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377B1 - 전기 이륜차용 차체 - Google Patents

전기 이륜차용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377B1
KR102543377B1 KR1020210091181A KR20210091181A KR102543377B1 KR 102543377 B1 KR102543377 B1 KR 102543377B1 KR 1020210091181 A KR1020210091181 A KR 1020210091181A KR 20210091181 A KR20210091181 A KR 20210091181A KR 102543377 B1 KR102543377 B1 KR 10254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aterial layer
wheeled vehicle
vehicle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526A (ko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운
Priority to KR102021009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377B1/ko
Priority to US17/555,356 priority patent/US20230009828A1/en
Publication of KR2023001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소재를 적층하여 경량화하고,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이종의 제1 및 제2소재층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교차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이륜차용 차체 {Electric bike body}
본 발명은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소재를 적층하여 경량화하고,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등 이륜차는 휘발유 및 경유에 의하여 가동되는 엔진을 차체에 탑재하여 엔진의 힘으로 운행하게 되지만, 최근 유가 인상에 따른 유지비 증가와 더불어 화학연료인 휘발유 및 경유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문제가 대두 되면서 차세대 청정에너지로써 전기를 이용한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미 개발된 종래의 전기 오토바이는 기존 오토바이 구조에 엔진 대신 대용량의 모터를 설치하여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해 모터를 구동시키고, 그 구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기의 체인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구동바퀴(뒷바퀴)의 체인스프로켓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바퀴를 회전시켜 전기 오토바이를 운행하기 때문에 기존 오토바이의 골조인 차체중량, 변속기중량뿐만 아니라 동력발생을 위해 설치되는 다소 복잡한 구조의 모터중량까지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 오토바이의 전체중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전기 오토바이의 중량증가는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해 모터를 구동시켜 전기 오토바이를 운행함에 있어서, 모터의 힘이 전기 오토바이 자체를 운행하는데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어, 전기 오토바이의 출력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사용시간이 짧아짐으로써, 축전지를 충전한 후, 운행하는 전기 오토바이의 운행 가능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연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의 경량화가 필요하다.
또한, 전기 오토바이의 차체에 축전지를 매립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전기 오토바이의 차체는 주로 용접 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제작시간이 길어지고, 제작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761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695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소재를 적층하여 경량화하고,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로 생산된 이종 소재를 적층 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작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이종의 제1 및 제2소재층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교차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소재층은 금속 또는 카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소재층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의 외주면에 안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소재층은 한 쌍이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한 보강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소재층은 금속과 카본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소재층은 목재와 합성수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 소재를 적층하여 경량화하고,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형태로 생산된 이종 소재를 적층 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작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커버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커버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소재를 적층하여 경량화하고,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배터리, 전장품 등의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102)가 형성된 프레임부(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100)는 이종의 제1 및 제2소재층(110,120)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교차 적층되어 볼트, 리벳, 핀(미도시) 등의 기계적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소재층(110)은 프레임부(100)의 최외측에 위치되며, 제2소재층(120)과 교차 적층되는 것으로, 강성이 있는 금속 또는 카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소재층(110)은 모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두 카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소재층(110)과 카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소재층(110)이 혼재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2소재층(120)은 제1소재층(110)과 교차 적층되거나, 제2소재층(120) 끼리 이웃하게 적층될 수 있는 것으로, 제1소재층(110)에 비해 무게가 가벼운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소재층(120)은 모두 목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두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소재층(120)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소재층(120)이 혼재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상기 프레임부(100)의 최외측부터 중앙부까지 제1소재층(110)과 제2소재층(120)의 적층구조가 서로 대칭되도록 적층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강성 및 효과를 갖는 이종 재료를 혼합하여 적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뛰어난 전기 이륜차용 차체(50)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소재층(110) 및 제2소재층(120)은 일정 형태로 CNC 또는 레이저가공에 의해 정밀하게 가공되어 상기 공간부(102)의 외주면이 일정한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즉, 상기 공간부(102) 외주면이 프레임부(100)의 두께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외주면 일측에는 안착턱(104)이 형성되어 배터리 등 부품의 매립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제1소재층(110) 및 제2소재층(120)의 동일한 위치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소재층(110) 및 제2소재층(120)을 교차 적층한 상태에서 일측 최외측의 제1소재층(110)부터 타측 최외측의 제1소재층(110)까지 프레임부(10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각 층이 서로 밀착되게 체결되어 프레임부(100)가 조립되는 것으로 별도의 지그가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재층(110) 및 제2소재층(120)을 교차 적층한 상태에서 용접 없이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므로 용접라인이 형성되지 않아 변형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50)의 외측부에 커버(1)를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재층(110)은 후방에 뒷바퀴(미도시) 등을 설치하기 위한 제1브라켓(130)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소재층(110) 중 서로 대칭되는 일정 층에 위치한 제1소재층(110)은 앞바퀴의 조향 핸들축(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2브라켓(140)이 형성되어 각 구성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130) 및 제2브라켓(140)은 제1소재층(110)에 형성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50')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소재층(120')은 적어도 한 쌍이 상기 공간부(102)를 구획하기 위한 보강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5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소재층(120,120') 중 서로 대칭되는 일정 층에 위치한 제2소재층(120')은 상기 공간부(10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공간부(102)를 구획하는 보강대(122)가 형성되어 프레임부(1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대(122)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각 배터리 등 부품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설치가 보다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륜차용 차체(50,50')에 의하면, 이종 소재를 적층하여 경량화하고,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동일한 형태로 생산된 이종 소재를 적층 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작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소재를 적층하여 경량화하고,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에 관한 것이다.
50,50': 전기 이륜차용 차체
100: 프레임부 102: 공간부
104: 안착턱 110: 제1소재층
120,120': 제2소재층 122: 보강대

