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493A -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8493A KR20210118493A KR1020200034755A KR20200034755A KR20210118493A KR 20210118493 A KR20210118493 A KR 20210118493A KR 1020200034755 A KR1020200034755 A KR 1020200034755A KR 20200034755 A KR20200034755 A KR 20200034755A KR 20210118493 A KR20210118493 A KR 202101184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fferential pressure
- air
- pressure sensor
- filter
- ventila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 급기실,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급기실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1 급기실에서 제2 급기실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필터의 측면에 구비되어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관을 구비한 측면 부재와, 바이패스된 공기로부터 필터의 흡기측 및 배기측간의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와, 바이패스 관과 차압 센서 사이에 구비되어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을 포함하며, 차단 모듈은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 모드에서만 개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 장치는 건물 내부의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 장치에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며, 이러한 필터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 차압 센서가 사용된다.
이러한 환기 장치에 사용되는 차압 센서는 환경적으로 외부 공기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의 경우에는 상시 먼지 등 이물질에 노출되기 때문에 수명이 단축되며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정 시간 이상 환기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므로 주기적으로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필터의 교체 주기를 소비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차압 센서의 수명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수명 예측을 위한 차압 데이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 급기실,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급기실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급기실에서 상기 제2 급기실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관을 구비한 측면 부재; 바이패스된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필터의 흡기측 및 배기측간의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 및 상기 바이패스 관과 상기 차압 센서 사이에 구비되어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 모듈은,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 모드에서만 개방되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바이패스 관과 차압 센서 사이에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을 추가하고,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 모드에서만 개방함으로써, 차압 센서의 수명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환기 장치에 실내 순환 모드 및 유로를 형성하고, 차압 센서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 순환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수명 예측을 위한 차압 데이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압 센서가 적용된 환기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를 타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에 차압 센서 및 차단 모듈이 부착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실내 순환 모드인 청정 모드와 환기 모드에서 차압 센서에서 측정된 차압 데이터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술한 환기 장치에 구비된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압 센서가 적용된 환기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를 타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에 차압 센서 및 차단 모듈이 부착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실내 순환 모드인 청정 모드와 환기 모드에서 차압 센서에서 측정된 차압 데이터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술한 환기 장치에 구비된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압 센서가 적용된 환기 장치(2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한편,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를 타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면 부재에 차압 센서 및 차단 모듈이 부착된 도면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10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 배기실(110), 제1 배기실(11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 배기실(120),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 급기실(130), 제1 급기실(13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급기실(140), 제1 배기실(110)에서 제2 배기실(120)로 유동하는 공기와 제1 급기실(130)에서 제2 급기실(140)로 유동하는 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50), 제1 급기실(130)에서 제2 급기실(140)로 유동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장치(100)는 필터(160)의 측면에 구비되어 필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관(211, 212)을 구비한 측면 부재(210)와, 바이패스된 공기로부터 필터(160)의 흡기측 및 배기측간의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220), 바이패스 관(211, 212)과 차압 센서(220) 사이에 구비되어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단 모듈(230)은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 모드에서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차압 측정 모드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 순환 모드('청정 모드'라고도 함)일 수 있다.
한편, 실내 순환 모드의 구현을 위해 공기의 제1 배기실(110)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제1 급기실(130)을 통해 다시 실내로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통로(17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배기실(110)의 실내측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구(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배기실(110)의 일측에는 순환통로(170)와 제1 배기실(110) 사이에 형성된 제1 배기실 개방구(173)를 개폐하기 위한 제1 순환 댐퍼(17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순환 댐퍼(172)는 일측단의 힌지(171)를 중심으로 플레이트가 회동되는 전동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기실(120)의 일측에는 실내공기가 실외측으로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구(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 배출구(121)에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배기댐퍼(1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기실(120)의 내부에는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강제흡인하는 배기용 송풍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급기실(130)의 실외측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공기 유입구(131)가 구비되고, 제1 급기실(130)의 일측에는 순환통로(170)와 제1 급기실(130) 사이에 형성된 제1 급기실 개방구(176)를 개폐하기 위한 제2 순환댐퍼(17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순환댐퍼(175)는 일측단의 힌지(174)를 중심으로 플레이트가 회동되는 전동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외공기 유입구(131)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급기댐퍼(1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급기실(130)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3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급기실(140)의 실내측에는 실외공기가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실외공기 배출구(141)가 구비되고, 제2 급기실(140)의 내부에는 실외공기를 실내측으로 강제흡인하는 급기용 송풍기(143)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그 내부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급기실(130)과 대면하는 열교환기(150)의 일측면에는 환기모드시 급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순환모드시 순환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60)가 구비될 수 있다.
