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068B1 - 래칫 렌치 - Google Patents

래칫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068B1
KR100861068B1 KR1020070073021A KR20070073021A KR100861068B1 KR 100861068 B1 KR100861068 B1 KR 100861068B1 KR 1020070073021 A KR1020070073021 A KR 1020070073021A KR 20070073021 A KR20070073021 A KR 20070073021A KR 100861068 B1 KR100861068 B1 KR 100861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hole
detent
gear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우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툴
Priority to KR102007007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14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by rack and pinion, worm or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20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 B25B13/22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by ratchet action or toothed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칫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규격이 다르고 형상이 다양한 볼트나 너트를 별도의 소켓을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연속적으로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있는 래칫 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는 일측에는 내부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홀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원형홀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향하여 소정 넓이로 안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상부면에 형성되는 십자형의 상부홀과 하단부에 절삭형성되는 장방형의 하부홈과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래칫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헤드부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설치되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래칫 하우징과, 상기 래칫 하우징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안착홈에 회동가능하게 안착설치되되 일측 양단에 상기 래칫 하우징의 래칫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가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멈춤쇠와,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기어축과 일체가 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부가 상기 래칫 하우징의 상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스퍼기어와,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기어축과 일체가 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의 하부홈에 위치되되, 상기 제1스퍼기어와 맞물릴 수 있게 설치되는 제2스퍼기어와, 상기 래칫 하우징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되, 각각 상기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이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나사홀을 갖 는 제1 및 제2죠오와, 상기 헤드부의 원형홀 및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멈춤쇠와 조절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멈춤쇠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퍼기어 및 제2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1 및 제2죠오가 상기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의 나사산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제1 및 제2죠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래칫 렌치, 몸체, 래칫 하우징, 멈춤쇠, 스퍼기어, 죠오, 커버, 레버, 탄성스프링, 볼

Description

래칫 렌치{RATCHET WRENCH}
본 발명은 래칫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규격이 다르고 형상이 다양한 볼트나 너트를 별도의 소켓을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연속적으로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있는 래칫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칫 렌치는 볼트나 너트를 용이하게 조이거나 푸는데 사용되는 공구로서, 그 크기 및 형태와 사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래칫 렌치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렌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외측테두리에 기어가 부착되는 헤드부(30)와, 몸체(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손잡이부(20)와, 상기 헤드부(30)의 돌기부에 끼워지며 볼트머리(50)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갖는 소켓(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에는 일측단 또는 타측단이 헤드부(30)의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헤드부가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래칫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래칫 렌치로 볼트나 너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20)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헤드부(30) 및 소켓(40)이 회전되고 소켓(40)에 삽입되는 볼트머리(50)가 회전되므로, 볼트가 조이거나 풀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래칫 렌치의 소켓은 단일 규격의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에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규격이 다른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규격에 맞는 여러개의 소켓을 별도로 헤드부의 돌기부에 결합시켜 작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규격이 상이한 여러개의 볼트를 조립 또는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볼트를 래칫 렌치를 이용하여 조립 또는 탈거한 후 소켓을 헤드부의 돌기부에서 탈거시키고 규격이 다른 새로운 소켓을 다시 헤드부의 돌기부에 결합시켜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시켜야 하므로, 사용할 때마다 소켓을 별도로 결합시키고 탈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소켓을 여러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과 무거운 공구박스를 들고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렌치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마찰로 인해 헤드부(30)나 소켓(40)의 홈이 손상되어 공회전이 발생되어 볼트의 조립 및 탈거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규격이 다르고 형상이 다양한 볼트나 너트를 별도의 소켓을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연속적으로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있는 래칫 렌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나 너트의 조립 및 탈거작업시 죠오가 쉽게 이탈되지 않아 용이한 작업이 가능한 래칫 렌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가 피체결물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래칫 렌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의 조립이나 탈거작업을 위한 멈춤쇠의 회동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래칫 렌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는 내부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홀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원형홀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향하여 소정 넓이로 안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상부면에 형성되는 십자형의 상부홀과 하단부에 절삭형성되는 장방형의 하부홈과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래칫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헤드부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설치되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래칫 