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021A - 유치침 장치 - Google Patents

유치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021A
KR20130109021A KR1020127034036A KR20127034036A KR20130109021A KR 20130109021 A KR20130109021 A KR 20130109021A KR 1020127034036 A KR1020127034036 A KR 1020127034036A KR 20127034036 A KR20127034036 A KR 20127034036A KR 20130109021 A KR20130109021 A KR 2013010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ub
shield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이토
료지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3010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허브(40)가 실드(20)의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 내침(50)이 외침(30)을 관통해 외침의 선단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허브가 실드의 내강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후퇴 위치에 있어서, 내침이 실드의 내강 내에 수납된다. 외침의 외주면에 제1측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침의 외주면에 제2측공(51)이 형성되어 있다.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외침의 제1측공을 포함하는 영역(33)의 내주면이 내침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제 2측공은 외침의 내주면과 외침의 상기 외주면이 밀착한 영역보다 허브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내침과 외침 사이의 간극을 혈액으로 채우는 프라이밍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천자시에 혈액이 외침의 측공으로부터 누출될 일은 없다.

Description

유치침 장치{INDWELLING NEEDLE DEVICE}
본 발명은, 연질의 외침과 경질의 내침을 구비하고,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내침의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로 환자에게 천자(穿刺)하며, 그 후, 내침을 외침으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치침(留置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치침 장치는, 수액, 수혈, 체외 혈액 순환 등의 처치에 널리 사용된다. 금속침을 혈관 내에 유치하면 혈관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연질의 외침과 경질의 내침을 구비하고,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내침의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로 환자의 혈관에 천자하며, 그 후, 내침을 외침으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는 유치침 장치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도 8(A)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외침(91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내침(920)의 선단 및 그 근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내침(920)의 외주면에는 측공(側孔)(9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8(A)의 상태로 내침(920) 및 외침(910)을 차례대로 환자의 혈관에 천자하면, 환자의 혈액(930)은, 내침(920) 내를 흐르는 것과 더불어, 내침(920)의 측공(921)을 통해 내침(920)과 외침(910) 사이의 간극(925)을 흐른다. 외침(910)을 투명 혹은 반투명인 재료로 구성하면, 간극(925)을 흐르는 혈액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혈액의 플래시 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내침(920)의 내강에 더해 간극(925)도 환자의 혈액으로 채울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혈액 투석에서는 프라이밍 작업이 용이해져, 공기가 혼입한 혈액이 환자에게 반혈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6-297062호 공보
혈액 투석에서는, 침의 선단의 개구가 혈관의 내벽에 접촉하면, 혈액의 유량이 저하해 버린다. 그래서, 혈액 투석에 사용되는 유치침 장치에서는, 혈액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침의 외주면에 측공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만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A)에 도시한 유치침 장치의 외침(910)의 외주면에 측공(911)을 형성하면, 환자의 혈관에 천자했을 때에, 환자의 혈액(930)이, 내침(920)으로부터 내침(920)의 측공(921)을 통과해 내침(920)과 외침(910) 사이의 간극(925)에 들어가고, 또한 외침(910)의 측공(911)을 통과해 외부로 누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도 8(B)에 있어서, 내침(920)의 측공(921)을 막아도, 환자의 혈액은, 내침(920)으로부터, 내침(920)의 기단(도시 생략함)이 접속된 허브(도시 생략함)를 통과해 내침(920)과 외침(910) 사이의 간극(925)에 들어가고, 또한 외침(910)의 측공(911)을 통과해 외부로 누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외침을 환자의 혈관에 유치했을 경우에 혈액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외침에 측공이 형성된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내침과 외침 사이의 간극을 혈액으로 채움으로써, 프라이밍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 천자시에 혈액이 외침의 측공으로부터 누출될 일 없는 유치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치침 장치는, 내강을 가지는 실드와, 상기 실드의 전단에 고정된 연질의 외침과,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실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전단에 고정된 내침을 구비한다.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외침을 관통해 상기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초기 위치와,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후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수납되는 후퇴 위치로 상기 허브가 변위한다.