순환통로(170)는 제1 배기실(110)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제2 급기실(130)을 통해 다시 실내로 순환시키기 위해, 제1 배기실(110)과 제1 급기실(130)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순환통로(170) 내부에도 순환용 송풍기(178), 필터(1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순환용 송풍기(178)는 실내순환모드시 가동되어 제1 배기실(110)로부터 제1 급기실(130)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실내순환모드시에는 급기용 송풍기(143)가 가동되어 실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실내공기의 순환 유로에 작용하는 유로저항을 감안하여 순환용 송풍기(178)를 추가로 가동하여 실내 공기의 순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필터(177)는 순환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공기를 청정 상태로 만든 후 실내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순환통로(170)가 제1 급기실(130)에 연결되어 있어 실내순환모드시 실내공기는 제1 급기실(130)에서 필터(160) 및 열교환기(150)를 통과한 후 제2 급기실(140)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되는 실내공기는 순환통로(170) 내부의 필터(177)를 거친 후 열교환기(150)에 구비된 필터(160)도 거치게 된다. 따라서 공기청정을 위한 하나의 필터(177)만 추가하더라도 기존의 필터(160)도 통과하게 되므로 더욱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필터(160)는 제1 급기실(130)과 대면하는 열교환기(15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160)는 열교환기(15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필터(160)는 헤파필터, 프리필터, 미디움필터, 탈취필터 등 다양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필터(160)의 측면에는 필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바이스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관(211, 212)을 구비한 측면 부재(210), 바이패스된 공기로부터 필터(160)의 흡기측 및 배기측간의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220), 바이패스 관(211, 212)과 차압 센서(220) 사이에 구비되어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이패스 관(211, 212)은 측면 부재(210)에 관통 형성되어 필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관(211), 유입관(211) 및 차압 센서(220) 사이에 체결되어 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압 센서(220)로 안내하는 유입관 연결부(211a), 측면 부재(210)에 관통 형성되어 차압 센서(220)를 통과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관(212), 유출관(212) 및 차압 센서(220) 사이에 체결되어 차압 센서(220)를 통과한 공기를 유출관(212)으로 안내하는 유출관 연결부(21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차단 모듈(230)은, 유입관 연결부(211a) 및 유출관 연결부(212a)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차단 모듈(230)은, 예를 들면 솔레노이브 밸브일 수 있으나,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솔레노이브 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유입관(211)은 공기가 유입되는 필터(160)의 흡기측이 속한 제1 급기실(130) 내부의 공간과 연통하며, 유출관(212)은 공기가 유출되는 필터(160)의 배기측과 열교환기(150) 사이의 내부 공간(S1)과 연통할 수 있다.