하우징과, 상기 몸체의 안착홈에 회동가능하게 안착설치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멈춤쇠와,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기어축과 일체가 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부가 상기 래칫 하우징의 상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스퍼기어와,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기어축과 일체가 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의 하부홈에 위치되되, 상기 제1스퍼기어와 맞물릴 수 있게 설치되는 제2스퍼기어와, 상기 래칫 하우징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되, 각각 상기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이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나사홀을 갖는 제1 및 제2죠오와, 상기 헤드부의 원형홀 및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멈춤쇠와 조절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멈춤쇠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퍼기어 및 제2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1 및 제2죠오가 상기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의 나사산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제1 및 제2죠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멈춤쇠는 삼각형상을 갖되 일측 양단에는 상기 래칫 하우징의 래칫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스프링 삽입홈에 안착되어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멈춤쇠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상기 멈춤쇠에 전달되도록 하는 볼을 더 포 함하며, 상기 멈춤쇠에는 상기 볼의 테두리면과 밀착될 수 있는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멈춤쇠가 소정각도로 회동될 때 하나의 원호형 굴곡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볼이 슬라이딩 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압박하게 되고 이후 다른 하나의 원호형 굴곡부에 상기 볼이 밀착되는 시점에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멈춤쇠가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래칫 하우징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스퍼기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홀을 갖는 캡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죠오는 각각 상단부와 중앙부가 계단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측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죠오의 상호 대향면은 각각 평면을 이루되 중앙부에 'V'형의 걸림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홈의 골부에는 원형홈이 절삭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기어축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래칫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축은 상기 래칫 하우징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고정홀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스퍼기어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1기어축은 상기 제1스퍼기어의 중공을 관통하되 그 중앙부가 상기 중공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스퍼기어와 일체로 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스퍼기어의 중공 및 제1기어축의 중앙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기어축은 양측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축은 양측의 나사산이 상기 제1기어축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죠오의 나사홀과 상기 제2죠오의 나사홀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절핀은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레버, 커버, 멈춤쇠 및 몸체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조절핀과, 상기 레버 및 제1조절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절핀의 삽입홈에 끼움고정되되 헤드가 상기 레버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2조절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버 및 멈춤쇠의 홀은 타원형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및 몸체의 홀은 상기 타원형홀을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조절핀은 상기 타원형홀 및 원형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에 의하면, 래칫 하우징에 설치되는 죠오 사이의 간격이 볼트머리의 규격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볼트의 조립 및 탈거작업시 별도의 소켓이 없더라도 하나의 래칫 렌치만으로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고, 별도로 소켓 공구박스가 불필요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죠오의 대향면에 'V'형의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볼트머리와의 결합력이 견고해져 볼트의 조립 및 탈거작업시 죠오가 볼트머리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V'형 걸림홈의 골부에 원형홈이 형성됨으로써 볼트의 조립 및 탈거시 마찰로 인해 볼트머리가 파손될 염려가 없어 장기가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죠오의 하단부의 외측단이 반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볼트가 피체결물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용이한 볼트의 조립 및 탈거작업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멈춤쇠가 볼과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어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을 위해 멈춤쇠를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1의 C-C'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래칫 렌치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는 몸체(100), 래칫 하우징(200), 멈춤쇠(140), 제1스퍼기어(240), 제2스퍼기어(250), 제1 및 제2죠오(260a, 260b), 커버(300), 레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스프링(150), 볼(160), 캡(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헤드부(110), 손잡이부(120) 및 안착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헤드부(110)는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홀(112)을 갖는다. 즉,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0)의 원형홀(112)은 내부가 단차가 형성되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칫 하우징(2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손잡이부(120)는 헤드부(110)에서 길게 연장되어 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다. 또한, 안착홈(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멈춤쇠(140)가 안착설치되는 부분으로서 헤드부(110)의 원형홀(112)에서 손잡이부(120)를 향하여 소정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착홈(130)은 멈춤쇠(140)가 수용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정도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는 커버(3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로써 볼트나 너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시 몸체 자체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몸체(100)는 안착홈(130)으로부터 손잡이부(120)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스프링 삽입홈(136)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프링 삽입홈(136)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50)이 안착고정되고, 볼(160)이 삽입설치된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134는 커버(300)와의 볼트체결을 위해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공을 가리키는 것이다.
