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141A - 접합부재 - Google Patents

접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141A
KR20130116141A KR1020120069562A KR20120069562A KR20130116141A KR 20130116141 A KR20130116141 A KR 20130116141A KR 1020120069562 A KR1020120069562 A KR 1020120069562A KR 20120069562 A KR20120069562 A KR 20120069562A KR 20130116141 A KR20130116141 A KR 2013011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haft body
joining member
building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조무 코바야시
타카시 카미야
마나부 하기노야
미네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야하기 컨스트럭션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하기 컨스트럭션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야하기 컨스트럭션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11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내진보강공사의 시공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감소시키는 내진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건물과 건물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와 일체화시키는 접합부재를 제공한다.
건물과 건물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와 일체화시키는 접합부재(10)이며, 강재로 이루어지는 축몸체(12)와, 상기 축몸체(12) 바닥에 설치되는 플랜지(14)와, 상기 플랜지(14)의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코터(16)와, 상기 플랜지(14)의 경계 부분을 고정시키는 앵커(18)가 마련되어 있다. 접합부재(10)의 축몸체(12)의 바닥의 플랜지(14)의 주연부를 앵커(18)로 건물 구조체에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축몸체(12)의 선단부에 내진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건물과 건물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와 일체화시킨다.

Description

접합부재{ADHESIVE MEMBER}
본 발명은 접합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과 건물의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를 일체화시킨 접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기존 건물에 내진보강을 행하는 내진보강방법에는 건물의 외측에 내진보강몸체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접하여, 신설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체와 신설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계면에는 콘크리트의 정착을 증가시키는 정착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특개 2010-59717 호
특허 문헌 1의 내진보강방법은 신설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하는 이른바 습식보강방법이며,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진보강공사의 시공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공성이 나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내진보강방법은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신설 콘크리트 구조체를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면 전부를 노출시킬 필요가 있어, 이것에 의해 시공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진보강공사의 시공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시공비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내진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건물과 건물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를 일체화시킨 접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는 건물과 건물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와 일체화된 접합부재에 있어서, 강재로 이루어지는 축몸체와, 상기 축몸체의 바닥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면내에서 표면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코터와, 상기 플랜지의 경계 부분을 고정시키는 앵커가 구비된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접합부재는 건물과 건물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와 일체화된 접합부재이며, 강재로 이루어지는 축몸체와, 상기 축몸체의 바닥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경계 부분을 고정시키는 앵커가 구비된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때, 상기 축몸체에 길이조정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몸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내진보강부재를 상기 축몸체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를 누르는 가압와셔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와셔는 상기 고정 볼트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끼움공이 장공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는 상기 내진보강부재를 건물의 구조체의 외부면에서 이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진보강부재로 스틸보강부재를 건물의 구조체 외부 표면에서 이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는 축몸체 바닥의 플랜지 경계 부분을 앵커로 건물 구조체에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축몸체 선단부에 내진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건물과 건물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와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접합부재에 따르면 내진보강부재에 스틸보강부재를 사용하여 이것을 건물 외측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를 이용한 습식이 아닌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의 내진보강을 행할 수 있다. 