한편, 측면 부재(210)의 일면에는 도 2,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 연결부(211a) 또는 유출관 연결부(212a)를 통과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214)와, 차압 센서(220)를 상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부재(2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측면 부재(210)의 안착 부재(213)에 안착된 차압 센서(220)와, 고정 부재(214)를 통과하는 유입관 연결부(211a) 또는 유출관 연결부(212a)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압 센서(220)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 순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실내 순환 모드인 청정 모드와 환기 모드에서 차압 센서에서 측정된 차압 데이터를 비교 도시한 것으로, (a)는 환기 모드의 강풍과 청정 모드의 강풍 조건 하에서 측정한 차압 데이터이며, (b)는 환기 모드의 약풍과 청정 모드의 약풍 조건 하에서 측정한 차압 데이터이며, (c)는 환기 모드의 미풍과 청정 모드의 미풍 조건 하에서 측정한 차압 데이터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환기 모드의 경우 청정 모드에 비하여 측정된 차압 데이터의 변화폭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청정 모드에서 차압을 측정함으로써, 필터의 수명 예측을 위한 차압 데이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바이패스 관과 차압 센서 사이에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을 추가하고,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 모드에서만 개방함으로써, 차압 센서의 수명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환기 장치에 실내 순환 모드 및 유로를 형성하고, 차압 센서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 순환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수명 예측을 위한 차압 데이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술한 환기 장치에 구비된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600)는 차압 센서(220), 온도센서(610), 차압보정모듈(620), 제어모듈(630), 차단모듈(230) 및 디스플레이 모듈(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기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 이하에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 센서(22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필터(160)의 흡기측 공기 압력과 배기측 공기 압력간의 차압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차압은 후술하는 제어모듈(63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은 필터 수명 리셋 신호의 입력에 따라 필터 수명 리셋 플래그가 설정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동작 주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압 센서(220)는 소정의 주기로 복수 회에 걸쳐 측정된 차압의 평균값을 차압으로 구하되, 상술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시점을 기산점으로 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안정화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차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압 센서(220)는 필터 수명 리셋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측정된 차압을 초기 차압 및 이전 차압으로 갱신하고, 필터의 누적 동작 시간을 초기화할 수 있다.
또는, 차압 센서(220)는 필터 수명 리셋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이전 차압 대비 차압 증가율이 기 설정된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필터 교체 확인 팝업을 디스플레이하며, 이전 차압 대비 차압 증가율이 기 설정된 차압 이하이면 측정된 차압을 이전 차압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60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소정의 안정화 시간은 차압 센서(220)의 기 설정된 안정화 시간 및 온도 센서(610)의 기 설정된 안정화 시간 중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600)는 온도센서(61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측정된 차압을 온도 보정하는 차압 보정 모듈(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600)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소정의 시간은 차압 센서(220)의 기 설정된 안정화 시간 및 습도 센서의 기 설정된 안정화 시간 중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600)는 습도 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측정된 습도에 기초하여 측정된 차압을 보정하는 차압 보정 모듈(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어모듈(630)은 측정된 차압에 기초하여 필터(160)의 잔여 수명을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630)은 초기 차압 및 측정된 차압으로부터 차압 증가량을 구하고, 기 설정된 목표 차압 증가량 및 차압 증가량으로부터 차압에 의한 제1 필터 수명을 구하며, 기 설정된 목표 가동 시간 및 필터의 누적 가동 시간으로부터 가동 시간에 의한 제2 필터 수명을 구하고, 제1 필터 수명 및 제2 필터 수명에 가중치를 곱하여 필터의 잔여 수명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모듈(630)은 필터 수명 리셋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필터의 잔여 수명과 이전 잔여 수명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 필터의 잔여 수명이 이전 잔여 수명 이상이면 이전 잔여 수명을 잔여 수명으로 갱신하며, 필터의 잔여 수명이 이전 잔여 수명 미만이면 잔여 수명을 이전 잔여 수명으로 갱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모듈(640)은 연산된 필터의 잔여 수명이 기 설정된 잔여 수명 이하이면 필터의 교체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600)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 순환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에 구비된 필터 교체 알림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 모듈"은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로직 회로, 어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 펌웨어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환기 장치
110: 제1 배기실
120: 제2 배기실 130: 제1 급기실
140: 제2 급기실 150: 열교환기
160: 필터 170: 순환통로
200: 차압 센서가 적용된 환기 장치 210: 측면 부재
211, 212: 바이패스 관 220: 차압 센서
230: 차단 모듈 600: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
610: 온도센서 620: 차압보정모듈
630: 제어모듈 640: 디스플레이 모듈
120: 제2 배기실 130: 제1 급기실
140: 제2 급기실 150: 열교환기