래칫 하우징(200)은 몸체(100)의 헤드부(110)의 원형홀(112)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설치되는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는 십자형의 상부홀(210)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장방형의 하부홈(220)이 절삭형성되며, 외측 테두리에는 래칫기어(230)가 부착된다. 이러한 래칫 하우징(2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기어(230)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헤드부(110)의 원형홀(112)의 내부에 안착되어 관통되지 않기 때문에 도면상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염려는 없다. 래칫 하우징(200)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제1 및 제2스퍼기어(250),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부면에 십자형이 상부홀(2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제1스퍼기어(2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1기어축(242)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래칫 하우징(200)의 하단부에 하부홈(220)이 형성되는 것은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왕복이동되는 폭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 기 위함이다. 한편, 래칫기어(230)는 래칫 하우징(200)의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멈춤쇠(140)와 함께 래칫 하우징(200)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멈춤쇠(140)는 몸체(100)를 회전시켜 래칫 하우징(200)에 회전력을 가하는 경우 래칫 하우징(200)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안착홈(130)에 회동가능하게 안착설치된다. 이러한 멈춤쇠(140)는 삼각형상을 가지며, 일측 양단에는 래칫 하우징(200)의 래칫기어(230)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142a, 14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버(4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조절핀(420, 430)이 관통결합될 수 있는 홀(146)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톱니(142a, 142b)는 각각 일방향으로는 래칫기어(230)와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으로는 래칫기어(230)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경사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3a의 경우 몸체(1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100)에 장착된 멈춤쇠(140)도 함께 회전되는데, 이 때 멈춤쇠(140)의 톱니(142a)가 래칫기어(230)에 걸려있기 때문에 멈춤쇠(140)가 래칫기어(23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래칫 하우징(200)이 몸체(1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반면, 몸체(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멈춤쇠(140)의 톱니(142a)는 래칫기어(230)를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래칫 하우징(200)에 회전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몸체(100)만 회전되고 래칫 하우징(200) 은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도 3a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멈춤쇠(140)의 다른 쪽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와 맞물려 있는 경우에는 몸체(1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40)의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래칫 하우징(200)이 회전되지 않고, 몸체(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40)의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를 밀게 되어 래칫 하우징(200)에 회전력이 제공되므로 래칫 하우징(200)이 몸체(100)와 함께 회전된다. 한편, 멈춤쇠(140)의 타측, 즉 톱니(142a, 142b)가 형성되는 반대쪽에는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144a, 144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멈춤쇠(140)의 반자동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스퍼기어(2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부가 래칫 하우징(200)의 상부홀(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최초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스퍼기어(240)는 제1기어축(242)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스퍼기어(240)와 제1기어축(242)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퍼기어(240)는 중공(241)을 가지며 제1기어축(242)은 제1스퍼기어(240)의 중공(241)을 관통하되 그 중앙부(도면부호 미표시됨)가 상기 중공(241)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됨으로써 제1스퍼기어(240)와 제1기어축(242)이 일체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스퍼기어(240)의 중공(241)과 제1기어축(242)의 중앙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톱니(미도시 됨)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로써 제1스퍼기어(240)와 제1기어축(242)의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축(242)의 테두리에는 나사산(도면부호 미표시됨)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제1기어축(242)은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의 나사산이 서로 같은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기어축(242)은 래칫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축(242)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244)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244)을 관통하여 양단이 래칫 하우징(2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246)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기어축(242)은 고정축(246)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고, 제1기어축(242)과 일체를 이루는 제1스퍼기어(240)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246)은 래칫 하우징(200)에 고정장착되는데, 도 3c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하우징(200)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고정홀(270)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제1스퍼기어(240), 제1기어축(242)을 고정축(246)을 이용하여 래칫 하우징(200)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2스퍼기어(250)는, 도 3b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축(252)과 일체를 이루며, 래칫 하우징(200)의 하부홈(220)에 위치되어 제1스퍼기어(240)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스퍼기어(250)는 제1스퍼기어(24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1스퍼기어(2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스퍼기어(250)는 제1스퍼기어(24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기어축(252)의 테두리에는 나사산(도면부호 미표시됨)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제1기어축(242)의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 때 제2기어축(252)의 나사산은 제1기어축(242)의 나사산과 같은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2스퍼기어(250)는 제1스퍼기어(240)와는 달리 별도로 래칫 하우징(2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이 불필요하며, 래칫 하우징(200)에 직접적으로 결합고정될 필요가 없다. 즉, 제1스퍼기어(240)의 제1기어축(242)이 고정축(246)에 의해 래칫 하우징(200)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에 제1기어축(242)과 제2기어축(252)이 관통결합되므로, 제2스퍼기어(250)와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래칫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될 염려는 없기 때문이다.
