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943A -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 Google Patents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943A
KR20130108943A KR1020120030810A KR20120030810A KR20130108943A KR 20130108943 A KR20130108943 A KR 20130108943A KR 1020120030810 A KR1020120030810 A KR 1020120030810A KR 20120030810 A KR20120030810 A KR 20120030810A KR 20130108943 A KR20130108943 A KR 20130108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tchet wrench
jog shuttle
ratch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병옥
김재수
이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툴
Priority to KR102012003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8943A/ko
Priority to US13/459,713 priority patent/US8424421B1/en
Publication of KR2013010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28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pivotally movable
    • B25B13/34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 B25B13/36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by ratchet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2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 B25B13/463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a pawl engaging an externally toothed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Abstract

본 발명은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된 몸체부와, 상기 원형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설치되고 상부면 일측에 컨트롤롤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기어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컨트롤롤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로 이루어지는 베벨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2 기어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죠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래칫기어가 상기 멈춤쇠에 맞물림으로써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Jog-shuttle Type Ratchet Wrench}
본 발명은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규격이 다양한 볼트나 너트를 별도의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칫 렌치는 볼트나 너트를 용이하게 조이거나 푸는데 사용되는 공구로서, 그 크기 및 형태와 사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래칫 렌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렌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외측테두리에 래칫 기어가 부착되는 헤드부(20)와, 몸체(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손잡이부(30)와, 헤드부(20)에 끼워지며 볼트나 너트머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을 가진 소켓(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래칫 렌치로 볼트나 너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30)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헤드부(20) 및 소켓(40)이 회전하고, 소켓(40)에 삽이되는 볼트머리(50)가 회전되므로, 볼트가 조이거나 풀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래칫 렌치의 소켓은 단일 규격의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하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규격이 다른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규격에 맞는 여러 개의 소켓을 별도로 헤드부에 결합시켜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규격이 상이한 여러 개의 볼트를 조립 또는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볼트를 래칫 렌치를 이용하여 조립 또는 탈거한 후, 소켓을 헤드부에서 탈거시켜야 하므로, 사용할 때마다 소켓을 별도로 결합시키고 탈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소켓을 여러 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과 무거운 공구박스를 들고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작업대상물의 깊은 홈에 볼트나 너트의 조립, 탈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머리부에 일자, 십자, 육각, 별모양 등이 형성된 볼트, 육각머리볼트, 렌치볼트, 사각볼트를 조립 또는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립, 탈거가 어려우며, 별도의 드라이버, 소켓, 및 렌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베벨기어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부에 한 쌍의 죠가 설치되어 볼트머리의 규격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시키고, 별도의 소켓 공구박스가 불필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내부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드라이버 피스를 수용함으로써 머리부에 일자, 십자, 육각, 별모양 등이 형성된 볼트, 육각머리볼트, 렌치볼트, 사각볼트를 별도의 드라이버, 소켓, 및 렌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손쉽게 조립, 탈거할 수 있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된 몸체부와, 상기 원형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설치되고 상부면 일측에 컨트롤롤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기어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컨트롤롤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로 이루어지는 베벨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2 기어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죠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래칫기어가 상기 멈춤쇠에 맞물림으로써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를 제공한다.
상기 멈춤쇠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 양단에는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멈춤쇠의 일측에 구비되는 볼플런저의 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는 상기 컨트롤로러가 장착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한 쌍의 죠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죠안내홈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죠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죠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죠결합홈을 구비하는 죠결합부와, 상기 죠결합부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된 소켓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간부에 수용된 드라이버 피스가 결합될 수 있는 드라이버 피스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죠결합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 내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걸림홈이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죠결합부의 일측에는 렌치용 소켓의 결합을 위한 볼플런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베벨기어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부에 한 쌍의 죠가 설치되어 볼트머리의 규격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시키고, 별도의 소켓 공구박스가 불필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내부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드라이버 피스를 수용함으로써 머리부에 일자, 십자, 육각, 별모양 등이 형성된 렌치볼트, 무드렌치볼트를 별도의 드라이버 렌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손쉽게 조립,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래칫 렌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평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롤러, 베벨기어 및 죠의 작동상태도.
도 7a 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개략도.
도 8a와 도 8b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평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롤러, 베벨기어 및 죠의 작동상태도, 도 7a 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100)는 몸체부(110), 헤드부(200), 베벨기어(220), 회전축(226), 한 쌍의 죠(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일측에 형성된 원형홀(112)과, 타측에 길게 연장된 손잡이(114)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부(110a)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10a)에는 복수개의 드라이버 피스(140)가 수용된다.
