B (ko)
AU (1) AU2012221057B2 (ko)
CA (1) CA2828191C (ko)
SG (1) SG192935A1 (ko)
TW (1) TWI546122B (ko)
WO (1) WO2012115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9405B2 (en) * 2014-07-22 2020-05-05 Asahi Kasei Medical Co., Ltd. Adsorbent for removing histone and purification device for liquid derived from living organism
DK3513821T3 (da) * 2016-09-09 2020-09-07 Toray Industries Materiale til rensning af blod
CN109843347B (zh) * 2016-11-29 2021-06-15 富士胶片株式会社 血液成分选择吸附滤材及血液过滤器
CN114423470A (zh) * 2019-10-04 2022-04-29 东丽株式会社 血液处理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7710A (en) 1980-04-16 1981-11-16 Kuraray Co Ltd Immunoglobulin adsorbent
US4384954A (en) * 1980-04-16 1983-05-24 Kuraray Co., Ltd. Column for adsorption of blood proteins
US4560504A (en) * 1984-12-06 1985-12-24 Uop Inc. Carboxyl anchored immobilized antibodies
US4927749A (en) 1986-04-09 1990-05-22 Jeanette Simpson Reagent for cell separation
EP0386926A3 (en) * 1989-03-02 1991-12-18 Supelco, Inc. Silica gel supports suitable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s
JPH04256434A (ja) * 1991-02-06 1992-09-11 Mitsui Toatsu Chem Inc 発熱物質吸着剤
JP2501500B2 (ja) 1991-09-30 1996-05-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顆粒球吸着用担体及び顆粒球除去装置
US5407581A (en) * 1992-03-17 1995-04-18 Asahi Medical Co., Ltd. Filter medium having a limited surface negative charge for treating a blood material
JPH0780062A (ja) 1993-09-17 1995-03-28 Asahi Medical Co Ltd エンドトキシン除去器および浄化血液の製造方法
JP2591500B2 (ja) 1994-11-22 1997-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4196592B2 (ja) 2001-05-25 2008-12-17 東レ株式会社 免疫系細胞吸着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体外循環用カラムおよび免疫系細胞の除去方法
EP2700445B1 (en) * 2002-11-25 2015-07-08 Shiseido Company Limited Method of preparing a chromatography packing
WO2004051280A2 (de) * 2002-11-29 2004-06-17 Max-Delbrück-Centrum für Molekulare Medizin Bestimmung agonistischer autoantikörper
US7524673B2 (en) * 2004-05-10 2009-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logical soil detector
EP1886704B1 (en) * 2005-03-31 2016-09-28 Toray Industries, Inc. Adsorbent and column for extracorporeal circulation
JP4983070B2 (ja) 2005-04-08 2012-07-25 東レ株式会社 吸着材および体外循環用カラム
EP1852443A1 (en) * 2006-05-05 2007-11-07 Leukocare AG Biocompatible three dimensional matrix for the immobilization of biological substances
DE102006039414A1 (de) * 2006-08-23 2008-02-28 Carl Freudenberg Kg Vliesstoffe mit positivem Zeta-Potenzial
EP2058018A4 (en) 2006-08-31 2014-01-22 Toray Industries ADSORPTION SUPPORT CONTAINING COMPOSITE FIBER
WO2009057574A1 (ja) * 2007-10-30 2009-05-07 Kaneka Corporation ポリウレタ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白血球除去用フィルター材
JP5307620B2 (ja) * 2009-04-28 2013-10-02 株式会社カネカ 新規白血球除去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6122B (zh) 2016-08-21
CA2828191C (en) 2015-11-24
TW201309384A (zh) 2013-03-01
AU2012221057B2 (en) 2015-02-19
US9867927B2 (en) 2018-01-16
CA2828191A1 (en) 2012-08-30
JP5954172B2 (ja) 2016-07-20
SG192935A1 (en) 2013-09-30
WO2012115217A1 (ja) 2012-08-30
KR101513522B1 (ko) 2015-04-20
CN103379927B (zh) 2016-02-24
EP2679258A1 (en) 2014-01-01
EP2679258A4 (en) 2014-07-23
AU2012221057A1 (en) 2013-09-12
CN103379927A (zh) 2013-10-30
US20130327698A1 (en) 2013-12-12
EP2679258B1 (en) 2020-05-20
JPWO2012115217A1 (ja)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469B1 (ko) 혈액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성분 흡착 컬럼
KR100972702B1 (ko) 흡착재 및 체외 순환용 칼럼
KR20090074172A (ko) 세포 흡착 컬럼
KR20130118942A (ko) 혈액 성분 흡착용 담체 및 혈액 성분 흡착 컬럼
JP4983070B2 (ja) 吸着材および体外循環用カラム
EP3679964A1 (en) Immunosuppressive leukocyte adsorption material and adsorption column
JP5644149B2 (ja) 血液成分吸着用担体
JP5017996B2 (ja) 白血球およびサイトカインの吸着器
JP2007313288A (ja) 吸着担体および体外循環用カラム
US11992598B2 (en) Adsorbing material for solubl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