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108A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108A
KR20130110108A KR1020130033551A KR20130033551A KR20130110108A KR 20130110108 A KR20130110108 A KR 20130110108A KR 1020130033551 A KR1020130033551 A KR 1020130033551A KR 20130033551 A KR20130033551 A KR 20130033551A KR 20130110108 A KR20130110108 A KR 2013011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ember
synchronization rate
cylinder
valu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616B1 (ko
Inventor
유지 사토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11Velocity
    • B29C2945/7612Velocity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18Injection unit
    • B29C2945/76187Injection unit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18Injection unit
    • B29C2945/7619Injection unit barrel
    • B29C2945/76193Injection unit barrel barrel-chamber
    • B29C2945/76197Injection unit barrel barrel-chamber screw ante-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344Phase or stage of measurement
    • B29C2945/76367Me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822Phase or stage of control
    • B29C2945/76846Me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929Controlling method
    • B29C2945/76933The operating conditions are corrected immediately, during the same phase or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929Controlling method
    • B29C2945/76939Using stored or historical data sets
    • B29C2945/76943Using stored or historical data sets compare with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초기의 설정작업시의 유저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사출성형기는, 제1 실린더와, 제1 실린더에 접속되는 제2 실린더와, 제1 실린더에 설치되어, 동작시에 제1 실린더 내의 성형재료를 제2 실린더를 향하여 전진시키는 제1 구동부재와, 제2 실린더에 설치되어, 제1 구동부재와 동기하여 동작하며, 제1 구동부재에 의하여 제1 실린더 내로부터 공급된 제2 실린더 내의 성형재료를 전진시키는 제2 구동부재와, 정보출력장치를 구비하고, 정보출력장치는, 제1 구동부재의 동작속도에 관련된 제1 설정치와, 제2 구동부재의 동작속도에 관련된 제2 설정치의 비의 추천치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출원은, 2012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07443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2개 실린더를 이용하여 성형재료가 반송(계량)되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 종류의 사출성형기는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9-90614호
그런데, 이런 종류의 사출성형기에서는, 2개의 실린더 내에서 각각의 스크루(구동부재)가 서로 동기하여 동작함으로써, 성형재료가 반송(계량)된다. 그러나, 이들 구동부재의 동작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시행착오를 요하여, 사출성형기의 유저에 있어서 초기의 설정작업의 부하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런 종류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초기의 설정작업시의 유저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에 접속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에 설치되어, 동작시에 상기 제1 실린더 내의 성형재료를 상기 제2 실린더를 향하여 전진시키는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2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와 동기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1 구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실린더 내로부터 공급된 상기 제2 실린더 내의 성형재료를 전진시키는 제2 구동부재와,
정보출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출력장치는, 상기 제1 구동부재의 동작속도에 관련된 제1 설정치와, 상기 제2 구동부재의 동작속도에 관련된 제2 설정치의 비의 추천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런 종류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초기의 설정작업시의 유저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에 사용되어도 되는 사출장치(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에서 사용되어도 되는 정보출력장치(1)의 주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16)의 구축방법의 일례(실시예 1)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방법의 일례(실시예 1)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16)의 구축방법의 다른 일례(실시예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방법의 다른 일례(실시예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에 사용되어도 되는 사출장치(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출성형기는 도시하지 않은 금형장치, 형체(型締)장치 및 사출장치(31)를 가지고, 금형장치는, 제1 금형으로서의 고정금형 및 제2 금형으로서의 가동금형을 구비하고, 형체장치는, 고정금형이 장착된 고정플래튼, 및 가동금형이 장착된 가동플래튼을 구비하며, 형체용 실린더가 가동플래튼을 진퇴시킴으로써 금형장치의 형폐, 형체 및 형개가 행해진다. 다만, 형체장치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전자식의 형체장치여도 되고, 토글기구를 이용한 형체장치여도 된다.