즉, 현장에서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의 타설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내진보강공사의 시공성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시공성이 우수하여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에 따르면 내진보강부재를 건물 구조체의 외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 구조체의 외면 중 접합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면 된다. 따라서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에 있어서, 축몸체에 길이조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면 건물 구조체의 외면의 위치가 갖추어지지 않는 곳에서도 축몸체의 길이를 바꾸어 내진보강부재가 설치되는 축몸체 선단부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내진보강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내진보강부재의 설치 장소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적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에 있어서, 축몸체 선단부에 내진보강부재를 축몸체 선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의 가압와셔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와셔에 고정 볼트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끼움공이 장공으로 설계되는 것에 의해, 내진보강부재의 설치위치와 접합부재의 부착위치에 시공오차가 발생한 경우, 시공오차를 흡수하여 정렬을 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의 건물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를 축몸체 선단측으로부터 본 것으로, 축몸체 선단부에 내진보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그림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는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를 건물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를 축몸체 선단측으로부터 본 것으로, 축몸체 선단부에 내진보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부재(10)의 축몸체(12)는 강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강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SS400, SN400, SN490, SM400, SM490, STKM13A, S45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축몸체(12)의 크기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외경이 50 ~ 300mm, 축방향의 길이가 20 ~ 500mm 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몸체(12)의 바닥에는 플랜지(14)가 축몸체(12)와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플랜지(14)의 면내 중앙 위치에는 코터(cotter, 16)가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플랜지(14)와 일체로 설치되고 있다.상기 플랜지(14)의 외주연에는, 플랜지(14)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4a)이 형성되고, 앵커(18)를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축몸체(12)의 선단부의 중앙위치에는 축몸체(12)의 축 방향을 따라 암나사공(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볼트(22)와 나선형으로 합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 볼트(22)는 가압와셔(24,26)에 끼워져 축몸체(12)의 암나사공(20)에 나선형으로 합치된다. 가압와셔(24,26)는 직경의 크기가 다른 2 개의 조(소경의 가압와셔(26)와 대경의 가압와셔(24))로 구성된다.
따라서, 접합부재(10)는 축몸체(12)와, 플랜지(14)와, 코터(16)와, 앵커(18)와, 고정 볼트(22)와, 가압와셔(24,26)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10)는 건물의 기둥(1)과 보(2)로 구성되는 기둥보받침 구조의 기둥(1)과 보(2)(건물 구조체)의 각각의 외면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는 기둥보받침 구조의 상부보(2a) 및 하부보(2b)의 외면에 각각 8 개의 접합부재(10)가 장착되어, 기둥보받침 구조의 좌측 기둥(1a) 및 우측 기둥(1b)의 외면에 각각 2 개의 접합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보받침 구조의 외면에 정렬되는 복수개의 접합부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기둥보받침 구조의 외면에는 H 형강(3)이 테두리 모양으로 배치되며, H 형강(3)에 의해 이루어지는 철골 프레임의 내진보강부재(4)가 접합부재(10)에 의해 건물의 외측에 장착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10)는 축몸체(12)의 바닥의 플랜지(14)의 이면이 건물 구조체(도 3에서 상부보(2a) 및 하부보(2b))의 외면에 접하도록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축몸체(12)는 건물 구조체(2a, 2b)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향하도록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플랜지(14)의 외주연의 관통공(14a)에 각각 앵커(18)가 삽입하여 통과하는 앵커(18)가 건물 구조체(2a, 2b)의 외면으로부터 건물 구조체(2a, 2b)에 타설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접합부재(10)는 건물 구조체(2a, 2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몸체의 외면(점선(5)으로 표시)의 접합부재(10)가 고정되는 위치에는 접합부재(10)의 코터(16)가 고정될 수 있는 요홈부(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홈부(5a) 내에 접합부재(10)의 코터(16)가 고정결합되는 것에 의해, 플랜지(14)의 이면이 건물 구조체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강(3)의 웹면(3a)에는 소경의 가압와셔(26)의 외경보다 크고, 대경의 가압와셔(2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보유하는 원형공(3b)이 웹면(3a)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소경의 가압 와셔(26)는 웹면(3a)의 원형공(3b) 내에 배치되고, 대경의 가압와셔(24)는 소경의 가압와셔(26)와 같은 축 상에 웹면(3a)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 볼트(22)는 대경의 가압와셔(24)의 외측으로부터, 대경의 가압와셔(24)의 끼움공(24a)과 소경의 가압와셔(26)의 끼움공(26a)에 삽입하여 통과하고, 이러한 가압와셔(24,26)를 사이에 두고 축몸체(12)의 선단부의 암나사공(20)에 나선형으로 합치된다. 이렇게, H 형강(3)은 접합부재(10)의 축몸체(12)의 선단부에 체결된다.
