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689A -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689A
KR20130113689A KR1020120036080A KR20120036080A KR20130113689A KR 20130113689 A KR20130113689 A KR 20130113689A KR 1020120036080 A KR1020120036080 A KR 1020120036080A KR 20120036080 A KR20120036080 A KR 20120036080A KR 20130113689 A KR20130113689 A KR 20130113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game
activity information
user terminal
game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현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3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689A/ko
Publication of KR2013011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PC방 등급 결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게임활동 정보와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LASS OF PC CAFE}
본 발명은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플레이의 장소로 많이 활용되는 PC방에 대한 제휴 강화와 등급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의 기호에 맞는 PC방을 더욱 더 찾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PC방 운영자들은 무비용 등급 상승을 위해 PC방 사용자들의 왕성한 게임 활동을 유도하게 하는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게임은 네트워크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온라인 문화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이다. 온라인 게임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을 요구하게 되었고, 현재는 매우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이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다량의 컴퓨터가 전용선등의 인터넷 접속 통신회선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편하게 인터넷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는 PC방에서 널리 플레이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국내 PC방의 경우는 단순하게 프리미엄 제휴(유료)를 한 PC방과 제휴를 하지 않은 PC방으로 구분이 되어 있어서, 세분화된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비용 지불에 대한 PC방 업주들의 불만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게임플레이의 장소로 많이 활용되는 PC방에 대한 제휴 강화와 등급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의 기호에 맞는 PC방을 더욱 더 찾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PC방 운영자들은 무비용 등급 상승을 위해 PC방 사용자들의 왕성한 게임 활동을 유도하게 하는 PC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PC방 등급 결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게임활동 정보와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또는 아이템 구매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가 높을수록 상기 PC방 등급은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별로 상기 게임활동 정보를 상기 PC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점수로 정량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후,상기 게임서버에 저장된 상기 PC방의 기존 등급과 상기 결정된 PC방 등급을 비교하는 단계;상기 기존의 PC방 등급을 상기 결정된 PC방 등급이 상이한 경우, 상기 PC방 등급을 상기 결정된 PC방 등급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PC방 등급을 상기 PC방의 표시 등급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PC방 등급에 따라 상기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의 무료 아이템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방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PC방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무료 아이템 범위는 커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또는 아이템 구매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가 높을수록 상기 PC방 등급은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설정된 시간 단위별로 상기 게임활동 정보를 상기 PC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점수로 정량화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장치로서,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인식부; 상기 사용자단말인식부에 의하여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부;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하여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게임활동정보수집부; 및상기 게임활정정보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PC방등급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또는 아이템 구매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C방등급결정부는 상기 게임활동 정보가 높을수록 상기 PC방 등급을 높게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하여 게임활동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별로 상기 게임활동 정보를 상기 PC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점수로 정량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C방 등급 관리 장치는 상기 PC방등급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을 상기 PC방 표시 등급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장치로서,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인식부; 상기 사용자단말인식부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부;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하여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게임활동정보수집부;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PC방등급결정부; 및상기 PC방등급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에 따라 상기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의 무료 아이템 범위를 결정하는 보상범위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상범위결정부는 상기 PC방등급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PC방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무료 아이템 범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또는 아이템 구매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C방등급결정부는 게임활동 정보가 높을수록 상기 PC방 등급을 높게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C방등급결정부는 상기 PC방에 속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하여 PC방 등급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C방등급결정부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별로 상기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PC방 등급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점수로 정량화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PC방 등급 결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게임활동 정보와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PC방 등급에 따라 상기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의 무료 아이템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PC방에 대한 등급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PC방별 보상을 등급에 따라 달리함으로써, 게임플레이의 장소로 많이 활용되는 PC방에 대한 제휴 강화와 등급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결과, 사용자들이 자신의 기호에 맞는 PC방을 더욱 더 찾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PC방 운영자들은 무비용 등급 상승을 위해 PC방 사용자들의 왕성한 게임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관리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1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네트워크”“온라인”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게임 서버” 또는 “온라인 게임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서버에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게임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의 게임의 운영을 위한 게임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또한 게임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PC방에 대한 등급을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 예를 들면 컴퓨터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 게임활동을 기준으로 결정하며, 상기 게임활동의 정보는 정량적인 수치(포인트)로 환산될 수 있는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횟수, 아이템 구매액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이들 각각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PC방 관리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한다(S110). 즉, 본 발명은 게임활동이 활발한 정도에 따라 PC방 등급을 결정하므로,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컴퓨터)의 ID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 서버는 이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한다(S120). 즉, 본 발명에 따른 PC방 등급관리 방법은 특정 게임에 대한 게임활동 정보를 측정하며, 이는 해당 PC방의 정보와 정보가 확인된 상기 PC방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게임활동 정보(지수)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현된다(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임활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 수집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게임활동 정보는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한 접속시간, 게임 아이템 구매액, 구매횟수, 접속자 수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량적인 데이터는 점수 형태로 계량될 수 있다. 이후 PC방 등급 결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게임활동 정보와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비교한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PC방 등급을 결정짓는 파라미터로 사용되며,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는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임활동 정보-PC방 등급의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PC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개별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한 것으로, 이는 일 또는 월 등과 같은 기준 시간범위에 따라 총합된다.
