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185A -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185A
KR20130117185A KR20120040092A KR20120040092A KR20130117185A KR 20130117185 A KR20130117185 A KR 20130117185A KR 20120040092 A KR20120040092 A KR 20120040092A KR 20120040092 A KR20120040092 A KR 20120040092A KR 20130117185 A KR20130117185 A KR 20130117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ar
pair
connecting member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화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영호 filed Critical 화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4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185A/ko
Priority to PCT/KR2013/002967 priority patent/WO2013157771A1/ko
Publication of KR2013011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62K19/14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9/00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025/041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the cycle frame bein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대비 기계적 강도가 스틸보다 강한 대나무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량화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완충력을 갖는 동시에, 충격흡수가 휨 곡률 변화로 유연하게 이루어져 대나무소재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충격흡수성능 및 승차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일반 자전거, 유아용, 어린이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특히 산악용 자전거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재단하여 된 대나무 스트립이 복수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대나무 집성바 및 상기 대나무 집성바를 연결하여 자전거 프레임으로 구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자전거 프레임의 완충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전체 또는 일부가 임의의 곡선형태로 휨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BICYCLE FRAME USING BAMBOO}
본 발명은 중량대비 기계적 강도가 스틸보다 강한 대나무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량화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완충력을 갖는 동시에, 충격흡수가 휨 곡률 변화로 유연하게 이루어져 대나무소재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충격흡수성능 및 승차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일반 자전거, 유아용, 어린이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특히 산악용 자전거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무공해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또한 스포츠 레저 활동수단 등의 운동기구로 각광받고 있어 특히 경량화, 승차감 향상 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프레임의 소재는 일반 탄소강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발전하였고 이후 티탄합금 등 강도가 뛰어나고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량인 각종 합금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고가의 비용이 큰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금속소재는 여전히 중량이 무겁고, 파이프형태로 되어 용접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과 설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산악용 자전거가 널리 유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산악용 자전거는 많은 충격이 전달되는 환경에서 운행되므로 충격흡수가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종래기술은 코일스프링이나 쇽업 등의 충격흡수장치에 의존할 뿐, 프레임 자체에서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안장으로 전달하게 되어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한편, 충격흡수장치로 인하여 자전거의 중량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중량대비 기계적 강도가 스틸보다 강한 경량체이며 완충력을 갖고 제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친환경 소재인 대나무를 자전거의 프레임소재로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선행기술은 대나무를 마디가 있는 통째로 이용하거나 미국특허공개 US2109/0218786(공개: 2109.09.03.)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나무 스트립을 집성하여 된 대나무 집성바를 프레임부재로 이용하되, 대나무 집성바가 직선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대나무 집성바가 직선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은 충격에 대한 연성이 부족하여 프레임을 통한 충격흡수 성능 및 승차감이 미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대비 기계적 강도가 스틸보다 강한 대나무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량화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완충력을 갖는 동시에, 충격흡수 변형이 유연하게 이루어져 대나무소재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충격흡수성능 및 승차감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한 기계적 강도, 경량화 및 높은 충격흡수성능을 지녀 일반 자전거, 유아용, 어린이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특히 산악용 자전거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은
임의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재단하여 된 대나무 스트립이 복수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대나무 집성바: 및
