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833B1 - 공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833B1
KR100561833B1 KR1020040067790A KR20040067790A KR100561833B1 KR 100561833 B1 KR100561833 B1 KR 100561833B1 KR 1020040067790 A KR1020040067790 A KR 1020040067790A KR 20040067790 A KR20040067790 A KR 20040067790A KR 100561833 B1 KR100561833 B1 KR 10056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ox
shaped body
body por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234A (ko
Inventor
임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2004006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8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장비 등을 설치 및 정비 시에 체결하는 육각 볼트, 너트 등의 크기에 따라 쉽게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공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면에 예비 소켓 거치대(18)를 갖는 ㄱ형 몸체부(10)와, 상기 ㄱ형 몸체부(10)의 양단에 각각 탄성지지 되면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제 1, 2소켓 연결부(12),(14)와, 상기 ㄱ형 몸체부(10)의 꺾임부위에 직각으로 꺾임되게 위치되며,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와 연동되게 회전되는 복스대 연결부(16)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볼트, 너트.

Description

공구 연결장치{MULTI-FUNCTION TOOL CONNECTING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공구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공구 연결장치를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공구 연결장치의 제 1, 2 소켓 연결부 및 복스대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공구 연결장치의 복스대 연결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공구 연결장치에 연결시켜 사용되는 복스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예비 소켓 거치대 10: ㄱ형 몸체부
12, 14: 제 1, 2소켓 연결부 16: 복스대 연결부
30 : 복스대 32a,32b: 헬리켈 기어
본 발명은 공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장비 등을 설치 및 정비 시에 육각 볼트, 너트 등의 크기에 따라 쉽게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공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소켓 렌치를 사용 시에 하나의 소켓만을 끼워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다른 치수의 소켓을 사용할 시에는 끼워져 있는 소켓을 제거한 후 다른 칫수의 소켓을 끼워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교환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교체되는 소켓은 작업 중에 보관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장의 아무 곳에나 놔두거나 정리가 되지 않아 잃어버리거나 작은 소켓이 작업장의 바닥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게 되므로 이를 잘못 밟아 넘어지거나 발목을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 등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 장비 등을 설치 및 정비 시에 체결하는 육각 볼트, 너트 등의 크기에 따라 쉽게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공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구 연결장치는, 양측면에 예비 소켓 거치대를 갖는 ㄱ형 몸체부와, 상기 ㄱ형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탄성지지 되면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제 1, 2소켓 연결부와, 상기 ㄱ형 몸체부의 꺾임 부위에 직각으로 꺾임되게 위치되며, 제 1, 2 소켓 연결부와 연동되게 회전되는 복스대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구 연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구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공구 연결 장치를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공구 연결 장치의 제 1, 2 소켓 연결부 및 복스대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공구 연결 장치의 복스대 연결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공구 연결 장치에 연결시켜 사용되는 복스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구 연결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 몸체부(10)가 형성되며, ㄱ형 몸체부(10)의 양측면에는 다른 사이즈의 소켓을 끼울 수 있는 예비 소켓 거치대(18)가 형성된다.
상기 ㄱ형 몸체부(10)의 양단측에는 끝단에서 회전되도록 제 1 , 2 소켓 연결부(12),(1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제 2 소켓 연결부(12),(14)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 몸체부(10)에 끼워진 상태로 빠지지 않고 회전되도록 제 1, 제 2 소켓 연결부(12),(14)의 끝단에는 원형와셔(24)가 끼워져 고정되고, 내측에는 탄성지지 되도록 스프링(22)를 끼운 상태에서 스프링(22)의 양단측에 원판형 베어링(28)이 끼워져 있어 원활하게 회전되게 구성된다.
상기 ㄱ형 몸체부(10)에 형성된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와 연동되게 ㄱ형 몸체부(10)의 꺾여지는 부위에 복스대 연결부(16)가 90도 각도를 선회되게 형 성된다.
상기 복스대(30)는 ㄱ형 몸체부(10)의 꺾여진 부분에 위치되게 고정되며, 복스대 연결부(16)의 중앙부측은 90도 각도로 쉽게 꺾여지도록 볼형상의 구체(17)가 형성된다.
