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614B1 - 전기 오토바이 - Google Patents

전기 오토바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614B1
KR100997614B1 KR1020080084802A KR20080084802A KR100997614B1 KR 100997614 B1 KR100997614 B1 KR 100997614B1 KR 1020080084802 A KR1020080084802 A KR 1020080084802A KR 20080084802 A KR20080084802 A KR 20080084802A KR 100997614 B1 KR100997614 B1 KR 10099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ody frame
power
motor shaft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002A (ko
Inventor
조순암
Original Assignee
조순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암 filed Critical 조순암
Priority to KR102008008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6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의 힘으로 운행하는 전기 오토바이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구조를 자전거 차체 구조와 같이 경량화함과 동시에 동력원이 되는 모터의 구조도 간소화시켜 모터 역시 경량화함으로써, 전기 오토바이의 전체중량을 현저히 줄여 중량감소에 따른 동력손실을 최소화함에 따라 전기 오토바이의 출력향상과 운행 가능시간의 연장 등 그에 따른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또한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한 모터는 방수구조를 채택하여 우천시에도 운행 가능토록 한 전기 오토바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자전거 차체 프레임 구조로 개선시킨 경량화된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와 근접하여 차체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 축에 축 설 되는 모터 축 스프로켓과; 상기 모터 축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면서 뒷바퀴의 구동 축에 축 설 되는 구동 축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는 양측 사이드커버, 구름베어링, 자기코일, 클러치, 밀폐 시일, 밀폐 캡, 밀폐 튜브 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오토바이, 차체 프레임, 축전지, 모터, 뒷바퀴