상기 대나무 집성바를 연결하여 자전거 프레임으로 구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자전거 프레임의 완충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전체 또는 일부가 임의의 곡선형태로 휨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복수의 대나무 스트립을 감싸는 외피가 구비되고, 상기 외피는 천연섬유재, 합성섬유재, 유리섬유 복합재, 합성수지재, 탄소섬유 복합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단부에 접속캡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는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 페달축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 및 안장과 인접 위치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4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 상기 제3접속부재와 제4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집성바 및 상기 제4접속부재와 제1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4집성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는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 페달축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 및 안장과 인접 위치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4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 상기 제3접속부재와 제4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집성바, 상기 제4접속부재와 제1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4집성바 및 상기 제2접속부재와 제4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5집성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는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 페달축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 및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 및 상기 제3접속부재와 제1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6집성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6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에 선단이 고정되며 안장 설치부가 위치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으로부터 두 가닥으로 양분되어 각각의 후단이 상기 한 쌍의 제3접속부재에 조립되는 제2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2접속부재와 한 쌍의 제3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직선형태로 되는 한 쌍의 제2집성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는 유아용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5접속부재 및 한 쌍의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6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제7집성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7집성바는 상기 제5접속부재에 선단이 고정되고 안장 설치부가 위치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으로부터 두 가닥으로 양분되어 각각의 후단이 상기 한 쌍의 제6접속부재에 조립되는 제2구간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대나무 스트립이 짝수로 되고, 두 가닥으로 양분되는 위치에 결속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는 유아용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5접속부재, 한 쌍의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6접속부재 및 안장 설치부에 인접 위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7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5접속부재와 제7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8집성바와 상기 제7접속부재와 한 쌍의 제6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9집성바로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에 의하면, 자전거 프레임이 중량대비 강도가 스틸보다 강한 대나무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량화되며 제조비용을 줄이고 탄성으로 완충력을 갖는 동시에, 대나무 집성바가 휨 성형되어 설치됨으로써 충격발생시 자전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 대나무 집성바 간의 상호 유기적인 휨 곡률 변화가 유연하게 유도되어 직선형태로 되는 대나무소재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충격흡수성능 및 승차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강한 기계적 강도, 경량화 및 높은 충격흡수성능으로 일반 자전거, 유아용, 어린이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특히 산악용 자전거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A)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입면도
도 3은 도 1의 상부구성을 중심으로 하는 도 2의 일부생략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하부구성을 중심으로 하는 도 2의 일부생략 저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절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입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C)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입면도
도 9는 도 8에서 제6집성바의 발췌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D)의 유아용 자전거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입면도
도 11은 도 10의 일부생략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E)의 유아용 자전거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입면도
