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236A -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 Google Patents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236A
KR20150124236A KR1020140050838A KR20140050838A KR20150124236A KR 20150124236 A KR20150124236 A KR 20150124236A KR 1020140050838 A KR1020140050838 A KR 1020140050838A KR 20140050838 A KR20140050838 A KR 20140050838A KR 20150124236 A KR20150124236 A KR 20150124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tooth
wrench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603B1 (ko
Inventor
명은상
Original Assignee
명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은상 filed Critical 명은상
Priority to KR102014005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8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open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14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by rack and pinion, worm or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전제품의 배관용 너트나 볼트에 물림되어 상기 너트나 볼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C형 링구와, 상기 C형 링구에 일단이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일단이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렌치를 포함하여, 렌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C형 링구에 의해 상기 너트나 볼트를 조이거나 풀리게 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Unit Tool For Fastening Nut}
본 발명은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나 냉장고 등의 제품 설치 시에 냉매 공급에 요구되는 파이프 배관의 연결이나 체결력 증대를 위해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배관의 볼트나 너트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또는 일반건물에는 냉장고나 실외기 등의 가전제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 또는 실외기와 같은 가전제품들이 설치될 때에는, 냉매 공급을 위해 파이프 상호 간의 연결이나 냉매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에 구비된 너트나 볼트를 돌려 견고히 체결해야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가전제품의 설치 시에 배관 부위의 연결 및 견고한 결착을 위해 대개는 스패너나 몽키 또는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의 배관에 구비된 볼트나 너트를 조여주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아파트나 주택 또는 일반건물에 설치되는 가전제품(냉장고, 실외기 등)들은 보편적으로 공간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특히 실외기의 경우 발코니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가전제품(냉장고, 실외기)들은 설치되는 장소의 특수성과 가전제품의 후면이나 바닥에 구비된 배관의 위치로 인하여 배관의 볼트나 너트를 조여주는 작업성이 까다롭고 불편하였다.
즉, 작업자가 스패너나 몽키 또는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배관의 볼트나 너트를 조여야 하는데, 가전제품과 건물 내의 벽체 사이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공구 부분만 경우 넣어 배관의 볼트나 너트 부분을 조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배관의 볼트나 너트에 이르기까지 공구가 닿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가전제품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전제품 배관의 볼트 또는 너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볼트와 너트의 위치가 공구(스패너, 몽키, 렌치 등)와 맞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공구를 볼트 또는 너트에 맞춰 끼우는 작업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볼트 또는 너트의 회전 조임 작업성 또한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너트 체결용 공구와 관련되어 안출된 기술들로는, 공개특허 제10-2010-0045699호, 등록특허 제10-0861068호, 공개특허 특2003-0015917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045699호, 등록특허 제10-0861068호, 공개특허 특2003-0015917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건물이나 주택 또는 아파트 등지의 건물 내에 설치되는 가전제품에 대한 배관 연결 시에 요구되는 너트나 볼트 부품의 풀림 및 조임 작업을 수월히 진행할 수 있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배관용 너트나 볼트에 물림되어 상기 너트나 볼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C형 링구와, 상기 C형 링구에 일단이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일단이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렌치를 포함하여, 렌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C형 링구에 의해 상기 너트나 볼트를 조이거나 풀리게 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C형 링구는, 원형상의 몸체를 갖되, 너트나 볼트와의 용이한 물림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개방부와, 상기 몸체의 내측을 따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너트나 볼트의 물림용 치형과, 너트나 볼트의 탈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치형을 상기 몸체의 후측에서 커버하는 보호커버부와, 상기 연결대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게 상기 몸체의 타측에 일체된 상태로 끼움공을 형성하는 돌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치형이 분리형일 경우, 치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부가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부에 물리는 구조로 고정되어 치형의 회전을 방지하고, 치형의 요철부 중 어느 한 철부에 형성된 걸림공에 몸체의 요철부 중 어느 한 요부에 삽입 설치되는 판스프링이 걸리는 구조로 고정되어 치형의 탈거를 방지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렌치는, 토크조절부 및 치수창이 구비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너트나 볼트의 회전 간섭에 의해 근접 너트나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근접 너트나 볼트에 끼워지는 형태의 멈춤바가 더 구비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건물이나 주택 및 아파트 등지에 설치된 가전제품의 배관 연결 및 조임 작업을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로 하여금 설치된 가전제품의 배관 연결 및 조임 작업을 수행할 때 다양한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어 작업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배관 연결 및 조임 작업에 수반되는 너트나 볼트류에 지속적으로 물려 마모되는 치형의 마모 문제를 새로운 치형으로 간단히 교체하여 해소할 수 있으며 교체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 중 실외기의 경우처럼 발코니 외측에 설치된 실외기의 배관 연결 및 조임 작업에 있어 작업자가 고층 빌딩의 발코니 난간에 매달려 작업해야 하는 작업 환경의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치형의 마모 발생 시에 새 것으로 교체 가능함에 따라 부품의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기간 동안 공구의 완제품을 이용 가능한 잇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에 대한 전체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체 결합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C형 링구의 다른 실시 예를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C형 링구를 측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실외기, 냉장고, 김치 냉장고 등)의 배관 연결에 요구되는 너트나 볼트류의 조임 작업을 위한 용도로서, C형 링구(10)와, 연결대(20)와, 렌치(30)와, 멈춤바(40)로 구성된다.