상기 복스대(30)에 형성된 볼형상의 구체(17)에 의해 ㄱ형 몸체부(10)에서 90도로 꺾이고, 복스대(30)의 원축의 중심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2 소켓 연결부(12),(14) 및 복스대 연결부(16)의 맞닿는 면은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연접되는 헬리켈 기어(32a),(32b)가 형성된다.
즉, 복스대 연결부(16)는 ㄱ형 몸체부(10)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90도로 꺾여졌을 때만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에 일직선이 되도록 헬리켈 기어(32a),(32b)가 맞물리게 형성된다.
이때에 도 3 에 도시된 부분에서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헬리켈 기어(32a),(32b)중 어느 한 부분은 돌출 되고, 한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서로 끼워지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공구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 몸체부(10)에 형성된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에 필요한 사이즈의 소켓을 끼워 둔 상태로 작업한다.
상기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에 연결된 소켓을 사용할 시에는 ㄱ형 몸체부(10)의 꺾임부에 형성된 복스대 연결부(16)를 위치에 맞게 꺾는다.
도 4 와 같이, 복스대 연결부(16)는 ㄱ형 몸체부(10)의 상부측으로 꺾게 되면 복스대 연결부(16)의 구체(17)가 원형으로 되어 있어 ㄱ형 몸체부(10)의 내면에서 미끄럼 접촉되면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복스대 연결부(16)를 상부측으로 꺾으면, 복스대 연결부(16)의 하단부에 형성된 볼록형 헬리켈 기어(32a)는 제 2 소켓 연결부(14)의 상부측에 형성된 오목형 헬리켈 기어(32b)에 미끄러지면서 이맞물림된다.
즉, 복스대 연결부(16)의 볼록형 헬리켈 기어(32a)는 제 1, 2 소켓연결부(14)의 오목형 헬리켈 기어(32b)와 맞물릴시, 오목형 헬리켈 기어(32b)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형 헬리켈 기어(32a)가 오목형 헬리켈 기어(32b)면으로 타고 미끄러지면 결합된다.
이때에 제 2소켓 연결부(14)의 길이방향에는, ㄱ형 몸체부(10)에 고정시 제 2 소켓 연결부(14)는 헬리켈 기어(32b)측으로 상승시키도록 스프링(22)이 끼워져 있다.
상기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의 하단에는 원형 와셔 끼움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와셔 끼움부(11)에 원형 와셔(24)를 끼워서 고정하므로 스프링(22)에 의해 제 1 , 2 소켓 연결부(12),(14)가 상부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반대로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22)의 상부측은 헬리켈 기어(32b)의 부분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 이에 걸려 빠지지 않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소켓 연결부(14)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22)은 항시 상부측으로 밀치고 있기 때문에, 복스대 연결부(16)의 하단에 형성된 헬리켈 기어(32a)와 맞물렸을 때 이가 맞물린 상태로 빠지지 않도록 밀쳐주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복스대 연결부(16)와 제 2 소켓 연결부(14)가 일직선지게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복스대 연결부(16)의 상부측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스대(30)를 끼워서 회전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복스대(30)를 회전시키면 제 2 소켓 연결부(14)의 끝단에 연결된 소켓 또한 동일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쉽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제 2 소켓 연결부(14)의 끝단에 끼워져 분해 및 조립작업이 끝난 소켓의 사이즈를 바꿀 시에는 제 1 소켓 연결부(12)에 끼워져 있는 다른 사이즈의 소켓을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이때에 복스대 연결부(16)는, 도 4 도를 설명할 때와 같이, 반대로 직각지게 회전시키면 된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ㄱ형 몸체부(10)에 세워져 있는 복스대 연결부(16)를 약간의 힘을 가한 상태로 꺾게 되면, 제 2 소켓 연결부(14)의 헬리켈 기어(32b)에 맞물려져 있던, 복스대 연결부(16)의 헬리켈 기어(32a)가 미끄러지면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이탈된 복스대 연결부(16)의 헬리켈 기어(32a)는 ㄱ형 몸체부(10)의 고정된 제 1 소켓 연결부(14)의 헬리켈 기어(32b)면을 밀치면서 도 5 와 같 이 서로 이맞물림 되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복스대 연결부(16)와, 제 1 소켓 연결부(14)는 일직선지게 결합되므로 복스대 연결부(16)에 복스대를 끼운 후 회전시키면 동일하게 회전되므로 다른 사이즈의 볼트, 너트를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때에 복스대 연결부(16) 및 제 1,2 소켓 연결부(12),(14)는 ㄱ형 몸체부(1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제 1,2 소켓 연결부(12),(14)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22)의 양단에는 구름베어링(28)이 끼워져 있어 마찰 없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또한, 제 1,2 소켓 연결부(12),(14)에 끼워져 있는 소켓을 다른 사이즈로 바꿀 시에는 ㄱ형 몸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예비 소켓 거치대(18)에 꽂혀져 있는 소켓을 바꿔 끼우면 된다.
