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319A -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 Google Patents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319A
KR20140040319A KR1020120105878A KR20120105878A KR20140040319A KR 20140040319 A KR20140040319 A KR 20140040319A KR 1020120105878 A KR1020120105878 A KR 1020120105878A KR 20120105878 A KR20120105878 A KR 20120105878A KR 20140040319 A KR20140040319 A KR 2014004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ratchet
handle
ratchet wheel
socket w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전욱진
Original Assignee
김기성
전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전욱진 filed Critical 김기성
Priority to KR102012010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319A/ko
Publication of KR2014004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04Socket, tang, or like fixings with detachable or separate socket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에 관한 것으로, 라쳇핸들에 구비된 라쳇휠에 소켓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소켓에는 라쳇결합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소켓의 라쳇결합돌기를 라쳇휠의 소켓결합홈에 삽입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켓 렌치의 전체 두께를 줄여주어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토록 하였다.

Description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Socket wrench for working at narrow width area}
본 발명은 소켓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라쳇핸들과 소켓이 결합되었을 시 두께를 줄여주어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에 관한 것이다.
렌치(Wrench)란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하는 공구이다. 또한 핸들에 소켓을 끼워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공구를 소켓 렌치라 하는데, 소켓 렌치 중에서는 핸들의 헤드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라쳇휠을 장착하고, 라쳇휠에 소켓을 끼워 작업함으로써 조임 또는 해제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공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은 라쳇휠이 마련된 종래의 소켓 렌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 라쳇핸들과 소켓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켓 렌치는, 라쳇핸들(500)과 소켓(600)으로 구성된다. 라쳇핸들('복스대'라고도 함)(500)은 핸들본체(510)와 라쳇휠(530)로 구성되는데, 핸들본체(510)의 일측에는 헤드부(512)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5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본체(510)의 헤드부(512)에 라쳇휠(530)이 안착 결합되며, 라쳇휠(530)은 어느 일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라쳇휠(530)의 하부에는 소켓결합돌기('복스꽂이'라고도 함)(5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소켓('복스알'이라고도 함)(600)은 라쳇핸들(500)과 대상물(1)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는 라쳇결합홈(6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대상물결합홈(612)이 형성된 소켓본체(61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라쳇휠(530)의 소켓결합돌기(531)를 소켓(600)의 라쳇결합홈(611)에 끼우고, 소켓(600) 하부의 대상물결합홈(612)에 대상물(1)을 끼운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511)를 잡고 돌림으로써 대상물(1)을 조이거나 풀어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은 종래의 소켓 렌치에서는 라쳇핸들(500)에 소켓(600)을 결합하기 위해 라쳇휠(530)에 소켓결합돌기(5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를 소켓(600)의 라쳇결합홈(611)에 끼워서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2를 참조하면, 라쳇휠(530)에서 돌출된 소켓결합돌기(531)가 소켓(600)의 라쳇결합홈(611)에 삽입된다 하더라도, 결합된 상태에서의 전체 두께는 라쳇핸들(500)의 두께인 t1과 소켓(600)의 높이인 t2가 합해진 값이다.
작업 공간이 넓은 곳이라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소켓 렌치를 사용하더라도 아무런 제약이 없겠지만, 복잡한 구성들로 가득찬 자동차와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는 공구의 두께를 조금만 줄여주더라도 작업 능률이 향상되기 때문에, 소켓 렌치의 전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는 개선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소켓 렌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783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켓이 라쳇핸들의 라쳇휠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소켓 렌치의 전체 두께를 줄여줌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소켓 렌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는, 대상물이 하부에 결합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소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라쳇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소켓의 상부에는 상기 라쳇핸들에 결합되는 라쳇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쳇핸들은, 일측에는 라쳇휠이 안착되는 헤드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마련된 핸들본체; 및 상기 핸들본체의 상기 헤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중앙에 상기 소켓의 라쳇결합돌기가 안착될 수 있는 소켓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라쳇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라쳇결합돌기의 평단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라쳇휠에 형성된 소켓결합홈의 평단면은 상기 라쳇결합돌기의 평단면에 대응하는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쳇휠의 둘레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쳇휠 둘레의 톱니는 상기 라쳇핸들의 헤드부 내에 마련된 걸림자에 의해 걸림되어 일방향 회전은 가능하고 타방향 회전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는 라쳇핸들의 라쳇휠에 소켓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라쳇휠의 소켓결합홈에 소켓의 라쳇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두께를 줄여주어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가 있다.