접합부재(10)를 통해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내진보강부재(4)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진시 등에 내진보강부재(4)가 부담하는 힘을 효율적으로 충분히 전달시킬 필요가 있다. 접합부재(10)가 건물과 내진보강부재(4) 사이에서 응력을 전달하는 응력전달부재가 된다. 전달하는 응력은 굽힘 응력, 전단 응력, 인장 응력이다. 접합부재(10)의 플랜지(14)와 앵커(18)에 의해 굽힘 응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10)의 코터(16)에 의해 전단 응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10)의 앵커(18)에 의해 인장 응력에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재(10)는 지진시 등에 내진보강부재(4)가 부담하는 힘을 효율적으로 충분하게 응력을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굽힘 저항은 플랜지(14)의 외경의 크기와 앵커(18)의 수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전단 저항은 코터(16)의 돌기의 높이와 코터(16)의 외경의 크기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인장 저항은 앵커(18)의 수와 위치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a)의 외면의 위치와 보2(2a)의 외면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의해 건물 구조체의 외면의 위치가 갖추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축몸체(12)의 길이를 변화시킨 접합부재(10)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2(2a)의 외면 위치보다 기둥1(1a)의 외면 위치가 외측에 되어 있으므로, 기둥1(1a)의 외면에 장착되는 접합부재10(10a)에는 보2(2a)의 외면에 설치되는 접합부재10(10b) 보다 축몸체(12)의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한다. 축몸체(12)의 길이가 다른 접합부재(10a, 10b)를 함께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진보강부재(4)의 H 형강(3)을 설치한 축몸체(12)의 선단부의 위치를 같게 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10)에는 가압와셔(24,26)의 끼움공(24a, 26a)이 장공으로 설치되고, 내진보강부재(4)의 H 형강(3)의 설치위치와 접합부재(10)의 장착위치에 시공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시공오차를 흡수하여 위치측정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접합부재(10)의 가압와셔는, 소경의 가압와셔(26)와 대경의 가압와셔(24)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어떤 가압와셔(24,26)의 끼움공(24a, 26a)도 같은 길이의 장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와셔(24,26)는 고정 볼트(22)를 체결하기 전에는 가압와셔(24,26)의 면의 내측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장공의 장축방향을 면 내의 어떤 방향으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내진보강부재(4)의 H 형강(3)의 설치위치와 접합부재(10)의 장착위치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차이의 방향으로 장공의 장축 방향을 맞추고 고정 볼트(22)의 위치를 장공의 장축방향으로 미세 조정하는 것에 의해 시공오차를 흡수하여 내진보강부재(4)의 H 형강(3)의 설치위치와 접합부재(10)의 장착위치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합부재(10)는 축몸체(12)의 바닥의 플랜지(14)의 외주연을 앵커(18)로 건물 구조체에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축몸체(12)의 선단부에 내진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건물과 건물의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를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이 접합부재(10)에 의하면, 내진보강부재에 H 형강에 의해 이루어지는 철골 프레임과 같은 스틸보강부재를 사용하여 이것을 건물의 외측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를 이용한 습식이 아닌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의 내진보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현장에서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의 타설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내진보강공사의 시공성이 뛰어나다. 또한, 시공성이 우수하여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10)에 의하면, 내진보강부재를 건물 구조체의 외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 구조체의 외면 중 접합부재(10)를 장착하는 부분을 노출시키면 된다. 따라서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6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의 일부 단면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어느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에도 축몸체에 길이조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에 있어서는 건물 구조체의 외면에 설치 방법 및 내진보강부재(H 형강)의 설치방법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30)의 축몸체(32)는 강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원통몸체(34)와, 강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볼트형 코터(36)로 구성될 수 있다.
