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293A - 레벨러 - Google Patents

레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293A
KR20130114293A KR1020120036503A KR20120036503A KR20130114293A KR 20130114293 A KR20130114293 A KR 20130114293A KR 1020120036503 A KR1020120036503 A KR 1020120036503A KR 20120036503 A KR20120036503 A KR 20120036503A KR 20130114293 A KR20130114293 A KR 20130114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frame
leve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828B1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김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열 filed Critical 김광열
Priority to KR102012003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82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레벨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는 복수의 롤러유닛 사이로 교정할 판재를 통과시키면서 판재의 외면을 평탄하게 교정하는 것이고, 복수의 롤러유닛은 그 중심축선이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축과,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벨러{LEVELER}
본 발명은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휘거나 변형된 판재를 평탄하게 교정할 수 있는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가공 등에 이용되는 강판은 롤형태로 감겨서 공급되기 때문에 휘어진 경우가 많다. 또 소재 자체의 불균일한 응력분포로 인해 표면의 평탄도가 고르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강판은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워 사용 전에 휨이나 웨이브같은 변형을 교정하여 표면을 평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레벨러(Leveler)는 이처럼 평탄도가 고르지 않은 판재(강판 등)를 고르게 교정할 수 있는 장치다. 통상의 레벨러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356호(2010. 12. 10.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61336호(2010. 06. 04. 공고)의 예와 같이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 사이로 교정할 판재를 통과시키면서 판재의 휨이나 웨이브와 같은 변형을 교정한다. 이러한 레벨러들은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과 그 축선이 수직으로 배치된 롤러들이 판재에 외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판재의 길이방향(진행방향) 휨이나 변형을 교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356호(2010. 12. 10. 공고)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61336호(2010. 06. 04.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의 휨이나 변형을 교정할 수 있는 레벨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롤러유닛 사이로 판재를 통과시키면서 판재를 평탄하게 교정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은 그 중심축선이 상기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레벨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복수 롤러유닛의 지지축 양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은 그 양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가변을 위해 상호 세레이션 방식으로 결합된 외축과 내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중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송나사축과,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은 상기 판재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판재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롤러들의 장착위치가 일치하지 않도록 상호 인접하는 상기 각 롤러유닛의 롤러들이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축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지지축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내면 양측에 상기 판재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복수 롤러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롤러유닛은 상기 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의 전방과 후방에 상호 이격 배치된 전방롤러유닛 및 후방롤러유닛과, 상기 판재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롤러유닛과 상기 후방롤러유닛 사이에 배치된 중간롤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중간롤러유닛의 지지축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중간롤러유닛의 지지축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중간롤러유닛의 높이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나사축과,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는 롤러의 중심축선이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에 대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판재의 폭방향 휨이나 변형을 교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는 롤러유닛 중심축선의 경사각도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판재의 변형정도에 따라 적절한 폭방향 외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고, 롤러유닛의 경사방향을 역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는 높이조절장치로 중간롤러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판재에 가하는 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부분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의 평면도로, 롤러유닛이 도 2와 반대로 배치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를 나타낸다. 제1실시 예의 레벨러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유닛(30), 복수의 롤러유닛(30)의 지지를 위해 프레임(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지지부재(40) 및 제2지지부재(50), 제1지지부재(40) 및 제2지지부재(5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들(60,70)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교정할 판재(1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되고 길이가 긴 사각의 상자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는 상자형태의 프레임(10)을 일 예로써 제시하지만, 프레임(10)은 그 내부에 복수의 롤러유닛(30)을 수용하여 지지하면서 판재(10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될 것이므로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여기서 평탄화를 위한 판재(100)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소재와 같은 얇은 금속판재일 수 있으나, 판재의 소재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롤러유닛(30)은 프레임(10) 내부를 통과하는 판재(100)의 상면과 하면 쪽에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판재(100)의 상부 쪽에 위치하는 롤러유닛(30)과 판재(100)의 하부 쪽에 위치하는 롤러유닛(30)이 한조를 이루어 판재(100)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판재(100)의 진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으로 복수의 롤러유닛(30)이 배치될 수 있다.
각 롤러유닛(3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프레임(10)의 내면 양측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40)와 제2지지부재(50)에 결합되는 지지축(31)과, 지지축(31)의 외면에 회전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롤러(32)를 포함한다.