따라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복스대, 스피드 핸들 일반 복스대 등을 작업 성향에 맞게 ㄱ형 몸체부(10)에만 교체시켜 사용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공구 연결 장치에 의해 일반 장비 등을 설치 및 정비 시에 체결하는 육각 볼트, 너트 등의 크기에 따라 쉽게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빠르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 사이즈의 크기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사이즈의 소켓을 잃어버리는 경 우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양측면에 예비 소켓 거치대(18)를 갖는 ㄱ형 몸체부(10)와,
    상기 ㄱ형 몸체부(10)의 양단에 각각 탄성지지 되면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제 1, 2소켓 연결부(12),(14)와,
    상기 ㄱ형 몸체부(10)의 꺾임부위에 직각으로 꺾임되게 위치되며, 제 1, 2 소켓 연결부(12),(14)와 연동되게 회전되는 복스대 연결부(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소켓 연결부(12),(14) 및 복스대 연결부(16)의 연동되는 부분에 서로 연접되는 헬리켈 기어(32a),(32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결장치.
KR1020040067790A 2004-08-27 2004-08-27 공구 연결장치 KR10056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90A KR100561833B1 (ko) 2004-08-27 2004-08-27 공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90A KR100561833B1 (ko) 2004-08-27 2004-08-27 공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34A KR20060019234A (ko) 2006-03-03
KR100561833B1 true KR100561833B1 (ko) 2006-03-17

Family

ID=3712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790A KR100561833B1 (ko) 2004-08-27 2004-08-27 공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7457B (zh) * 2018-11-06 2020-08-21 宁波斯耐奇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转接套筒
CN109227458B (zh) * 2018-11-06 2020-10-27 青岛传广佳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转接套筒的使用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475U (ko) 1985-10-08 1987-04-16
JPH0586472U (ja) * 1992-04-30 1993-11-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クリュードライバのクラッチ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475U (ko) 1985-10-08 1987-04-16
JPH0586472U (ja) * 1992-04-30 1993-11-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クリュードライバのクラッ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34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176B1 (en) Universal deep socket and adapter
KR100268825B1 (ko) 피벗가능한헤드를구비한래치트렌치
US20110000342A1 (en) Wrench
JP4934103B2 (ja) ラチェットレンチ
US7127969B2 (en) Anti-rolling socket
US20060213059A1 (en) Hex tool
US6112621A (en) Screw rotating tool
EP2322324A1 (en) Rotary ratchet wrench
US4718317A (en) Hose coupling wrench
US3728916A (en) Flexible strap wrench
JP3203711U (ja) レンチと受け装置のコンビネーション
KR20130108943A (ko) 죠그셔틀형 래칫 렌치
KR100561833B1 (ko) 공구 연결장치
KR100861068B1 (ko) 래칫 렌치
US20090107301A1 (en) Wrench with slim profile
WO2010015871A2 (en) Gripping device
US6688196B2 (en) Wrenches having two driving stems pivot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US5860338A (en) Dual drive adapter
JP2007333041A (ja) ナット
US6443039B1 (en) Wrenches having two driving stems pivot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JP2020001912A (ja) 結合ピン着脱治具及び結合ピン着脱方法
KR100762173B1 (ko) 라쳇 렌치
US20040247413A1 (en) Fastener and its handling tool
US4517861A (en) Continuous travel hand wrench
US1489696A (en) Socket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