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231A - 리클라이닝 베드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231A
KR20130109231A KR1020137020845A KR20137020845A KR20130109231A KR 20130109231 A KR20130109231 A KR 20130109231A KR 1020137020845 A KR1020137020845 A KR 1020137020845A KR 20137020845 A KR20137020845 A KR 20137020845A KR 20130109231 A KR20130109231 A KR 2013010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waist
reclining bed
pressing portion
rec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530B1 (ko
Inventor
게이고 마쓰나가
신야 고가
겐타로 후카노
기요미 마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츠
Publication of KR2013010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의 기립시에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해버리는 것을 경감한 리클라이닝 베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지지하는 등받이(9)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한 리클라이닝 베드(1)에 있어서, 등받이(9)의 상면보다도 돌출하여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를 가압하는 허리가압부(14)를 등받이(9)에 형성하기로 했다.
또한 상기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를 연동기구(26)를 통하여 연동시켜 연결하기로 했다.
또한 상기 연동기구(26)는, 상기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를 연동시켜 연결한 연동상태와, 상기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의 연동을 해제한 해제상태로, 상태변경이 가능하게 하기로 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베드{RECLINING BED}
본 발명은, 앙와위(仰臥位)로 횡와(橫臥)하는 사용자의 배후부(背後部)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한 리클라이닝 베드(reclining bed)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개호용(介護用) 등으로 많이 사용되는 베드에 있어서는, 베드에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를 기본 받침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기본 받침대와 등받이의 사이에 구동기구(驅動機構)를 삽입하여 설치한 리클라이닝 베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리클라이닝 베드에서는, 구동기구를 구동시켜서 등받이를 기본 받침대에 대하여 기립(起立)시킴으로써 등받이가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경사모양으로 지지하여, 베드상에서 상반신을 일으킨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557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는, 기본 받침대에 대하여 등받이를 서서히 기립시키면, 그에 따라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상반신도 서서히 일어나 지지만, 등받이의 회전중심과 횡와하는 사용자의 상반신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고, 등받이의 회전중심보다도 상반신의 회전중심쪽이 내측에 위치하므로, 등받이의 기립에 따라 횡와하는 사용자의 복부의 압박이나 배후부의 어긋남에 의한 압박 등으로 불쾌감을 주고 있었다.
그래서, 청구항1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한 리클라이닝 베드에 있어서, 등받이를 기립할 때에 등받이의 상면보다도 돌출하여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를 가압하는 허리가압부를 등받이에 형성하기로 했다.
또한 청구항2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1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와 허리가압부를 연동기구(連動機構)를 통하여 연동시켜 연결하기로 했다.
또한 청구항3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2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등받이와 허리가압부를 연동시켜 연결한 연동상태와, 상기 등받이와 허리가압부의 연동을 해제한 해제상태로, 상태변경이 가능하게 하기로 했다.
또한 청구항4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등받이가 수평시에는 등받이와 허리가압부가 하나의 면상태이고, 등받이의 기립에 연동하여 등받이보다도 허리가압부가 돌출하여, 등받이가 소정의 경사각도인 때에 허리가압부가 등받이로부터 가장 돌출한 상태가 되고, 그 후에 등받이가 소정의 최대 경사각도인 때는 다시 등받이와 허리가압부가 하나의 면상태로 하기로 했다.
또한 청구항5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2∼청구항4 중의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등받이를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기립시킨 경우에 등받이와 허리가압부의 연동동작을 저지하는 스토퍼기구를 구비하기로 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한 리클라이닝 베드에 있어서, 등받이를 기립할 때에 등받이의 상면보다도 돌출하여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腰部)를 가압하는 허리가압부를 등받이에 형성함에 의하여, 등받이의 기립시에 허리가압부로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를 가압함으로써 복부의 압박이나 배후부의 어긋남에 의한 압박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등받이와 허리가압부를 연동기구를 통하여 연동시켜 연결하기로 한 경우에는, 등받이를 리클라이닝 시키는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등받이와 아울러, 허리가압부도 구동할 수 있고, 기구의 간소화나 저렴화가 도모되어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등받이와 허리가압부를 연동시켜 연결한 연동상태(連動狀態)와 등받이와 허리가압부의 연동을 해제한 해제상태(解除狀態)로, 상태변경이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허리가압부를 사용할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연동기구가, 등받이가 수평시에는 등받이와 허리가압부가 하나의 면상태이고, 등받이의 기립에 연동하여 등받이보다도 허리가압부가 돌출하여, 등받이가 소정의 경사각도인 때에 허리가압부가 등받이로부터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되고, 그 후에 등받이가 소정의 최대 경사각도인 때에는 다시 등받이와 허리가압부가 하나의 면상태로 하기로 한 경우에는, 허리가압부의 돌출을 등받이의 경사각도에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연동기구가, 등받이를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기립시킨 경우에 등받이와 허리가압부의 연동동작을 저지하는 스토퍼기구를 구비하기로 한 경우에는, 등받이를 무리하게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기립시켜도 연동기구가 파손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에 관한 리클라이닝 베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2] 측면도.