상기 C형 링구(10)는 가전제품 배관의 너트나 볼트류에 물리게 되고, 상기 연결대(20)는 그 일단이 상기 C형 링구(10)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렌치(30)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렌치(30)는 상기 연결대(20)의 타단에 끼워지며, 상기 멈춤바(40)는 상기 C형 링구(10)에 물린 너트나 볼트의 근접 너트 또는 볼트와 물림 상태로 근접 너트 또는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연속 명기를 줄이고자 하기에서는 너트의 용어로 통일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C형 링구(10)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내주에 일체 형성된 치형(11a)과 상기 몸체(11)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개방부(12)와, 상기 몸체(11)의 후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보호커버부(13)와, 상기 몸체(11)의 타측에 일체된 돌출구(14)를 포함한다.
즉, 상기 몸체(11)는 원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개방부(12)로 형성되고, 내측 주연을 따라 일체된 치형(11a)을 형성하며, 후측에 보호커버부(13)를 형성한다.
상기 개방부(12)는 가전제품의 배관에 구성된 너트가 치형(11a)과 용이하게 물릴 수 있게 너트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치형(11a)은 상기 너트와 물리게 되며, 상기 보호커버부(13)는 치형(11a)에 물린 너트가 후방으로 탈거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타측에 일체된 돌출구(14)에는 다각형 형태의 끼움공(15)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연결대(20)의 일측 단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대(20)는 일측 단에 다각형 형태의 끼움구(21)와 타측 단에 다각형 형태의 끼움공(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연결대(20)의 끼움구(21)는 상기 돌출구(14)의 끼움공(15)에 끼워져 연결대(20)와 C형 링구(10)가 상호 간 고정되는 한편, 상기 연결대(20)의 끼움공(22)은 후술되는 렌치(30)와 체결된다.
상기 렌치(30)는 두부에 형성된 끼움구(31)와 손잡이의 끝단에 구비된 토크조절부(32) 및 손잡이에 형성된 토크값을 표시하는 치수창(33)을 포함한다.
상기 렌치(30)에 형성된 끼움구(31)는 상기 연결대(20)의 끼움공(2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렌치(30)와 상기 연결대(20)가 상호 간 체결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C형 링구(10)와 상기 연결대(20)의 체결은 상호 간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고, 상기 연결대(20)와 상기 렌치(30) 또한 상호 간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다.