상기 외침에,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1측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침에,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2측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침의 상기 제1측공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주면이 상기 내침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제2측공은 상기 외침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상기 외주면이 밀착한 영역보다 상기 허브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침에 제1측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침을 환자의 혈관에 천자하여 유치했을 경우에, 외침의 선단의 개구가 혈관의 내벽에 접촉해 막혀도, 혈액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내침의 제2측공이 외침의 내주면과 내침의 외주면이 밀착한 영역보다 허브측에 위치하므로, 제2측공을 통해서, 내침과 외침 사이의 간극을 혈액으로 채우는 프라이밍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외침의 제1측공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주면이 내침의 외주면에 밀착하므로, 제1측공으로부터 혈액이 누출될 일은 없다.
도 1은,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2A-2A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2B-2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에 내장되는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3B-3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허브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3C-3C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허브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외침 및 내침의 선단 및 그 근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허브가 후퇴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은, 도 6의 7A-7A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의 7B-7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A는, 종래의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내침의 선단 및 그 근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유치침 장치의 외침에 측공이 형성된 가상의 유치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침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상기 외주면이 밀착한 상기 영역보다 상기 실드측에, 상기 외침의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공은,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허브의 외면과 상기 실드의 내면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2측공을 통해서, 내침과 외침 사이의 간극에 더해, 허브의 외면과 실드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혈액으로 채우는 프라이밍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측공은 상기 제2측공과 연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측공으로부터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침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상기 외주면이 밀착한 상기 영역보다 상기 실드측에, 상기 외침의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공은 상기 간극과 연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침과 외침 사이의 간극의 혈액이 제1측공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개시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부재만을 간략화해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에 도시 생략한 임의의 구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이하의 각 도 안의 부재의 치수는, 실제의 구성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을 충실히 나타낸 것은 아니다.
도 1은,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치침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2A-2A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유치침 장치(10)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2B-2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유치침 장치(10)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환자에게 천자하는 측(도 2a 및 도 2b의 지면의 좌측)을 「전측」, 이와 반대측을 「후측」이라고 부른다.
유치침 장치(10)는, 실드(20)를 구비한다. 실드(20)는, 실드통(21)과, 실드통(21)의 한쪽 단(전단)에 고정된 외허브(25)를 가진다. 실드통(21)은, 내경이 일정한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실드통(21)의 외허브(25)와는 반대측 단(후단) 근방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외허브(25)는 대략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그 실드통(21)과는 반대측 단(전단)에 연질의 외침(30)이 고정되어 있다. 외침(30)은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의 근방에,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1측공(3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측공(31)은, 외침(30)의 내강과 연통하고 있다. 실드통(21) 및 외허브(25)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경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드통(21) 및 외허브(25)가 투명 혹은 투광성을 가지면, 그 내강 내의 혈액이나 허브(40)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외침(30)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연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외침(30)이 투명 또는 투광성을 가지면, 그 내강 내의 혈액이나 내침(50)을 투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외허브(25) 및 외침(30)을, 상기의 연질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참조 부호(29a, 29b)는 날개이다. 날개(29a, 29b)는, 대략 원통형 형상의 고정 부재(28)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28)를 실드통(21)의 외허브(25)측 단 근방의 외주면에 외장함으로써, 날개(29a, 29b)가 실드(20)에 장착되어 있다. 날개(29a, 29b)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연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올레핀계 혹은 폴리스티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날개(29a, 29b)는, 실드(20)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실드(20)의 내강 내에는 허브(40)가, 실드(20)의 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허브(40)의 전단에는 금속제의 경질의 내침(50)이 고정되며, 허브(40)의 후단에는 수지제의 유연한 튜브(60)의 한쪽 단이 접속되어 있다. 튜브(60)의 다른 쪽 단은, 예를 들어 혈액 투석을 실시하기 위한 혈액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허브(40)의 외주면에 O링(49)이 장착되어 있다. O링(49)은 실드통(21)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실드(20)의 내강에 있어서, O링(49)보다 외침(30)측의 혈액이 O링(49)보다 튜브(60)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 내침(50)은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그 날카로운 선단의 근방에,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2측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제2측공(51)은, 내침(50)의 내강(52)과 연통하고 있다. 허브(40)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경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튜브(60)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연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염화비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A는 허브(40)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3B-3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허브(40)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3C-3C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른 허브(40)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측면 단면도이다. 허브(40)는, 한쪽 단(전단)에, 원추면 형상의 외면을 가지는 전부(41)를 가지고, 다른 쪽 단에 원통면 형상의 외면을 가지는 후부(42)를 가진다. 종관로(43)가, 허브(40)의 중심축(40a)에 따라 전부(41)에서 후부(42)까지 허브(40)를 종관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침(50)은, 전부(41)측으로부터 종관로(43) 내로 삽입되어, 허브(40)에 유지된다. 후부(42)가 튜브(60) 내로 삽입되어, 허브(40)와 튜브(60)가 접속된다. 이리하여, 내침(50)과 튜브(60)는, 허브(40)의 종관로(43)를 통해서 연통된다.