한편, 서로 맞물려 있는 제1스퍼기어(240)와 제2스퍼기어(250)를 이용하는 경우 제1스퍼기어(240)를 작게 형성시키더라도 제2스퍼기어(250)를 크게 형성시키면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충분한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어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용이하게 왕복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래칫 하우징(20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일 부는 래칫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는 각각 제1기어축(242)이 관통결합될 수 있는 상부나사홀(262a, 262b)을 갖고, 제2기어축(252)이 관통결합될 수 있는 하부나사홀(264a, 264b)을 갖는데, 따라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는 제1기어축(242)과 제2기어축(252)에 의해 관통결합된다. 이처럼,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를 제1기어축(242)과 제2기어축(252)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흔들거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나사홀(262a, 262b)과 하부나사홀(264a, 264b)은 서로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상부나사홀(262a, 262b)은 래칫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나사홀(264a, 264b)은 래칫 하우징(200)의 하부홈(220)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부나사홀(262a, 262b) 및 하부나사홀(264a, 264b)에 형성되는 나사산(도면부호 미표시됨)은 제1기어축(242) 및 제2기어축(252)의 나사산(도면부호 미표시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따라서 제1스퍼기어(240) 및 제2스퍼기어(250)가 회전되어 제1기어축(242) 및 제2기어축(252)이 회전되는 경우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252)의 나사산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어 볼트머리의 규격에 맞도록 제1 및 제2죠오(260a, 26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시 별도의 소켓이 불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제1죠오(260a)의 상부 및 하부나사홀(262a, 264a)과 제2죠오(260b)의 상부 및 하부나사홀(262b, 264b)은 같은방향의 나사산을 갖거나 반대방향의 나 사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제1기어축(242)과 제2기어축(252)의 나사산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제1기어축(242)이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한 양측의 나사산이 같은방향, 예를 들어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경우 제2기어축(252)의 양측 나사산은 오른나사 또는 왼나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2기어축(252)의 양측 나사산이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죠오(260a)의 상부나사홀(262a)과 하부나사홀(264a)은 그 나사산이 서로 같은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죠오(260b)의 상부나사홀(262b)과 하부나사홀(264b)도 서로 같은방향으로 형성되며, 다만 제1죠오(260a)의 상부 및 하부나사홀(262a, 264a)과 제2죠오(260b)의 상부 및 하부나사홀(262b, 264b)은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기어축(252)의 양측 나사산이 제1기어축(242)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인 왼나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죠오(260a)의 상부나사홀(262a)과 하부나사홀(264a)은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죠오(260b)의 상부나사홀(262b)과 하부나사홀(264b)도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죠오(260a)의 상부 및 하부나사홀(262a, 264a)과 제2죠오(260b)의 상부 및 하부나사홀(262b, 264b)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는다.
그러나, 제1기어축(242)은 양측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기어축(252)은 양측의 나사산이 제1기어축(242)의 나사산과 같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기어축(242)의 양측의 나사산 중 일측이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타측이 왼나사로 형성되며, 제2기어축(252)도 일측이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타측이 왼나사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 제1죠오(260a)의 상부 및 하부나사 홀(262a, 264a)의 나사산은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제2죠오(260b)의 상부 및 하부나사홀(262b, 264b)의 나사산은 왼나사로 형성되어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스퍼기어(240)의 회전으로 제1기어축(242)이 회전되고 동시에 제1스퍼기어(240)와 맞물려 있는 제2스퍼기어(250)가 회전되면서 제2기어축(252)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죠오(260a)는 제1스퍼기어(240) 및 제2스퍼기어(250)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으며, 제2죠오(260b)는 제1죠오(260a)와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상호 대향면은 각각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대향면이 볼트머리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볼트머리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대향면은,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평면을 이루되 중앙부에 'V'형의 걸림홈이 절삭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죠오(260a)와 제2죠오(260b)의 대향면에 각각 'V'형의 걸림홈(266b)이 형성되면 볼트머리의 외측면과 외측면이 만나는 각(angle) 부분이 상기 걸림홈(266b)에 삽입되어 고정력이 더욱 견고해지고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 때, 제1죠오(260a)와 제2죠오(260b) 각각의 걸림홈은 그 골부를 기준으로 약 120°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통상 육각볼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볼트머리가 여러가지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홈도 그에 맞게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제1죠오(260a)의 걸림홈(미도시됨)과 제2죠오(260b)의 걸림홈(266b)의 골부는 볼트머리의 외측 각(angle) 부분과 접촉되는데 장기간 사용시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과정에서 마찰로 인해 볼트머리의 외측 각(angle) 부분이 파손될 수가 있으며, 그 파손으로 인해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공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죠오(260a)의 걸림홈과 제2죠오(260b)의 걸림홈(266b)의 골부에는 원형홈(268b)이 절삭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로써 볼트머리의 외측 각(angle) 부분이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대향면과 마찰되지 않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는, 도 3c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부나사홀(262a, 262b)이 형성되는 상단부(도면부호 미표시됨)와 하부나사홀(264a, 264b)이 형성되는 중앙부(도면부호 미표시됨)가 계단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래칫 하우징(20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볼트의 조립 및 탈거작업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흔들거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상단부는 래칫 하우징(200)의 상부홀(210)에 위치되고 중앙부는 래칫 하우징(200)의 하부홈(220)에 위치되는데, 상기 상단부와 중앙부가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래칫 하우징(200)과의 결합성이 견고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는 하단부(도면부호 미표시됨)의 외측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것은 볼트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피체결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필요 가 있는 경우나 그러한 볼트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볼트의 머리가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홈은 볼트머리의 외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데, 볼트머리의 테두리와 상기 홈의 내주면 사이에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삽입될 수 있어야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대향면에는 'V'형 걸림홈(266b)이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하단부의 외측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면 볼트머리의 테두리와 상기 홈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볼트의 조립 및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커버(300)는, 도 2,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헤드부(110)와 안착홈(130)이 형성된 부분을 덮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몸체(100)의 헤드부(110)의 원형홀(112)과 안착홈(130)에 삽입되어 몸체(100)와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300)는 몸체(100)의 헤드부(110)의 원형홀(112)을 관통하지 않고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홀(112)의 내부에 안착된다. 또한, 커버(300)의 일측에는 원형홀(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원형홀(31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하우징(200)이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래칫기어(2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래칫기어(230)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300)는 몸체(100)와 볼트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330)을 가지며, 멈춤쇠(140)와 레버(400)를 연결하는 조절핀(430)이 관통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홀(320)을 갖는다.