즉, 종래의 소켓 렌치에서는 소켓이 결합되었을 시 두께가, 라쳇핸들의 두께와 소켓의 높이를 합한 값이었지만, 본원에 따른 소켓 렌치에서는 라쳇핸들의 헤드부에 구비된 라쳇휠에 소켓 높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켓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전체 두께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와 같은 복잡하고 비좁은 작업 현장에서도 대상물을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소켓 렌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소켓 렌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소켓 렌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 라쳇휠의 일방향 회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6은 도3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 라쳇핸들과 소켓이 결합되었을 시의 두께를 종래의 소켓 렌치와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 라쳇휠의 일방향 회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9는 소켓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이하 '소켓 렌치'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소켓 렌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5는 도3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 라쳇휠의 일방향 회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 렌치는 라쳇핸들(100)과 소켓(300)을 포함한다.
라쳇핸들(100)은 핸들본체(110)와 라쳇휠(130)로 구성되며, 핸들본체(110)의 일측에는 헤드부(112)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핸들본체(110)의 헤드부(112)에는 내측으로 라쳇휠(130)이 위치하기 위한 휠안착부(1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부(112)의 휠안착부(112a)에 라쳇휠(130)이 위치한 상태에서 덮개(120)를 덮음으로써 라쳇휠(130)이 핸들본체(110)의 헤드부(112)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가 있다.
라쳇휠(130)은 소켓(3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잡이부(111) 움직임에 따라 회전 또는 고정되어야 한다. 이때 회전시 헤드부(112)의 내측면과 마찰을 줄여주기 위해 라쳇휠(1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볼베어링(150)이 위치한다. 또한 라쳇휠(130)의 둘레에는 톱니(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라쳇휠(130) 둘레의 톱니(133)가 걸림자(143,144)에 걸림으로써 어느 일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라쳇휠(130)의 일방향 회전 구조를 설명하면, 핸들본체(110)의 헤드부(112) 내에는 라쳇휠(130)이 안착된 상태에서 라쳇휠(13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구성들이 더 마련되어 있다. 즉 도5를 참조하면, 라쳇휠(130)의 한쪽 측면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배치된 걸림자a(143)와 걸림자b(144)가 위치하고 있으며, 걸림자a(143)와 걸림자b(144) 사이에 돌림자(142)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돌림자(142)는 헤드부(112) 상부에 마련된 방향전환레버(141)의 조작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걸림자a(143)를 휠안착부(112a) 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걸림자b(144)를 휠안착부(112a) 측으로 밀어낸다.
도5에서는 돌림자(142)가 걸림자b(144)를 휠안착부(112a) 측으로 밀어낸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라쳇휠(1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다. 즉 라쳇휠(1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는 톱니(133)가 걸림자a(143)의 끝단(톱니(133)에 접하는 쪽)을 밀어내면서 회전이 가능하고, 이때 걸림자a(143)의 끝단은 일정 각도 밀려나게 된다. 물론 걸림자a(143)의 끝단 후면에는 걸림자a(143)의 끝단을 다시 안쪽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스프링a(145)가 구비되어 있어서 걸림자a(143)의 끝단은 톱니(133)의 회전에 의해 일시적으로 후퇴한뒤 다시 안쪽으로 밀려나 톱니(133)에 접하게 된다.