사출장치(31)는, 가열실린더(17)와, 그 가열실린더(17)의 전단에 배치된 사출노즐(18)과, 가열실린더(17)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메인스크루(20)와, 가열실린더(17)의 외주에 장착된 히터(h11~h13)와, 가열실린더(17)의 후방에 배치된 구동장치(101)를 포함한다. 구동장치(101)는, 사출용 모터나 계량용 모터를 포함한다.
메인스크루(20)는, 스크루본체(52)와, 그 스크루본체(52)보다 전방에 배치된 사출부(46)로 이루어지고, 후단의 축부(51)를 통하여 구동장치(101)와 연결된다. 스크루본체(52)는, 플라이트부(45), 및 전단에 있어서, 플라이트부(4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압력부재(54)를 구비하고, 플라이트부(45)는, 봉형상의 본체부분(45a), 및 그 본체부분(45a)의 외주면에 돌출시켜 형성된 나선형상의 플라이트(53)를 구비하며, 그 플라이트(53)를 따라 나선형상의 홈(67)이 형성된다. 다만, 압력부재(54)를 배치하는 일 없이, 스크루본체(52)의 전체에 걸쳐 플라이트부를 형성해도 된다.
사출부(46)는, 선단에 원추형의 부위를 구비한 헤드부(55), 그 헤드부(55)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로드(rod)부(56), 그 로드부(56)의 주위에 배치된 역류방지링(57), 및 압력부재(54)의 전단에 장착된 씰링(58)으로 이루어진다.
계량공정시에, 메인스크루(20)가 후퇴됨에 따라, 로드부(56)에 대하여 역류방지링(57)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씰링(58)으로부터 멀어지면, 역류방지장치(62)에 의한 씰이 해제된다. 또한, 사출공정시에, 메인스크루(20)가 전진됨에 따라, 역류방지링(57)이 로드부(56)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어, 씰링(58)에 맞닿으면, 역류방지장치(62)에 의한 씰이 행해진다.
가열실린더(17)의 후단의 근방에는, 성형재료 공급구로서의 수지공급구(65)가 형성되고, 그 수지공급구(65)는, 메인스크루(20)를 가열실린더(17) 내에 있어서의 전진한계위치에 둔 상태에 있어서, 홈(67)의 후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수지공급구(65)에는, 수지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81)가 장착된다. 투입부(81)의 상단에는, 펠릿형상의 수지를 수용하는 호퍼(82)가 장착된다. 그 호퍼(82)에 수용된 수지는, 투입부(81)를 통해 수지공급구(65)에 보내지고, 그 수지공급구(65)로부터 가열실린더(17) 내로 공급된다.
투입부(81)는,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실린더부(83), 그 실린더부(83)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도록 배치된 통형상의 안내부(84), 실린더부(83)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피드스크루(85), 그 피드스크루(85)를 회전시키는 피드모터(86), 실린더부(83)의 외주에 배치된 히터(h21) 등을 구비하며, 실린더부(83)는, 후단에 있어서 호퍼(82)와 연결되고, 전단에 있어서 안내부(84)와 연통된다.
피드모터(86)를 구동하여 피드스크루(85)를 회전시키면, 호퍼(82) 내의 수지는, 실린더부(83) 내로 공급되어, 피드스크루(85)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전진되고, 그 동안에 히터(h21)에 의하여 가열되고, 예열되어, 피드스크루(85)의 전단으로부터 안내부(84) 내로 보내지며, 그 안내부(84) 내를 낙하하여, 가열실린더(17) 내로 공급된다.
계량공정시에, 피드모터(86)를 정방향으로 구동함과 함께, 구동장치(101)의 계량용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호퍼(82) 내의 수지는, 실린더부(83) 내로 공급되어, 피드스크루(85)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전진되고, 그 사이에 히터(h21)에 의하여 가열되고, 예열되어, 피드스크루(85)의 전단으로부터 안내부(84) 내로 보내지며, 그 안내부(84) 내를 낙하하여, 가열실린더(17) 내로 공급된다. 다만, 실린더부(83) 내에 있어서 수지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 예컨대, 유리(glass)전이(轉移)점 이하의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다.