또 지지축(31)은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상호 세레이션 방식으로 결합된 외축(31a)과 내축(3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내축(31b)의 한쪽 단이 제1지지부재(40)에 결합되고, 외축(31a)의 반대편 단이 제2지지부재(50)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지지축(31)의 양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에 마련된 지지축결합부(41,51)에 결합핀(42,52)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후술할 이동장치(60,70)를 이용해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를 이동시켜 지지축(31)의 각도(α)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를 이동시킬 때 지지축(31)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지지부재(40)와 제2지지부재(50)는 프레임(10)의 내면 양측에 판재(10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지지부재(40)와 제2지지부재(50)는 도브테일(dove-tail)형 결합부(43,53)를 각각 구비하고, 프레임(10)의 양측 내면에는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의 결합부(43,5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브테일형 이동안내홈(11,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위해 도브테일형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의 결합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0)의 내면 쪽에 각각 레일을 설치하고,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제1지지부재(40)와 제2지지부재(50)를 판재(10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40) 또는 제2지지부재(50)를 이동시켜 각 롤러유닛(30)의 각도(α)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롤러(32) 중심축선(B)이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A)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α)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각 롤러유닛(30)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면, 판재(100)의 이동방향과 경사를 유지하는 복수의 롤러들(32)이 판재(100)의 폭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판재(100)의 폭방향 휨이나 웨이브와 같은 변형을 고르게 교정하여 평탄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동작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제1지지부재(40)와 제2지지부재(5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7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각 이동장치(60,70)는 프레임(1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이송나사축(61,71)과, 이송나사축(61,71)을 회전시키기 위해 이송나사축(61,71)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회전손잡이(62,72)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40)와 제2지지부재(50)는 이송나사축(61,71)과 결합을 위해 프레임(1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하는 나사결합부(45,55)를 각각 구비하고, 이러한 나사결합부(45,55)가 이송나사축(61,71)에 체결된다. 이송나사축(61,71)은 프레임(10)의 외면에 설치된 복수의 축지지부(63,7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프레임(10)의 양쪽 측면에는 나사결합부(45,55)가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긴 슬롯(13,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장치(60,70)는 회전손잡이(62,72)로 이송나사축(61,7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또는 제2지지부재(40,5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롤러유닛(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실시 예는 롤러유닛(30) 양단 쪽 모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를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프레임(10)의 양측에 제1 및 제2지지부재(40,50)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60,70)를 설치하였으나, 각 롤러유닛(30)의 양단 중 어느 한쪽만이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지지부재(50) 쪽이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지지부재(40)만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부재(40) 쪽에만 이동장치(60)를 설치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지지부재(40)의 이동을 통해 롤러유닛(30)의 각도(α)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판재(100)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유닛(30)은 롤러들(32)의 장착위치가 일치하지 않도록 상호 인접하는 롤러유닛의 롤러들(32)이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롤러의 수, 롤러의 크기, 롤러의 장착위치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상호 인접하는 롤러들(32)이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각 롤러유닛(30)의 롤러들(32) 사이의 간극(33)이 상호 일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판재(100)의 평탄화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또 제1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양단 개구 쪽에 판재(100)의 진행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들(81,82)이 설치될 수 있다. 안내롤러들(81,82)은 판재(100)의 안정된 진행을 안내하기 위해 그 중심축선이 판재(100)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은 이러한 레벨러의 동작 및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00)의 폭방향 휨이나 웨이브와 같은 변형을 고르게 교정하여 평탄화 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롤러유닛(30) 중심축선(B)이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A)에 대하여 설정 각도(α)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는 이동장치(60,70)의 이송나사축(61,71)을 회전시켜 제1지지부재(40) 또는 제2지지부재(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판재(100)의 폭방향이라 함은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각 롤러유닛(30) 사이로 판재(100)를 통과시키면서 평탄화를 수행하면, 각 롤러(32)는 중심축선(B)이 경사를 유지한 상태이므로 회전과 동시에 판재(100)의 폭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는 롤러(32)가 기준선(A)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함으로 인해 롤러(32)가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32)의 외면과 판재(100)의 외면 사이에 폭방향으로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폭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행하는 판재(100)와 롤러(32) 사이에 작용하는 폭방향 외력은 판재(100)의 폭방향 휨이나 웨이브와 같은 변형을 펴서 응력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판재(100)의 폭방향 평탄화를 구현할 수 있다. 통상의 레벨러는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의 휨 등을 교정하는 반면에 제1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는 경사를 유지하는 롤러(32)가 판재(100)에 폭방향 외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판재(100)의 폭방향 변형을 교정할 수 있다.
