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173B1 - 라쳇 렌치 - Google Patents
라쳇 렌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2173B1 KR100762173B1 KR1020070036281A KR20070036281A KR100762173B1 KR 100762173 B1 KR100762173 B1 KR 100762173B1 KR 1020070036281 A KR1020070036281 A KR 1020070036281A KR 20070036281 A KR20070036281 A KR 20070036281A KR 100762173 B1 KR100762173 B1 KR 100762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nt
- case
- spur gear
- gear
- arm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14—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by rack and pinion, worm or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20—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 B25B13/22—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by ratchet action or toothed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쳇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규격이 다른 다양한 볼트나 너트를 별도의 소켓을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연속적으로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있는 라쳇 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는,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관통설치되며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라쳇 기어(212)와 상기 몸체부(100)의 멈춤쇠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헤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쳇 렌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장방형의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장착되며 기어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퍼기어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기 스퍼기어의 기어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230a, 230b)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아암(230a, 230b)이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스퍼기어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스퍼기어(220a)와, 상기 제1스퍼기어(220a)와 맞물리며 일부가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홀(2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스퍼기어(2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치, 라쳇, 몸체부, 헤드부, 케이스, 스퍼기어, 아암, 캡, 컨트롤레버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라쳇 렌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의 전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의 배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의 평면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B-B'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30a, 130b : 멈춤쇠
140 : 컨트롤레버 142 : 조절부
200 : 헤드부 210 : 케이스
212 : 라쳇 기어 216 : 하부홀
220a, 220b : 스퍼기어 222a, 222b : 기어축
230a, 230b : 아암 236a, 236b : 걸림홈
238a, 238b : 원형홈 240 : 캡
242 : 홀
본 발명은 라쳇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규격이 다른 다양한 볼트나 너트를 별도의 소켓을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연속적으로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있는 라쳇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쳇 렌치는 볼트나 너트를 용이하게 조이거나 푸는데 사용되는 공구로서, 그 크기 및 형태와 사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라쳇 렌치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쳇렌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외측테두리에 기어가 부착되는 헤드부(30)와, 몸체(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손잡이부(20)와, 상기 헤드부(30)의 돌기부에 끼워지며 볼트머리(50)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갖는 소켓(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에는 일측단 또는 타측단이 헤드부(30)의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헤드부가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라쳇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라쳇 렌치로 볼트나 너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20)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헤드부(30) 및 소켓(40)이 회전되고 소켓(40)에 삽입되는 볼트머리(50)가 회전되므로, 볼트가 조이거나 풀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라쳇 렌치의 소켓은 단일 규격의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에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규격이 다른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규격에 맞는 여러개의 소켓을 별도로 헤드부의 돌기부에 결합시켜 작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규격이 상이한 여러개의 볼트를 조립 또는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볼트를 라쳇 렌치를 이용하여 조립 또는 탈거한 후 소켓을 헤드부의 돌기부에서 탈거시키고 규격이 다른 새로운 소켓을 다시 헤드부의 돌기부에 결합시켜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시켜야 하므로, 사용할 때마다 소켓을 별도로 결합시키고 탈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소켓을 여러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과 무거운 공구박스를 들고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이 다른 다양한 볼트나 너트를 별도의 소켓을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연속적으로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있는 라쳇 렌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관통설치되며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라쳇 기어와 상기 몸체부의 멈춤쇠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쳇 렌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장방형의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기어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퍼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기 스퍼기어의 기어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아암이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퍼기어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스퍼기어와, 상기 제1스퍼기어와 맞물리며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하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스퍼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을 외부에서 감싸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홀에 대응되는 홀을 가지며, 상기 캡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아암은 상호 대향되는 면이 각각 평면이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아암의 상호 대향 되는 면에는 각각 'V'자 형상의 걸림홈이 절삭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은 절곡부에 원형의 홈이 절삭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멈춤쇠는 상기 헤드부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멈춤쇠와 상기 헤드부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멈춤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일측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멈춤쇠 및 제2멈춤쇠의 사이에 설치되는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멈춤쇠 및 제2멈춤쇠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컨트롤레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의 평면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쳇 렌치는 몸체부(100), 헤드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분에 손잡이부(300)가 장착되며, 상기 원형홀에 헤드부(200)가 관통설치된다. 