가열실린더(17) 내로 공급된 수지는, 홈(67)을 따라 전진됨과 함께, 히터(h11~h13)에 의하여 가열되어, 용융된다. 다만, 수지는, 압력부재(54)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압력상승 개시점으로부터 스크루본체(52)의 전단(前端)에 걸쳐 전진됨에 따라, 압력이 점차 높아진다.
계속해서, 수지는, 가열실린더(17)와 압력부재(54) 사이의 수지유로를 통과하여, 더욱 압력이 높아지고, 그 동안에, 충분히 혼련된 후, 가열실린더(17)와 로드부(56) 사이의 수지유로를 통과하여 전진되어, 스크루헤드의 전방으로 보내진다. 다만, 계량공정시에, 메인스크루(20)에 배압을 가하기 위하여, 구동장치(101)의 사출용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동되어, 메인스크루(20)의 후퇴를 억제한다.
사출공정시에는, 구동장치(101)에 의하여 메인스크루(20)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전진된다. 메인스크루(20)가 전진되면, 스크루헤드의 전방으로 보내진 수지는, 사출노즐(18)로부터 사출되어, 금형장치의 캐비티공간에 충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에서 사용되어도 되는 정보출력장치(1)의 주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출력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장치(10)와, 표시장치(12)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출력장치(1)는, 임의적인 구성으로서 입력장치(14)를 포함해도 된다. 정보출력장치(1)에는, 데이터베이스(16)가 접속된다. 다만, 데이터베이스(16)는, 정보출력장치(1)에 내장되어도 된다.
처리장치(10)는, 임의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처리장치(10)는, 예컨대 CPU를 포함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표시장치(12)는, 액정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임의의 표시장치여도 된다. 표시장치(12)는, 사출성형기의 제어화면을 제공하는 것이어도 된다. 표시장치(12)는, 처리장치(10)에 의한 제어하에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동기율(同期率)의 추천치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다만, 이 표시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력장치(14)는, 사출성형기의 유저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입력장치(14)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임의의 유저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예컨대, 입력장치(14)는, 표시장치(12)를 구성하는 터치패널디스플레이 상에 형성되는 터치스위치여도 된다.
데이터베이스(16)는,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과 같은 임의의 기억장치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데이터베이스(16)는, 정보출력장치(1)와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하여 접속되어도 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6)는, 착탈식의 기억매체로 구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 기억매체는, 사용시에, 정보출력장치(1)의 소정의 슬롯에 삽입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6)는, 외부의 서버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정보출력장치(1)는, 네트워크회선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6)에 액세스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6)는, 정보출력장치(1) 내에 장착된 소정의 메모리여도 된다. 이 경우, 소정의 메모리는, ROM과 같은 덮어쓰기 불가능한 메모리여도 되고, EEPROM과 같은 덮어쓰기 가능한 메모리여도 된다. 후자의 경우, 데이터베이스(16) 내의 정보는,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갱신되어도 된다. 데이터베이스(16)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동기율의 추천치 등의 정보를 격납한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16)의 구축방법의 일례(실시예 1)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작업은, 예컨대 사출성형기의 메이커에 의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스텝 300에서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을 결정한다. 다만, 피드스크루(85)는, 직경 등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피드스크루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스크루(20)는, 직경 등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메인스크루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스텝 302에서는, 상기 스텝 300에서 결정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된다. 여기서, 동기율이란,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에 대한 피드스크루(85)의 회전수의 비, 즉(피드스크루(85)의 회전수)/(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이다. 동기율의 추천치의 도출방법은, 임의이며, 시행착오를 수반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예컨대, 동기율을 변경하면서, 실제로 사출성형기를 동작시켜 각종 데이터를 비교·검증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다만, 추천치는, 어디까지나 제조사의 독자적인 기준에 근거하는 것이며, 동일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대해서도, 메이커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스텝 304에서는, 모든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모든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300으로 되돌아와, 새로운 다른 조합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된다(스텝 302). 이와 같이 하여, 모든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된다. 다만,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관하여, 특정의 조합에만 적합한 사출성형기의 기종도 있고, 다수의 조합에 적합한 사출성형기의 기종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모든 사출성형기가 고려되며, 생각할 수 있는 베리에이션(변화)의 각 조합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된다. 단,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에는, 스텝 304를 생략해도 된다.