전부(41)와 후부(42) 사이의, 허브(4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고리 형상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 홈(44)에 O링(49)이 장착된다.
허브(40)의 외주면에, 고리 형상 홈(44)과 전부(41) 사이에, 고리 형상 홈(44)측으로부터 경대부(徑大部)(45) 및 경소부(徑小部)(46)가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다. 경소부(46)는 경대부(4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전부(41)에 인접하고 있다. 경소부(46)에는, 경소부(46)를 직경 방향(중심축(40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관하는 횡관로(47)가 형성되어 있다. 횡관로(47)는, 종관로(43)와 교차하고 또한 연통하고 있다.
후부(42)의 주위에, 캔틸레버의 지지를 받은 4개의 탄성편(48)이, 허브(40)의 중심축(40a)에 대해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48)은, 허브(40)의 중심축(40a)에 대해서 대략 평행으로 뻗어있다. 탄성편(48)의 후부(42)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끼워맞춤 홈(48a)과 테이퍼면(48b)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홈(48a)은, 허브(40)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오목부(홈)이다. 테이퍼면(48b)은, 끼워맞춤 홈(48a)에 대해서 탄성편(48)의 자유단측에 인접해, 끼워맞춤 홈(48a)측에서 외경이 큰 원추면의 일부를 이룬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는, 허브(40)는 실드(20)의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드(20)에 대한 허브(40)의 이 위치를 본 발명에서는 「초기 위치」라고 부른다. 초기 위치에서는, 허브(40)의 전부(41)에 유지된 내침(50)은 외침(30)을 관통하고, 그 선단은 외침(30)의 선단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내침(50)의 내강(52)은, 허브(40)의 종관로(43)를 통해 튜브(60)와 연통함과 더불어, 허브(40)의 횡관로(47)를 통해, O링(49)보다 전단측의 허브(40)의 외면과 실드(20)의 내면 사이의 공간(12), 및, 내침(50)의 외주면과 외침(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13)(후술하는 도 5를 참조)과 연통한다.
허브(40)가 초기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스토퍼(70)가 이용된다. 도 4는 스토퍼(70)의 사시도이다. 스토퍼(70)는, 대략 반원통형 형상의 기단부(71), 대략 반원통형 형상의 삽입부(72), 및 한 쌍의 파지부(把持部)(73)를 구비한다. 삽입부(72) 및 한 쌍의 파지부(73)는, 한 쌍의 파지부(73)의 사이에 삽입부(72)를 끼워, 서로 평행하게 기단부(71)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통(21)의 후단으로부터, 스토퍼(70)의 삽입부(72)를 실드통(21)과 튜브(60) 사이의 간극에 삽입한다. 스토퍼(70)를 실드(20) 내에 가능한 한 깊게 삽입하면, 삽입부(72)의 선단이 허브(40)의 탄성편(48)의 후단에 충돌하고, 허브(40)의 경대부(45)가 외허브(25)의 후단에 충돌하며, 허브(40)는 실드(20)의 내강 내에 초기 위치로 배치된다. 이때, 스토퍼(70)의 한 쌍의 파지부(73)는, 실드(20)의 실드통(21)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외침(30) 및 내침(50)의 선단 및 그 근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와 달리, 도 5에서는, 제1측공(31) 및 제2측공(51)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외침(30)만을 단면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침(30)의 내경은, 외침(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지 않고, 외침(30)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영역(33)에서 작고, 이 영역(33)보다 후측에서는 이보다 크다. 따라서, 영역(33)에서는, 외침(30)의 내주면과 내침(50)의 외주면은 밀착하고, 영역(33)보다 후측에서는, 외침(30)의 내주면과 내침(50)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역(33)을 「밀착 영역」이라고 부른다. 제1측공(31)은, 밀착 영역(33)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2측공(51)은, 밀착 영역(33)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 제2측공(51)은 간극(13)과 연통하고 있다. 한편, 제1측공(31)은, 제2측공(51)과 연통하지 않고, 또한, 간극(13)과도 연통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유치침 장치(10)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유치침 장치(10)를, 스토퍼(70)의 한 쌍의 파지부(73)를 손가락 2개에 끼워 유지한다. 한 쌍의 파지부(73)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여 실드통(21)의 외주면에 밀착하므로, 유치침 장치(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외침(3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내침(50)을 환자의 혈관에 천자한다. 천자할 때에 내침(50)은 반력을 받는데, 내침(50)을 유지하는 허브(40)의 후단(탄성편(48))이 스토퍼(70)의 삽입부(72)의 선단에 인접하므로, 내침(50) 및 허브(40)는 실드(20)에 대해서 변위할 수 없다.