Description

전기 오토바이{A electric motorcycle}
본 발명은 전기의 힘으로 운행하는 전기 오토바이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구조를 자전거 차체 구조와 같이 경량화함과 동시에 동력원이 되는 모터의 구조도 간소화시켜 모터 역시 경량화함으로써, 전기 오토바이의 전체중량을 현저히 줄여 중량감소에 따른 동력손실을 최소화함에 따라 전기 오토바이의 출력향상과 운행 가능시간의 연장 등 그에 따른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또한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한 모터는 방수구조를 채택하여 우천시에도 운행가능토록 한 전기 오토바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는 휘발유 및 경유에 의하여 가동되는 엔진을 차체에 탑재하여 엔진의 힘으로 운행하게 되지만, 최근 유가 인상에 따른 유지비 증가와 더불어 화학연료인 휘발유 및 경유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문제가 대두 되면서 차세대 청정에너지로써 전기를 이용한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미 개발된 종래의 전기 오토바이는 기존 오토바이 구조에 엔진 대신 대용량의 모터를 설치하여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해 모터를 구동시키고, 그 구동 력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기의 체인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구동바퀴(뒷바퀴)의 체인스프로켓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바퀴를 회전시켜 전기 오토바이를 운행하기 때문에 기존 오토바이의 골조인 차체중량, 변속기중량뿐만 아니라 동력발생을 위해 설치되는 다소 복잡한 구조의 모터중량까지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 오토바이의 전체중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전기 오토바이의 중량증가는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해 모터를 구동시켜 전기 오토바이를 운행함에 있어서, 모터의 힘이 전기 오토바이 자체를 운행하는데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어, 전기 오토바이의 출력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사용시간이 짧아짐으로써, 축전지를 충전한 후, 운행하는 전기 오토바이의 운행 가능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가 있고, 또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하는 모터 자체가 방수가 전혀 안 되는 구조이므로 우천시에는 전기 오토바이를 운행할 수 없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오토바이의 차체 구조를 자전거 차체 구조만큼 경량화함과 동시에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하는 모터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켜 그에 따른 전기 오토바이의 전반적인 중량을 크게 줄여 중량감소에 따른 동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전기 오토바이의 출력향상과 더불어 축전지의 사용시간을 늘려 운행 가능시간을 연장시키고, 모터는 방수구조를 채용하여 우천시에도 운행가능토록 함으로써 전기 오토 바이의 기능을 향상시켜 상용화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자전거 차체 프레임 구조로 개선시킨 경량화된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와 근접하여 차체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 축에 축 설 되는 모터 축 스프로켓과; 상기 모터 축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면서 뒷바퀴의 구동 축에 축 설 되는 구동 축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모터는 양측 사이드커버, 구름베어링, 자기코일, 클러치, 밀폐 시일, 밀폐 캡, 밀폐 튜브 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전기 오토바이는 차체 프레임 구조를 자전거 차체 프레임 구조와 같이 경량화함과 동시에 동력원이 되는 모터의 구조도 간소화시켜 모터 역시 경량화 함으로써, 전기 오토바이의 전체중량을 현저히 줄여 중량감소에 따른 동력손실을 최소화 함에 따라 전기 오토바이의 출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축전지에 충전된 전력의 소모도 줄어들어 그에 따른 사용시간도 늘어남에 따라 전기 오토바이의 운행 가능시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모터는 방수구조를 채용하여 우천시에도 운행 가능함에 따라 전기 오토바이의 전반적인 성능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오토바이의 전체 정면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오토바이의 차체 프레임 중간에 설치되는 모터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와 뒷바퀴의 연결상태를 보인 개략 구성도이다.
통상의 자전거 차체 프레임 구조와 같이 개선 시킨 경량화된 차체 프레임(2)과; 차체 프레임(2)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축전지(3)와; 상기 축전지(3)와 근접하여 차체 프레임(2)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축전지(3)의 전력을 이용하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의 모터축(4a)에 축설되는 모터축 스프로켓(4b)과; 상기 모터축 스프로켓(4b)과 체인(5)으로 연결되면서 뒷바퀴(6)의 구동축(7)에 축설되는 구동축 스프로켓(8)을 포함시켜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해 동력을 발생시켜 뒷바퀴가 구동하는 전기 오토바이(1)로 이루어진다.
삭제
또한 상기의 모터(4)는 양측 사이드커버(9)(9a)의 내부 중앙으로 모터축(4a)이 축설되고, 모터축(4a)의 외주연으로는 구름베어링(10)이 접촉되며, 구름베어링(10)의 외주연상에는 자기코일(11)이 설치되고, 자기코일(11)은 클러치(12)로 단속된다.
한편, 일측 사이드 커버(9)는 내면 중앙의 암나사부(13)가 모터축(4a)의 수나사부(14)에 체결 고정되며, 타측 사이드 커버(9a)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모터축(4a)의 출력부(15)와 타측 사이드 커버(9a) 사이에는 차례로 밀폐시일(16)과 밀폐캡(17)이, 설치되고, 모터(4)의 하방에는 밀폐튜브(18)로 보호되는 전선(19)이 인출되어 근접설치된 축전지(3)와 연결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과 같이 통상적인 자전거의 차체 프레임 형태로 경량화 되게 개선된 전기 오토바이(1) 차체 프레임(2)의 중간부위에 축전지(3)가 설치되고, 축전지(3)와 근접되게 모터(4)가 설치되어 모터(4) 하방의 전선(19)으로 축전지(3)와 연결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모터(4)의 타측 사이드 커버(9a) 중앙으로 돌출되는 모터축(4a) 출력부(15)에 축설되어진 모터축 스프로켓(4b)에는 체인(5)이 감합되어 뒷바퀴(6)의 구동축(7)에 축설되는 구동축 스프로켓(8)과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통상의 방법과 같이 전기 오토바이(1)의 시동을 걸게 되면 축전지(3)에 충전된 전력의 힘으로 모터(4)가 가동되면서 모터축(4a)이 일정 rpm으로 회전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모터축(4a)의 출력부(15)에 축설된 모터축 스프로켓(4b)이 동일 속도로 회전되면서 체인(5)으로 연결된 구동축 스프로켓(8)을 회전시키게되고, 이에 따른 구동축(7)의 회전으로 뒷바퀴(6)가 구동되면서 본 발명 전기 오토바이(1)가 운행된다.
한편, 상기 모터(4)는 변속기 등의 부품을 채용하지 않은 간소한 구조이고 변속기의 경우는 기계적인 구조로 그 중량도 상당하여 이를 제외시킴에 따라 모터의 중량이 크게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4)의 양측 사이드 커버(9)(9a)중 타 측 사이드 커버(9a)와 중앙으로 돌출되는 모터축(4a)의 출력부(15) 사이에는 밀폐구조를 채용 즉,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밀폐시일(16)과 밀폐캡(17)이 게재되고, 모터(4) 하방으로 인출되는 전선(19)도 밀폐튜브(18)로 보호되는 완벽한 방수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우천시에도 전기 오토바이(1)의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오토바이의 전체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오토바이의 차체 프레임 중간에 설치되는 모터의 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와 뒷바퀴의 연결상태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오토바이 2 : 차체 프레임
3 : 축전지 4 : 모터
4a : 모터축 4b : 모터축 스프로켓
5 : 체인 6 : 뒷바퀴
7 : 구동축 8 : 구동축 스프로켓
9,9a : 사이드 커버 10 : 구름베어링
11 : 자기코일 12 : 클러치
15 : 출력부 16 : 밀폐 시일
17 : 밀폐캡 18 : 밀폐튜브

Claims (2)

