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61B1 -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61B1
KR102425661B1 KR1020170173240A KR20170173240A KR102425661B1 KR 102425661 B1 KR102425661 B1 KR 102425661B1 KR 1020170173240 A KR1020170173240 A KR 1020170173240A KR 20170173240 A KR20170173240 A KR 20170173240A KR 102425661 B1 KR102425661 B1 KR 10242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fferential pressure
alarm
air supply
suppl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136A (ko
Inventor
이기성
김선식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17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서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차압을 이용함으로써 필터의 막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환기장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 상기 제1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 상기 제1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상기 필터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센서;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막힘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VENTIL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차압을 감지하여 필터의 막힘 판단을 수행하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장치가 설치된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실내는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실내공간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나 먼지 등을 실내에서 제거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실내온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환기장치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데, 일정 시간 이상 환기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필터는 2~3개월에 1회 이상, 헤파필터는 6개월~1년 사이에 필터를 교체하고 있다. 비교적 큰 먼지를 걸러주는 프리필터는 작은 먼지를 걸러주는 헤파필터보다 먼저 막히므로 프리필터는 헤파필터에 비해 청소 주기가 짧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는 환기장치가 설치된 주변환경 또는 날씨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다. 예를 들면, 환기장치가 설치된 지역에서 먼지 발생량이 많거나 황사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가 짧아진다. 이와 반대로 환기장치가 설치된 지역에서 먼지 발생량이 적거나 황사가 자주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가 길어진다.
이와 같이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필터에 먼지가 많이 쌓여 필터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환기성능이 저하된 상태로 환기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가 도래했다고 판단하여 점검한 결과 필터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6881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팬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필터교체주기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경우 팬모터 또는 팬의 회전축 등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팬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이 가변될 수 있어 필터교체주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기장치에서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차압을 이용함으로써 필터의 막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필터의 막힘 여부를 동시에 판단할 수 있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필터의 막힘 판단이 가능한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와 청소가 필요한 경우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황에 맞는 점검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 상기 제1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 상기 제1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센서;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막힘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제2급기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1필터와 상기 제2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2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압센서가 설치되는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필터의 전방에 연통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필터의 후방에 연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실에서 제2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대면하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필터와 전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압센서가 설치되는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공간에 연통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실외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한 필터 후방에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차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제2급기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1필터와 상기 제2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2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필터의 후방에 연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실에서 제2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대면하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필터와 전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가 연통하는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공간은 실외와 실내 사이에 위치하는 실외기실일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가 연통하는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공간은 상기 실내일 수 있다.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차압으로부터 상기 필터의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는 프리필터이고, 상기 제2필터는 헤파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서의 차압을 차압센서에서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차압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기준값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차압이 상기 기준값을 충족시킨 경우 상기 필터의 막힘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 이전에 알람이 1차로 발생하고, 그 후 상기 a) 내지 c)단계의 제어가 추가로 이루어져 상기 알람이 2차로 발생한 경우, 상기 1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제1경과시간과 상기 1차 알람 이후 2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제2경과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경과시간보다 상기 제2경과시간이 짧은 경우, 상기 2차 알람에는 상기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차 알람에는 상기 필터의 청소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차 알람은 상기 필터의 주기적인 점검을 알리기 위해 설정시간 마다 알람을 발생시키는 정기알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가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압센서는 복수의 필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차압을 이용함으로써 필터의 막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의 막힘 여부를 동시에 판단함으로써 필터 청소 또는 교체 주기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외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실외공기의 유동시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차압 측정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 막힘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회의 알람 사이의 경과시간을 비교하여 서로 다른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와 청소가 필요한 경우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는 상황에 맞는 점검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압센서가 나타난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압센서가 나타난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이 나타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환기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환기모드를 기준으로 할 때,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10), 상기 제1배기실(1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20),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30), 상기 제1급기실(3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40), 상기 제1급기실(30)에서 제2급기실(40)로 유동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60), 상기 필터(60)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센서(100;도 2), 상기 차압센서(100)에서 측정된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60)의 막힘을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배기실(10)의 실내측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11)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환기댐퍼(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실(20)의 실외측에는 실내공기가 실외측으로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구(21)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배기실(20)에는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강제흡인하는 배기용 송풍기(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기실(30)의 실외측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공기 유입구(31)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의 내측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외기댐퍼(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급기실(40)의 실내측에는 실외공기가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실외공기 배출구(41)가 구비된다. 상기 제2급기실(40)에는 실외공기를 실내측으로 강제흡인하는 급기용 송풍기(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실(10)에서 제2배기실(20)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30)에서 제2급기실(40)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열교환기(50)는 그 내부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는 환기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운전모드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설정된 운전모드로 운전을 수행한다.
