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54B1 -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54B1
KR100935354B1 KR1020090067237A KR20090067237A KR100935354B1 KR 100935354 B1 KR100935354 B1 KR 100935354B1 KR 1020090067237 A KR1020090067237 A KR 1020090067237A KR 20090067237 A KR20090067237 A KR 20090067237A KR 100935354 B1 KR100935354 B1 KR 10093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reinforcing member
bamboo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칸
Priority to KR102009006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62K19/14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대나무바를 증자시켜 건조시킨 후 적층해 접합해서 이루어지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대나무바를 이용하여 프레임 몸체를 제조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대나무바의 자체탄성력으로 인해 자체충격완화를 시킬 수 있음으로써, 승차감을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관통구에 상기 보강부재를 삽입고정시키기 때문에 강도 또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프레임 몸체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보강부재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 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프레임 몸체, 보강부재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THE BICYCLE FRAME WHICH USED THE BAMBOO}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자체충격완화를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인명피해가 발생 될 우려가 없는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전거 프레임은 대부분 스틸 파이프로 제작되기 때문에 자체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도색작업에 있어서도 방청도장, 색채도장 및 코팅도장을 수회 실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색상태도 사용자가 추구하는 정도로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스포츠 또는 레저용 자전거 등 각종 기능을 필요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의 품질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합금기술의 발달에 의해 알루미늄합금을 자전거 프레임에 적용시키게 되었는데, 이러한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한 자전거 프레임은 프레임의 모든 부분을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원가가 비싸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작시 정밀도를 요구하는 부분의 용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알루미늄합금 자전거의 대중적인 보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 중 필요한 부분만을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하고, 나머지 부분은 종래와 같이 스틸로 제작하여 프레임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스틸-알루미늄합금 조합형 자전거 프레임(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166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스틸-알루미늄합금 조합형 자전거 프레임(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166호)는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무겁고, 자체충격완화를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없고, 아울러 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자체충격완화를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인명피해가 발생 될 우려가 없는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대나무바를 증자시켜 건조시킨 후 적층해 접합해서 이루어지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알루미늄합금, 티타늄 및 카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강부재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등간격으로 돌출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 몸체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탄성층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대나무바를 이용하여 프레임 몸체를 제조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대나무바의 자체탄성력으로 인해 자체충격완화를 시킬 수 있음으로써, 승차감을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관통구에 보강부재를 삽입고정시키기 때문에 강도 또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프레임 몸체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보강부재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 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가 알루미늄합금, 티타늄 및 카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몸체의 강도를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가 관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몸체의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몸체를 보다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보강부재의 외주연에 복수의 보강리브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부재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 성층이 상기 프레임 몸체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보다 원활하게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 몸체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탄성층이 더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몸체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탄성층이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보강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대나무를 이용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 몸체(10) 및 보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 몸체(10)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대나무바(110)를 증자시켜 건조시킨 후 적층해 접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 는 바와 같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대나무바(110)는 대나무의 섬유방향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절단 한 후 절단된 상기 대나무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다시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복수개로 분할할 수 있다.
한편, 대나무로는 맹종죽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대나무바(110)로부터 당질 및 유기산 등이 배출됨으로써, 상기 대나무바(110)를 조합시킬 시 접착강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대나무바(110)를 증자시키는 것이 좋다.
그 다음, 증자된 상기 복수의 대나무바(110)는 온풍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접착제 등의 접착부재(미도시)를 도포하여 플랫상태로 한 후 방충처리 및 고주파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단면이 원형 형상인 상기 프레임 몸체(10)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몸체(10)의 중앙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드릴링함으로써, 길이방향의 상기 관통구(13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130)는 상기 프레임 몸체(10)를 제조한 후 상기 프레임 몸체(10)의 중앙에 드릴링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 몸체(10)를 제조할 시 상기 프레임 몸체(10)의 중앙에 길이방향의 상기 관통구(130)를 형성한 상태로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 몸체(10)는 자전거 핸들(미도시) 등의 부속품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프레임 몸체(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30)에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0)의 외주연 및 상기 관통구(130)의 내주연 또는 상기 보강부재(30)의 외주연과 상기 관통구(130)의 내주연에 접착제 등의 접착부재(미도시)를 도포하여 상기 보강부재(30)를 상기 관통구(130)에 삽입고정시킬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30)는 알루미늄합금, 티타늄 및 카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가 알루미늄합금, 티타늄 및 카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몸체(10)의 강도를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30)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가 관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몸체(10)의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몸체(10)를 보다 경량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프레임 몸체(10)와 보강부재(30) 사이에 탄성층(50)이 더 구비된 상 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몸체(10)와 상기 보강부재(30) 사이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수지 등이 경화된 탄성층(5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관통구(130)의 외경은 상기 보강부재(30)가 상기 관통구(130)에 삽입고정되더라도 일정폭의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30)에 상기 보강부재(30)가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폴리우레탄수지 등을 주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수지 등이 상기 프레임 몸체(10)와 상기 보강부재(30) 사이에 주입된 상태로 경화되어 상기 탄성층(50)이 