외침(30)의 제1측공(31)이 혈관 내에 들어갈 정도로 내침(50) 및 외침(30)을 더욱 깊게 천자 한다.
내침(50)의 선단이 혈관 내로 삽입됨으로써, 환자의 혈액은, 내침(50)의 선단의 개구로부터, 내침(50)의 내강(52) 내에 유입한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이해할 수 듯이, 내침(50)의 내강(52) 내에 유입한 혈액은, 내침(50)의 내강(52) 및 허브(40)의 종관로(43)를 차례대로 통과해 튜브(60)에 유입한다. 또, 내침(50)의 내강(52) 내에 유입한 혈액은, 내침(50)의 제2측공(51)을 통과해 외침(30)의 내주면과 내침(50)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13)(도 5 참조)에 유입하고, 허브(40)의 외면과 실드(20)의 내면 사이의 공간(12), 허브(40)의 횡관로(47), 및, 허브(40)의 종관로(43)를 차례대로 통과해 튜브(60)에 유입한다.
이와 같이, 천자시에, 내침(50)의 내강(52)에 더해, 외침(30)의 내주면과 내침(50)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13)이나 허브(40)의 외면과 실드(20)의 내면 사이의 공간(12)도 혈액으로 채워지므로, 프라이밍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외침(30)의 제1측공(31)은, 밀착 영역(33)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극(13)이 혈액으로 채워져도, 천자의 과정에서 그 혈액이 제1측공(31)으로부터 외부세계로 누출될 일은 없다.
외침(30) 및/혹은 실드(20)가 투명 혹은 투광성을 가지고 있으면, 천자에 의한 혈액의 플래시 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실드(20)로부터 스토퍼(70)를 뽑아내고, 이와 동시에 혹은 이에 이어, 실드(20)로부터 튜브(60)를 잡아당긴다. 튜브(60)의 전단에는 허브(4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튜브(60)를 잡아당김으로써, 허브(40) 및 이에 유지된 내침(50)이 실드(20)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실드통(21)의 후단 근방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40)가 걸림돌기(22)까지 이동하며, 허브(40)의 탄성편(48)의 외면에 형성된 테이퍼면(48b)이 걸림돌기(22) 위를 미끄러져 이동한다. 이때 탄성편(48)은 후부(42)측에 탄성 변형한다. 이어서, 테이퍼면(48b)이 걸림돌기(22)를 넘어가면, 탄성편(48)이 탄성 회복해, 끼워맞춤 홈(48a)에 걸림돌기(22)가 끼워맞춰진다. 끼워맞춤 홈(48a)과 걸림돌기(22)가 끼워맞춰졌을 때의, 실드(20)에 대한 허브(40)의 위치를 본 발명에서는 「후퇴 위치」라고 부른다.
도 6은, 허브(40)가 후퇴 위치에 있는 유치침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7A-7A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유치침 장치(10)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6의 7B-7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르는 유치침 장치(10)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4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허브(40)의 끼워맞춤 홈(48a)(도 3A, 도 3B, 도 3C를 참조)과 실드통(21)의 걸림돌기(22)가 끼워맞춰지고 있다. 또, 허브(40)에 유지된 내침(50)은 외침(30)으로부터 뽑혀져, 실드(20)의 내강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상태로, 날개(29a, 29b)의 위에서부터 점착 테이프를 환자의 피부에 붙여, 유치침 장치(10)를 환자에게 고정한다. 외침(30)만이 환자에게 천자한 상태로 유치된다.