스텝 306에서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각 조합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된다. 이때, 동기율의 추천치는, 대응하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관련되어 기억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베이스(16)에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각 조합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기억된다. 다만, 도 3에 나타내는 처리는, 새로운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이 가능해진 경우에, 실행되어도 되고, 이 경우, 당해 새로운 조합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데이터베이스(16)에 추가되어도 된다.
도 4는,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방법의 일례(실시예 1)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루틴은, 정보출력장치(1)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루틴은,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이 필요한 타이밍에 실행되어도 된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루틴은,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를 초기설정(또는 조정)하는 작업이 개시될 때(예컨대 유저로부터 입력장치(14)를 통해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실행되어도 된다.
스텝 400에서는, 정보출력장치(1)가 탑재되어 있는 사출성형기에 실장되어 있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이 특정된다.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은, 유저에 의한 입력데이터에 근거하여 특정되어도 되고, 메이커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특정되어도 된다.
스텝 402에서는, 상기 스텝 400에서 특정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기율의 추천치를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추출한다. 다만, 데이터베이스(16)는, 상기 서술과 같이 외부데이터베이스나 외부장착메모리여도 되고, 정보출력장치(1)에 내장되는 메모리여도 된다. 데이터베이스(16)가 정보출력장치(1)에 내장되는 메모리인 경우로서, 당해 정보출력장치(1)가 탑재되어 있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용 가능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이 유일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6)에는, 당해 유일한 조합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기억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처리장치(10)는, 단순히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어 있는 동기율의 추천치를 읽어내면 된다.
스텝 404에서는, 상기 스텝 402에서 추출한 동기율의 추천치를 표시장치(12) 상에 출력한다.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 태양은 임의이지만, 예컨대 "동기율의 추천치=α"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해도 된다. 동기율에 대해서는, 유저매뉴얼 등으로 유저에게 주지되어 있어도 되지만, 동기율의 설명(정의)에 대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다만, 동기율의 추천치는, 표시에 의하여 출력하는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음성에 의하여 출력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처리에 의하면, 유저는, 사출성형기에 실장되어 있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이 동기율의 추천치를 기준으로 하여 피드스크루(85)의 회전수 및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사출성형기의 유저에 있어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의 초기설정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된다.
다만, 도 4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동기율의 추천치를 출력하고 있지만, 동기율의 추천치에 더하여, 동기율의 추천범위(추천가변(可變)범위)를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는, 동기율의 추천치와 마찬가지로, 미리 메이커측에서 도출되어(도 3 참조),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된다.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는, 동기율의 하한치와 상한치에 의하여 표현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는, 동기율의 추천치와 복합적으로 표시되어도 된다. 예컨대,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의 표시 내에 동기율의 추천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출력되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처리에 있어서, 스텝 402에서, 상기 스텝 400에서 특정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기율의 추천치가, 데이터베이스(16)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당해 조합에 대응하는 동기율의 추천치는, 다른 조합에 대응하는 동기율의 추천치(데이터베이스(16)에 존재하는 동기율의 추천치)로부터 환산하여 도출되고, 출력되어도 된다. 이때, 스크루직경의 상위(相違)에 근거하는 소정의 환산식(또는 보간식)이 이용되어도 된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16)의 구축방법의 다른 일례(실시예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작업은, 예컨대 사출성형기의 메이커에 의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스텝 500에서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재료)를 결정한다.