이하, 본 발명의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1)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재단하여 된 대나무 스트립(10a)이 복수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대나무 집성바(10) 및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를 연결하여 자전거 프레임으로 구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부재(30)를 포함하고, 자전거 프레임의 완충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전체 또는 일부가 임의의 곡선형태로 휨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대나무 스트립(10a)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도 5의 a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을 비롯하여 사각형, 사각형에서 모서리 라운드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대나무 스트립의 개수 및 집성형태 또한 다양하게 형성된다.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대나무 스트립(10a)을 고온에서 삶거나 쪄낸 후 건조시키고 접착제로 접합하여 고온에서 압축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이와 같이 제조된 대나무 집성바의 휨 성형은 지그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곡선형태로 휜 상태에서 가열 압축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대나무 집성바(10)가 휨 성형되어 곡선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충격발생시 휨 곡률이 변화되는 것으로 충격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나무 스트립(10a)을 감싸는 외피(21)가 구비되고, 상기 외피(21)는 천연섬유재, 합성섬유재, 유리섬유 복합재, 합성수지재, 탄소섬유 복합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피(21)는 대나무 집성바의 강도를 보강하고 탄성을 강화시키며, 소재에 따라서는 대나무 집성바를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단부에 접속부재(30)에 체결구조를 갖는 접속캡(23)이 구비될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 접속캡(23)은 접속부재(30)에 대한 체결 및 이탈방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A)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입면도, 도 3은 도 1의 상부구성을 중심으로 작성된 도 2의 일부생략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하부구성을 중심으로 작성된 도 2의 일부생략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A)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0)는 자전거의 전륜축(51)과 핸들(52)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53)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31), 페달축(54)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32), 후륜축(55)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33) 및 안장(56)과 인접 위치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4접속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상기 제1접속부재(31)와 제2접속부재(3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11), 상기 제3접속부재(33)와 제4접속부재(34)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집성바(53) 및 상기 제4접속부재(34)와 제1접속부재(31) 사이에 설치되는 제4집성바(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31) 내지 제4접속부재(34)는 각각 설치되는 위치 및 연결되는 대나무 집성바(10)의 방향 및 개수에 대응하여 적절한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B)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0)는 자전거의 전륜축(51)과 핸들(52)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53)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31), 페달축(54)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32), 후륜축(55)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33) 및 안장(56)과 인접 위치치되거나 안장 설치부(341)가 구비되는 제4접속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상기 제1접속부재(31)와 제2접속부재(3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11), 상기 제3접속부재(33)와 제4접속부재(34)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집성바(13), 상기 제4접속부재(34)와 제1접속부재(31) 사이에 설치되는 제4집성바(14) 및 상기 제2접속부재(32)와 제4접속부재(34) 사이에 설치되는 제5집성바(15)를 포함하여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1B)의 구성은 도 1, 도 2에 도시된 실시예(1A)에 비하여 제5집성바(15)가 추가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C)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0)는 자전거의 전륜축(51)과 핸들(52)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53)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31), 페달축(54)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32) 및 후륜축(55)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상기 제1접속부재(31)와 제2접속부재(3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11) 및 상기 제3접속부재(33)와 제1접속부재(31) 사이에 설치되는 제6집성바(16)를 포함하며, 상기 제6집성바(1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부재(31)에 선단이 고정되며 안장 설치부가 위치하는 제1구간(161)과, 상기 제1구간(161)으로부터 두 가닥으로 양분되어 각각의 후단이 상기 한 쌍의 제3접속부재(33)에 조립되는 제2구간(1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1C)의 구성은 도 1, 도 2에 도시된 실시예(1A)에 비하여 한 쌍의 제3집성바(13) 및 제4집성바(14)의 3개 부재로 되었던 구성부가 일체화되어 단일체인 제6집성바(16)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속부재(32)와 제3접속부재(33) 사이, 곧 페달축(54)과 후륜축(55) 사이는 체인 설치구간이므로 긴장간격이 유지되어야 하고, 따라서 이 구간은 통상의 금속재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로서 휨 성형되지 않고 직선형태로 되는 한 쌍의 제2집성바(12)가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2, 도 7, 도 8 참조).
상기 곡선형태로 휨 성형되는 대나무 집성바(10)의 휨 방향 및 곡률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형성된다.