롤러(32)로부터 판재(100)에 가해지는 폭방향 외력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이동장치(60,70)를 동작시켜 기준선(A)에 대한 롤러유닛(30) 중심축선(B)의 경사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제1실시 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롤러유닛(30)의 경사방향을 역으로(도 2와 반대로) 조정함으로써 폭방향 외력이 역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를 나타낸다. 제2실시 예는 각 롤러유닛(230) 중심축선(B)이 기준선(A)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각 롤러유닛(230)이 고정된 경우다. 즉 각 롤러유닛(230)의 지지축(231)의 양단이 프레임(210)의 내면 양측에 마련된 지지축결합부(221,222)에 고정된 형태다.
프레임(210)의 내면 양측에 마련되는 지지축결합부(221,222)는 다수개가 판재(100)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롤러유닛(230)의 수보다 많은 지지축결합부(221,222)가 프레임(210)의 내면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레벨러는 지지축(231)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지지축(231)의 각도(α)를 조절하거나 지지축(231)의 경사방향를 도 6의 상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레벨러를 나타낸다. 제3실시 예의 레벨러는 복수의 롤러유닛(320,330,340)을 지지하는 프레임(31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복수의 롤러유닛은 진행하는 판재(1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의 전방과 후방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전방롤러유닛(320) 및 후방롤러유닛(330)과, 판재(10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전방롤러유닛(320)과 후방롤러유닛(330) 사이에 배치된 중간롤러유닛(340)을 구비한다.
각 롤러유닛(320,330,34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지지축(321,331,341)과, 각 지지축(321,331,34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들(323,333,343)을 구비한다. 또 각 지지축(321,331,341)은 그 중심축선(B)이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A)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각 지지축(321,331,341)에는 각 롤러(323,333,343)의 회전 가능한 지지를 위해 복수의 롤러지지부(322,332,342)가 마련될 수 있고, 이 롤러지지부(322,332,342)는 그 중심축선이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방롤러유닛(320)의 지지축(321)과 후방롤러유닛(330)의 지지축(331)은 각각 양단이 프레임(310)의 내면 양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판재(100)의 상면을 지지하는 중간롤러유닛(340)의 지지축(341)은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310)의 내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장치(350)에 결합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장치(350)를 동작시켜 중간롤러유닛(3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판재(100)를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높이조절장치(350)는 프레임(310)의 내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1)과, 지지축(341)과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부재(352)와, 이동부재(35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부재(352)와 결합되며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송나사축(353)과, 이송나사축(353)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3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350)는 회전손잡이(354)를 조작하여 이송나사축(353)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나사축(353)과 나사결합된 이동부재(352)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352)에 결합된 지지축(34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판재(100)를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361과 362는 판재(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들이다.
제3실시 예의 레벨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롤러유닛(320,330,340)의 지지축(321,331,341)이 판재(100)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기준선(A)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α)로 경사를 유지하기 때문에 진행하는 판재(100)에 폭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폭방향 외력은 판재(100)의 폭방향 휨이나 웨이브와 같은 변형을 펴서 응력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판재(100)의 폭방향 평탄화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실시 예는 높이조절장치(350)로 중간롤러유닛(3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판재(100)에 가하는 압력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10: 프레임, 30: 롤러유닛,
31: 지지축, 31a: 외축,
31b: 내축, 32: 롤러,
40: 제1지지부재, 50: 제2지지부재,
60,70: 이송장치, 61,71: 이송나사축,
320: 전방롤러유닛, 330: 후방롤러유닛,
340: 중간롤러유닛, 350: 높이조절장치.

Claims (10)

  1. 복수의 롤러유닛 사이로 판재를 통과시키면서 판재를 평탄하게 교정하는 레벨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은 그 중심축선이 상기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레벨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복수 롤러유닛의 지지축 양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레벨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그 양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가변을 위해 상호 세레이션 방식으로 결합된 외축과 내축을 포함하는 레벨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설치되는 레벨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중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송나사축과,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레벨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은 상기 판재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판재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롤러들의 장착위치가 일치하지 않도록 상호 인접하는 상기 각 롤러유닛의 롤러들이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레벨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축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지지축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내면 양측에 상기 판재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축결합부를 구비하는 레벨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롤러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롤러유닛은 상기 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의 전방과 후방에 상호 이격 배치된 전방롤러유닛 및 후방롤러유닛과, 상기 판재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롤러유닛과 상기 후방롤러유닛 사이에 배치된 중간롤러유닛을 포함하는 레벨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롤러유닛의 지지축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중간롤러유닛의 지지축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중간롤러유닛의 높이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레벨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송나사축과, 상기 이송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레벨러.