초기 위치(도 1, 도 2a 및 도 2b 참조)에 비하면, 후퇴 위치에서는, 외침(30) 내의 유로의 단면적은 내침(50)의 단면적분만큼 증대하므로, 혈액의 유량이 증대한다. 또, 후퇴 위치에서는, 외침(30)에서부터 튜브(60)에 이르는 유로로서는, 내침(50)의 내강(52) 및 허브(40)의 종관로(43)를 차례대로 통과하는 제1 유로와, 실드(20)의 내면과 내침(50) 및 허브(40)의 각 외면 사이의 공간(12), 허브(40)의 횡관로(47), 및 허브(40)의 종관로(43)를 차례대로 통과하는 제2 유로의 2개가 있으므로, 큰 유량으로 혈액을 흐르게 할 수 있다.
후퇴 위치에서는, 유연한 외침(30) 내에 경질의 내침(5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환자에 대한 유치침 장치(10)의 자세가 만일 변화하더라도, 외침(30)이 환자의 혈관 등을 손상시킬 일은 없다.
외침(30)의 선단 근방에 제1측공(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침(30)의 선단의 개구가 혈관의 내벽에 접촉해 막혀도, 혈액은 제1측공(31)을 통해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항상 혈액의 유로가 확보되어, 혈액 유량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필요한 처치가 끝나면, 날개(29a, 29b)를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를 환자로부터 벗겨내고, 외침(30)을 환자로부터 뽑아낸다. 실드(20)에 대해서 튜브(60)를 누르거나 당겨도, 허브(40)의 끼워맞춤 홈(48a)과 실드통(21)의 걸림돌기(22)와의 끼워맞춤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즉, 내침(50)을 외침(30)의 선단으로부터 재돌출시키거나, 허브(40)와 더불어 외침(30)을 실드(20)로부터 뽑아내거나 할 수 없다. 따라서, 경질의 내침(50)을 실수로 천자하거나, 사용이 끝난 유치침 장치(10)를 실수로 재사용하거나 하는 일을 방지하고 있다. 사용이 끝난 유치침 장치(10)는 폐기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측공(31)의 개수는 2개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제1측공(31)의 형상, 치수, 둘레 방향의 배치위치 등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단, 제1측공(31)은, 밀착 영역(33) 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밀착 영역(33)보다 실드(20)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측공(51)의 개수는 1개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제2측공(51)의 형상, 치수, 둘레 방향의 배치위치 등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단, 제2측공(51)은,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간극(13)(도 5 참조)과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제1측공(31)과 제2측공(51)이 연통하지 않는다면, 제2측공(51)의 일부가 밀착 영역(33) 내에 존재하여도 된다. 내침(50)과 외침(30) 사이의 간극(13)을 혈액으로 채우는 프라이밍 작업의 관점에서는,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제2측공(51)은, 밀착 영역(3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면, 스토퍼(70)는 상기 실시 형태 이외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혹은, 스토퍼(70)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초기 위치에 있는 허브(40)를 실드(20)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조를 허브(40) 및 실드(20)에 설치해도 된다.