[도3] 확대 평면도.
[도4] 확대 측면도.
[도5] 동작 설명도.
[도6] 동작 설명도.
[도7] 동작 설명도.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리클라이닝 베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베드(1)는,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기본 받침대(2)와, 횡와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자리 받침대(3)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받침대(2)는, 사각형 프레임모양의 메인 프레임(4)의 전후단하부(前後端下部)(도1 및 도2에 있어서 좌우단하부)에 다리부(5, 6)를 설치함과 아울러, 메인 프레임(4)의 전단부(前端部)에 사각형 판모양의 헤드보드(head board)(7)를 부착하고, 메인 프레임(4)의 후단부(後端部)에 사각형 판모양의 풋보드(foot board)(8)를 부착하고 있다.
자리 받침대(3)는, 메인 프레임(4)의 앞쪽의 중간부분에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9)를 회전축(10)을 통하여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메인 프레임(4)의 중앙부(中央部)의 앞쪽에 횡와하는 사용자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엉덩받이(11)를 고정하고, 메인 프레임(4)의 중앙부의 뒤쪽에 횡와하는 사용자의 허벅다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허벅다리받이(12)의 전단부를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허벅다리받이(12)의 후단부에 횡와하는 사용자의 종아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종아리받이(13)의 전단부를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또한 자리 받침대(3)는, 등받이(9)의 뒤쪽(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를 가압하기 위한 허리가압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이 허리가압부(14)는, 등받이(9)의 뒤쪽(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모양의 윈도우부(15)를 형성하고, 윈도우부(15)의 전단에 사각형 판모양의 허리가압판(16)의 전단을 회전축(17)을 통하여 상하로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기본 받침대(2)와 자리 받침대(3) 사이에는, 등받이(9)를 리클라이닝 시키기 위한 구동기구(18)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 구동기구(18)는,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본 받침대(2)의 메인 프레임(4)에 좌우 폭방향(도3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19)을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회전축(19)의 중앙부에 좌우 한 쌍의 구동암(驅動arm)(20, 20)의 기단부(基端部)를 부착하고, 한편 기본 받침대(2)의 다리부(5)에 신축모터(伸縮motor)(21)의 기단부를 상하로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신축모터(21)의 신축로드(伸縮rod)(22)의 선단부(先端部)를 구동암(20)의 선단부에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또한 구동기구(18)는, 회전축(19)의 좌우측부(左右側部)에 좌우 한 쌍의 지지암(23, 23)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각 지지암(23)의 선단부에 지지롤러(24)를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한편 등받이(9)의 하면(이면)의 좌우측부에 좌우 한 쌍의 단면이 문(門)자 모양인 가이드(25, 25)를 부착하여, 각 가이드(25)에 각 지지암(23)의 지지롤러(24)가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동기구(18)는, 신축모터(21)를 구동하여 신축로드(22)를 신장시키면, 구동암(20)에 의해 회전축(19)이 도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지지암(23, 23)이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지지암(23, 23)의 지지롤러(24)가 등받이(9)의 가이드(25, 25)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방으로 가압하여 등받이(9)가 수평상태로부터 소정의 최대 경사각도까지 경사모양으로 기립해 간다. 마찬가지로 구동기구(18)는, 신축모터(21)를 구동해서 신축로드(22)를 단축시키면, 구동암(20)에 의해 회전축(19)이 도4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지지암(23, 23)이 하방을 향하여 회전하고, 지지암(23, 23)의 지지롤러(24)가 등받이(9)의 가이드(25, 25)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방으로 강하하여 등받이(9)가 소정의 최대 경사각도로부터 수평상태까지 경사모양으로 도복(倒伏)해 간다. 또 구동기구(18)는, 연결기구를 통하여 허벅다리받이(12) 및 종아리받이(13)를 연결하여 등받이(9)와 허벅다리받이(12) 및 종아리받이(13)가 연동하여 리클라이닝 하더라도 좋다.