  1. 통상의 자전거 차체 프레임 구조와 같이 개선 시킨 경량화된 차체 프레임(2)과; 차체 프레임(2)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축전지(3)와; 상기 축전지(3)와 근접하여 차체 프레임(2)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축전지(3)의 전력을 이용하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의 모터축(4a)에 축설되는 모터축 스프로켓(4b)과; 상기 모터축 스프로켓(4b)과 체인(5)으로 연결되면서 뒷바퀴(6)의 구동축(7)에 축설되는 구동축 스프로켓(8)을 포함시켜 축전지의 전력을 이용해 동력을 발생시켜 뒷바퀴가 구동하는 공지의 전기 오토바이에 있어서,
    상기 모터(4)는 양측 사이드커버(9)(9a)의 내부 중앙으로 모터축(4a)이 축설되고, 모터축(4a)의 외주연으로는 구름베어링(10)이 접촉되며, 구름베어링(10)의 외주연상에는 자기코일(11)이 설치되고, 자기코일(11)은 클러치(12)로 단속되며, 양측 사이드커버(9)(9a)중 일측 사이드 커버(9)는 내면 중앙의 암나사부(13)가 모터축(4a)의 수나사부(14)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 사이드 커버(9a)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모터축(4a)의 출력부(15)와 타측 사이드 커버(9a) 사이에는 차례로 밀폐 시일(16)과 밀폐캡(17)이 설치되며, 모터(4)의 하방에는 밀폐튜브(18)로 보호되는 전선(19)이 출몰되어 근접설치된 축전지(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오토바이.
  2. 삭제
KR1020080084802A 2008-08-29 2008-08-29 전기 오토바이 KR100997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802A KR100997614B1 (ko) 2008-08-29 2008-08-29 전기 오토바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802A KR100997614B1 (ko) 2008-08-29 2008-08-29 전기 오토바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02A KR20100026002A (ko) 2010-03-10
KR100997614B1 true KR100997614B1 (ko) 2010-12-01

Family

ID=4217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802A KR100997614B1 (ko) 2008-08-29 2008-08-29 전기 오토바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526A (ko)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강운 전기 이륜차용 차체
KR102538499B1 (ko) 2022-06-11 2023-05-31 주식회사포인트 전기 오토바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726B1 (ko) 2015-04-30 2018-01-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벨트의 슬립현상이 방지되는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와 이를 이용한 이륜차량 재제조방법
KR102583689B1 (ko) * 2021-08-18 2023-09-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파워 트레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289A (ja) * 1997-05-23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自転車
JP2005125873A (ja) * 2003-10-22 2005-05-19 Yamah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式電動車両
JP2005168186A (ja) 2003-12-03 2005-06-23 Koyo Seiko Co Ltd ハウジングの防水構造および電動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289A (ja) * 1997-05-23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自転車
JP2005125873A (ja) * 2003-10-22 2005-05-19 Yamah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式電動車両
JP2005168186A (ja) 2003-12-03 2005-06-23 Koyo Seiko Co Ltd ハウジングの防水構造および電動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526A (ko)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강운 전기 이륜차용 차체
KR102538499B1 (ko) 2022-06-11 2023-05-31 주식회사포인트 전기 오토바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02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1180A4 (en) HYBRID VEHICLE OF THE SEAT TYPE
KR100997614B1 (ko) 전기 오토바이
CN101767528A (zh) 轻便摩托车及助力车用油电双动力发动机动力输出装置
CN106741563B (zh) 摩托车油电混合动力发动机
CN202896811U (zh) 一种高能效电动自行车、电动摩托车之驱动及传动装置
WO2012045267A1 (zh) 双动力轮
KR101066087B1 (ko) 하이브리드형 자동이륜차
CN202243039U (zh) 一种多能源电动车
CN201620986U (zh) 轻便摩托车及助力车用发动机
CN102612462A (zh) 车辆的车速传感器配设结构
CN213082905U (zh) 一种电磁离合式油电互补发动机
CN201199655Y (zh) 一种电动自行车无刷有齿高速电机轮毂
CN201245082Y (zh) 一种自充电、双动力驱动三轮车
CN201162609Y (zh) 轻便摩托车及助力车用发动机下置马达的电起动装置
CN201176121Y (zh) 自充电稳压油电摩托车
CN201512058U (zh) 混合动力机车
KR200423556Y1 (ko) 전동 오토바이
CN113665725B (zh) 两轮混合动力摩托车及单向传动机构
KR20070113064A (ko) 전동 오토바이
CN2910752Y (zh) 汽油、电动两用摩托车
CN203032363U (zh) 一种油电一体化混合动力摩托车发动机
CN2228043Y (zh) 自动自行车
CN204173133U (zh) 油电两用摩托车
CN211441967U (zh) 一种增程式新能源汽车
CN201049699Y (zh) 双动力自发电四轮摩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