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845A - 열회수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열회수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845A
KR20130110845A KR1020120033122A KR20120033122A KR20130110845A KR 20130110845 A KR20130110845 A KR 20130110845A KR 1020120033122 A KR1020120033122 A KR 1020120033122A KR 20120033122 A KR20120033122 A KR 20120033122A KR 20130110845 A KR20130110845 A KR 2013011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exhaust
supply
heat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812B1 (ko
Inventor
김성유
서기동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81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흡입구(11)와 내기배출구(12)가 마련되고, 건물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급기구(13)와 내기흡입구(14)가 마련되며 중앙에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각각의 모서리가 벽면의 각 내측면 중앙에 밀착되면서 네 개의 모서리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실내, 외기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외기흡입구(11)측 및 내기흡입구(14)측의 열교환기(20) 인접부에 각각 설치되는 필터(30)와, 상기 내, 외기의 흐름을 관장하는 급, 배기팬(41,42) 및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필터(30)의 점검 시기를 인지시켜주는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필터의 상태 파악 및 필터 관리가 용이하게 되면서 먼지 퇴적 등에 의한 엘리먼트의 수명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으로 열교환 효율 증대 및 풍량손실의 최소화를 통한 경쟁력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열회수형 환기장치{Heat recovery type ventilator}
본 발명은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로 상기 급, 배기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튜브 및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로 이루어진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후 필터의 점검 시기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도록 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아파트나 주택의 경우에는 시공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실내의 밀폐성이 크게 향상되어, 창문 등을 개방하지 않고서는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급기 및 환기가 이루어지는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송풍기의 작동으로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환기하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것으로, 외부 공기를 흡,배기하는 통로인 실외흡,배기덕트와, 실내 공기를 흡,배기하는 통로인 실내흡,배기덕트로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교차시켜 전열교환하는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공급되는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온도차이를 이용해 잠열을 교환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실외의 더운 공기나 찬 공기가 실내로 그대로 유입되지 않아,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실내온도를 급격하게 높이거나 낮추지 않게 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흡입구(11)와 내기배출구(12)가 마련되고 건물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급기구(13)와 내기흡입구(14)가 마련되며 중앙에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각각의 모서리가 벽면의 각 내측면 중앙에 밀착되면서 네 개의 모서리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실내, 외기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외기흡입구(11)측 및 내기흡입구(14)측의 열교환기(20) 인접부에 각각 설치되는 필터(30) 및 상기 내, 외기의 흐름을 관장하는 급, 배기팬(41,4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환기장치 작동시 급, 배기팬(41,42)에 의해 외부공기는 외기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후 필터(30)와 열교환기(20)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외기급기구(13)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그리고, 환기가 이루어진 내부공기는 내기흡입구(14)를 통해 흡입된 후 필터(30)와 열교환기(20)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내기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입되는 외기와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은 각각 필터(30)에 의해 걸러지고, 열교환기(20)에 의해서는 실외의 더운 공기나 찬 공기가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지 않아,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실내온도를 급격하게 높이거나 낮추지 않게 하여 열손실을 방지하여 실내로 급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환기가 이루어지는 동안 급,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 부유물질 등은 필터에 의해 걸러지며, 이렇게 걸러진 부유물질 등은 필터 점검 및 청소 등을 통해 제거되어 원활한 급,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 필터의 오염 정도 및 상태 등을 인지시켜 주기 위한 알림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필터청소알림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기 위해 제조시 설정된 운전누적시간에 도래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필터(30)의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상기와 같이 환기장치의 운전누적시간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필터의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단순히 운전시간이 경과된 정도만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정확한 필터의 상태를 파악할 수가 없으며, 지역적인 편차에 따라 공기오염정도가 심한 지역에서는 운전누적시간이 도래하기 전에 필터 교환의 필요성이 있되, 공기오염이 덜한 지역에서는 운전누적시간이 초과한 상태에서도 필터의 상태가 양호하여 운전누적시간만으로 필터의 정확한 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없고, 필터의 점검 시기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인지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인지수단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기장치의 장기간 사용시 또는 먼지가 많은 지역에서는 단기간 사용시에도 필터가 막히게 되면서 전반적으로 