이 구동기구(18)는, 연동기구(26)를 통하여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의 허리가압판(16)을 연동시켜 연결하여, 상기한 등받이(9)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하여 허리가압부(14)가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즉 연동기구(26)는,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25, 25)의 내측부에 가압암(27, 27)의 중간부분을 회전축(28, 28)을 통하여 상하로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각 가압암(27)의 선단부에 가압롤러(29)를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또한 연동기구(26)는, 가압암(27, 27)의 기단부에 연결암(30, 30)의 기단부를 상하로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각 연결암(30)의 선단부에 연결키(31)를 착탈(着脫)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또한 연동기구(26)는, 지지암(23, 23)의 내측부에 지지암측 보스(32, 32)를 형성함과 아울러, 가이드(25, 25)의 내측부에 가이드측 보스(33, 33)를 부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동기구(26)는, 연결키(31, 31)를 지지암측 보스(32, 32)에 삽입하였을 경우에는, 연결암(30, 30)을 통하여 지지암(23, 23)과 가압암(27, 27)이 연결되어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가 연동되어 연결한 연동상태가 되고, 한편 연결키(31, 31)를 가이드측 보스(33, 33)에 삽입하였을 경우에는, 가압암(27, 27) 및 연결암(30, 30)이 함께 가이드(25, 25)에 부착되어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의 연동이 해제된 해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연동기구(26)는, 연결키(31, 31)를 장치로부터 빼어내어 지지암(23, 23)과 연결암(30, 30)을 연결시킬지 혹은 가이드(25, 25)와 연결암(30, 30)을 연결시킬지에 의해 연동상태와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기구(26)는, 연동상태에 있어서 구동기구(18)의 신축모터(21)가 구동되어서 회전축(19)과 아울러, 지지암(23, 23)이 도4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 연결암(30, 30)이 이동하여 가압암(27, 27)이 회전축(28, 28)을 중심으로 도4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압암(27, 27)의 가압롤러(29, 29)로 허리가압판(16)을 상방을 향해 가압하고, 이에 따라 허리가압부(14)의 허리가압판(16)이 등받이(9)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여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를 가압한다. 또 허리가압판(16)은, 등받이(9)의 회전축(17)에 의하여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부착되어있기 때문에, 허리가압판(16)의 하면과 가압롤러(29, 29) 사이에 끼인 물건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에서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9)가 수평상태로부터 소정의 경사각도(예를 들면, 10도)까지 기립하는 사이에 있어서는, 가압롤러(29, 29)가 허리가압판(16)의 하면으로부터 이반(離反)하고 있어서 등받이(9)와 아울러 허리가압판(16)도 이동하여 허리가압부(14)가 등받이(9)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고(도5(a) 및 (b)참조), 그 후에 등받이(9)가 기립함에 따라서 가압암(27, 27)이 도5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압롤러(29, 29)가 허리가압판(16)의 하면에 접촉해서 허리가압판(16)을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여, 허리가압부(14)가 등받이(9)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다(도5(c) 참조).
그리고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에서는, 등받이(9)가 수평상태로부터 최대 경사각도(예를 들면, 75도)까지 기립하는 사이의 도중에 소정의 경사각도(예를 들면, 50도)에 있어서, 허리가압부(14)의 허리가압판(16)이 등받이(9)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상방측으로 돌출하고(도6(a) 참조), 그 후에 등받이(9)가 기립함에 따라서, 가압암(27, 27)이 도5 및 도6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허리가압판(16)이 하방으로 이동하고(도6(b) 참조), 등받이(9)가 최대 경사각도까지 기립하면, 가압롤러(29, 29)가 허리가압판(16)의 하면으로부터 이반하여 허리가압부(14)가 등받이(9)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6(c) 참조). 또, 등받이(9) 및 허리가압판(16)은 기립동작과는 역방향으로 도복동작도 한다.