몸체부(100)는 상부판(도면부호 미표시)과 하부판(도면부호 미표시)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외측테두리에는 상부판 및 하부판이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용 고무(도면부호 미표시)를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멈춤쇠가 장착되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쇠(130a, 130b)는 상기 헤드부(200)의 외측테두리에 부착되는 라쳇 기어(212)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20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멈춤쇠(130a, 130b)는 제1멈춤쇠(130a)와 제2멈춤쇠(13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멈춤쇠(130a)와 제2멈춤쇠(130b)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레버(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부(200)는 케이스(210), 스퍼기어, 한 쌍의 아암(230a, 23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스퍼기어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퍼기어(220a)와 제2스퍼기어(220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200)는 케이스(210)의 상부면을 외부에서 감싸는 캡(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이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에 라쳇 기어(212)가 부착된다. 이러한 케이스(210)는 내부에 장착되는 제1스퍼기어(220a)의 일부가 상부면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장방형의 상부홀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홀은 상기 제1스퍼기어(220a)를 상기 헤드부(200)의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노출되는 높이는 헤드부(200)의 외부에서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는 하부면에 제2스퍼기어(220b)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하부홀(216)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홀(216)은 상기 제2스퍼기어(220b)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한편 케이스(210)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홀(216)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절삭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스퍼기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퍼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스퍼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이 하나의 스퍼기어가 설치되는 것보다 작은 외력으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퍼기어(220a)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장착되되 일부가 케이스(210)의 상 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러한 제1스퍼기어(220a)는 최초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은 제1스퍼기어(22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축(222a)에는 나사산(미도시됨)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아암(230a, 230b)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은 양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내면에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야 하는데, 상기 기어축(222a, 222b)의 양단에 소정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케이스(210)의 내면 양측에 부착고정되는 돌기부(218)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스퍼기어(220a)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면 제1스퍼기어(220a)와 일체형성되는 상기 기어축(222a)이 상기 돌기부(218)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제1스퍼기어(220a)가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2스퍼기어(220b),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스퍼기어(220a)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일부는 케이스(210)의 하부홀(2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제2스퍼기어(220b)는 상기 제1스퍼기어(220a)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1스퍼기어(220a)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스퍼기어(220b)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도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0a)과 마찬가지로 나사산(미도시됨)이 형성되는데, 제1스퍼기어(22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암(230a, 230b)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제1스퍼 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 각각의 기어축(222a, 222b)은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설명도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은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과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210)의 양측 내면에 부착되는 돌기부와 끼움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과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이 모두 케이스(210)의 내부로 삽입된다면 케이스(210)의 두께가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아암(230a, 230b)의 슬라이딩 거리가 짧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은 케이스(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면에는 하부홀(216)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방형의 절삭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홈에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의 길이가 케이스(210)의 지름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아암(230a, 230b)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폭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이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케이스(210)에 결합되지 않아도 무방한 것은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이 케이스(210)의 양측 내면에 부착되는 돌기부(218)에 끼움결합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암(230a, 230b)에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과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이 관통결합되므로, 상기 아암(230a, 230b)이 헤드부(200)로부터 이탈될 염려는 없기 때문이다.