이후,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PC방 등급을 결정하는데(S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PC방 등급 결정은 PC방 등급-게임활동 정보 사이의 기설정된 기준을 따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각각 구비한 A PC방과 B PC 방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일, 주 또는 월 단위와 같은 기설정된 시간 범위 동안 상기 PC방에서의 게임 서버 접속시간이 계측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시간은 각 개별 사용자 단말의 접속시간이 아니라, 해당 PC방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의 접속시간을 총합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 PC방은 주간 1100시간의 접속시간이었으나, B PC방은 2000시간이 넘는 접속시간이 측정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시간을 게임활동 정보로 하여, PC 방 등급과 접속시간 사이의 등급 기준이 있으며, 상기 기준에 따르면 A PC방은 2등급, B PC방은 1등급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임활동 정보가 높을수록 PC 방 등급이 높아지며, 이러한 경쟁체제를 통하여 게임 운영자는 PC방 운영자의 적극적인 게임 프로모션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기조의 등급을 다시 갱신하여, 향상시키는 방식의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 PC방의등급은 2등급에 해당되며, 상기 2등급은 A PC방등급으로 저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후 다음의 소정 시간 범위 동안의 게임활동 정보가 수집되며,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인 접속시간은 2000시간을 초과하였다. 이는 도 5에 개시된 등급 기준에 따르면, 1 등급에 해당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서버에 저장된 상기 PC방의 기존 표시등급과 상기 결정된 PC방 등급과 비교되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기존의 PC방 등급, 즉, 2 등급과 새롭게 결정된 PC방 등급(1 등급)이 상이하다는 것이 판단되어, 새롭게 재결정된 상기 PC방 등급(1 등급)을 상기 PC방의 표시등급으로 변경,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으로, PC 방 등급에 따라 상이한 보상 아이템을 PC방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기반의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고(S210),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한다(S220). 이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데(S230), 게임활동 정보에 따른 PC방 등급 결정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으니, 이하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결정한 PC방 등급에 따라 상기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의 무료 아이템 범위를 결정한다(S24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PC방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PC방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무료 아이템 범위가 커지며, 이로써 높은 등급의 PC방에 접속된 사용자는 보다 많은 무료 아이템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로써 PC방 운영자는 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고객 확보가 용이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게임활동 정보에 따른 등급 향상 방식은 비용 지불에 따른 등급 향상 방식과 별도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돈을 지불함으로써 등급을 올리는 경우라고 하여도, 그 등급 향상은 한계가 있고, 그 한계 이상의 등급 향상은 이러한 게임정보 활동에 의해서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PC방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게임 운영자는 PC방 사용자로부터 게임에 대한 높은 충성도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1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인식부(110)가 개시된다. 사용자단말인식부(11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사용되는 해당 PC방을 인식하여, 분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인식부(110)에 의하여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장치는 상기 접속감지부(120)에 의하여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게임활동정보수집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활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 수집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게임활동 정보는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한 접속시간, 게임 아이템 구매액, 구매횟수, 접속자 수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량적인 데이터는 점수 형태로 계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게임활동 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의 총합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다시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는 PC방등급결정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PC방등급결정부(140는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130)에 의하여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한다. 즉, 게임 접속 시간 등과 같은 게임활동 정보가 높을수록 PC방 등급을 높게 결정하며, PC방 등급이 높을수록 무료 아이템과 같은 많은 보상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는 상기 PC방등급결정부(140)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을 상기 PC방 등급으로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일정 주기로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PC방 등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등급에 따라 PC방에 제공하는 무료 아이템을 차별하여, 제공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장치는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인식부(210); 사용자단말인식부(210)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부(220); 및 게임활동정보수집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230)에 의하여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PC방등급결정부(240)를 포함하며, 이는 도 11과 동일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PC방에 대한 보상인 무료 아이템의 양과 범위를 상기 PC방등급결정부(40)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에 따라 달리 결정하는 보상범위결정부(2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범위결정부(250)는 상기 상기 PC방등급결정부(240)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PC방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무료 아이템 범위를 증가시키며, 이로써 PC방은 보다 많은 고객확보가 가능하고, 게임 운영자는 PC방 운영자에 의한 게임에 대한 활발한 프로모션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보상 아이템 제공 방법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장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단말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PC방 등급 결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게임활동 정보와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및 아이템 구매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별로 상기 게임활동 정보를 상기 PC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점수로 정량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후,