이러한, 드라이버 피스(140)는 후술하는 어댑터(240)의 소켓결합부(244)에 형성된 드라이버 피스 결합홈(244a)에 결합되며, 일단부는 일자, 십자, 육각 및 별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부는 드라이버 피스 결합홈(244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드라이버 피스 결합홈(244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손잡이(114)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고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10)의 하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하우징(210)과 볼플런저(124)를 지지하는 커버(116)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116)에는 후술하는 멈춤쇠(130)와 컨트롤레버(118)를 연결하는 레버핀(120)이 관통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레버스크류(122)가 삽입되는 커버홀(116a)이 형성된다.
컨트롤레버(118)는 몸체부(110)의 외부 일측에 레버핀(120)에 의해 설치되어, 멈춤쇠(130)를 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멈춤쇠(130)가 설치되는데, 이 멈춤쇠(130)는 후술하는 헤드부(200)의 래칫기어(212)와 결합되어 헤드부(20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멈춤쇠(130)는 전술한 컨트롤레버(118)의 동작에 연동할 수 있도록 레버핀(120)에 관통결합된다.
여기서, 멈춤쇠(130)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양단에는 래칫기어(212)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132a, 132b)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멈춤쇠(130)의 일측에 구비된 후술하는 볼플런저(124)의 볼(124b)에 밀착될 수 있는 곡률반경을 갖는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134a, 134b)가 인접하여 형성된다.
볼플런저(124)는 탄성스프링(124a)과 볼(124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탄성스프링(124a)의 탄성력에 의해 볼(124b)이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
탄성스프링(124a)은 몸체부(110)의 스프링 삽입홈(126)에 안착되어 일단이 몸체부(110)에 고정되고, 볼(124b)은 탄성스프링(124a)의 타단과 멈춤쇠(1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124a)의 탄성력이 멈춤쇠(130)에 전달되도록 한다.
톱니(132a, 132b)는 각각 일방향으로는 래칫기어(212)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으로는 래칫기어(212)를 톱니(132a, 132b)가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즉, 멈춤쇠(130)의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부(110)에 설치된 멈춤쇠(13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멈춤쇠(130)의 톱니(132a)가 래칫기어(212)에 걸려있기 때문에 멈춤쇠(130)가 래칫기어(21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됨으로써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원형홀(112)에 설치된 하우징(210)이 몸체부(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몸체부(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멈춤쇠(130)의 톱니(132a)는 래칫기어(212)를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하우징(210)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몸체부(110)만 회전되고 하우징(210)은 회전되지 않는다.
헤드부(200)는 하우징(210), 래칫기어(212), 베벨기어(220) 및 한 쌍의 죠(23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원형홀(112)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설치되고, 외측면에는 래칫기어(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10)의 상부면 일측에는 컨트롤롤러(214)가 기어샤프트(216)에 의해 장착되도록 장착홀(210a)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죠(23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죠안내홈(218a)이 형성된 하우징커버(218)가 결합된다.
베벨기어(22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컨트롤롤러(214)의 일단부에 기어샤프트(216)를 통해 결합되는 제1 기어부(222)와, 제1 기어부(22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제1 기어부(222)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224)로 이루어진다.
즉, 제1 기어부(222)는 기어샤프트(216)에 의해 컨트롤롤러(214)에 결합되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위치되고, 제2 기어부(224)는 제1 기어부(222)에 치합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제2 기어부(224)에는 제2 기어부(22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226)이 결합되며, 이 회전축(226)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나사산(226a, 226b)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축(226)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왼쪽의 나사산(226a)은 왼나사가공에 의해 약간 왼쪽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되고, 오른쪽의 나사산(226b)은 오른나사가공에 의해 약간 오른쪽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226)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후술하는 한 쌍의 죠(230)는 회전축(226)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롤러(214)의 회전조작에 의해 베벨기어(220)가 회전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제2 기어부(224)에 결합된 회전축(226)도 회전을 하게되므로, 회전축(226)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죠(230)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다.
한 쌍의 죠(23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축(2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회전축(226)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죠(230)의 대향되는 면, 즉 볼트머리와 접촉되는 면은 각각 'V'자 형상의 걸림홈(232)이 절삭형성되는데, 이 'V'자 형상의 걸림홈(232)에는 볼트머리의 외측면과 외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삽입된다.