또한 연동기구(26)는, 등받이(9)를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기립시킨 경우에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의 연동동작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기구(stopper機構)(34)를 설치하고 있어, 구체적으로는, 연결암(30, 30)의 선단부에 좌우로 연장하는 봉모양의 스토퍼부(35, 35)를 부착하는 한편, 가압암(27, 27)의 기단부에 스토퍼부(35, 35)가 결합해 들어가는 오목부(36, 36)를 형성하고, 가압암(27, 27)과 연결암(30, 30)이 일직선모양으로 연장되기 전에 스토퍼부(35, 35)가 오목부(36, 36)에 결합해 들어가서 등받이(9)의 기립동작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스토퍼기구(34)는,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9)를 수평상태로부터 구동기구(18)에 의하지 않고 수동으로 무리하게 등받이(9)를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45도) 이상으로 기립시킨 경우에, 가압암(27, 27)과 연결암(30, 30)이 일직선모양으로 연장되기 전에 스토퍼부(35, 35)가 오목부(36, 36)에 결합해 들어가서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의 연동동작을 저지하고, 이에 따라 연동기구(26)의 고장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스토퍼기구(34)는,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9)를 최대 경사각도(예를 들면, 75도)까지 구동기구(18)로 경사지게 한 후에 수동으로 무리하게 등받이(9)를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5도)로 기립시킨 경우에도 작동하고, 또한 도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기구(18)가 오동작해서 등받이(9)를 최대 경사각도 이상의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80도(최대 경사각도 75도로부터 5도))로 기립시켰을 경우에도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는,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지지하는 등받이(9)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하여, 그 등받이(9)의 상면보다도 돌출하여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를 가압하는 허리가압부(14)를 등받이(9)에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의 리클라이닝 베드(1)에서는, 등받이(9)의 기립시에 허리가압부(14)에서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를 전방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복부의 압박이나 배후부의 어긋남에 의한 압박을 경감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등받이(9)의 기립시에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는,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를 연동기구(26)를 통하여 연동시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에서는, 등받이(9)를 리클라이닝 시키는 기구(구동기구(18))를 구동함으로써 등받이(9)와 아울러, 허리가압부(14)도 구동할 수 있고, 기구의 간소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리클라이닝 베드(1)의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는,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를 연동시켜 연결한 연동상태와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의 연동을 해제한 해제상태로, 상태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의 리클라이닝 베드(1)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허리가압부(14)를 사용할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는, 등받이(9)가 수평시에는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가 하나의 면상태이고, 등받이(9)의 기립에 연동하여 등받이(9)보다도 허리가압부(14)가 돌출하여, 등받이(9)가 소정의 경사각도인 때에 허리가압부(14)가 등받이(9)로부터 가장 돌출한 상태가 되고, 그 후에 등받이(9)가 소정의 최대 경사각도인 때는 다시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가 하나의 면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의 리클라이닝 베드(1)에서는, 허리가압부(14)의 돌출을 등받이(9)의 경사각도에 적용시킬 수 있고,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복부나 배후부를 압박하지 않고 등받이(9)를 양호하게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1)는, 등받이(9)를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기립시킨 경우에 등받이(9)와 허리가압부(14)의 연동동작을 저지하는 스토퍼기구(3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의 리클라이닝 베드(1)에서는, 등받이(9)를 무리하게 소정의 최대 경사각도 이상으로 기립시켜도 연동기구(26)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리클라이닝 베드
2 : 기본 받침대
3 : 자리 받침대
4 : 메인 프레임
5, 6 ; 다리부
7 : 헤드보드(head board)
8 : 풋보드(foot board)
9 : 등받이
10 : 회전축
11 : 엉덩받이
12 : 허벅다리받이
13 : 종아리받이
14 : 허리가압부
15 : 윈도우부
16 : 허리가압판
17 : 회전축
18 : 구동기구
19 : 회전축
20 : 구동암
21 : 신축모터
22 : 신축로드
23 : 지지암
24 : 지지롤러
25 : 가이드
26 : 연동기구
27 : 가압암
28 : 회전축
29 : 가압롤러
30 : 연결암
31 : 연결키
32 : 지지암측 보스
33 : 가이드측 보스
34 : 스토퍼기구
35 : 스토퍼부
36 : 오목부

Claims (5)

  1. 앙와위(仰臥位)로 횡와(橫臥)하는 사용자의 배후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한 리클라이닝 베드(reclining bed)에 있어서,
    등받이를 기립(起立)할 때에 등받이의 상면보다도 돌출하여 앙와위로 횡와하는 사용자의 요부(腰部)를 가압하는 허리가압부를 등받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와 허리가압부를 연동기구(連動機構)를 통하여 연동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등받이와 허리가압부를 연동시켜 연결한 연동상태(連動狀態)와, 상기 등받이와 허리가압부의 연동을 해제한 해제상태(解除狀態)로, 상태변경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베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등받이가 수평시에는 등받이와 허리가압부가 하나의 면상태이고, 등받이의 기립에 연동하여 등받이보다도 허리가압부가 돌출하여, 등받이가 소정의 경사각도인 때에 허리가압부가 등받이로부터 가장 돌출한 상태가 되고, 그 후에 등받이가 소정의 최대 경사각도인 때에는 다시 등받이와 허리가압부가 하나의 면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베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등받이를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기립시킨 경우에 등받이와 허리가압부의 연동동작을 저지하는 스토퍼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베드.