환기장치의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장치 내부의 부품(엘리먼트)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로 상기 급, 배기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튜브 및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로 이루어진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변화를 감지한 후 필터의 점검 시기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필터의 상태 파악 및 필터 관리가 용이하게 되면서 먼지 퇴적 등에 의한 엘리먼트의 수명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으로 열교환 효율 증대 및 풍량 손실의 최소화를 통한 경쟁력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흡입구와 내기배출구가 마련되고, 건물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급기구와 내기흡입구가 마련되며 중앙에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각각의 모서리가 벽면의 각 내측면 중앙에 밀착되면서 네 개의 모서리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실내, 외기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 상기 외기흡입구측 및 내기흡입구측의 열교환기 인접부에 각각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내, 외기의 흐름을 관장하는 급, 배기팬: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필터의 점검 시기를 인지시켜주는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은,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 상기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을 안내하는 안내튜브; 및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은 상기 급,배기팬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튜브는 그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급,배기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튜브는 상기 내기배출구의 테두리인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내기배출구로 직진 연장되어 상기 내기배출구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급,배기팬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로 상기 급, 배기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튜브 및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로 이루어진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변화를 감지한 후 필터의 점검 시기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필터의 상태 파악 및 필터 관리가 용이하게 되면서 먼지 퇴적 등에 의한 엘리먼트의 수명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으로 열교환 효율 증대 및 풍량손실의 최소화를 통한 경쟁력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차압감지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흡입구(11)와 내기배출구(12)가 마련되고, 건물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급기구(13)와 내기흡입구(14)가 마련되며 중앙에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각각의 모서리가 벽면의 각 내측면 중앙에 밀착되면서 네 개의 모서리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실내, 외기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외기흡입구(11)측 및 내기흡입구(14)측의 열교환기(20) 인접부에 각각 설치되는 필터(30)와, 상기 내, 외기의 흐름을 관장하는 급, 배기팬(41,42) 및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필터(30)의 점검 시기를 인지시켜주는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은,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51)와, 상기 압력센서(51)로 상기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튜브(52) 및 상기 압력센서(51)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알림부(53)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단을 강구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압력센서(51)의 신호을 전달받아 음향을 발생시키는 알람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미도시)의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상기 압력센서(51)의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은 상기 급,배기팬(41,42)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내튜브(52)는 그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급,배기팬(41,4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튜브(52)는 상기 내기배출구(12)의 테두리인 상기 하우징(10)에 밀착 고정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압력센서(51)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내기배출구(12)로 직진 연장되어 상기 내기배출구(12)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급,배기팬(41,4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튜브(52)는 직관 형상의 동 파이프나 실리콘 호스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그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안내튜브(52)를 상기 내기배출구(12)의 테두리인 상기 하우징(10)에 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일단부를 상기 압력센서(51)와 연결시킨 후, 그 타단부를 상기 내기배출구(12)로 직진 연장시켜 상기 내기배출구(12)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팬(4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51)는 다시 별도의 알람 등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알림부(53)와 연결시킴으로써 그 설치가 완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환기장치를 작동시키면 급, 배기팬(41,42)에 의해 외부공기는 외기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필터(30)와 열교환기(20)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외기급기구(13)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그리고, 환기가 이루어진 내부공기는 내기흡입구(14)를 통해 흡입되어 필터(30)와 열교환기(20)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내기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입되는 외기와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은 각각 필터(30)에 의해 걸러지고,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실외의 고온의 공기나 혹은 저온의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온도와 열교환작용되어 실내로 급기됨으로써, 실외의 공기가 실내온도를 급격하게 높아지게 하거나 혹은 낮아지게 하지 않아 열손실이 방지된다.