KR1020120036503A 2012-04-09 2012-04-09 레벨러 KR10137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03A KR101378828B1 (ko) 2012-04-09 2012-04-09 레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03A KR101378828B1 (ko) 2012-04-09 2012-04-09 레벨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293A true KR20130114293A (ko) 2013-10-17
KR101378828B1 KR101378828B1 (ko) 2014-03-28

Family

ID=4963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503A KR101378828B1 (ko) 2012-04-09 2012-04-09 레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8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4315A (zh) * 2014-05-06 2014-07-23 来安县新元机电设备设计有限公司 一种手动调节间距整平机
CN103962420A (zh) * 2014-05-14 2014-08-06 苏州天脉导热科技有限公司 一种片材平整装置
CN104190744A (zh) * 2014-09-22 2014-12-10 陈明友 一种钢带平滑方法及装置
CN108213116A (zh) * 2016-12-22 2018-06-29 无锡市斯威克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焊带校直装置
CN109604378A (zh) * 2018-12-24 2019-04-12 杭州恒创机电有限公司 拉弯矫直机
KR20200064813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포스코 위치교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KR102208682B1 (ko) * 2020-06-25 2021-01-28 (주)재원산업기계 강관 제조용 언코일러장치
KR102344340B1 (ko) * 2020-12-22 2021-12-27 조창환 금속판재 평탄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648144U (zh) * 2018-11-15 2019-03-26 威海电美世光机电有限公司 玻璃传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612U (ja) * 1992-04-03 1993-11-02 株式会社不二越 油穴付き切削工具保持具
JP2910025B2 (ja) * 1994-08-08 1999-06-23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板状形材の製造装置
JP4506149B2 (ja) * 2003-10-31 2010-07-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金属板の形状矯正方法
KR101068468B1 (ko) * 2009-03-13 2011-09-28 한국과학기술원 이중 곡률을 갖는 박판의 연속형 평면교정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4315A (zh) * 2014-05-06 2014-07-23 来安县新元机电设备设计有限公司 一种手动调节间距整平机
CN103962420A (zh) * 2014-05-14 2014-08-06 苏州天脉导热科技有限公司 一种片材平整装置
CN104190744A (zh) * 2014-09-22 2014-12-10 陈明友 一种钢带平滑方法及装置
CN108213116A (zh) * 2016-12-22 2018-06-29 无锡市斯威克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焊带校直装置
KR20200064813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포스코 위치교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CN109604378A (zh) * 2018-12-24 2019-04-12 杭州恒创机电有限公司 拉弯矫直机
CN109604378B (zh) * 2018-12-24 2024-06-11 杭州恒创精密机械有限公司 拉弯矫直机
KR102208682B1 (ko) * 2020-06-25 2021-01-28 (주)재원산업기계 강관 제조용 언코일러장치
KR102344340B1 (ko) * 2020-12-22 2021-12-27 조창환 금속판재 평탄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828B1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28B1 (ko) 레벨러
CA2981418C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ed shaped steel
RU2534651C2 (ru) Станок с переменной линейной геометрией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труб квадратного сечения
JP5435944B2 (ja) ロール成形機およびハット形状をロール成形する方法
KR101779334B1 (ko) 가변 두께 판재 성형용 롤 포밍 장치
JP6618669B2 (ja) 曲げ加工器
SE1001228A1 (sv) Rullformningsmaskin och sätt att rullforma ett plant ämne med variabel bredd
RU2294808C2 (ru) Гиб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истов
JP3848945B2 (ja) 可変幅ロール成形装置
JP2005508753A5 (ko)
RU25103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чист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еременной структуры для стан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
KR101121081B1 (ko) 횡방향 포밍장치 및 포밍성형기
JP2016193442A (ja) プレス成形装置
JP2013116491A (ja) 条鋼圧延機用ガイド装置
KR20120077116A (ko) 금속판재의 곡면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259357B1 (ko) 롤 레이저 용접장치
RU2365445C1 (ru) Листоправильная машина
CN102716941A (zh) 一种铜带上下压平矫正装置
US1973458A (en) Guiding mechanism
CN107755465A (zh) 一种用于多根涂锡铜带同时校直装置
KR100599075B1 (ko) 롤포밍기
JP5966991B2 (ja) H形鋼の曲がり矯正装置
KR101332780B1 (ko) 무구동 각도 교정기
RU2228230C2 (ru) Листоправильная машина (варианты)
KR200158582Y1 (ko) 5롤 벤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