반대로 도5의 상태는 톱니(133)가 걸림자a(143)의 끝단에 걸린 상태이고, 걸림자a(143)는 돌림자(142)에 접하여 더 이상 안쪽으로 회전할 수는 없는 상태인데, 이때 라쳇휠(1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면, 톱니(133)는 걸림자a(143)를 안쪽으로 밀어내지 못하고 걸림자a(143)에 작용하는 쐐기 효과 때문에 라쳇휠(13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자a(143)가 톱니(133)에 접한 상태에서는 라쳇휠(130)이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가 있는 것이고, 만약 사용자가 방향전환레버(141)를 돌려서 돌림자(142)가 걸림자a(143)를 밀어내고 걸림자b(144)가 스프링b(146)에 탄성에 의해 톱니(133)에 접한 상태라면 라쳇휠(130)은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작업 상황에 맞추어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레버(141)를 조절한 후, 핸들본체(110)를 일정 각도 내에서 왕복 운동 시킴으로써 대상물(1)(예컨대 너트)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라쳇휠(130)의 내측 중앙에는 소켓(300)의 라쳇결합돌기(311)가 안착될 수 있는 소켓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소켓결합홈은 소켓(300)의 상부 모양에 대응하도록 소켓결합홈a(131)와 소켓결합홈b(132)의 단턱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소켓(300)은 라쳇핸들(100)과 대상물(1)(너트)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는 라쳇핸들(100)에 결합되는 라쳇결합돌기(3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대상물결합홈(312)이 형성된 소켓본체(3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켓(300)의 상부에 형성된 라쳇결합돌기(311)의 크기와 형태는 라쳇휠(130) 중앙에 형성된 소켓결합홈a(131)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한다. 또한 소켓본체(310)에서 라쳇결합돌기(311)의 아랫부분은 소켓결합홈b(132)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한다. 라쳇휠(130)의 회전력이 소켓(300)에 원활하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소켓결합홈a(131)의 형태와 라쳇결합돌기(311)의 단면 형태가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켓(300)을 라쳇핸들(100)의 헤드부(112)에 위치하는 라쳇휠(130)의 소켓결합홈(131,132)에 삽입하고, 대상물(1)(너트)을 소켓(300) 하부의 대상물결합홈(312)에 결합하면, 사용자가 손잡이부(111)를 잡고 회전시키는 힘이 라쳇휠(130)과 소켓(300)을 통해 대상물(1)에 전달됨으로써 조임이나 풀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소켓 렌치에서는 라쳇핸들(100)과 소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전체 두께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데, 도6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소켓 렌치에서는 라쳇핸들(500)과 소켓(600)이 결합되었을 시의 전체 두께는 라쳇핸들(500)의 두께인 t1과 소켓(600)의 높이인 t2를 합한 값이 되지만, 도6의 (b)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켓 렌치에서는 라쳇핸들(100)과 소켓(300)의 두께가 각각 종래의 소켓 렌치에 따른 라쳇핸들(500) 및 소켓(600)의 두께와 같더라도, 본원에 따른 소켓(300)이 라쳇핸들(100)에 마련된 라쳇휠(130) 내의 소켓결합홈(131,132)에 삽입되기 때문에 결합 후 전체 두께는 소켓(300)의 높이인 t4에 불과하다.
따라서 소켓(300)과 라쳇핸들(100)이 결합된 상태의 전체 두께가 현저하게 얇아짐으로써 자동차와 같이 복잡하고 비좁은 공간에서도 대상물(1)을 조이거나 해제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이하 '소켓 렌치'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8은 도7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 라쳇휠의 일방향 회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 렌치는 라쳇핸들(200)과 소켓(300)을 포함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 소켓(300)의 형태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것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라쳇핸들(200)은 핸들본체(210)와 라쳇휠(230)로 구성되며, 핸들본체(210)의 일측에는 헤드부(212)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핸들본체(210)의 헤드부(212)에는 내측으로 라쳇휠(230)이 위치하기 위한 휠안착부(2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부(212)의 휠안착부(212a)에 라쳇휠(230)이 위치한 상태에서 덮개(220)를 덮음으로써 라쳇휠(230)이 핸들본체(210)의 헤드부(212)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가 있다.