한편, 멈춤바(40)는 상기 C형 링구(10)와 물리는 너트의 근접 너트에 물리는 용도로서, 이는 C형 링구(10)의 회전 간섭에 의해 근접 너트의 연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 실시 예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링구(10)에 형성된 치형(11a)의 마모 시에 새로운 것으로 체결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C형 링구(10)의 몸체(11)에 형성된 치형(11a)은 별도의 착탈식으로 구비된 치형부재(16)의 헛돌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치형(11a)의 어느 한 요홈 양측 방향으로 삽입공(11b)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1b)으로 삽입되어 돌출된 판스프링(11c)을 더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치형(11a) 내로 수용되는 치형부재(16)는 외주연에 요철부(16a)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16a)의 어느 한 철부에 걸림공(16b)을 형성하며, 내주연에 가전제품의 배관에 구비된 너트와 물릴 수 있는 치형(16c)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치형부재(16)가 몸체(11)의 치형(11a) 내로 수용되어 체결 고정되는 바, 이는 치형부재(16)의 외주에 형성된 요철부(16a)가 상기 몸체(11)의 치형(11a)과 맞물려 치형부재(16)의 치형(16c)에 물린 너트를 회전시켜도 치형부재(16)의 헛돌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치형(11a)에 구비된 판스프링(11c)은 상기 치형부재(16)의 걸림공(16b)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걸리게 됨으로써 치형부재(16)가 상기 몸체(11) 외부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호간 조립 체결된 본 발명의 유닛 공구는 일반 건물 및 빌딩이나 주택 또는 아파트 등지의 외부에 설치된 실외기의 배관에 구비된 너트의 조임이나 풀림 작업 수행 시 작업자로 하여금 건물 내부에서 안전하게 너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건물 내부에 설치된 냉장고의 경우 코너 쪽에서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바, 즉 너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하여 협소한 공간 내부로 C형 링구(10)를 포함한 연결대(20)가 진입 가능하고 협소한 공간 외부에서 렌치(30)만을 돌리기 때문에 작업자 입장에서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너트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이 불편하지 않고 편리해질 수 있다.
아울러, 치형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새로운 치형으로 교체 가능하고, 교체의 작업 또한 간단하면서도 단번에 교체 가능하여 교체 작업의 편리함과 함께 공구를 장기간 이용할 수 있는 잇점을 지니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닛 공구의 상세 조립 및 작동에 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C형 링구(10)의 돌출구(14)에 형성된 끼움공(15)에 연결대(20)의 일측 단에 형성된 끼움구(21)를 끼워 상호 간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C형 링구(10)와 상기 연결대(20)는 상호 간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다.
이후에 상기 연결대(20)의 타측 단에 형성된 끼움공(22)에 렌치(30)의 끼움구(31)를 끼워 상호 간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대(20)와 렌치(30)는 상호 간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조립 체결된 유닛 공구를 실외기의 배관에 구비된 너트를 조이거나 풀 경우에 발코니 난간에까지 작업자가 나갈 필요 없이 거실 내에서 C형 링구(10)를 포함한 연결대(20)를 실외기에 근접시킨 상태로 C형 링구(10)를 너트와 물리도록 한 다음 렌치(30)만을 돌림으로써 너트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 체결된 유닛 공구를 건물 내의 냉장고 배관에 구비된 너트를 조이거나 풀 경우에 코너의 협소 공간 내부로 팔을 억지로 집어 넣거나 너트와 맞물릴 수 있게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 없이 C형 링구(10)와 연결대(20)만을 협소 공간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눈으로 식별하며 C형 링구(10)를 너트와 맞춘 상태로 협소 공간 외부인 원거리에서 렌치(30)만을 돌려 너트의 조임 및 풀림 작업 수행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유닛 공구의 장기간 이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치형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C형 링구(10)의 몸체(11) 내에 형성된 치형(11a)에 치형부재(16)를 삽입 체결되게 하는 바, 치형부재(16)의 외주연에 형성된 요철부(16a)는 상기 치형(11a)과 맞물리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치형(11a)에 형성된 판스프링(11c)은 치형부재(16)의 요철부(16a)에 형성된 걸림공(16b)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며 삽입됨에 따라, 치형부재(16)는 상기 치형(11a)의 맞물림으로 헛돌림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판스프링(11c)의 걸림에 의해 몸체(11)로부터 탈거됨이 방지된다.