여기서, 걸림홈(232)에 볼트머리의 외측 모서리부분이 접촉되는 경우에는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볼트머리의 모서리부분이 마모 또는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걸림홈(232)에는 원형홈(232a)이 절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한 쌍의 죠(230) 하단부에는 렌치용 소켓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어댑터(24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어댑터(240)는 손잡이(114)의 일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어댑터(240)의 일측에는 죠(2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죠결합부(2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렌치용 소켓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결합부(244)가 돌출형성된다.
죠결합부(242)의 내부에는 한 쌍의 죠(230)가 삽입, 결합되도록 원형의 죠결합홈(242a)이 형성된다.
또한, 죠결합부(242)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242b)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242b)은 손잡이(114)의 내주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걸림돌기(114a)에 걸림 결합된다.
아울러, 죠결합부(242)의 외부표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널링(knurling)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결합부(244)의 내부에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간부(110a)에 수용된 드라이버 피스(140)가 결합되는 드라이버 피스 결합홈(244a)이 형성된다.
또한, 소켓결합부(244)의 일측에는 렌치용 소켓이 소켓결합부(24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볼(246b)과 스프링(246a)으로 구성된 볼플런저(246)가 구비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볼트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컨트롤레버(118)를 회전시켜,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멈춤쇠(130)의 일측 양단에 형성된 톱니(132a, 132b) 중 조립단계의 톱니(132a)가 하우징(210)의 외측에 형성된 래칫기어(212)와 맞물리도록 한다.
이후, 하우징(21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 컨트롤롤러(21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샤프트(216)를 통해 컨트롤롤러(214)와 연결된 베벨기어(220)의 제1 기어부(222)가 회전을 하게 되고, 제1 기어부(222)가 회전을 하게되면 제1 기어부(22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제1 기어부(222)에 치합된 제2 기어부(224)가 회전을 하게 된다.
제2 기어부(224)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제2 기어부(224)에 결합된 회전축(226)이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축(226)이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회전축(226)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죠(230)는 서로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되고, 볼트의 머리를 좌우에서 압박하여 고정한다.
이후, 손잡이(114)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30)가 래칫기어(212)를 밀게되어 헤드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죠(230)에 고정된 볼트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몸체부(110)와 헤드부(200)가 소정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손잡이(114)를 반시계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10)를 원위치시키고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손잡이(1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볼트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볼트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레버(118)를 도면상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멈춤쇠(130)의 일측 양단에 형성된 톱니(132a, 132b) 중 탈거단계의 톱니(132b)가 래칫기어(212)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손잡이(114)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30)의 톱니(132b)가 래칫기어(212)를 밀게 되어 헤드부(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부(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죠(230)에 고정된 볼트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탈거된다. 이 경우에도 몸체부(110)와 헤드부(200)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손잡이(1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10)를 원위치시키고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볼트의 탈거작업이 완료된다.
아울러, 작업대상물의 깊은 홈에 볼트를 조립 또는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 쌍의 죠(230)의 하단부에 어댑터(240)를 결합하여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소켓(4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소켓(40)을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롤러(214)를 회전시켜 베벨기어(220)가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축(226)이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죠(230)의 상호 대향면이 맞닿도록 한 후, 어댑터(240)의 죠결합홈(242a)에 죠(230)를 삽입시켜 결합시키면 된다.
이후, 사용하고자 하는 소켓(40)의 소켓홈(42)에 소켓결합부(244)를 삽입하면 소켓결합부(244)의 일측에 구비된 볼플런저(246)가 소켓홈(42) 내에 구비된 플런저홈(미도시)에 삽입, 고정되어 어댑터(240)에 소켓(40)을 결합하는 과정이 완료되고,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볼플런저(246)는 스프링(246a)과 볼(24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어댑터(240)에 각종 드라이버 피스(14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0a)에 수용된 복수개의 드라이버 피스(140)를 어댑터(240)의 소켓결합부(244)에 형성된 드라이버 피스 결합홈(244a)에 결합시킨 후 머리부에 일자, 십자, 육각, 별모양 등이 형성된 볼트, 육각머리볼트, 렌치볼트, 사각볼트 등을 조립 또는 탈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몸체부 222: 제1 기어부
112: 원형홀 224: 제2 기어부
114: 손잡이 226: 회전축
116: 커버 230: 한 쌍의 죠
118: 컨트롤레버 240: 어댑터
120: 레버핀
122; 레버스크류
124: 볼플런저
126: 스프링삽입홈
130: 멈춤쇠
132a, 132b: 톱니
134a, 134b: 원호형굴곡부
200: 헤드부
210: 하우징