레버(400)는 멈춤쇠(14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그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외측에 설치되되 멈춤쇠(140)와는 조절핀(430)에 의해 연결되며, 조절핀(430)이 관통고정될 수 있도록 홀(410)을 갖는다. 이러한 레버(400)는 소정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며, 레버(400)의 회전시 조절핀(430)에 의해 연결되는 멈춤쇠(140)도 동시에 회동되어 일측 양단에 형성되는 톱니(142a, 142b)를 선택적으로 래칫기어(230)와 맞물리도록 할 수가 있다. 즉, 레버(400)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140)를 회동시켜 멈춤쇠(140)의 한 쪽 톱니(142a)가 래칫기어(230)와 맞물리도록 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칫 하우징(200)은 몸체(10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몸체(100)와 함께 회전되어 볼트의 조립작업을 수행하게 되지만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레버(400)로 멈춤쇠(140)를 회동시켜 멈춤쇠(140)의 다른 쪽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와 맞물리도록 하면 래칫 하우징(200)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어 볼트의 탈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400)로 멈춤쇠(140)를 회동시키는 경우 그 회동이 반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150)과 볼(1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150)은 몸체(100)의 스프링 삽입홈(136)에 안착되어 일단이 몸체(100) 에 고정되고, 상기 볼(160)은 탄성스프링(150)의 타단과 멈춤쇠(140)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150)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멈춤쇠(140)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멈춤쇠(14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144a, 144b)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호형 굴곡부(144a, 144b)는 볼(160)의 테두리면과 밀착될 수 있는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a의 경우 볼(160)이 멈춤쇠(140)의 한 쪽 원호형 굴곡부(144a)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는데, 레버(400)로 멈춤쇠(14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멈춤쇠(140)에 의해 볼(160)이 슬라이딩 되어 탄성스프링(150)을 압박하게 되고 멈춤쇠(140)의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144a, 144b) 사이의 꼭지점 부분이 볼(160)과 접촉될 때 탄성스프링(150)은 최대로 압박되게 된다. 이후 멈춤쇠(140)가 약간 더 회전되어 다른 쪽 원호형 굴곡부(144b)가 볼에 밀착되는 시점에서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멈춤쇠(140)는 자동으로 완전하게 회동되어 다른 쪽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와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400)와 멈춤쇠(140)를 연결하는 조절핀은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핀(430)과 제2조절핀(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조절핀(430)은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레버(400)의 고정홀(410), 커버(300)의 홀(320), 멈춤쇠(140)의 홀(146) 및 몸체(100)의 홀(132)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조절핀(420)은 제1조절핀(430)의 삽입홈(432)에 끼움고정되되 헤드가 레버(40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데, 이것은 레버(400)와 제 1조절핀(430)의 결합고정력을 강화시키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조절핀(430)은 커버(300)의 홀(320)과 몸체(100)의 홀(132)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레버(400)의 회전시 제1조절핀(430)은 레버(400) 및 멈춤쇠(140)와 함께 회전되어야 하는데 레버(400)의 홀(410)과 멈춤쇠(140)의 홀(146)이 원형홀로 이루어지면 장기간 사용시 마찰로 인한 마모로 인해 헐거워지게 되고 제1조절핀(430)이 레버(400) 및 멈춤쇠(140)를 회전시키지 못하고 공회전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레버(400)의 홀(410)과 멈춤쇠(140)의 홀(146)은 타원형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조절핀(430)도 레버(400)의 홀(410)과 멈춤쇠(140)의 홀(146)에 결합되는 부분(도면부호 미표시됨)은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커버(300)의 홀(320) 및 몸체(100)의 홀(132)과 이에 결합되는 제1조절핀(430)의 결합부(도면부호 미표시됨)는 상기 타원형홀을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제1조절핀(430)을 끼워서 결합시킬 때 레버(400)의 홀(410) 및 멈춤쇠(140)의 홀(146)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캡(500)은, 도 2,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하우징(200)의 상부면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설치되며, 제1스퍼기어(2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홀(510)을 갖는다. 상기 캡(5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제1스퍼기어(24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캡(500)으로 인해 래칫 하우징(200)의 상부면에 스크래치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의 조립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조립과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그 조립과정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조립과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래칫 하우징(200)에 여러 부품들을 조립한다. 즉, 제1스퍼기어(240)와 제1기어축(242)을 일체결합하고 제2스퍼기어(250)를 제1스퍼기어(240)와 맞물리도록 한 후 제1기어축(242)과 제2기어축(252)에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를 결합시킨다. 