스텝 502에서는, 상기 스텝 500에서 결정된 수지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된다. 다만, 추천치는, 어디까지나 메이커의 독자적인 기준에 근거하는 것이며, 동일한 수지에 대해서도, 메이커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스텝 504에서는, 모든 수지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모든 수지에 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500으로 되돌아오고, 새로운 다른 수지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된다(스텝 502).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수지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된다. 다만, 여기서,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되는 각 수지는, 종류가 상위한 수지여도 된다. 또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되는 각 수지는, 수지에 혼합하는 혼합물(예컨대 유리섬유 등)의 유무나 그 비율에 상위성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도출되는 각 수지는, 재생재인지의 여부나, 재생재가 혼합되어 있는지의 여부나, 그 비율에 상위성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스텝 506에서는, 각 수지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된다. 이때, 동기율의 추천치는, 대응하는 수지에 관련되어 기억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베이스(16)에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상이한 각 수지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기억된다. 다만, 도 5에 나타내는 처리는, 새로운 수지가 사용 가능하게 된 경우에, 실행되어도 되며, 이 경우, 당해 새로운 수지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데이터베이스(16)에 추가되어도 된다.
도 6은,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방법의 다른 일례(실시예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처리루틴은, 정보출력장치(1)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처리루틴은,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이 필요한 타이밍에 실행되어도 된다.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처리루틴은,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를 초기설정(또는 조정)하는 작업이 개시될 때(예컨대 유저로부터 입력장치(14)를 통해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실행되어도 된다.
스텝 600에서는, 정보출력장치(1)가 탑재되어 있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용될 수지가 특정된다. 사출성형기에서 사용될 수지는, 임의의 수지입력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되어도 된다. 예컨대, 사출성형기에서 사용될 수지는, 유저에 의한 입력데이터(수지입력정보의 일례)에 근거하여 특정되어도 되고, 메이커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데이터(수지입력정보의 일례)에 근거하여 특정되어도 된다.
스텝 602에서는, 상기 스텝 600에서 특정한 수지에 대응하는 동기율의 추천치를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추출한다. 다만, 데이터베이스(16)는, 상술과 같이 외부데이터베이스나 외부장착메모리여도 되고, 정보출력장치(1)에 내장되는 메모리여도 된다. 데이터베이스(16)가 정보출력장치(1)에 내장되는 메모리인 경우로서, 당해 정보출력장치(1)가 탑재되어 있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용 가능한 수지가 유일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6)에는, 당해 유일한 수지에 관한 동기율의 추천치가 기억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처리장치(10)는, 단순히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어 있는 동기율의 추천치를 읽어내면 된다.
스텝 604에서는, 상기 스텝 602에서 추출한 동기율의 추천치를 표시장치(12) 상에 출력한다. 동기율의 추천치의 출력 태양은 임의이지만, 예컨대 "동기율의 추천치=α"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해도 된다. 동기율에 대해서는, 유저매뉴얼 등으로 유저에게 주지되어 있어도 되지만, 동기율의 설명(정의)에 대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다만, 동기율의 추천치는, 표시에 의하여 출력하는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음성에 의하여 출력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6에 나타내는 처리에 의하면, 유저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용되는 수지에 대하여, 동기율의 추천치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유저가 설정화면에서 수지를 선택하면, 그 수지에 따른 동기율의 추천치가 출력된다. 따라서, 유저는, 이 동기율의 추천치를 기준으로 하여, 피드스크루(85)의 회전수 및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사출성형기의 유저에 있어서,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의 초기설정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해진다.
다만, 도 6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동기율의 추천치를 출력하고 있지만, 동기율의 추천치에 더해, 동기율의 추천범위(추천가변범위)를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는, 동기율의 추천치와 마찬가지로, 미리 메이커측에서 도출되어(도 5 참조), 수지마다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된다.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는, 동기율의 하한치와 상한치에 의하여 표현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는, 동기율의 추천치와 복합적으로 표시되어도 된다. 예컨대, 동기율의 추천가변범위의 표시 내에 동기율의 추천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출력되어도 된다.