    상기 게임서버에 저장된 상기 PC방의 기존 등급과 상기 결정된 PC방 등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존의 PC방 등급을 상기 결정된 PC방 등급이 상이한 경우, 상기 PC방 등급을 상기 결정된 PC방 등급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PC방 등급을 상기 PC방의 표시 등급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7.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PC방 등급에 따라 상기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리워드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및 아이템 구매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별로 상기 게임활동 정보를 상기 PC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
  11.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장치로서,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인식부;
    상기 사용자단말인식부에 의하여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부;
    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하여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게임활동정보수집부; 및
    상기 게임활정정보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PC방등급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및 아이템 구매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게임활동 정보를 총합하여 게임활동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별로 상기 게임활동 정보를 상기 PC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C방등급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을 상기 PC방 표시 등급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
  16.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장치로서,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인식부;
    상기 사용자단말인식부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부;
    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하여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게임활동정보수집부;
    상기 게임활동정보수집부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PC방등급결정부; 및
    상기 PC방등급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PC방 등급에 따라 상기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리워드 범위를 결정하는 보상범위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활동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시간, 아이템 구매 횟수, 및 아이템 구매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장치.
  18.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게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PC방 등급 결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게임활동 정보와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9.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PC방의 등급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버가 상기 PC 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C 방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서버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게임활동 정보에 따라 상기 PC방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PC방 등급에 따라 상기 PC방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리워드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 등급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36080A 2012-04-06 2012-04-06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113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80A KR20130113689A (ko) 2012-04-06 2012-04-06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80A KR20130113689A (ko) 2012-04-06 2012-04-06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689A true KR20130113689A (ko) 2013-10-16

Family

ID=4963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080A KR20130113689A (ko) 2012-04-06 2012-04-06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6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162B1 (ko) * 2014-09-23 2016-02-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피씨방 접속자에 대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차등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34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162B1 (ko) * 2014-09-23 2016-02-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피씨방 접속자에 대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차등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34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492B2 (en)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2934113A (zh) 信息提供系统、信息提供方法、信息提供设备、程序和信息记录介质
KR20130104574A (ko) 유료 아이템 구매에 따른 보상 방법 및 서버
KR101295615B1 (ko) 그룹 순위에 따른 보상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976816B1 (ko) SaaS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의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130113689A (ko) 피씨방 등급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288476B1 (ko) 보상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123073A (ko) 온라인을 통한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297805B1 (ko) Pc방 추천 서버, 이를 이용한 pc방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147486A1 (en)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313241B1 (ko) 아이템 거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140357378A1 (en) Method for providing item collection event and server
US112220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014827B2 (ja) 予想遊技データ公開システム
KR101309099B1 (ko) 추첨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55216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랙 감지 방법 및 서버
KR20130114315A (ko) 보너스 부여 방식의 통합 온라인 게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078106B1 (ko) 디바이스의 컨텐츠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개인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06832B1 (ko) 이벤트 아이템 수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289720B1 (ko) 온라인 게임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280394B1 (ko) 게임 아이템 이용기간 연장 방법, 이를 구현하는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297692B1 (ko) 가상 레벨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808181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게임 플레이 제공 방법
KR101221243B1 (ko) 단일 데이터 테이블 구조를 이용한 아이템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130100844A (ko) 웹 사이트 상의 사용자 반응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