라쳇휠(230)은 소켓(3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잡이부 움직임에 따라 회전 또는 고정되어야 하며, 회전시 헤드부(212)의 내측면과 마찰을 줄여주기 위해 라쳇휠(2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볼베어링(250)이 위치한다. 또한 라쳇휠(230)의 둘레에는 톱니(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라쳇휠(230) 둘레의 톱니(233)가 걸림자(243)에 걸림으로써 어느 일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는 사용자가 방향전환레버(141)를 조절함으로써 라쳇휠(13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도7 및 도8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는 사용자가 회전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는 방향전환레버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라쳇휠(230)이 어느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토록 한 것인데, 도8을 참조하면, 헤드부(212) 내의 휠안착부(212a)에 라쳇휠(230)이 위치하고, 라쳇휠(230)의 한쪽 측면으로 걸림자(243)가 위치하고 있다. 걸림자(243)의 끝단은 라쳇휠(230)의 톱니(233)에 걸처져 있으며, 스프링(245)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안쪽으로 힘이 작용하여 톱니(233)와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도8에 도시된 상태에서 라쳇휠(23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시 걸림자(243)를 일시적으로 밀어냄으로써 회전이 가능하지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할 때에는 걸림자(243)의 쐐기 효과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켓 렌치에서는 라쳇휠(230)이 어느 한쪽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사를 조이거나 또는 해제하는 작업 중 어느 한가지만 가능할 것이라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본체(210)의 헤드부(212)의 상부면 및 하부면 모두에서 소켓(300)이 결합 가능토록 구성하였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쳇휠(230)의 내측 중앙에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통되는 소켓결합홈(231)을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핸들본체(210)의 헤드부(212)의 저면에서 소켓(300)의 라쳇결합돌기(311)를 라쳇휠(230)의 소켓결합홈(231)에 삽입 결합시킬 수도 있고, 또는 헤드부(212)의 상부면에서 소켓(300)의 라쳇결합돌기(311)를 라쳇휠(230)의 소켓결합홈(231)에 삽입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라쳇휠(230)을 상부에서 바라볼 시 시계 방향 회전만 가능하다면, 라쳇휠(230)을 저면에서 바라볼 시에는 반 시계 방향 회전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상물(1)을 조이거나 해제하려는 작업 상황에 따라 소켓(300)을 헤드부(212)의 저면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부면 방향에서 결합시켜 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는 소켓(300) 상부에 마련된 라쳇결합돌기(311)와 소켓본체(310)의 상부 일부분까지 소켓결합홈(131,132)에 삽입되는 구조였지만, 도7 및 도8에 도시된 소켓 렌치에서는 소켓(300) 상부에 마련된 라쳇결합돌기(311)만이 라쳇휠(230)의 소켓결합홈(231)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소켓 렌치보다는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라쳇결합돌기(311)만큼의 두께가 라쳇휠(230) 내측의 소켓결합홈(231)에 삽입되어 줄어드는 만큼 도1 및 도2에 도시된 종래의 소켓 렌치의 전체 두께보다는 얇아질 수가 있다. 즉 도7 내지 도8에 도시된 소켓 렌치 역시 종래의 소켓 렌치보다 전체 두께를 낮추어 줌으로써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 효율을 높여줄 수가 있다.