상기 필터(60)는 상기 제1급기실(30)과 대면하는 상기 전열교환기(5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60)는 상기 전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필터(60)는 헤파필터, 프리필터, 미디움필터, 탈취필터 등 다양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필터(60)는, 상기 제1급기실(30) 측에 위치하는 프리필터(61), 상기 전열교환기(50) 측에 위치하는 헤파필터(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압센서(100)는 실외공기가 제1급기실(30)과 제2급기실(4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터(61,62)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차압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필터(61,62)는 프리필터(61)와 헤파필터(62) 2개를 예시하였으나, 3개 이상의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압센서(100)는 실외공기가 상기 3개 이상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차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압센서(100)는 상기 복수의 필터(61,62) 중 상기 제1급기실(30)에 가장 가깝게 설치되는 제1필터(61)의 전단과 상기 제2급기실(40)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2필터(62)의 후단 사이의 차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압센서(100)는 압력측정관(1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는 상기 복수의 필터(61,62) 중 상기 제1급기실(30)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1필터(61)의 전방인 제1급기실(30) 내부의 공간에 연통하고, 상기 압력측정관(110)의 타측 단부(102)는 상기 제2급기실(40)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2필터(62)의 후방인 제2필터(62)와 전열교환기(50) 사이의 공간(S1)에 연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필터 막힘으로 판단할 수 있는 차압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압센서(100)로부터 측정된 차압이 상기 차압 기준값을 충족시키는 경우 필터 막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필터 막힘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람발생부는 사용자에게 필터 막힘을 소리, 또는 문자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압센서(100)를 이용하게 되므로 종래 팬모터 또는 팬의 회전축 등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팬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이 변함에 따른 측정 오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필터 막힘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공기가 복수의 필터(61,62)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필터(61,62)에서의 막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필터(62)는 막히고, 제1필터(61)가 막히지 않은 경우 제1필터(61) 전후의 차압만 측정하게 되면, 실제로는 제2필터(62)가 막혀 환기장치의 환기성능이 저하되어 있음에도 필터 막힘으로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62)는 막히지 않고 제1필터(61)가 막힌 경우 제2필터(62) 전후의 차압만 측정하게 되면, 실제로는 제1필터(61)가 막혀 환기장치의 환기성능이 저하되어 있음에도 필터 막힘으로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필터(61)와 제2필터(62)에서 각각의 막힘을 판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개의 차압센서를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하면, 상기 차압센서(100)는 실외공기가 복수의 필터(61,62)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차압을 측정함으로써 복수의 필터(61,62) 중 어느 하나의 필터에서만 막힘이 발생하더라도 차압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차압의 변화로부터 제어부에서는 필터 막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압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차압센서(100) 만으로도 복수의 필터(61,62)에서의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필터(61,62)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측정관(110)의 타측 단부(102)가 제2필터(62)와 전열교환기(50) 사이의 공간(S1)에 연통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압력측정관(110)의 타측 단부(102)가 제2급기실(40)에 연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압력측정관(110)의 타측 단부(102)가 제2필터(62)와 전열교환기(50) 사이의 공간(S1)에 연통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차압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급기실(40)에는 급기용 송풍기(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기용 송풍기(42)가 가동되면 급기용 송풍기(42)의 주위에서 실외공기가 난류가 형성될 수 있다. 차압센서(100)에서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동압을 제외하고, 정압이 작용하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실외공기가 난류가 형성되면 차압센서(100)에 동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나아가 상기 공간(S1)의 전방에는 제1필터(6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전열교환기(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간(S1)의 전후방에서 실외공기의 난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력측정관(110)의 타측 단부(102)가 제2필터(62)와 전열교환기(50) 사이의 공간(S1)에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압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환기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환기장치(1)는 실내와 실외 사이에 형성된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있고, 제1 내지 제4덕트(71,72,73,74)가 구비되어 있으며,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가 실외기실의 내부공간에 연통한다는 점에서 도 1과 도 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11)와 실내 사이는 제1덕트(71),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21)와 실외 사이는 제2덕트(72),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와 실외 사이는 제3덕트(73),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41)와 실내 사이는 제4덕트(74)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필터(60) 전후방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해 차압센서(100)가 설치되는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가 환기장치(1)의 외부공간인 실외기실에 연통하고, 타측 단부(102)는 제2필터(62)와 전열교환기(50) 사이의 공간(S1)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실은 상기 환기장치(1) 내부의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인 제3덕트(73), 제1급기실(30), 전열교환기(50), 제2급기실(40), 제4덕트(74)의 내부공간과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가 실외기실에 연통하도록 구성하면, 실외기실에는 공기의 유동이 없으므로, 차압센서(100)에는 동압이 작용하지 않고 정압만이 작용하므로, 차압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기실은 실외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먼지 등이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에 쌓이지 않아 차압센서(100)의 