212: 래칫기어
214: 컨트롤롤러
216: 기어샤프트
218: 하우징커버
220: 베벨기어

Claims (9)

  1.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된 몸체부;
    상기 원형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설치되고 상부면 일측에 컨트롤롤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기어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컨트롤롤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로 이루어지는 베벨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2 기어부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죠;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래칫기어가 상기 멈춤쇠에 맞물림으로써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 양단에는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멈춤쇠의 일측에 구비되는 볼플런저의 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는 상기 컨트롤로러가 장착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한 쌍의 죠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죠안내홈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죠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죠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죠결합홈을 구비하는 죠결합부와, 상기 죠결합부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된 소켓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켓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간부에 수용된 드라이버 피스가 결합될 수 있는 드라이버 피스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죠결합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 내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걸림홈이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죠결합부의 일측에는 렌치용 소켓의 결합을 위한 볼플런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KR1020120030810A 2012-03-26 2012-03-26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KR20130108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810A KR20130108943A (ko) 2012-03-26 2012-03-26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US13/459,713 US8424421B1 (en) 2012-03-26 2012-04-30 Jog-shuttle type ratchet wr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810A KR20130108943A (ko) 2012-03-26 2012-03-26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943A true KR20130108943A (ko) 2013-10-07

Family

ID=4809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810A KR20130108943A (ko) 2012-03-26 2012-03-26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4421B1 (ko)
KR (1) KR201301089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659A (ko) 2015-04-02 2016-10-12 김동규 래칫 렌치용 소켓
CN113084738A (zh) * 2021-03-03 2021-07-09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用在液晶玻璃领域加热砖装卸连接线的专用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0246A1 (de) 2001-01-05 2002-07-11 Leica Microsystems Mikroskop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ikroskops
CN104227638B (zh) * 2014-09-17 2016-03-02 国家电网公司 电力钢杆法兰螺栓紧固工具连接件
CN105983934B (zh) * 2015-01-28 2024-02-23 杭州巨星工具有限公司 可调扳手
USD859104S1 (en) * 2017-12-27 2019-09-10 Ting-Ho Yu Ratchet wrench
CN110788786A (zh) * 2019-10-30 2020-02-14 莫建红 一种适用箱体内壁螺钉的扳手
CN111331541A (zh) * 2020-03-06 2020-06-26 于帅博 一种无极套筒
US11826807B2 (en) * 2021-11-15 2023-11-28 Jake Matthew Thomas Handle and a kit of tools for paintless dent removal
US11925967B2 (en) * 2021-11-15 2024-03-12 Jake Matthew Thomas Tool kit with quick-connect coupling for paintless dent removal
CN114734407B (zh) * 2022-06-14 2022-09-02 天津航天机电设备研究所 用于空间站机械臂目标适配器的换向器及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69B1 (ko) * 2008-04-11 2008-09-30 주식회사 월드툴 래칫 렌치
US7721629B2 (en) * 2008-05-06 2010-05-25 The Stanley Works Adjustable ratch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659A (ko) 2015-04-02 2016-10-12 김동규 래칫 렌치용 소켓
CN113084738A (zh) * 2021-03-03 2021-07-09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用在液晶玻璃领域加热砖装卸连接线的专用工具
CN113084738B (zh) * 2021-03-03 2022-08-30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用在液晶玻璃领域加热砖装卸连接线的专用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24421B1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8943A (ko)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KR100861069B1 (ko) 래칫 렌치
US7299720B1 (en) Reversible ratchet wrench
US7770494B2 (en) Ratchet driver
US9969066B2 (en) Ratchet screwdriver
US8100036B2 (en) Ratchet wrench
GB2447557A (en) Wrench with socket, handle and retainer
KR100861068B1 (ko) 래칫 렌치
JP3130536U (ja) ラチェットレンチ
KR100762173B1 (ko) 라쳇 렌치
WO2016033711A1 (zh) 棘轮扳手
TWM473278U (zh) 工具之轉動固定裝置
TWM563946U (zh) 扳手之轉向結構
JP2014030870A (ja) ねじ回し工具用のアタッチメント
JP2003245876A5 (ko)
JP3149884U (ja) ラチェットアダプター
TWM514382U (zh) 扳手扣固裝置
US20140007745A1 (en) Wrench
KR20120004900U (ko) 엘리베이터용 마스터 키
KR200485359Y1 (ko) 래치형 드라이버
TWI494197B (zh) Ratchet engagement device for ratchet tool
CN201399752Y (zh) 活动扳手
CN220128652U (zh) 一种扳手结构
TWM453563U (zh) 可多角度轉向的工具握把
TWI412435B (zh) 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