한편 도9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소켓 렌치에서 라쳇핸들(100,200)에 결합되는 소켓의 형태를 달리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앞서 설명에서는 소켓(300)의 하부에 대상물결합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대상물결합홈(312)의 크기와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의 너트들을 조이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였는데, 도9에 도시된 소켓(400)에서는 상부에 라쳇결합돌기(4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구부(412)가 형성된 소켓본체(410)로 이루어져 있다. 즉 너트 등의 대상물만을 조이거나 풀어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소켓본체(410)의 하부를 십자드라이버 등의 공구부(412)로 형성시킴으로써 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줄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대상물
100 : 라쳇핸들
110 : 핸들본체
111 : 손잡이부
112 : 헤드부
112a : 휠안착부
120 : 덮개
130 : 라쳇휠
131 : 소켓결합홈a
132 : 소켓결합홈b
133 : 톱니
141 : 방향전환레버
142 : 돌림자
143 : 걸림자a
144 : 걸림자b
145 : 스프링a
146 : 스프링b
150 : 볼베어링
200 : 라쳇핸들
210 : 핸들본체
212 : 헤드부
212a : 휠안착부
220 : 덮개
230 : 라쳇휠
231 : 소켓결합홈
233 : 톱니
243 : 걸림자
245 : 스프링
250 : 볼베어링
300 : 소켓
310 : 소켓본체
311 : 라쳇결합돌기
312 : 대상물결합홈
400 : 소켓
410 : 소켓본체
411 : 라쳇결합돌기
412 : 공구부

Claims (3)

  1. 대상물이 하부에 결합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소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라쳇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소켓의 상부에는 상기 라쳇핸들에 결합되는 라쳇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쳇핸들은,
    일측에는 라쳇휠이 안착되는 헤드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마련된 핸들본체; 및
    상기 핸들본체의 상기 헤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중앙에 상기 소켓의 라쳇결합돌기가 안착될 수 있는 소켓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라쳇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결합돌기의 평단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라쳇휠에 형성된 소켓결합홈의 평단면은 상기 라쳇결합돌기의 평단면에 대응하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휠의 둘레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쳇휠 둘레의 톱니는 상기 라쳇핸들의 헤드부 내에 마련된 걸림자에 의해 걸림되어 일방향 회전은 가능하고 타방향 회전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KR1020120105878A 2012-09-24 2012-09-24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KR20140040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878A KR20140040319A (ko) 2012-09-24 2012-09-24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878A KR20140040319A (ko) 2012-09-24 2012-09-24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19A true KR20140040319A (ko) 2014-04-03

Family

ID=5065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878A KR20140040319A (ko) 2012-09-24 2012-09-24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3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838A (ko) 2018-12-28 2020-07-08 이철호 중장비용 소켓 라쳇
KR20210001557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변형 소켓 공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838A (ko) 2018-12-28 2020-07-08 이철호 중장비용 소켓 라쳇
KR20210001557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변형 소켓 공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151B2 (en) Ratcheting socket wrench and sockets
US8794110B2 (en) Rotary ratchet wrench
US1614039A (en) Wrench
TWI658905B (zh) 用於減少棘輪弧的偏壓構件
CA2826584C (en) Adjustable ratcheting socket wrench
US20100326246A1 (en) Wrench with switchable ratchet wheel sets
US8424421B1 (en) Jog-shuttle type ratchet wrench
CN104227627B (zh) 一种双卡掣换向棘轮扳手
KR20140040319A (ko)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소켓 렌치
TW201813785A (zh) 防滑扳手型工具
US20120222523A1 (en) Ratchet wheel wrench
US20070251357A1 (en) Three-dimensional angle-adjusted hand tool
US20160288300A1 (en) Combination wrench
KR20140000899U (ko) 다용도 래칫 렌치
US8931374B2 (en) Socket wrench
JP2006218609A (ja) ラチェットレンチ
KR20110085014A (ko) 다용도 복스소켓
CN204686741U (zh) 一种棘轮梅花扳手
US20050145074A1 (en) Ratchet wrench with removable tool head
JP3200689U (ja) ボックスレンチ
US20150082948A1 (en) Ratcheting Tool
US7017452B1 (en) Ratchet-based adaptor assembly
KR200261440Y1 (ko) 복스회전기구가 구비된 스패너
JP3182674U (ja) レンチ
JP2017207077A (ja) ボルトの締め付け方法、ボルト、ボルトの締め付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