오작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이 경우 상기 환기장치(1)가 실외기실이 아닌 실내에 설치된 경우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를 상기 실내에 연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공간은 상기 제1배기실(10) 또는 제2급기실(40)이 연통하는 실내일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는 환기모드로 가동시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의 유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환기장치(1)가 설치된 실내에는 공기의 유동에 의한 동압이 작용하지 않고 정압만 작용하므로, 차압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는 먼지가 필터(60)에서 여과된 후의 실외공기가 유입되므로 먼지 등이 압력측정관(110)의 일측 단부(101)에 쌓이지 않아 차압센서(100)의 오작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전열교환기(50)가 구비된 환기장치(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은 전열교환기(50)가 구비되지 않은 환기장치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1은 차압센서(100)에서 필터(60)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차압센서(100)에서 측정된 차압 정보는 제어부에 수신된다.
단계 S202는 상기 측정된 차압이 차압 기준값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이다. 판단결과 측정된 차압이 차압 기준값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필터 막힘으로 판단하여 단계 S2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01로 진행한다.
단계 S203은 알람발생부에서 1차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1차 알람은 상기 필터(60)의 청소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알람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필터(60) 청소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필터(60)를 청소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에는 1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경과시간인 제1경과시간을 타이머(미도시)에서 측정하여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1차 알람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제1경과시간은 환기장치(1)가 설치된 때부터 1차 알람이 발생한 때까지의 경과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 S204와 단계 S205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필터(60)에서의 차압을 측정하여 차압 기준값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측정된 차압이 차압 기준값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S2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단계 S206은 제1경과시간과 제2경과시간을 비교하여 경과시간이 단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 알람이 발생한 때부터 단계 S205에서의 판단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경과시간(즉, 1차 알람이 발생한 때부터 단계 S207, S208의 2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경과시간)인 제2경과시간을 타이머에서 측정한다. 상기 제1경과시간과 제2경과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2경과시간이 제1경과시간에 비해 더 짧아 경과시간이 단축된 경우에는 상기 필터(60)의 오염이 청소로 해결되지 않고, 필터(60)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20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필터(60)의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단계 S208로 진행한다.
단계 S207은 필터(60)에 대한 교체가 필요하다는 교체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이고, 단계 S208은 필터(60)에 대한 청소가 필요하다는 청소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교체알람과 청소알람은 알람발생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체 또는 청소에 대한 문자정보, 음성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고, 알람 램프의 색깔로 교체 또는 청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필터(60)에서의 차압을 복수회 측정하여 각각의 경과시간을 비교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1차 알람은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필터 점검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정기알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시간인 4000h가 경과되어 필터(60)의 청소 또는 교환 등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정기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정기알람 발생 후 2000h 또는 3000h 경과 후 측정된 차압이 차압 기준값을 충족하여 2차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2차 알람은 상기 필터(60)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교체알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필터(60)의 막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필터(6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와 청소가 필요한 경우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는 상황에 맞는 점검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필터(60)가 프리필터(61)와 헤파필터(62)를 포함하는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알람의 종류에 따라 프리필터(61)를 청소할 것인지, 헤파필터(62)를 교체할 것인지 미리 알 수 있어, 필터의 점검작업이 용이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 환기장치 10 : 제1배기실
11 : 실내공기 유입구 12 : 환기댐퍼
20 : 제2배기실 21 : 실내공기 배출구
22 : 배기용 송풍기 30 : 제1급기실
31 : 실외공기 유입구 32 : 외기댐퍼
40 : 제2급기실 41 : 실외공기 배출구
42 : 급기용 송풍기 50 : 전열교환기
60 : 필터 61 : 프리필터
62 : 헤파필터 71 : 제1덕트
72 : 제2덕트 73 : 제3덕트
74 : 제4덕트 100 : 차압센서
110 : 압력측정관

Claims (15)

  1.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 상기 제1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 상기 제1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센서;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막힘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알람이 1차로 발생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서의 차압을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차압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여, 상기 측정된 차압이 상기 기준값을 충족시킨 경우 상기 필터의 막힘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람을 2차로 발생시키되, 상기 2차로 발생된 알람에는 상기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제1경과시간과 상기 1차 알람 이후 2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제2경과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경과시간보다 상기 제2경과시간이 짧은 경우, 상기 2차 알람에는 상기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제2급기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1필터와 상기 제2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2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압센서가 