후퇴 위치에 있는 허브(40)와 실드(20)의 끼워맞춤 구조는, 상기 이외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혹은, 상기 끼워맞춤 구조를 생략해도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유치침 장치를 혈액 투석에 이용했는데, 본 발명의 유치침 장치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액이나 수혈 등의 유치침 장치가 사용되는 임의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는, 모두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분명히 하려는 의도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예로만 한정해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발명의 정신과 청구 범위에 기재하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넓은 의미로 해석해야만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이용 분야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수액, 수혈, 체외 혈액 순환 등의 처치를 행할 경우의 유치침 장치로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혈액 투석용의 유치침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유치침 장치
13: 내침의 외주면과 외침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
20: 실드 21: 실드통
25: 외허브 30: 외침
31: 제1 측공 33: 밀착 영역
40: 허브 50: 내침
51: 제2 측공 60: 튜브
70: 스토퍼

Claims (4)

  1. 내강을 가지는 실드와,
    상기 실드의 전단에 고정된 연질의 외침과,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실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전단에 고정된 내침을 구비하며,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외침을 관통해 상기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초기 위치와,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후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수납되는 후퇴 위치로 상기 허브가 변위하는 유치침(留置針) 장치로서,
    상기 외침에,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1측공(側孔)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침에,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2측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침의 상기 제1측공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주면이 상기 내침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제2측공은 상기 외침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상기 외주면이 밀착한 영역보다 상기 허브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침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상기 외주면이 밀착한 상기 영역보다 상기 실드측에, 상기 외침의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공은,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허브의 외면과 상기 실드의 내면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유치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측공은 상기 제2측공과 연통하지 않는, 유치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침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상기 외주면이 밀착한 상기 영역보다 상기 실드측에, 상기 외침의 내주면과 상기 내침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공은 상기 간극과 연통하지 않는, 유치침 장치.
KR1020127034036A 2010-06-04 2011-04-26 유치침 장치 KR20130109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8778A JP5594520B2 (ja) 2010-06-04 2010-06-04 留置針装置
JPJP-P-2010-128778 2010-06-04
PCT/JP2011/060168 WO2011152160A1 (ja) 2010-06-04 2011-04-26 留置針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21A true KR20130109021A (ko) 2013-10-07

Family

ID=4506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036A KR20130109021A (ko) 2010-06-04 2011-04-26 유치침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20378B2 (ko)
EP (1) EP2578250A4 (ko)
JP (1) JP5594520B2 (ko)
KR (1) KR20130109021A (ko)
CN (1) CN102933242B (ko)
BR (1) BR112012030904A2 (ko)
HK (1) HK1182038A1 (ko)
MX (1) MX2012014150A (ko)
WO (1) WO2011152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3249B2 (en) 2009-08-14 2012-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US8771230B2 (en) 2010-05-19 2014-07-08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WO2011146772A1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stem operable with a medical device
JP5790972B2 (ja) 2011-06-07 2015-10-0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JP5854271B2 (ja) * 2012-02-17 2016-02-0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WO2013180232A1 (ja) 2012-05-31 2013-12-0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JP2013248159A (ja) * 2012-05-31 2013-12-12 Jms Co Ltd 留置針装置
MX2015006343A (es) 2012-11-21 2015-10-05 Amgen Inc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CN103143080B (zh) * 2013-01-11 2016-05-11 英属维尔京群岛圣采科技投资有限公司 安全静脉留置针
IN2013DE03088A (ko) * 2013-10-17 2015-04-24 Poly Medicure Ltd
CA2937744C (en) 2014-02-04 2022-08-09 Icu Medical, Inc. Self-priming systems and methods
USD751691S1 (en) * 2014-02-12 2016-03-15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Housing for blood collection set
