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503A - 광반사용 반사시트 - Google Patents

광반사용 반사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503A
KR20130118503A KR1020120041423A KR20120041423A KR20130118503A KR 20130118503 A KR20130118503 A KR 20130118503A KR 1020120041423 A KR1020120041423 A KR 1020120041423A KR 20120041423 A KR20120041423 A KR 20120041423A KR 20130118503 A KR20130118503 A KR 2013011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sheet
layer
light reflec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관한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에이나노
(주)서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나노, (주)서광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나노
Priority to KR102012004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8503A/ko
Publication of KR2013011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반사용 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자외선차단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내열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용 반사시트는 우수한 휘도를 나타내며, 황변 등과 같은 경시적인 열화를 일으키지 않고, 제조과정에서 압출속도, 압출온도 및 압출기의 롤로 인한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광반사용 반사시트{Reflection sheet for back 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이나 LED조명기구 등에 이용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휘도를 나타내며, 황변 등과 같은 경시적인 열화를 일으키지 않고, 제조과정에서 압출속도, 압출온도 및 압출기의 롤로 인한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광반사용 반사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배면에서 비추어 발광시키는 백라이트 방식이 보급되어, 액정층의 하면측에 에지라이트형, 직하형 등의 백라이트 유닛이 장비되어 있다. 에지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는 광원으로서의 봉상의 램프와 이 램프에 단부가 따르도록 배치되는 사각형 판상의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표면측에 적층된 복수매의 광학시트와, 도광판의 이면측에 적층된 반사시트를 장비하고 있다.
상기 액정층이 번쩍이지 않을 정도로 도광판 이면에서 방산되는 광선을 표면측에 반사시켜서 휘도의 향상을 도모하며, 백라이트 유닛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장치, 프레임 등이 은폐할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도광판의 이면측에는 반사시트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한, LED조명이 보급되면서, LED광의 반사를 위한 반사시트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사시트로서는, 종래의 합성수지의 시트 중에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가 분산된 것, 합성수지의 시트 중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보이드가 분산된 것, 시트표면이 매트상으로 형성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반사시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이나 LED조명기구을 사용하면, 경시적으로 반사시트에 황변 등이 발생하고, 이에 수반하여 백라이트 화면이나 LED조명 표면이 황색을 띠고, 휘도가 저하되는 등의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반사시트는 제조과정에서 압출속도, 압출온도 및 압출기의 롤로 인한 주름이 발생하여, 제조과정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가 우수하고, 경시적으로 황변 등이 발생하지 않는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출속도, 압출온도 및 압출기의 롤로 인해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자외선차단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내열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50 내지 25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3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자외선 흡수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비드 0.1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힌더드 아민계,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드는, 연질 엘라스토머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열층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열층은, 폴리프로필렌 30 내지 40 중량부, 아이소탁틱폴리프로필렌 20 내지 30 중량부 및 고밀도폴리에틸렌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용 반사시트는, 휘도가 우수하고, 경시적으로 황변 등이 발생하지 않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압출속도, 압출온도 및 압출기의 롤로 인해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표면상태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표면상태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표면상태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3을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표면상태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4를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표면상태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용 반사시트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자외선차단층(20), 및 상기 기재층(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내열층(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층(10)은 50 내지 2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재층(10)은 백색안료를 더 함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재층(10)의 두께가 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상기 자외선차단층(20)이 형성됐을 때, 컬(Curl)이 발생할 수 있고, 기재층(10)의 두께가 25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유닛 또는 LED조명기구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터워진다.
이때, 상기 백색안료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연, 황산바륨 및 탄산칼슘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에 3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고, 자외선 흡수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비드 0.1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층(20)은 기재가 되는 합성수지재와 이러한 합성수지재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가 되는 합성수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플루오르계, 실리콘계,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에폭시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차단층(20)에는 가소제, 안정화제, 열화 방지제, 분산제 및 대전 방지제 등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의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는 통상적으로는 투명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기재층(10)과 마찬가지로 반사성 및 은폐성을 부여하기 위해, 백색안료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표면 굴곡을 통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소 기포가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미소 기포는 공기,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가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주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소 기포는 평균직경이 O.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인데, 미소 기포의 평균직경이 0.5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자외선차단층의 표면에 굴곡을 줄 수 없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없고, 평균직경이 5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자외선차단층(2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자외선에 대해 안정한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힌더드 아민계,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O.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광원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반사시트의 황변 등의 억제 효과가 미미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재의 강도 및 내구성 등이 저하된다.
상기 비드는 연질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데, 유리전이 온도가 낮은 연질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연질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비드에 의해 자외선차단층(20)의 표면의 경도가 낮아져, 도광판 이면에 적용될 때,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 엘라스토머의 유리전이 온도는 -1OO 내지 30℃이며, 폴리우레탄, 실리콘고무, 폴리스티렌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층(30)은 상기 기재층(10)의 하부면에 10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압출기를 통해 제조하는 공정에서 압출속도, 압출온도 및 압출기의 롤로 인해 반사시트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열층의 두께가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주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내열층의 두께가 3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제품의 두께가 증가하며,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열층(30)은 폴리프로필렌 30 내지 40 중량부, 아이소탁틱폴리프로필렌 20 내지 30 중량부 및 고밀도폴리에틸렌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150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를 나타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기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1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평균 직경이 0.5 내지 50 마이크로 미터인 미소기공이 형성되고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흡수제 0.1 내지 10 중량부와 연질 엘라스토머로 일워진 비드 0.1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1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 30 내지 40 중량부, 아이소탁틱폴리프로필렌 20 내지 30 중량부 및 고밀도폴리에틸렌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내열층을 형성한 후에 90℃의 온도로 예열된 압출기를 이용하여 30m/min의 속도로 압출하여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서광테크의 SGTR-500S의 재료를 90℃의 온도로 예열된 압출기를 이용하여 30m/min의 압출속도로 압출하여 반사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압출속도를 25m/min으로 하여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압출속도를 25m/min으로 하고, 압출기의 예열온도를 80℃로 하여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압출속도를 20m/min으로 하고, 압출기의 예열온도를 80℃로 하여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의 휘도를 전광에 임의로 17곳을 point로 정하여 측정한 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휘도의 측정은 통상적인 휘도층정기를 이용하였다.)
Figure pat00001
위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는 종래에 반사시트와 대등한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아래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를 아래 도 3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2 내지 6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광반사용 반사시트는 표면주름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알 수 있다.
10 ; 기재층
20 ; 자외선차단층
30 ; 내열층