설치되는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필터의 전방에 연통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필터의 후방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실에서 제2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대면하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필터와 전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센서가 설치되는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공간에 연통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실외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한 필터 후방에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차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제2급기실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1필터와 상기 제2급기실에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2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필터의 후방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실에서 제2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에서 제2급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는 상기 제1급기실과 대면하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압력측정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필터와 전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가 연통하는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공간은 실외와 실내 사이에 위치하는 실외기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관의 일측 단부가 연통하는 상기 환기장치의 외부공간은 상기 실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차압으로부터 상기 필터의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는 프리필터이고, 상기 제2필터는 헤파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삭제
  12. a)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서의 차압을 차압센서에서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차압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기준값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차압이 상기 기준값을 충족시킨 경우 상기 필터의 막힘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 이전에 알람이 1차로 발생하고, 그 후 상기 a) 내지 c)단계의 제어가 추가로 이루어져 상기 알람이 2차로 발생한 경우, 상기 2차 알람에는 상기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1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제1경과시간과 상기 1차 알람 이후 2차 알람이 발생하기까지의 제2경과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경과시간보다 상기 제2경과시간이 짧은 경우, 상기 2차 알람에는 상기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알람에는 상기 필터의 청소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알람은, 상기 필터의 주기적인 점검을 알리기 위해 설정시간 마다 알람을 발생시키는 정기알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압센서는 복수의 필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73240A 2017-12-15 2017-12-15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2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40A KR102425661B1 (ko) 2017-12-15 2017-12-15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40A KR102425661B1 (ko) 2017-12-15 2017-12-15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136A KR20190072136A (ko) 2019-06-25
KR102425661B1 true KR102425661B1 (ko) 2022-07-27

Family

ID=6706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240A KR102425661B1 (ko) 2017-12-15 2017-12-15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977B (zh) * 2019-07-31 2021-06-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新风设备及其清洁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系统
KR20210117977A (ko)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 장치에 구비된 필터 교체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210118493A (ko)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KR102587899B1 (ko) * 2023-01-31 2023-10-10 (주) 마스윈 열회수형 환기장치용 필터의 교체 시기 판정 시스템
KR102614252B1 (ko) * 2023-02-24 2023-12-15 (주) 마스윈 열회수형 환기장치용 필터의 교체 시기 판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9176A (ja) * 2014-06-03 2017-07-13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oway Co., Ltd. 空気浄化機、そのフィルタの交換時期決定方法、及びフィルタの交換時期差圧決定装置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982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태성 실내공기의 환기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9176A (ja) * 2014-06-03 2017-07-13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oway Co., Ltd. 空気浄化機、そのフィルタの交換時期決定方法、及びフィルタの交換時期差圧決定装置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136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661B1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33949B1 (ko) 환기장치
CN107076438B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KR102506019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100075B1 (ko) 필터관리와 풍량저하방지가 가능한 환기시스템
KR102381927B1 (ko) 환기장치
JP2015210063A (ja) 空気調和機用室内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ならびに熱交換器の汚れ検出方法
KR102287901B1 (ko) 환기장치
CN109990441B (zh)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KR101902455B1 (ko) 보일러의 급기부 필터
JP2015190687A (ja) 換気装置
JP6711802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およびその排気ダクト接続の検査方法
KR20160114846A (ko) 클린룸 시스템
WO2020059378A1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送風ファンの回転速度調整方法
JP2010255960A (ja) 熱交換換気装置
CN104958961A (zh) 一种自洁式空气净化装置
KR102426191B1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58256B2 (ja) 換気装置
KR100706881B1 (ko) 전열교환기
KR101349812B1 (ko) 열회수형 환기장치
CN112815412A (zh) 一种用于控制洁净区域净化系统送风量的装置和方法
JP2019100588A (ja)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KR20210004550A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4811B1 (ko) 에코 마스터 환기시스템
KR20170082850A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센서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