이렇게 일정시간 환기를 수행하다가 필터(30)에 어느 정도 먼지가 쌓이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급, 배기 공기 흐름 압력에도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는 이 공기 흐름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안내튜브(5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도 같은 변화(이른바, 정압 변화)가 발생되며, 이를 압력센서(51)가 감지한 후 알림부(53)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필터(30)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로 상기 급, 배기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튜브 및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로 이루어진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후 필터의 점검 시기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필터의 상태 파악 및 필터 관리가 용이하게 되면서 먼지 퇴적 등에 의한 엘리먼트의 수명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으로 열교환 효율 증대 및 풍량손실의 최소화를 통한 경쟁력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외기흡입구
12 : 내기배출구 13 : 외기급기구
14 : 내기흡입구 20 : 열교환기
30 : 필터 41 : 급기팬
42 : 배기팬 51 : 압력센서
52 : 안내튜브 53 : 알림부

Claims (5)

  1.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흡입구(11)와 내기배출구(12)가 마련되고, 건물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각각 외기급기구(13)와 내기흡입구(14)가 마련되며 중앙에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각각의 모서리가 벽면의 각 내측면 중앙에 밀착되면서 네 개의 모서리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실내, 외기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20);
    상기 외기흡입구(11)측 및 내기흡입구(14)측의 열교환기(20) 인접부에 각각 설치되는 필터(30); 및
    상기 내, 외기의 흐름을 관장하는 급, 배기팬(41,4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필터(30)의 점검 시기를 인지시켜주는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은,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는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51);와
    상기 압력센서(51)로 상기 급, 배기 공기 흐름의 압력을 안내하는 안내튜브(52); 및
    상기 압력센서(51)의 감지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알림부(5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점검시기 인지수단은 상기 급,배기팬(41,42)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튜브(52)는 그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급,배기팬(41,4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튜브(52)는 상기 내기배출구(12)의 테두리인 상기 하우징(10)에 밀착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압력센서(51)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내기배출구(12)로 직진 연장되어 상기 내기배출구(12)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급,배기팬(41,4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20120033122A 2012-03-30 2012-03-30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134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22A KR101349812B1 (ko) 2012-03-30 2012-03-30 열회수형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22A KR101349812B1 (ko) 2012-03-30 2012-03-30 열회수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845A true KR20130110845A (ko) 2013-10-10
KR101349812B1 KR101349812B1 (ko) 2014-01-14

Family

ID=4963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122A KR101349812B1 (ko) 2012-03-30 2012-03-30 열회수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7999A (zh) * 2018-02-05 2018-06-15 深圳市悦享电器有限公司 新风机
RU2664961C1 (ru) * 2017-08-08 2018-08-23 Дмитрий Викторович Коновалов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ое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2730B (zh) * 2015-08-07 2018-11-30 苏州艾尔新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新风净化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22B1 (ko) * 2008-12-30 2010-09-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폐열회수형 환기장치용 공기 청정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4961C1 (ru) * 2017-08-08 2018-08-23 Дмитрий Викторович Коновалов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ое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8167999A (zh) * 2018-02-05 2018-06-15 深圳市悦享电器有限公司 新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812B1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37197B (zh) 具有冷媒检测传感器的空气调节装置的室内单元
KR102425661B1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210063A (ja) 空気調和機用室内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ならびに熱交換器の汚れ検出方法
KR20070019355A (ko) 환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CN112739958B (zh) 空调装置以及送风风扇的转速调节方法
JPWO2018198165A1 (ja) 冷媒検知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349812B1 (ko) 열회수형 환기장치
US20200149762A1 (en) Biosafety Cabinet and Inspection Method of Exhaust Duct Connection
CN115427735A (zh) 用于包括制冷剂回路的热泵且具有制冷剂泄漏传感器的天花板安装式空调单元
JP6167297B2 (ja) 換気装置
KR100706881B1 (ko) 전열교환기
JP6982727B2 (ja)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JP5994101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14163551A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15064170A (ja) 空調部材と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
KR20210004550A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715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2255580A (ja) 同時給排型熱交換換気装置
CN206095876U (zh) 一种负压式复合传感器及新风机
JP5959498B2 (ja) 加湿器及び空調装置
JP2015143580A (ja) 換気装置および給排型換気装置
KR100582458B1 (ko) 환기장치
KR101314627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냉매누설감지장치
JP4997888B2 (ja) 換気装置
JP648266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