원통몸체(34)의 일단에는 원판 형상의 상판(34a)이 용접접합되어 원통몸체(34)의 일단이 막혀있다. 상기 상판(34a)의 중앙 위치에는 축몸체(32)의 축방향을 따라 암나사공(34b)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 볼트(22)와 나선형으로 합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통몸체(34)의 타단의 내주면에는 볼트형 코터(36)의 수나사(36a)가 나선형으로 합치되는 암나사(34c)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형 코터(36)의 외주면에는 원통몸체(34)의 암나사(34c)와 나선형으로 합치되는 수나사(36a)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형 코터(36)의 일단에는 수나사(36a)의 직경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머리부(36b)가 설계되어 있다.
축몸체(32)의 바닥의 플랜지(38)는 축몸체(32)의 볼트형 코터(36)와는 다른 몸체로 되어 있고, 강재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38)의 면내 중앙위치는 볼트형 코터(36)의 수나사(36a)와 나선형으로 합치되는 암나사공(38a)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38)의 주연부에는 앵커(18)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관통공(38b)이 플랜지(38)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 되어 있다.
플랜지(38)의 이면측으로부터 플랜지(38)의 암나사공(38a)에 볼트형 코터(36)의 수나사(36a)를 수나사(36a)의 바닥까지 나선형으로 들어가게 하는 경우, 플랜지(38)의 표면측에는 볼트형 코터(36)의 수나사(36a)가 돌출하고, 상기 플랜지(38)의 이면에는 볼트형 코터(36)의 머리부(36b)가 돌출한다. 상기 머리부(36b)가 플랜지(38)의 이면 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코터가 되어 전단저항을 발휘한다. 이렇게, 플랜지(38)와 볼트형 코터(36)가 나선형으로 합치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되지만,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내주면에 암나사(39a)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풀림방지강관(39)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풀림방지강관(39)의 암나사(39a) 내에는 볼트형 코터(36)의 타단측으로부터 수나사(36a)의 바닥까지 수나사(36a)가 나선형으로 입력되어 있다. 상기 풀림방지강관(39)은 볼트형 코터(36)의 머리부(36b) 간에 플랜지(38)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나사의 풀림이 방지되고 있다. 이렇게, 플랜지(38)에 대하여 볼트형 코터(36)가 고정된다.
상기 풀림방지강관(39)은 볼트형 코터(36)의 수나사(36a)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이며, 풀림방지강관(39)이 나선형으로 입력되는 볼트형 코터(36)의 수나사(36a)의 타단에는 수나사(36a)가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형 코터(36)의 타단측의 수나사(36a)는 원통몸체(34)의 타단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암나사(34c)와 나선형으로 합치된다. 따라서, 축몸체(32)가 완성된다.
상기 축몸체(32)의 길이는 원통몸체(34)와 볼트형 코터(36)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바꿀 수 있다. 즉, 이들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원통몸체(34)가 플랜지(38)에 대하여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접근하여 축몸체(32)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접합부재(30)에서는 축몸체(32)에 길이조정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건물 구조체의 외면의 위치가 맞지 않는 곳에서도, 축몸체(32)의 길이를 변화시켜 내진보강부재가 장착되는 축몸체(32)의 선단부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내진보강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진보강부재의 설치장소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적용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40)의 축몸체(42)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형 강체(44)와, 강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원통형 몸체(46)로 구성된다. 볼트형 강체(4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44a)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형 강체(44)의 일단에는 수나사(44a)의 직경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44b)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 몸체(46)의 양단은 모두 개방되고, 원통형 몸체(46)의 양단의 내주면에는 각각 암나사(46a, 46b)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몸체(42)의 바닥의 플랜지(48)는, 축몸체(42)의 원통몸체(46)와는 별개의 것으로 형성되며, 강재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48) 주연부에는 앵커(18)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관통공(48c)이 플랜지(48)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 되고 있다. 상기 플랜지(48)의 이면측의 면내 중앙 위치에는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48a)가 코터로 플랜지(48)와 일체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플랜지(48)의 표면측의 면내 중앙 위치에는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나사(48b)가 플랜지(48)와 일체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원통몸체(46)의 일단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암나사(46a)는 볼트 형 강체(44)의 수나사(44a)와 나선형으로 합치된다. 원통몸체(46)의 타단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암나사(46b)는 플랜지(48)의 표면측에 설계되는 수나사(48b)와 나선형으로 합치된다. 원통몸체(46)의 타단의 암나사(46b) 내에는 원통몸체(46)의 타단이 플랜지(48)의 표면에 접할때까지 플랜지(48)의 표면측에 설계되는 수나사(48b)가 나선형으로 입력된다. 원통몸체(46)의 암나사(46b)와 플랜지(48)의 수나사(48b)와의 사이를 강하게 체결되는 것에 의해, 나사의 풀림이 방지되며, 원통몸체(46)와 플랜지(48)가 나선형으로 합치되어 일체화된다.