다만,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예 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동기율의 추천치는,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각 조합과, 수지에 대응지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각 조합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처리를 각각 실행하면 된다. 이로써, 피드스크루(85) 및 메인스크루(20)의 조합과 수지의 쌍방에 따른 동기율의 추천치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린더부(83)"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1 실린더"에 대응하고, "가열실린더(17)"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2 실린더"에 대응하며, "피드스크루(85)"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1 구동부재"에 대응하고, "메인스크루(20)"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 제2 구동부재"에 대응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일은 없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각종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동기율의 추천치가 출력되고 있지만, 동기율의 추천치 대신에, 동기율과 실질적으로 등가인 추천치가 출력되어도 된다. 예컨대, 피드스크루(85)의 회전수에 대한 메인스크루(20)의 회전수의 비의 추천치가 출력되어도 된다. 또한, 피드스크루(85)를 구동하는 모터의 인가전류 또는 인가전압과 메인스크루(20)를 구동하는 모터의 인가전류 또는 인가전압의 비의 추천치, 피드스크루(85)에 의한 성형재료 공급능력과, 메인스크루(20)에 의한 성형재료 반송가능능력의 비의 추천치가 출력되어도 된다.
1 정보출력장치
10 처리장치
12 표시장치
14 입력장치
16 데이터베이스
17 가열실린더
18 사출노즐
20 메인스크루
31 사출장치
45 플라이트부
52 스크루본체
83 실린더부
85 피드스크루
101 구동장치

Claims (7)

  1.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에 접속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에 설치되어, 동작시에 상기 제1 실린더 내의 성형재료를 상기 제2 실린더를 향하여 전진시키는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2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와 동기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1 구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실린더 내로부터 공급된 상기 제2 실린더 내의 성형재료를 전진시키는 제2 구동부재와,
    정보출력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출력장치는, 상기 제1 구동부재의 동작속도에 관련된 제1 설정치와, 상기 제2 구동부재의 동작속도에 관련된 제2 설정치의 비의 추천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장치는, 상기 비의 추천치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비의 추천치를 취득하여 출력하는, 사출성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장치는, 상기 비의 추천치에 추가하여, 상기 비의 추천범위를 출력하는, 사출성형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2세트 이상의 상기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2 구동부재가 상이한 조합에 대하여, 상기 비의 추천치를 기억하는, 사출성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장치는, 당해 사출성형기에 탑재되는 상기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2 구동부재의 조합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조합에 따른 상기 비의 추천치를 취득하여 출력하는, 사출성형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 및 상기 제2 구동부재는 모두 스크루이고,
    상기 제1 설정치는, 상기 제1 구동부재의 회전수이며,
    상기 제2 설정치는 상기 제2 구동부재의 회전수인, 사출성형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장치는, 수지입력정보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수지에 관한 상기 비의 추천치를 출력하는, 사출성형기.