상기 아암(230a, 230b)은, 도 2a, 도 2b, 도 3b 및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며 각각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케이스(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과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이 아암(230a, 230b)에 형성되는 관통홀(도면부호 미표시)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케이스(210) 자체와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암(230a, 230b)에는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과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이 모두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즉, 하나의 아암(230a)과 또 다른 아암(230b)에 각각 2개의 관통홀이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관통홀에는 나사산(미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1스퍼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a, 222b)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것이며, 상기 기어축(222a, 222b)이 아암(230a, 230b)의 관통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스퍼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아암(230a, 230b)이 제1스퍼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볼트머리의 규격에 맞도록 상기 아암(230a, 230b)간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볼트의 조립 또는 분해작업시에도 별도의 소켓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제1스퍼기어(220a)와 제1스퍼기어(220a)에 맞물려 있는 제2스퍼 기어(220b)는 그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각각의 기어축(222a, 222b)의 나사산의 방향도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야 아암(230a, 230b)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스퍼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a, 222b)의 나사산의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암(230a, 230b)의 관통홀의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면 된다. 즉,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이 관통결합되는 관통홀의 나사산과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이 관통결합되는 관통홀의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면 기어축(222a, 222b) 각각의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더라도 아암(230a, 230b)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암(230a, 230b)을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기어축(222a)과 상기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에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아암(230a, 230b)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흔들거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헤드부(200)의 케이스(210)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스퍼기어(220a)를 작게 형성시키고 상기 제2스퍼기어(220b)를 크게 형성시킬 경우에는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충분한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어 상기 아암(230a, 230b)이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230a, 230b)의 대향되는 면, 즉 볼트머리와 접촉되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볼트머리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고정하게 된다. 다만, 아암(230a, 230b)의 대향면이 평면인 경우에는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 하는 과정에서 볼트머리로부터 아암(230a, 230b)이 쉽게 이탈되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아암(230a, 230b)의 대향면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V'자 형상의 걸림홈(236a, 236b)이 절삭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암(230a, 230b)의 대향면에 'V'자 형상의 걸림홈(236a, 236b)이 형성되면 볼트머리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외측면과 외측면이 만나 각(angle)부분이 상기 걸림홈(236a, 236b)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력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며,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걸림홈(236a, 236b)의 절곡부가 볼트머리의 외측 각(angle)부분과 접촉되는 경우에는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과정에서 마찰로 인해 볼트머리의 외측 각(angle)부분이 파손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236a, 236b)의 절곡부에 원형홈(238a, 238b)이 절삭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볼트머리의 외측 각(angle)부분이 상기 아암(230a, 230b)의 대향면과 마찰되지 않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캡(24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면을 외부에서 감싸는 것이며, 상기 제1스퍼기어(220a)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210)의 상부홀에 대응되는 홀(242)을 갖는다. 상기 캡(240)은 사용자가 손으로 제1스퍼기어(220a)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찰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240)으로 인해 케이스(210)의 상부면에 스크래치의 발생이 방지될 수도 있다.
상기 멈춤쇠(130a, 13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멈춤쇠(130a)와 제2멈춤쇠(13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멈춤쇠(130a)는 헤드부(200)의 일방향만으로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2멈춤쇠(130b)는 타방향만으로의 회전을 제어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멈춤쇠(130a)가 상기 헤드부(200)의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멈춤쇠(130a)가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에 걸려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가하기 때문에 헤드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몸체부(100)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1멈춤쇠(130a)가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를 타고 넘게 되어 헤드부(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정지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멈춤쇠(130a)가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된 경우에는 헤드부(20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멈춤쇠(130b)가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1멈춤쇠(130a)가 결합된 경우와는 반대로 상기 헤드부(200)가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으며, 제1멈춤쇠(130a)가 결합된 경우와 방향만 반대방향일 뿐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는 컨트롤레버(140)가 장착되는데, 상기 컨트롤레버(140)는 상기 제1멈춤쇠(130a) 및 제2멈춤쇠(130b)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컨트롤레버(14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외부에 장착되되 상기 제1멈춤쇠(130a)와 제2멈춤쇠(130b)의 사이에 설치되는 조절부(142)와 연결되며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레버(14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컨트롤레버(140)와 연결된 조절부(142)에 의해 제1멈춤쇠(130a) 또는 제2멈춤쇠(130b)가 선택되어 상기 헤드부(200)의 케이스(210)에 부착된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레버(140) 및 조절부(142)에 의해 상기 제1멈춤쇠(130a) 및 제2멈춤쇠(130b)가 선택적으로 조절되기 위해서, 제1멈춤쇠(130a) 및 제2멈춤쇠(130b)의 각각의 일단이 상기 몸체부(100)에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 즉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될 수 있는 타단은 몸체부(100)의 양측면과 스프링(132a, 132b)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프링(132a, 132b)으로 연결되면 상기 컨트롤레버(14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조절부(142)가 회전될 때 상기 제1멈춤쇠(130a) 또는 제2멈춤쇠(130b)의 각각에 연결된 스프링(132a, 132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립하거나 탈거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볼트를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로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레버(14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00)에 내장된 제1멈춤쇠(130a)가 헤드부(200)의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헤드부(200)의 캡(240)에 형성되는 홀(242)의 외부로 노출된 제1스퍼기어(220a)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스퍼기어(220a)와 맞물려 있는 제2스퍼기어(220b)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제1스퍼기어(220a) 및 제2스퍼기어(220b)의 기어축(222b)과 나사결합된 한 쌍의 아암(230a, 230b)간의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되고 볼트(B)의 머리를 좌우에서 압박하며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손잡이부(30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멈춤쇠(130a)가 헤드부(200)의 케이스(210)에 부착된 외측 라쳇 기어(212)를 밀게 되어 헤드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헤드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헤드부(200)의 아암(230a, 230b)에 고정된 볼트(B)의 머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몸체부(100)와 헤드부(200)가 소정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손잡이부(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00)를 원위치시키고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볼트의 조립이 완성된다.