KR1020137020845A 2011-03-18 2012-03-07 리클라이닝 베드 KR101462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1520 2011-03-18
JP2011061520A JP5089785B2 (ja) 2011-03-18 2011-03-18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
PCT/JP2012/055840 WO2012128045A1 (ja) 2011-03-18 2012-03-07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231A true KR20130109231A (ko) 2013-10-07
KR101462530B1 KR101462530B1 (ko) 2014-11-18

Family

ID=4687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845A KR101462530B1 (ko) 2011-03-18 2012-03-07 리클라이닝 베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89785B2 (ko)
KR (1) KR101462530B1 (ko)
CN (1) CN103429211B (ko)
TW (1) TW201238530A (ko)
WO (1) WO2012128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7886B2 (ja) * 2012-05-11 2016-06-22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装置
US20200154899A1 (en) * 2015-03-11 2020-05-21 Motus Mechanics Ltd. Adjustable furniture
GB2572558B (en) * 2018-04-03 2020-03-11 Apex Health Care Mfg Inc Electric bed with independent adjusting device for waist res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368A (ja) * 1992-05-26 1993-12-03 Daiyamondo Bed Kk 腰伸し機能付ベッド
JP2002172144A (ja) * 2000-12-08 2002-06-18 Hitachi Ltd ベッド装置
JP3862668B2 (ja) * 2002-04-15 2006-12-2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等の仰臥台におけるボトムの連動昇降制御方法
JP4453329B2 (ja) * 2003-10-10 2010-04-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ベッド装置
JP2005160728A (ja) * 2003-12-02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ベッド装置
JP4496801B2 (ja) * 2004-02-24 2010-07-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ベッドの背上げ機構
CN100512720C (zh) * 2005-11-18 2009-07-15 李海仁 保健床
CN201042317Y (zh) * 2007-05-11 2008-04-02 湖州华瑞理疗器械有限公司 电动床背部床板和腰部床板的连接结构
US20090178201A1 (en) * 2008-01-15 2009-07-1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able Bed Having Movable Lumbar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29211B (zh) 2015-12-09
KR101462530B1 (ko) 2014-11-18
JP5089785B2 (ja) 2012-12-05
TW201238530A (en) 2012-10-01
CN103429211A (zh) 2013-12-04
WO2012128045A1 (ja) 2012-09-27
JP2012196278A (ja)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9190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2008178491A (ja) マッサージ椅子
CN203763454U (zh) 一种按摩沙发架
TW201315412A (zh) 床裝置
KR101462530B1 (ko) 리클라이닝 베드
KR101359212B1 (ko) 마사지기
JP4944688B2 (ja) 医療用椅子
JP2012235879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5138081B1 (ja) マットレス
JP2013034669A (ja) 揺動装置
JP4965946B2 (ja) ベッド
JP6274692B2 (ja) マッサージ機
CN108392334A (zh) 一种多功能全向电动医疗床
WO2001078646A1 (en) Massaging machine
CN105193130B (zh) 椅子
CN208808899U (zh) 一种多功能全向电动医疗床
JP5386334B2 (ja) 多目的ベッド装置
JP6218001B2 (ja) 運動補助装置
TWM353738U (en) Apparatus for adjusting body posture
JP6049336B2 (ja) マッサージ機
CN220213251U (zh) 术后多功能座椅
JP4718277B2 (ja) 背上げ式ベッド装置
JP6795420B2 (ja) 身体支持装置
JP7406468B2 (ja) ベッド装置
JP6912082B2 (ja) 折畳み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