KR1020130033551A 2012-03-28 2013-03-28 사출성형기 KR101417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4435A JP5893466B2 (ja) 2012-03-28 2012-03-28 射出成形機
JPJP-P-2012-074435 2012-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108A true KR20130110108A (ko) 2013-10-08
KR101417616B1 KR101417616B1 (ko) 2014-07-08

Family

ID=4777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551A KR101417616B1 (ko) 2012-03-28 2013-03-28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44352B1 (ko)
JP (1) JP5893466B2 (ko)
KR (1) KR101417616B1 (ko)
CN (1) CN103358465B (ko)
TW (1) TWI5669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9970B2 (ja) * 2014-03-28 2018-03-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射出成形機の設定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の設定方法
JP7256718B2 (ja) * 2019-09-06 2023-04-1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428U (ja) * 1981-08-24 1983-02-25 宇部興産株式会社 ベント式可塑化成形装置
JPS62132624A (ja) * 1985-12-05 1987-06-15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の原料供給装置
JP2856885B2 (ja) * 1990-10-24 1999-02-10 松下電工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材料供給装置及び計量時間制御方法
JP2663216B2 (ja) * 1991-04-11 1997-10-1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成形機における材料供給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865914B2 (ja) * 1991-09-30 1999-03-08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における原料供給装置の運転条件設定方法
JP2694587B2 (ja) * 1992-05-19 1997-12-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計量方法
GB2269149B (en) * 1992-07-21 1995-07-12 Courtaulds Packaging Ltd Screw feed mechanism
DE4447703C2 (de) * 1993-08-24 2000-11-30 Nissei Plastics Ind Co Spritzverfahren für ungetrocknetes Polyethylen-Terephtalat
IT1274715B (it) * 1993-08-24 1997-07-24 Nissei Plastics Ind Co Metodo di stampaggio ad iniezione di polietilene tereftalato
JPH0857901A (ja) * 1994-08-22 1996-03-05 Meiki Co Ltd 原料供給量の自動設定が可能な射出成形機とその方法
JP3440413B2 (ja) * 2000-06-12 2003-08-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高速射出・高速圧抜きにおけるスクリュ位置制御方法
JP3686328B2 (ja) * 2000-11-15 2005-08-2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2004351661A (ja) * 2003-05-27 2004-12-16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4503532B2 (ja) * 2003-07-17 2010-07-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方法、パージ方法及び成形機
JP2007118214A (ja) * 2005-10-25 2007-05-17 Sumitomo Heavy Ind Ltd 積層射出成形機および積層射出成形方法
JP4390789B2 (ja) * 2006-08-02 2009-12-24 宏平 澤 混練部及び射出部を有する一体化装置
TWI405657B (zh) * 2007-02-09 2013-08-21 Sumitomo Heavy Industries Screw and injection device
JP5240815B2 (ja) * 2007-09-06 2013-07-17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可塑化装置における原料供給量の制御方法
JP4974001B2 (ja) 2007-10-12 2012-07-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及び成形方法
US20110215496A1 (en) * 2010-03-04 2011-09-08 Fujifilm Corporation Injection mol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58465A (zh) 2013-10-23
TWI566916B (zh) 2017-01-21
CN103358465B (zh) 2015-08-26
KR101417616B1 (ko) 2014-07-08
JP5893466B2 (ja) 2016-03-23
EP2644352A2 (en) 2013-10-02
JP2013202942A (ja) 2013-10-07
EP2644352B1 (en) 2019-01-09
EP2644352A3 (en) 2014-05-21
TW201343365A (zh)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980B2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JP5913062B2 (ja) 射出成形機、射出成形システム、および原料計量装置
US9682508B2 (en) Molding machin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417616B1 (ko) 사출성형기
JP6177712B2 (ja) 射出成形機
JP2006289911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EP3100840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2269352B1 (ko) 사출성형기
US1190451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operable with an additive feeder system
JP6305963B2 (ja) 射出成形機支援システムおよび射出成形機支援方法
KR20160137469A (ko)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조작화면
KR101667456B1 (ko) 사출성형기, 사출성형기의 설정장치, 및 사출성형기의 설정방법
JP2011005870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JP5653599B2 (ja) 成形条件設定画面、成形条件設定装置及び成形条件設定方法
US20210001527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2259297B1 (ko) 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
JP4210099B2 (ja) 射出成形機
WO2019078312A1 (ja) 射出成形機
US20220134622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Management Method
KR102422167B1 (ko) 복수의 사출성형기의 통합운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절감 운전방법
JP2023173009A (ja) 射出成形機およびオペレータ支援方法
JP2006305777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JP2010264769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JPH1086198A (ja) 射出成形機の射出制御方法
JPH0744087U (ja) スクリュー固定式加熱シリ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