또한, 볼트를 탈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레버(14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00)에 내장된 제2멈춤쇠(130b)가 헤드부(200)의 케이스(210)에 부착된 외측 라쳇 기어(212)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손잡이부(30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멈춤쇠(130b)가 케이스(210)의 외측 라쳇 기어(212)를 밀게 되어 헤드부(20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헤드부(200)의 아암(230a, 230b)에 볼트(B)의 머리가 고정되어 볼트(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탈거된다. 이 경우에도 몸체부(100)와 헤드부(200)가 소정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손잡이부(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00)를 원위치시키고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볼트의 탈거가 완성된다.
한편, 조립 또는 탈거하고자 하는 볼트(B)의 규격이 다른 경우에는 제1스퍼기어(220a)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아암(230a, 230b)을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볼트(B)의 머리를 고정시킨 후 조립 또는 탈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라쳇 렌치만으로 규격이 다른 다양한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가 가능하며, 별도의 소켓이 불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쳇 렌치에 의하면, 헤드부에 아암이 설치되어 볼트머리의 규격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시 별도의 소켓이 없더라도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고, 별도로 소켓 공구박스가 불필요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헤드부의 아암에 'V'자 형상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볼트머리와의 결합력이 견고해져 볼트의 조립 또는 탈거작업시 아암이 볼트머리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해진다.
Claims (9)
-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관통설치되며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라쳇 기어(212)와 상기 몸체부(100)의 멈춤쇠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헤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쳇 렌치에 있어서,상기 헤드부(200)는,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장방형의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되는 케이스(210);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장착되며, 기어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퍼기어; 및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기 스퍼기어의 기어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230a, 230b);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아암(230a, 230b)이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며,상기 스퍼기어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스퍼기어(220a)와, 상기 제1스퍼기어(220a)와 맞물리며 일부가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홀(2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스퍼기어(2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면을 외부에서 감싸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홀에 대응되는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아암(230a, 230b)은 상호 대향되는 면이 각각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아암(230a, 230b)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각각 'V'자 형상의 걸림홈(236a, 236b)이 절삭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홈(236a, 236b)은 절곡부에 원형의 홈(238a, 238b)이 절삭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멈춤쇠는 상기 헤드부(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멈춤쇠(130a)와 상기 헤드부(200)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멈춤쇠(1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부(100)는 일측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멈춤쇠(130a) 및 제2멈춤쇠(130b)의 사이에 설치되는 조절부(142)와 연결되어 상기 제1멈춤쇠(130a) 및 제2멈춤쇠(130b)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컨트롤레버(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관통설치되며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라쳇 기어(212)와 상기 몸체부(100)의 멈춤쇠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헤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쳇 렌치에 있어서,상기 헤드부(200)는,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장방형의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되는 케이스(210);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장착되며, 기어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퍼기어; 및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기 스퍼기어의 기어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230a, 230b);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아암(230a, 230b)이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며,상기 한 쌍의 아암(230a, 230b)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각각 'V'자 형상의 걸림홈(236a, 236b)이 절삭형성되고, 상기 걸림홈(236a, 236b)은 절곡부에 원형의 홈(238a, 238b)이 절삭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 일측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멈춤쇠가 