160: 필터 170: 순환통로
200: 차압 센서가 적용된 환기 장치 210: 측면 부재
211, 212: 바이패스 관 220: 차압 센서
230: 차단 모듈 600: 필터의 교체 알림 장치
610: 온도센서 620: 차압보정모듈
630: 제어모듈 64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8)
-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 급기실,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급기실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급기실에서 상기 제2 급기실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관을 구비한 측면 부재;
바이패스된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필터의 흡기측 및 배기측간의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 및
상기 바이패스 관과 상기 차압 센서 사이에 구비되어 바이패스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 모듈은,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 모드에서만 개방되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은,
상기 측면 부재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차압 센서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차압 센서로 안내하는 유입관 연결부;
상기 측면 부재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차압 센서를 통과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관; 및
상기 유출관 및 상기 차압 센서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차압 센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유출관으로 안내하는 유출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모듈은, 상기 유입관 연결부 및 상기 유출관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모듈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에는,
상기 유입관 연결부 또는 상기 유출관 연결부를 통과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 및
상기 차압 센서를 상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부재가 더 형성된,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필터의 흡기측이 속한 상기 제1 급기실 내부의 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유출관은, 공기가 유출되는 상기 필터의 배기측과 열교환기 사이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센서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 순환 모드에서 동작하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 배기실;
상기 제1 배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 배기실; 및
공기의 차압 측정시 상기 제1 배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제1 급기실을 통해 다시 실내로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통로;
를 더 포함하는,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통로는,
상기 제1 배기실과 상기 제1 급기실의 측부에 구비된,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755A KR20210118493A (ko) | 2020-03-23 | 2020-03-23 |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CN202022557286.7U CN214664957U (zh) | 2020-03-23 | 2020-11-06 | 设置有差压传感器的换气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755A KR20210118493A (ko) | 2020-03-23 | 2020-03-23 |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8493A true KR20210118493A (ko) | 2021-10-01 |
Family
ID=7844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4755A KR20210118493A (ko) | 2020-03-23 | 2020-03-23 |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18493A (ko) |
CN (1) | CN214664957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2136A (ko) | 2017-12-15 | 2019-06-25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20
- 2020-03-23 KR KR1020200034755A patent/KR20210118493A/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06 CN CN202022557286.7U patent/CN214664957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2136A (ko) | 2017-12-15 | 2019-06-25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4664957U (zh) | 2021-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3258B1 (ko) | 외기냉방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 |
KR102100075B1 (ko) | 필터관리와 풍량저하방지가 가능한 환기시스템 | |
KR20210117977A (ko) | 환기 장치에 구비된 필터 교체 알림 장치 및 방법 | |
KR102128654B1 (ko) | 음압형 특수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 |
KR20110048099A (ko) |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EP3851752B1 (en) | Ventilation device and ventilation control method | |
JP4640360B2 (ja) | 給排気システム | |
KR102425661B1 (ko) |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9091454B2 (en) | Air change rate measurement and control | |
KR101221240B1 (ko) |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 |
JP2006329440A (ja) | 圧力制御ユニット | |
KR20200109528A (ko) | 환기장치 | |
KR101808120B1 (ko) | 실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 시스템 | |
KR100583004B1 (ko) |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 |
KR20210118493A (ko) | 차압 센서를 구비한 환기 장치 | |
KR102242853B1 (ko) | 환풍기의 필터 수명 알람 시스템 | |
CN106949592B (zh) | 外部风量分配系统 | |
JP2014009823A (ja) | 空気調和装置 | |
KR101349812B1 (ko) | 열회수형 환기장치 | |
CN115135933B (zh) | 用于空调器单元的气体传感系统 | |
JP2004301350A (ja) | 換気装置 | |
KR102288375B1 (ko) | 미세먼지 필터모듈을 포함한 공기조화시스템 | |
KR102473104B1 (ko) | 공기 조화 시스템 | |
US2023040021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air conditioner discharge rate | |
KR20200116302A (ko) | 필터 차압을 이용한 동파방지 공기조화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