상기 휨 방향은 충격 변형시 상호 간섭 및 운전자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되고 단면적 및 휨 곡률은 지지력과 충격흡수력이 극대화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1)은 일반 상용 자전거, 어린이용 자전거, 산악 자전거 등에 공히 적용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아용 자전거 프레임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D)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0)는 유아용 자전거의 전륜축(61)과 핸들(62)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63)에 설치되는 제5접속부재(35) 및 한 쌍의 후륜축(65)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6접속부재(36)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제7집성바(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7집성바(17)는 상기 제5접속부재(35)에 선단이 고정되고 안장(66) 설치부가 위치하는 제1구간(171)과, 상기 제1구간(171)으로부터 두 가닥으로 양분되어 각각의 후단이 상기 한 쌍의 제6접속부재(36)에 조립되는 제2구간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6집성바(16) 및 제7집성바(17)는 각각 제1구간(161)(171)은 직선에 가깝게 되고 제2구간은 휨 곡률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대나무 집성바(10)가 Y 형태의 두 가닥으로 양분되는 경우(도 9, 도 11 참조), 대나무 스트립(10a)이 짝수로 되고, 양분되는 위치에 밴드 또는 고정핀 등으로 되는 결속수단(45)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가닥으로 양분되는 위치에 설정각도를 유지토록 하는 제1스페이서(41)와 두 가닥의 후단부가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스페이서(42)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스페이서(42)는 수납용구로 형성될 수 있다(도 10, 도 1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E)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0)는 유아용 자전거(60)의 전륜축(61)과 핸들(62)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63)에 설치되는 제5접속부재(35), 한 쌍의 후륜축(65)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6접속부재(36) 및 안장(66) 설치부에 인접 위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7접속부재(37)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10)는 상기 제5접속부재(35)와 제7접속부재(37) 사이에 설치되는 제8집성바(18)와 상기 제7접속부재(37)와 한 쌍의 제6접속부재(36)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9집성바(19)로 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들(1D, 1E)은 유아용 자전거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과 경량성 및 충격흡수성능으로 특히 유아용 자전거의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1)은 중량대비 강도가 스틸보다 높아 경량화되며 제조비용을 줄이고 완충력을 가지며 친환경적인 장점을 갖되, 복수의 대나무 스트립(10a)으로 이루어지는 대나무 집성바(10)가 휨 성형되어 설치됨으로써 충격발생시 유기적인 휨 곡률 변화가 유도되고 유연하게 이루어져 직선형태로 되는 대나무소재 프레임에 비하여 충격흡수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다시 말하면, 자전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 대나무 집성바(10) 간의 상호 유기적인 휨 곡률 변화가 충격을 흡수하며, 이러한 휨 곡률의 변화는 대나무 집성바(10)가 곡선형태로 휨 성형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노면의 돌출부로 인하여 전륜이 들려지는 충격 발생시, 제1집성바(11)는 제1접속부재(31)와 제2접속부재(32) 간의 직선상 길이가 늘어나도록 휨 곡률이 변화되고, 제1집성바(11)와 제1접속부재(3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4집성바(14)는 탑승자의 체중압력을 받고 있어 제1접속부재(31)와 제4접속부재(34) 간 직선상 길이가 단축되도록 휨 곡률이 변화되고 제4집성바(14)와 제4접속부재(34)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3집성바(13)는 제3접속부재(33)와 제4접속부재(34) 간의 직선상 길이가 단축되도록 휨 곡률이 유기적으로 변화하면서 충격이 원활하게 흡수되어 운전자의 체중을 받고 있는 안장에는 충격발생에 따른 높낮이 변화가 최소화되고 승차감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특히 대나무 집성바가 두 가닥으로 양분되는 경우 간단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기계적 강도, 경량화 및 높은 충격흡수성능을 지니므로 일반 자전거, 유아용, 어린이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특히 산악용 자전거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1A, 1B, 1C, 1D, 1E: 본 발명의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10: 대나무 집성바 10a: 대나무 스트립
11~19: 제1집성바 ~ 제9집성바
21: 외피 30: 접속부재
31 ~ 37: 제1접속부재 ~ 제7접속부재
45: 결속수단

Claims (10)

  1. 임의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재단하여 된 대나무 스트립이 복수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대나무 집성바; 및
    상기 대나무 집성바를 연결하여 자전거 프레임으로 구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자전거 프레임의 완충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전체 또는 일부가 임의의 곡선형태로 휨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복수의 대나무 스트립을 감싸는 외피가 구비되고,
    상기 외피는 천연섬유재, 합성섬유재, 유리섬유 복합재, 합성수지재, 탄소섬유 복합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단부에 접속캡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 페달축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 및 안장과 인접 위치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4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 상기 제3접속부재와 제4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집성바 및 상기 제4접속부재와 제1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4집성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 페달축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 및 안장과 인접 위치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4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 상기 제3접속부재와 제4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집성바, 상기 제4접속부재와 제1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4집성바 및 상기 제2접속부재와 제4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5집성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접속부재, 페달축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재 및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집성바 및 상기 제3접속부재와 