Claims (7)

  1. 삭제
  2. 이종의 제1 및 제2소재층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교차 적층되어 기계적결합에 의해 조립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부에는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소재층은 한 쌍이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한 보강대가 형성되어 프레임부의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보강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부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재층은 금속 또는 카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재층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재층은 금속과 카본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재층은 목재와 합성수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차용 차체.
KR1020210091181A 2021-07-12 2021-07-12 전기 이륜차용 차체 KR10254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81A KR102543377B1 (ko) 2021-07-12 2021-07-12 전기 이륜차용 차체
US17/555,356 US20230009828A1 (en) 2021-07-12 2021-12-17 Body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81A KR102543377B1 (ko) 2021-07-12 2021-07-12 전기 이륜차용 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526A KR20230010526A (ko) 2023-01-19
KR102543377B1 true KR102543377B1 (ko) 2023-06-15

Family

ID=8479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81A KR102543377B1 (ko) 2021-07-12 2021-07-12 전기 이륜차용 차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09828A1 (ko)
KR (1) KR1025433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942B2 (ja) * 1998-03-31 2001-02-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電動式型締装置
KR100935354B1 (ko) 2009-07-23 2010-01-06 주식회사 바이칸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942U (ja) * 2007-10-02 2007-12-13 京セラケミカル株式会社 自転車用構造体
KR100997614B1 (ko) 2008-08-29 2010-12-01 조순암 전기 오토바이
DE102011015071A1 (de) 2011-03-24 2012-09-27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bundwerkstoff und Struktur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US9656715B2 (en) * 2013-03-15 2017-05-23 I.G. Cardboard Technologies Ltd. Cardboard-based structure
KR101564660B1 (ko) * 2013-12-26 2015-10-30 윈엔윈(주)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240113B1 (ko) * 2019-04-11 2021-04-14 주식회사 모헤닉모터스 전기 이륜차용 배터리팩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942B2 (ja) * 1998-03-31 2001-02-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電動式型締装置
KR100935354B1 (ko) 2009-07-23 2010-01-06 주식회사 바이칸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526A (ko) 2023-01-19
US20230009828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7820B2 (ja) フロアキックアップ部補強のための燃料電池車両用アッパーボディ構造
US8702549B2 (en) Vehicle drive unit
JP2023126300A (ja) 電池搭載構造
JP6292205B2 (ja) 車両床下構造
EP2213559B1 (en) Rear fender structure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JP6805995B2 (ja) 車両床下構造
JP6434888B2 (ja) 車体構造
US20150375783A1 (en) 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080257632A1 (en) Electr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for vehicl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rranging electric component in vehicle
CN113103678B (zh) 具有分层蜂窝和波纹设计的冲击保护结构及其制造方法
US8439148B2 (en) Suspension-supporting bracket for a vehicle, vehicle body frame with suspension-supporting bracket,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JP2015514632A (ja) 電力供給バッテリのための、外部応力に対する強化要素
JP5776509B2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7204721B2 (ja) 車両搭載用バッテリパック
WO2015008581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9057030A (ja) 燃料電池車両のシャーシフレーム
KR102543377B1 (ko) 전기 이륜차용 차체
JP7422518B2 (ja)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の支持装置、及び、電動車両
US20110240386A1 (en) Electric vehicle with structurally integrated components
KR20140132619A (ko) 전기 자동차용 인휠 모터가 설치된 휠 어셈블리 장치
JP2003341579A (ja) 二輪車または三輪車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同車体フレームを備えた二輪車または三輪車
KR101807203B1 (ko) 차량용 하부 차체 프레임
KR101165734B1 (ko) 버스용 복합소재 플로어
EP4316967A1 (en) Saddle-riding vehicle
JP7300268B2 (ja) 人力駆動車用のリ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