축몸체(42)의 길이는 볼트형 강체(44)와 원통몸체(46)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이들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볼트형 강체(44)가 원통몸체(46)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또는 접근하여 축몸체(42)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볼트형 강체(44)의 머리부(44b)의 중앙위치에는, 축방향을 따라 암나사공(44c)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볼트(22)와 나선형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40)에서는 가압와셔가 제1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10)의 소경의 가압와셔(26)에 상당하는 소경부(49b)와 제1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10)의 대경의 가압와셔(24)에 상당하는 대경부(49a)와 일체가 되도록 하는 형상의 계단식 와셔(49)가 될 수 있다. 상기 계단식 와셔(49)의 소경부(49b)는 소경의 가압와셔(26) 뿐만 아니라, H 형강(3)의 웹면(3a)의 원형공(3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계단식 와셔(49)의 대경부(49a)는 대경의 가압와셔(24) 뿐만 아니라, H 형강(3)의 웹면(3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볼트(22)는, 대경부(49a)의 외측으로부터 계단식 와셔(49)의 끼움공(49c)에 삽입되어 관통하여 계단식 와셔(49)에 끼워져 축몸체(42)의 선단부의 암나사공(44c)에 나선형으로 합치될 수 있다. 이렇게, H 형강(3)은 접합부재(40)의 축몸체(42)의 선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계단식 와셔(49)의 끼움공(49c)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10) 뿐만 아니라 장공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50)의 축몸체(52)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볼트형 강체(54)와, 상기 강재를 원통형으로 성형한 원통몸체(56)로 구성된다. 제4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50)는 제3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40)에 비해 축몸체(52)의 바닥의 플랜지(58)의 표면 측에 수나사가 설계되어 있지 않고, 원통몸체(56)의 타단이 용접에 의해 플랜지(58)의 표면의 면내 중앙 위치에 접합되어 원통몸체(56)와 플랜지(58)가 일체화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구성을 하고 있다.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60)의 축몸체(62)는 원통의 일단이 상판(64b)에 의해 닫혀지고, 타단이 열려있는 캡 형상의 강재로 구성되는 자루형상의 강체(64)와, 강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원통몸체(66)로 구성될 수 있다. 자루형상의 강체(64)의 개구단측의 내주면에는 암나사(64a)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몸체(66)의 일단측의 외주면에는 자루형상의 강체(64)의 개구단측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암나사(64a)와 나선형으로 합치되는 수나사(66a)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몸체(66)의 타단은 용접에 의해 플랜지(68)의 표면의 면내 중앙 위치에 접합되어 원통몸체(66)와 플랜지(68)가 일체화 되어 있다.