Claims (9)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자외선차단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내열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50 내지 25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3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자외선 흡수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비드 0.1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층에는,
    공기,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가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며, 평균직경이 O.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인 미소기공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힌더드 아민계,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연질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열층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열층은,
    폴리프로필렌 30 내지 40 중량부, 아이소탁틱폴리프로필렌 20 내지 30 중량부 및 고밀도폴리에틸렌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용 반사시트.
KR1020120041423A 2012-04-20 2012-04-20 광반사용 반사시트 KR20130118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23A KR20130118503A (ko) 2012-04-20 2012-04-20 광반사용 반사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23A KR20130118503A (ko) 2012-04-20 2012-04-20 광반사용 반사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03A true KR20130118503A (ko) 2013-10-30

Family

ID=4963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423A KR20130118503A (ko) 2012-04-20 2012-04-20 광반사용 반사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85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33B1 (ko) * 2018-08-24 2019-10-16 주식회사 퓨엠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CN114859604A (zh) * 2022-06-02 2022-08-05 四川龙华光电薄膜股份有限公司 一种遮光反射膜、背光模组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33B1 (ko) * 2018-08-24 2019-10-16 주식회사 퓨엠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CN114859604A (zh) * 2022-06-02 2022-08-05 四川龙华光电薄膜股份有限公司 一种遮光反射膜、背光模组及其制备方法
CN114859604B (zh) * 2022-06-02 2024-04-05 四川龙华光电薄膜股份有限公司 一种遮光反射膜、背光模组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5758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6787127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TWI442099B (zh) Surface bump film and light diffusing sheet
TW200844474A (en) Backlight device and member
TW201239482A (en)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130035778A (ko) 확산 시트
JP2003100127A (ja)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112972B1 (ko) 다중 곡률을 갖는 광학시트
KR20130118503A (ko) 광반사용 반사시트
KR20110061592A (ko) 광학 시트 및 액정표시장치용 면광원
JP2010211010A (ja) 光拡散フィルム、そ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6974004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光学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1075779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4907810B2 (ja)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WO2003104713A1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147550A (ko) 다층 발포 반사판
TW202201048A (zh) 光學片、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及資訊機器
TWI685705B (zh) 緩衝片及平板顯示器
JP2010066309A (ja) 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デバイス
JP6880521B2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
JP2015031893A (ja) 照明装置用レンズフィルム積層体
KR20150034553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4160187A (ja) 自己治癒型高輝度プリズムシートおよび面光源ユニット
JP2017134380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5835532B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