제1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6집성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6집성바는 상기 제1접속부재에 선단이 고정되며 안장 설치부가 위치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으로부터 두 가닥으로 양분되어 각각의 후단이 상기 한 쌍의 제3접속부재에 조립되는 제2구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2접속부재와 한 쌍의 제3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직선형태로 되는 한 쌍의 제2집성바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유아용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5접속부재 및 한 쌍의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6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제7집성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7집성바는 상기 제5접속부재에 선단이 고정되고 안장 설치부가 위치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으로부터 두 가닥으로 양분되어 각각의 후단이 상기 한 쌍의 제6접속부재에 조립되는 제2구간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대나무 스트립이 짝수로 되고, 두 가닥으로 양분되는 위치에 결속수단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유아용 자전거의 전륜축과 핸들을 연결하는 전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5접속부재, 한 쌍의 후륜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6접속부재 및 안장 설치부에 인접 위치되거나 안장 설치부가 구비되는 제7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집성바는 상기 제5접속부재와 제7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8집성바와 상기 제7접속부재와 한 쌍의 제6접속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9집성바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KR20120040092A 2012-04-18 2012-04-18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KR20130117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0092A KR20130117185A (ko) 2012-04-18 2012-04-18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PCT/KR2013/002967 WO2013157771A1 (ko) 2012-04-18 2013-04-09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0092A KR20130117185A (ko) 2012-04-18 2012-04-18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85A true KR20130117185A (ko) 2013-10-25

Family

ID=4938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0092A KR20130117185A (ko) 2012-04-18 2012-04-18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17185A (ko)
WO (1) WO2013157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019756T3 (pl) * 2013-08-29 2018-03-30 I.G. Cardboard Technologies Ltd. Zespół konstrukcyjny oraz metoda jego montażu
CN104386188A (zh) * 2014-12-03 2015-03-04 上海诚孝实业有限公司 环保型竹制自行车
DE102015100950A1 (de) * 2015-01-22 2016-07-28 Otto-Von-Guericke-Universität Magdeburg Fahrradrahmen
WO2016189354A1 (en) 2015-05-27 2016-12-01 Tamas Horvath Bamboo carbon fibre composite pipe structure primarily for bicycle frames and its production procedure
DE202015104295U1 (de) 2015-08-14 2015-10-05 Jörn Niederländer Stabelement
CN105857488A (zh) * 2016-05-16 2016-08-17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手把
IT202100012965A1 (it) * 2021-05-19 2022-11-19 Schiano Sharing S R L Telaio di bicicletta in bamb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7475U1 (de) * 1999-04-27 1999-08-12 Yu Kuo Pin Fahrradrahmen
AUPR773201A0 (en) * 2001-09-17 2001-10-11 Acedeal Pty Ltd Pedalling apparatus
CN101412424A (zh) * 2007-10-17 2009-04-22 智纤科技股份有限公司 脚踏车车架
KR100935354B1 (ko) * 2009-07-23 2010-01-06 주식회사 바이칸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7771A1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7185A (ko)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US10328991B2 (en) Bicycle frame with passive seat tube pivot joint
US8585070B2 (en) Shock-absorbing bicycle frame having two flexible members
US8678416B2 (en) Bicycle damping system
US20160083037A1 (en) Frame structure for bicycle
US8540267B1 (en) Bicycle damping system
US20140145479A1 (en) Seat device for a bicycle
WO2014151699A1 (en) Bicycle with compliant rear structure
EP2740659B1 (en) Shock-absorbing seat stay for bicycle
KR101740038B1 (ko) 자전거 프레임
CN207790991U (zh) 一种防震儿童滑板车
CN203864890U (zh) 碳纤维复材抗冲击自行车前叉
WO2008056204A1 (en) Bicycle having a single, hollow primary tube
KR20140143944A (ko) 대나무 이용 프레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어린이용 자전거 프레임, 세발자전거 프레임, 탄력운동기구
CN208963241U (zh) 一种自行车吸震车架
CN207225553U (zh) 一种儿童自行车
CN201808615U (zh) 自行车避震座垫
CN201484573U (zh) 可避震的童车
CN202022276U (zh) 电动自行车
CN208498685U (zh) 一种复合材料滑步车
CN209192132U (zh) 一种扭曲型式的自行车车架
Chandure et al. Investigation of the bike wheel rims with modified loop wheel reinvents
CA3000072C (en) High performance light weight vehicle frame
CN206552167U (zh) 高挠度三曲率截面的自行车的舒适座杆
CN201849578U (zh) 自行车缓震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31

Effective date: 2013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