상기 축몸체(62)의 길이는 자루형상의 강체(64)와 원통몸체(66)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바꿀 수 있다. 즉, 이들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자루형상의 강체(64)가 원통몸체(66)에 대하여 멀리 멀어지거나 또는 접근하여 축몸체(62)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접합부재(60)의 플랜지(68)는 제4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50)의 플랜지(58)와 동일할 뿐만 아니라 강재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플랜지(68)의 이면측의 면내 중앙 위치에는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68a)가 코터로 플랜지(68)와 일체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접합부재(60)의 가압와셔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10) 뿐만 아니라, 지름의 크기가 다른 2 개의 조(소경의 가압와셔(26)와 대경의 가압와셔(2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70)의 축몸체(72)는, 원통의 일단이 상판(74b)에 의해 닫혀지고, 타단이 열려지는 캡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자루형상의 강체(74)와, 강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원통몸체(76)로 구성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70)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60)와 비교하여, 원통몸체(76)의 일단의 외주면 뿐만 아니라 타단의 외주면에 수나사(76a, 76b)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78)의 표면의 면내 중앙 위치에는,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암나사원통부(79)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원통부(79)의 내주면에는 암나사(79a)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79a)는 원통몸체(76)의 타단측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76b)와 나선형으로 결합된다.
상기 축몸체(72)의 길이는 자루형상의 강체(74)와. 원통몸체(76)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바꿀 수 있다. 즉, 이들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자루형상의 강체(74)가 원통몸체(76)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또는 접근하는 것에 의해 축몸체(72)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축몸체(72)의 길이는 원통몸체(76)와 암나사원통부(79)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바꿀 수 있다. 즉, 이들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원통몸체(76)가 플랜지(78)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또는 접근하여 축몸체(72)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접합부재(70)의 플랜지(78)는 제4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50)의 플랜지(58)와 같이 플랜지(58)의 이면측의 면내 중앙 위치에서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78a)가 코터로 플랜지(78)와 일체적으로 설계되고 있다. 상기 접합부재(70)의 가압와셔는 제3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40) 뿐만 아니라 계단식 와셔(49)로부터 된다.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80)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60)와 비교하여, 플랜지(68)의 이면에 플랜지(68)와 일체적으로 설계되는 코터의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을 뿐, 이외의 구성은 제5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60)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는 바, 따라서 이하에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7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80)의 플랜지(68)의 이면측의 면내 중앙 위치에는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돌출하는 링돌출부(88)가 코터로 플랜지(68)와 일체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코터의 형상을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링돌출부(88)가 고정결합하는 요홈부(5a)를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건물 구조체의 외면(점선(5)으로 표시)의 제거되는 양이 작게 되기 때문에 건물 구조체의 외면(점선(5)으로 표시)에 결합되는 요홈부(5a)를 형성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도 1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90)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60)와 비교하여, 플랜지(68)의 이면에 코터로 돌기부(68a)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다르고, 다른 이외의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60)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므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90)는 건물 구조체의 외면(점선(5)으로 표시)에 플랜지(68)가 자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건물 구조체의 외면(점선(5)으로 표시)의 제거되는 양은 크지만, 결합되는 요홈부(5a) 내에서 건물 구조체의 외면에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단 전달력이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68)의 이면측 코터로 돌기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 ~ 제7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에 대해서도, 제8 실시예에 관한 접합부재(90) 뿐만 아니라 건물 구조체의 외면(점선(5)으로 표시)에 플랜지 자체를 끼워 넣는 형태로 건물 구조체의 외면에 접합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재를 이용한 내진보강은 철골조, 철근 콘크리트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의 어느 구조의 형식의 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아무런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위의 실시예에서는 내진보강부재로 H 형강(3)으로 이루어지는 철골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지만, 내진보강부재로 다른 형태의 형강(I 형강, L 형강, 홈 형강, 산 형상의 철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철골 프레임도 좋으며, 평판 강철로 되는 철골 프레임도 좋다. 또한, 내진보강부재로 형강 또는 평판강을 테두리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내진보강부재로 버팀대(brace)와 콘크리트, 콘크리트, 댐퍼 등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진보강부재의 H 형강(3)이 고정 볼트(22)에 의해 접합부재에 고정되어 있지만, 용접 등 다른 접합 방법에 의해 내진보강부재의 H 형강(3)이 접합부재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것을 표시하고 있지만, 원통형상 대신에 각통 형상이어도 좋다.