이 때, 제1 및 제2죠오(260a, 260b)를 결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제1죠오(260a)에 제1기어축(242) 및 제2기어축(252)을 관통결합시킨 후 다시 제2죠오(260b)에 제1기어축(242) 및 제2기어축(252)을 관통결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1스퍼기어(240)를 회전시키면 제1기어축(242) 및 제2기어축(252)이 제1죠오(260a) 및 제2죠오(260b)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상부나사홀(262a, 262b)이 래칫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하부나사홀(264a, 264b)이 래칫 하우징(200)의 하부홈(220)에 위치되도록 한 후 고정축(246)을 래칫 하우징(200)의 일측 고정홀(270)에 끼워넣고 제1기어축(242)의 관통홀(244)을 관통시켜 래칫 하우징(200)의 타측 고정홀(270)에 억지끼움으로 고정시키면 래칫 하우징(200)에 제1스퍼기어(240), 제2스퍼기어(250),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나서, 래칫 하우징(200)을 몸체(100)의 헤드부(110)의 원형홀(112)의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에 안착시키면 래칫기어(230)가 상기 원형홀(112)을 관통하지 않고 걸리게 되어 래칫 하우징(200)이 몸체(100)의 헤드부(110)에 안착설치된다. 그리고 나서, 제1조절핀(430)을 이용하여 멈춤쇠(140)를 몸체(100)에 장착하고 몸체(100)의 스프링 삽입홈(136)에 탄성스프링(150)을 삽입하여 일단을 고정시킨 후 탄성스프링(150)과 멈춤쇠(140)의 사이에 볼(160)을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커버(300)를 덮어 씌운 후 몸체(100)와 볼트체결시키고, 커버(300)의 외측에서 레버(400)를 제1조절핀(430)과 결합시킨 후 제2조절핀(420)이 레버(400)의 홀(410)을 관통하여 제1조절핀(430)의 삽입홈에 끼움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캡(500)을 래칫 하우징(200)에 덮어 씌우면 래칫 렌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볼트(B)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버(400)를 회전시켜 멈춤쇠(140)의 일측 양단의 톱니(142a, 142b) 중 조립단계의 톱니(142a)가 래칫기어(230)와 맞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1스퍼기어(24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 사이의 간격을 볼트머리의 규격에 맞게 조절하여 볼트머리를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스퍼기어(240)를 회전시키면 제1스퍼기어(240)와 맞물려 있는 제2스퍼기어(250)도 회전하게 되어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제1스퍼기어(240)의 제1기어축(242) 및 제2스퍼기어(250)의 제2기어축(252)의 나사산을 따라 왕복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및 제2죠오(260a, 260b)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 대하여는 전술하였다. 그리고 나서, 몸체(100)의 손잡이부(120)를 잡고 몸체(100)를 시계방향(R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40)의 톱니(142a)가 래칫기어(230)를 밀게 되어 래칫 하우징(200)이 몸체(100)와 함께 시계방향(R방향)으로 회전되고, 래칫 하우징(200)에 장착된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볼트머리에 시계방향(R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어 볼트(B)가 회전되면서 결합된다. 이 때, 몸체(100)와 래칫 하우징(200)이 소정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몸체(100)를 반시계방향(L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40)의 톱니(142a)가 래칫기어(230)를 타고 넘기 때문에 몸체(100)만 반시계방향(L방향)으로 회전되고 래칫 하우징(200)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몸체(100)를 다시 시계방향(R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칫 하우징(200)을 시계방향(R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볼트(B)를 회전결합시키고, 다시 몸체(100)를 반시계방향(L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시킨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볼트(B)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도 5에는 볼트머리가 육각형인 볼트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외에도 사각형, 나비모양 기타 다양한 형상의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제1 및 제2죠오(260a, 260b)의 걸림홈을 볼트머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볼트(B)를 탈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레버(400)로 멈춤쇠(140)를 회동시켜 멈춤쇠(140)의 일측 양단의 톱니(142a, 142b) 중 탈거단계의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와 맞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몸체(100)를 반시계방향(L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40)의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를 밀게 되어 래칫 하우 징(200)도 몸체(100)와 함께 반시계방향(L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및 제2죠오(260a, 260b)가 볼트머리에 반시계방향(L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어 볼트(B)가 회전되면서 탈거가 시작된다. 그리고 나서, 몸체(100)와 래칫 하우징(200)이 소정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몸체(100)를 시계방향(R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140)의 톱니(142b)가 래칫기어(230)를 타고 넘기 때문에 몸체(100)만 시계방향(R방향)으로 회전되고, 이후 다시 몸체(100)를 반시계방향(L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칫 하우징(200)을 반시계방향(L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볼트(B)를 계속하여 탈거시킨다. 그리고 나서, 다시 몸체(100)를 시계방향(R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시킨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볼트(B)가 완전하게 탈거된다.