내장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원형홀에 회전가능하도록 관통설치되며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라쳇 기어(212)와 상기 몸체부(100)의 멈춤쇠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헤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쳇 렌치에 있어서,상기 헤드부(200)는,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장방형의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되는 케이스(210);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장착되며, 기어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퍼기어; 및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기 스퍼기어의 기어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230a, 230b);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아암(230a, 230b)이 상기 기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며,상기 멈춤쇠는 상기 헤드부(2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멈춤쇠(130a)와 상기 헤드부(200)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멈춤쇠(130b)를 포함하며,상기 몸체부(100)는 일측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멈춤쇠(130a) 및 제2멈춤쇠(130b)의 사이에 설치되는 조절부(142)와 연결되어 상기 제1멈춤쇠(130a) 및 제2멈춤쇠(130b)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컨트롤레버(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쳇 렌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6281A KR100762173B1 (ko) | 2007-04-13 | 2007-04-13 | 라쳇 렌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6281A KR100762173B1 (ko) | 2007-04-13 | 2007-04-13 | 라쳇 렌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2173B1 true KR100762173B1 (ko) | 2007-10-01 |
Family
ID=3941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6281A KR100762173B1 (ko) | 2007-04-13 | 2007-04-13 | 라쳇 렌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217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1069B1 (ko) * | 2008-04-11 | 2008-09-30 | 주식회사 월드툴 | 래칫 렌치 |
KR20160118659A (ko) | 2015-04-02 | 2016-10-12 | 김동규 | 래칫 렌치용 소켓 |
KR102020915B1 (ko) * | 2019-01-08 | 2019-09-11 | 이창은 | 볼팅장치 |
KR102020885B1 (ko) * | 2019-06-21 | 2019-09-11 | 이창은 | 자동 볼트 체결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16782A (en) | 1975-09-12 | 1977-04-12 | Guimarin Henry L | Adjustable ratchet wrench |
US4112792A (en) | 1977-04-11 | 1978-09-12 | Guimarin Henry L | Adjustable ratchet wrench |
US4864901A (en) | 1988-08-05 | 1989-09-12 | Le Duc Don | Adjustable wrench socket |
-
2007
- 2007-04-13 KR KR1020070036281A patent/KR1007621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16782A (en) | 1975-09-12 | 1977-04-12 | Guimarin Henry L | Adjustable ratchet wrench |
US4112792A (en) | 1977-04-11 | 1978-09-12 | Guimarin Henry L | Adjustable ratchet wrench |
US4864901A (en) | 1988-08-05 | 1989-09-12 | Le Duc Don | Adjustable wrench socke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1069B1 (ko) * | 2008-04-11 | 2008-09-30 | 주식회사 월드툴 | 래칫 렌치 |
KR20160118659A (ko) | 2015-04-02 | 2016-10-12 | 김동규 | 래칫 렌치용 소켓 |
KR102020915B1 (ko) * | 2019-01-08 | 2019-09-11 | 이창은 | 볼팅장치 |
KR102020885B1 (ko) * | 2019-06-21 | 2019-09-11 | 이창은 | 자동 볼트 체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1069B1 (ko) | 래칫 렌치 | |
US7299720B1 (en) | Reversible ratchet wrench | |
US4722253A (en) | Reversible ratchet wrench with one-hand accessible switch | |
US7987749B2 (en) | Wrench with a rotatable head | |
US8424421B1 (en) | Jog-shuttle type ratchet wrench | |
US8973469B2 (en) | Rachet wrench | |
KR100861068B1 (ko) | 래칫 렌치 | |
KR100762173B1 (ko) | 라쳇 렌치 | |
TW201524693A (zh) | 具精密齒接之棘輪 | |
US20090217789A1 (en) | Ratchet control structure | |
CA2667472A1 (en) | Socket for a wrench and method of loosening a fastener | |
CA2653483A1 (en) | Ratchet wrench | |
TW201707871A (zh) | 棘輪扳手和棘爪機構 | |
US6510765B2 (en) | Structure of a ratchet wheel having a ratchet wheel allowing a smooth teeth returning after application of the ratchet wrench | |
KR100884388B1 (ko) | 라쳇 렌치 | |
RU2686182C2 (ru) | Динамометрический ключ | |
US20060060032A1 (en) | Reset gear, method of use, and ratchet wrench utilizing said gear | |
US12036639B2 (en) | Adjustable fastener engaging tool | |
US6814159B1 (en) | Impact tool driver | |
CA2599722C (en) | Adjustable ratchet wrench | |
US20050268751A1 (en) | Gearless one way drive | |
KR20170124420A (ko) | 오토 스패너 | |
US20190015960A1 (en) | Wrench with a movable positioning rod | |
KR200408431Y1 (ko) | 프레임 지지장치 | |
GB2460826A (en) | Adjustable torque so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