10 : 접합부재 12 : 축몸체
14 : 플랜지 16 : 코터
18 : 앵커 22 : 고정 볼트
24 : 가압와셔 26 : 가압와셔
1 : 기둥 2 : 보
3 : H 형강 4 : 내진보강부재

Claims (5)

  1. 건물과 건물의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를 일체화시키는 접합부재에 있어서,
    강재로 이루어지는 축몸체;
    상기 축몸체의 바닥에 설치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면내에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코터; 및
    상기 플랜지의 주변 부분을 고정시키는 앵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재.
  2. 건물과 건물의 외측에 장착되는 내진보강부재를 일체화시키는 접합부재에 있어서,
    강재로 이루어지는 축몸체;
    상기 축몸체의 바닥에 설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경계 부분을 고정시키는 앵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축몸체에는 길이조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재.
  4. 청구항 1 또는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몸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내진보강부재를 상기 축몸체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를 누르는 가압와셔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와셔는 상기 고정 볼트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끼움공이 장공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항 중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부재를 건물 구조체의 외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재.


KR1020120069562A 2012-04-13 2012-06-28 접합부재 KR20130116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1536 2012-04-13
JP2012091536A JP5438797B2 (ja) 2012-04-13 2012-04-13 接合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41A true KR20130116141A (ko) 2013-10-23

Family

ID=4959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562A KR20130116141A (ko) 2012-04-13 2012-06-28 접합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38797B2 (ko)
KR (1) KR20130116141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413Y2 (ja) * 1993-12-27 2000-01-17 コンドーテック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JPH09177331A (ja) * 1995-12-25 1997-07-08 Oohori:Kk 建物の免震構造の施工方法
JP4059638B2 (ja) * 2001-03-09 2008-03-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ボックス形鋼製建材の接合構造
JP4585595B2 (ja) * 2008-05-26 2010-11-24 矢作建設工業株式会社 木造家屋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木造家屋の耐震補強工法
JP4230533B1 (ja) * 2008-09-05 2009-02-25 等 塩原 構造体の接合構造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せん断力伝達用定着部材
JP5323622B2 (ja) * 2009-09-09 2013-10-23 株式会社エヌ・シー・エヌ ボルト固定用の基板と座金の構造、及びその構造を適用した柱脚金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8797B2 (ja) 2014-03-12
JP2013221252A (ja)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638B1 (ko) 브레이스재
WO2019196741A1 (zh) 套筒内部卡接式连接装置及其连接结构以及其安装方法
US20150315788A1 (en) Sleeve connector
JP2015017371A (ja) 座屈補剛ブレース
JP2018145786A (ja) 管体結合構造およびユニット建物
KR10135351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116389B1 (ko) 센터링 작업이 용이한 접합구조를 가진 phc 말뚝과 강관의 복합말뚝
WO2019196743A1 (zh) 套筒外螺母卡接式连接装置及其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08412134B (zh) 一种混合型灌浆套筒及其预制剪力墙
CN108780665B (zh) 一种用于固定包层模块至聚变反应堆真空室的装置
KR20130116141A (ko) 접합부재
JP7243007B2 (ja) 木質梁接合構造
JP2013177980A (ja) 油圧ダンパ
JP4081602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接合部構造
CN214117255U (zh) 一种钢筋连接用全灌浆套筒
JP3837450B2 (ja) 梁補強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梁貫通孔補強構造
US11499331B2 (en) Ductile anchor attachment (DAA) mechanism
CN211285968U (zh) 一种新型装配式建筑预制混凝土柱连接节点
JP2005139731A (ja) 鋼管杭頭部の接合構造および鋼管杭頭部の施工方法
JP6587111B2 (ja) ブレースおよびブレース取付構造
JP2017155440A (ja) 下部構造物と上部構造物と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4144558A (zh) 钢筋接头、钢筋组装体以及预制钢筋混凝土体
KR20210066225A (ko)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CN218508829U (zh) 一种钢筋机械连接与锚固装置及钢筋连接与锚固结构
CN220789781U (zh) 一种预制桩与格构柱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