도 1은 종래의 래칫 렌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b는 도 1의 B-B'의 단면도.
도 3c는 도 1의 C-C'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래칫 렌치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 렌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헤드부
112 : 원형홀 120 : 손잡이부
130 : 안착홈 136 : 스프링 삽입홈
140 : 멈춤쇠 142a, 142b : 톱니
144a, 144b : 원호형 굴곡부 150 : 탄성스프링
160 : 볼 200 : 래칫 하우징
210 : 상부홀 220 : 하부홈
230 : 래칫기어 240 : 제1스퍼기어
242 : 제1기어축 246 : 고정축
250 : 제2스퍼기어 252 : 제2기어축
260a : 제1죠오 260b : 제2죠오
262a, 262b : 상부나사홀 264a, 264b : 하부나사홀
266b : 걸림홈 268b : 원형홈
300 : 커버 400 : 레버
430 : 제1조절핀 420 : 제2조절핀
500 : 캡

Claims (14)

  1. 일측에는 내부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홀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원형홀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향하여 소정 넓이로 안착홈이 형성되는 몸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상부면에 형성되는 십자형의 상부홀과, 하단부에 절삭형성되는 장방형의 하부홈과,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래칫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헤드부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설치되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래칫 하우징;
    상기 몸체의 안착홈에 회동가능하게 안착설치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멈춤쇠;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기어축과 일체가 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부가 상기 래칫 하우징의 상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스퍼기어;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기어축과 일체가 되어 상기 래칫 하우징의 하부홈에 위치되되, 상기 제1스퍼기어와 맞물릴 수 있게 설치되는 제2스퍼기어;
    상기 래칫 하우징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되, 각각 상기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이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나사홀을 갖는 제1 및 제2죠오;
    상기 헤드부의 원형홀 및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멈춤쇠와 조절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멈춤쇠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퍼기어 및 제2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제1 및 제2죠오가 상기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의 나사산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제1 및 제2죠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는 삼각형상을 갖되 일측 양단에는 상기 래칫 하우징의 래칫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스프링 삽입홈에 안착되어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멈춤쇠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상기 멈춤쇠에 전달되도록 하는 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멈춤쇠에는 상기 볼의 테두리면과 밀착될 수 있는 한 쌍의 원호형 굴곡부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멈춤쇠가 소정각도로 회동될 때 하나의 원호형 굴곡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볼이 슬라이딩 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압박하게 되고 이후 다른 하나의 원호형 굴곡부에 상기 볼이 밀착되는 시점에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멈춤쇠가 자동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하우징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스퍼기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홀을 갖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죠오는 각각 상단부와 중앙부가 계단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측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죠오의 상호 대향면은 각각 평면을 이루되 중앙부에 'V'형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골부에는 원형홈이 절삭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축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래칫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래칫 하우징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고정홀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퍼기어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1기어축은 상기 제1스퍼기어의 중공을 관통하되 그 중앙부가 상기 중공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스퍼기어와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퍼기어의 중공 및 제1기어축의 중앙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축은 양측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축은 양측의 나사산이 상기 제1기어축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죠오의 나사홀과 상기 제2죠오의 나사홀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핀은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레버, 커버, 멈춤쇠 및 몸체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조절핀과, 상기 레버 및 