CN104784806B (zh) * 2015-03-10 2019-01-15 北京伏尔特技术有限公司 一种动静脉留置装置及其使用方法
JP6911846B2 (ja) * 2016-06-03 2021-07-28 ニプロ株式会社 留置針用針先プロテクタおよび留置針組立体
CN106975109A (zh) * 2017-02-14 2017-07-25 丽水市妇幼保健院 可调控羊水引流装置
SG10201701920QA (en) 2017-03-09 2018-10-30 Becton Dickinson Co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cannula safety mechanism
JP7140359B2 (ja) * 2017-06-08 2022-09-21 株式会社根本杏林堂 留置針、及び医療用コネクタ器具
CN108042881A (zh) * 2017-12-25 2018-05-18 朱郎平 一种临床输液留置针
JP7467350B2 (ja) * 2018-09-12 2024-04-15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US11517722B2 (en) * 2019-01-18 2022-12-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firmation of catheter placement within a vei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2311Y2 (ko) * 1971-08-02 1976-08-12
JPS5029479B2 (ko) 1971-08-06 1975-09-23
US4073297A (en) * 1976-02-11 1978-02-14 Sandoz Ltd. Catheter
US4722725A (en) * 1983-04-12 1988-02-02 Interface Biomedical Laboratories, Inc. Methods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air or fluid into the body of a patient
US5279572A (en) * 1991-12-03 1994-01-18 Yasuo Hokama Indwelling intravenous needle with two blood-backflow passage routes
US5954691A (en) * 1995-06-07 1999-09-21 Biolink Corporation Hemodialysis access apparatus
JP2995651B2 (ja) * 1996-06-17 1999-12-27 信一 小野原 二重注射針
DE69822713T2 (de) * 1997-07-22 2005-02-10 Terumo K.K. Verweilkathetersatz und Herstellungsmethode
US6524277B1 (en) * 2000-12-29 2003-02-25 Ethic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ravascular device showing flashback
US6692473B2 (en) * 2001-05-24 2004-02-17 John A. St. Cyr Dual lumen adjustable length cannulae for liquid perfusion or lavage
EP2248549A3 (en) * 2001-12-26 2010-12-08 Yale University Vascular access device
US7083626B2 (en) * 2002-10-04 2006-08-0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pendent valve
TW586947B (en) * 2002-12-02 2004-05-11 Ming-Jeng Shiu Safety device for injection and blood-drawing
KR100858072B1 (ko) * 2004-02-26 2008-09-11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안전 유치 바늘
JP4622876B2 (ja) * 2005-03-24 2011-02-0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AU2006307253B2 (en) * 2005-10-25 2011-09-22 Terumo Kabushiki Kaisha Indwelling needle assembly
JP4873929B2 (ja) * 2005-11-01 2012-02-08 テルモ株式会社 留置針組立体
JP4506834B2 (ja) * 2006-01-20 2010-07-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針装置
JP2008043445A (ja) * 2006-08-11 2008-02-28 Medikit Kk カテーテル、中空針、及び留置針組立体
US7833201B2 (en) * 2006-09-29 2010-11-16 Tyco Healthcare Group Lp Flashback chamber visual enhancement
WO2008092029A2 (en) * 2007-01-24 2008-07-31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US8192402B2 (en) * 2007-04-18 2012-06-05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WO2008131300A2 (en) * 2007-04-18 2008-10-30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JP5244794B2 (ja) * 2007-06-12 2013-07-24 テルモ株式会社 留置針組立体の製造方法
JP2009142492A (ja) * 2007-12-14 2009-07-02 Jms Co Ltd 留置針装置
CN201231004Y (zh) * 2008-07-10 2009-05-06 曹向明 内科改良式胸腔留置针
CN201404537Y (zh) * 2009-05-22 2010-02-17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开放型静脉留置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30904A2 (pt) 2016-11-08
WO2011152160A1 (ja) 2011-12-08
HK1182038A1 (en) 2013-11-22
US8920378B2 (en) 2014-12-30
JP2011251081A (ja) 2011-12-15
MX2012014150A (es) 2013-04-29
EP2578250A4 (en) 2014-08-27
US20130066276A1 (en) 2013-03-14
CN102933242B (zh) 2015-02-25
EP2578250A1 (en) 2013-04-10
JP5594520B2 (ja) 2014-09-24
CN102933242A (zh)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9021A (ko) 유치침 장치
JP5790972B2 (ja) 留置針装置
BRPI0920464B1 (pt) protetor de ponta de agulha e montagem de agulha permanente
JP2012200425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2006297062A (ja) 留置針装置
KR20130086928A (ko) 폴리머 카테터 바늘 끝 차폐 장치
JP4654102B2 (ja) プロテクタ及び針セット
JP5854271B2 (ja) 留置針装置
JP6226201B2 (ja) 留置針装置
JP5999415B2 (ja) 留置針装置
JP4116770B2 (ja) プロテクタ
CN108434550B (zh) 一种安全型静脉留置针
JP2013022069A (ja) 留置針装置
JP5297063B2 (ja) カテーテル留置具
JP5915095B2 (ja) 留置針装置
JP6308829B2 (ja) 留置針装置
ES2954083T3 (es) Sistema de recogida de líquidos biológicos y ensamblaje de estabilización
JP5262262B2 (ja) 留置針装置
WO2013180233A1 (ja) 留置針装置
JP2004242762A (ja) 留置用カテーテル
JP2016154617A (ja) 留置針装置
JP2001218852A (ja) 留置針組立体
WO2013180234A1 (ja) 留置針装置
JP2004242763A (ja) 留置用カテーテル
JP2019170828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