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0)가 상기 프레임 몸체(10)와 분리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 몸체(10)와 상기 보강부재(30) 사이에 상기 탄성층(50)이 더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몸체(10)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탄성층(50)이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보강부재(3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보강부재(30)의 외주연에 복수의 보강리브(310)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프레임 몸체(10)가 연결부재(7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30)의 외주연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리브(310)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몸체(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합금, 카본 및 티타늄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70)에 의해 상호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의 외주연에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310)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부재(30)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층(50)이 상기 프레임 몸체(10)와 상기 보강부재(30) 사이에 보다 원활하게 구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바(11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몸체(10)를 제조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대나무바(110)의 자체탄성력으로 인해 자체충격완화를 시킬 수 있음으로써, 승차감을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관통구(130)에 상기 보강부재(30)를 삽입고정시키기 때문에 강도 또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프레임 몸체(10)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보강부재(30)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 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대나무를 이용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프레임 몸체와 보강부재 사이에 탄성층이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보강부재의 외주연에 보강리브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프레임 몸체가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몸체, 110; 대나무바,
130; 관통구, 30; 보강부재,
310; 보강리브, 50; 탄성층,
70; 연결부재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대나무바를 증자시켜 건조시킨 후 적층해 접합해서 이루어지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재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외주연에 복수의 보강리브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2.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대나무바를 증자시켜 건조시킨 후 적층해 접합해서 이루어지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몸체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탄성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알루미늄합금, 티타늄 및 카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4. 삭제
  5. 삭제
KR1020090067237A 2009-07-23 2009-07-23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KR100935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37A KR100935354B1 (ko) 2009-07-23 2009-07-23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37A KR100935354B1 (ko) 2009-07-23 2009-07-23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354B1 true KR100935354B1 (ko) 2010-01-06

Family

ID=4180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237A KR100935354B1 (ko) 2009-07-23 2009-07-23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35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3474A (zh) * 2012-12-03 2013-03-13 苏州工艺美术职业技术学院 一种竹子自行车
WO2013157771A1 (ko) * 2012-04-18 2013-10-24 화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CN104787206A (zh) * 2014-01-20 2015-07-22 天津若望科技有限公司 原生态竹制自行车
CN105035238A (zh) * 2015-07-27 2015-11-11 杭州森瑞竹木业有限公司 一种自行车竹制三角架管材及其制作方法
CN105857485A (zh) * 2016-05-16 2016-08-17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车架
CN105857488A (zh) * 2016-05-16 2016-08-17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手把
CN105947095A (zh) * 2016-05-16 2016-09-21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脚踏
CN105966523A (zh) * 2016-05-16 2016-09-28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
CN106005217A (zh) * 2016-05-16 2016-10-12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脚踏的加工方法
CN108082377A (zh) * 2016-11-22 2018-05-29 苏州可汗极米科技有限公司 一种竹自行车架的连接结构
KR20220169455A (ko) * 2021-06-19 2022-12-27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20230010526A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강운 전기 이륜차용 차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84B1 (ko) * 2005-12-28 2006-11-23 황광엽 대나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목관악기의 제조 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목관 악기
CN101412424A (zh) * 2007-10-17 2009-04-22 智纤科技股份有限公司 脚踏车车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84B1 (ko) * 2005-12-28 2006-11-23 황광엽 대나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목관악기의 제조 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목관 악기
CN101412424A (zh) * 2007-10-17 2009-04-22 智纤科技股份有限公司 脚踏车车架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71A1 (ko) * 2012-04-18 2013-10-24 화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나무를 이용하는 자전거 프레임
CN102963474A (zh) * 2012-12-03 2013-03-13 苏州工艺美术职业技术学院 一种竹子自行车
CN104787206A (zh) * 2014-01-20 2015-07-22 天津若望科技有限公司 原生态竹制自行车
CN105035238A (zh) * 2015-07-27 2015-11-11 杭州森瑞竹木业有限公司 一种自行车竹制三角架管材及其制作方法
CN105947095A (zh) * 2016-05-16 2016-09-21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脚踏
CN105857488A (zh) * 2016-05-16 2016-08-17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手把
CN105857485A (zh) * 2016-05-16 2016-08-17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车架
CN105966523A (zh) * 2016-05-16 2016-09-28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
CN106005217A (zh) * 2016-05-16 2016-10-12 广西永保竹木业发展有限公司 竹制自行车脚踏的加工方法
CN108082377A (zh) * 2016-11-22 2018-05-29 苏州可汗极米科技有限公司 一种竹自行车架的连接结构
KR20220169455A (ko) * 2021-06-19 2022-12-27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102610998B1 (ko) 2021-06-19 2023-12-06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20230010526A (ko) *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강운 전기 이륜차용 차체
KR102543377B1 (ko) 2021-07-12 2023-06-15 주식회사 강운 전기 이륜차용 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354B1 (ko)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RU2403940C2 (ru) Устройство хоккейной клюшки с множественной трубчатой структурой
US20110201461A1 (en) Sports racquet structure
US7475705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material tube structures
US8512175B2 (en) Ball bat including a barrel portion having separate proximal and distal members
CN100352530C (zh) 具有优化应变能棒身的球棒
CN101308002A (zh) 具有多管结构的射箭弓
KR20080026506A (ko) 단일의 중공 주 튜브를 갖는 복합 배트
RU247255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портивной клюшки
US20140148281A1 (en) Ball Bat
US20150157908A1 (en) Double wall ba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6209502B2 (ja) 車両用ホイール
CN104826295A (zh) 球拍
JP5293338B2 (ja) 卓球用ラケット
EP2949565A1 (en) Body frame for bicycle
WO2008056204A1 (en) Bicycle having a single, hollow primary tube
JP4750086B2 (ja) 多重管構造を有する複合バット
CN104225886A (zh) 一种球拍手柄
KR20170120266A (ko) 자루를 포함하는 진동방지용 해머본체
WO2008129361A2 (en) Hockey stick system having a multiple tube structure with an insert
US5324030A (en) Shock absorbing throatpiece of game racket
US20170165545A1 (en) Safety bat for striking balls or the like
KR200171973Y1 (ko) 헬멧용 본체
JP2005349031A (ja) バット
JP2017131154A (ja) 握り部等に使用するグ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