제1조절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절핀의 삽입홈에 끼움고정되되 헤드가 상기 레버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2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및 멈춤쇠의 홀은 타원형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및 몸체의 홀은 상기 타원형홀을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조절핀은 상기 타원형홀 및 원형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KR1020070073021A 2007-07-20 2007-07-20 래칫 렌치 KR100861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021A KR100861068B1 (ko) 2007-07-20 2007-07-20 래칫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021A KR100861068B1 (ko) 2007-07-20 2007-07-20 래칫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068B1 true KR100861068B1 (ko) 2008-09-30

Family

ID=4002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021A KR100861068B1 (ko) 2007-07-20 2007-07-20 래칫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0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236A (ko) 2014-04-28 2015-11-05 명은상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KR20160118659A (ko) 2015-04-02 2016-10-12 김동규 래칫 렌치용 소켓
KR101685382B1 (ko) * 2015-12-09 2016-1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개방형 기어 스패너
CN109551427A (zh) * 2019-01-09 2019-04-02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螺纹连接端盖拆装装置
CN109707170A (zh) * 2019-03-13 2019-05-03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钢筋笼螺纹连接套筒拧丝器
KR20190002306U (ko) 2018-03-07 2019-09-18 이준형 접이식 다각형 팁이 적용된 래칫 렌치
KR20230086127A (ko) 2021-12-08 2023-06-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래칫 렌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782A (en) 1975-09-12 1977-04-12 Guimarin Henry L Adjustable ratchet wrench
US4112792A (en) 1977-04-11 1978-09-12 Guimarin Henry L Adjustable ratchet wrench
JPS6347866U (ko) 1986-09-12 1988-03-31
JPS63166366U (ko) 1987-04-14 1988-10-28
KR950005121A (ko) * 1993-07-30 1995-02-18 윌리엄 이. 힐러 플라즈마 프로세싱을 위한 rf 유도 플라즈마 소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782A (en) 1975-09-12 1977-04-12 Guimarin Henry L Adjustable ratchet wrench
US4112792A (en) 1977-04-11 1978-09-12 Guimarin Henry L Adjustable ratchet wrench
JPS6347866U (ko) 1986-09-12 1988-03-31
JPS63166366U (ko) 1987-04-14 1988-10-28
KR950005121A (ko) * 1993-07-30 1995-02-18 윌리엄 이. 힐러 플라즈마 프로세싱을 위한 rf 유도 플라즈마 소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236A (ko) 2014-04-28 2015-11-05 명은상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KR20160118659A (ko) 2015-04-02 2016-10-12 김동규 래칫 렌치용 소켓
KR101685382B1 (ko) * 2015-12-09 2016-1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개방형 기어 스패너
KR20190002306U (ko) 2018-03-07 2019-09-18 이준형 접이식 다각형 팁이 적용된 래칫 렌치
CN109551427A (zh) * 2019-01-09 2019-04-02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螺纹连接端盖拆装装置
CN109551427B (zh) * 2019-01-09 2023-11-28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螺纹连接端盖拆装装置
CN109707170A (zh) * 2019-03-13 2019-05-03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钢筋笼螺纹连接套筒拧丝器
KR20230086127A (ko) 2021-12-08 2023-06-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래칫 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068B1 (ko) 래칫 렌치
KR100861069B1 (ko) 래칫 렌치
KR20130108943A (ko)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US20110000342A1 (en) Wrench
US20050011921A1 (en) Lock fixing device for bicycle
CA2667472A1 (en) Socket for a wrench and method of loosening a fastener
US7827885B2 (en) Drive extension wrench
US20160039110A1 (en) Chainsaw with self-locking knob assembly
US20090107301A1 (en) Wrench with slim profile
US20150040729A1 (en) Socket
KR20090038415A (ko) 전동식 렌치
KR100762173B1 (ko) 라쳇 렌치
US8161847B1 (en) Socket wrench apparatus
KR20060087677A (ko) 마그네틱 고정장치
JP5981261B2 (ja) ねじ回し工具用のアタッチメント
US20060060032A1 (en) Reset gear, method of use, and ratchet wrench utilizing said gear
JP2006218609A (ja) ラチェットレンチ
KR20140000899U (ko) 다용도 래칫 렌치
JP3122984U (ja) ラチェットドライバー
CA2336248A1 (en) Ratchet wrench
JP2004255539A (ja) ラチェットレンチ
JP2001205570A (ja) レンチ
KR100561833B1 (ko) 공구 연결장치
KR20140040319A (ko)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US10369684B2 (en) Socket wrench having a pawl through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