따라서, 치형의 마모 발생 시에 새로운 곳으로 교체 가능하고 교체의 작업 또한 심플하여 부품의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기간 동안 완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C형 링구
11 : 몸체 11a : 치형
11c : 판스프링 12 : 개방부
16 : 치형부재 16a : 요철부
16b : 걸림공 16c : 치형
20 : 연결대 30 : 렌치
40 : 멈춤바

Claims (5)

  1. 가전제품의 배관용 너트나 볼트에 물림되어 상기 너트나 볼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C형 링구;
    상기 C형 링구에 일단이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일단이 끼워져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렌치;
    를 포함하여, 렌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C형 링구에 의해 상기 너트나 볼트를 조이거나 풀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링구는,
    원형상의 몸체를 갖되, 너트나 볼트와의 용이한 물림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개방부;
    상기 몸체의 내측을 따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너트나 볼트의 물림용 치형;
    너트나 볼트의 탈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치형을 상기 몸체의 후측에서 커버하는 보호커버부;
    상기 연결대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게 상기 몸체의 타측에 일체된 상태로 끼움공을 형성하는 돌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이 분리형일 경우,
    치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부가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부에 물리는 구조로 고정되어 치형의 회전을 방지하고, 치형의 요철부 중 어느 한 철부에 형성된 걸림공에 몸체의 요철부 중 어느 한 요부에 삽입 설치되는 판스프링이 걸리는 구조로 고정되어 치형의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는,
    토크조절부 및 치수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나 볼트의 회전 간섭에 의해 근접 너트나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근접 너트나 볼트에 끼워지는 형태의 멈춤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KR1020140050838A 2014-04-28 2014-04-28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KR10163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38A KR101633603B1 (ko) 2014-04-28 2014-04-28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38A KR101633603B1 (ko) 2014-04-28 2014-04-28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36A true KR20150124236A (ko) 2015-11-05
KR101633603B1 KR101633603B1 (ko) 2016-06-27

Family

ID=5460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838A KR101633603B1 (ko) 2014-04-28 2014-04-28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9949A (zh) * 2019-02-15 2019-06-21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拧螺栓的辅助施工工具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866B1 (ko) 2018-03-16 2023-03-02 이진석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917A (ko) 2001-08-18 2003-02-26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렌치
KR100861068B1 (ko) 2007-07-20 2008-09-30 주식회사 월드툴 래칫 렌치
KR20090114055A (ko) * 2008-04-29 2009-11-03 허형만 배관용 렌치
US20100101376A1 (en) * 2008-10-24 2010-04-29 Chen-Tsung Chen Ratchet Open End Wrench
KR20100045699A (ko) 2008-10-24 2010-05-04 정철 멍키스패너
KR20120003764U (ko) * 2012-04-10 2012-05-30 송영우 스패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917A (ko) 2001-08-18 2003-02-26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렌치
KR100861068B1 (ko) 2007-07-20 2008-09-30 주식회사 월드툴 래칫 렌치
KR20090114055A (ko) * 2008-04-29 2009-11-03 허형만 배관용 렌치
US20100101376A1 (en) * 2008-10-24 2010-04-29 Chen-Tsung Chen Ratchet Open End Wrench
KR20100045699A (ko) 2008-10-24 2010-05-04 정철 멍키스패너
KR20120003764U (ko) * 2012-04-10 2012-05-30 송영우 스패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9949A (zh) * 2019-02-15 2019-06-21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拧螺栓的辅助施工工具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603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5603B1 (en) Cabinet levelling apparatus
KR101633603B1 (ko) 너트 체결용 유닛 공구
US7562605B2 (en) Drain and strainer wrench
TW200621434A (en) A ratchet wrench with rotatable driving head
AU2012201291B2 (en) Recessed wall-mounted outlet box with push-pull handle assembly
JPWO2017217479A1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US20120042755A1 (en) Wrench for Jar-Top Valve Covers
US6330840B1 (en) Planetary ratchet wrench and pipe cutting tool
RU254999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узел установки крана
KR101496984B1 (ko) 안전증 방폭 배선함
US20050199103A1 (en) Open end supply line wrench
KR101696306B1 (ko) 체결너트 일체형 연결관
JP2011112137A (ja) 管接続具
JP2008179991A (ja) 足場用壁つなぎ取付ボルト
CN204899450U (zh) 一种带防护罩的三角锁
KR20180114808A (ko) 소방용 플렉시블조인트의 체결식 연결구 체결장치
JP2014081062A (ja) 緩み止め付きボルトとナット
JP5592987B2 (ja) 管接続具
KR101499342B1 (ko) 아파트 배관 전용 스패너
KR101160091B1 (ko) 수전 연결구
JP2017122387A (ja) 壁内蔵給水栓
KR20080043617A (ko) 호스연결구가 설치된 수도꼭지
AU2007225510B2 (en) Plumbing fitting
KR101507491B1 (ko)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JP2017025596A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