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552A -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 - Google Patents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552A
KR20130108552A KR1020137006234A KR20137006234A KR20130108552A KR 20130108552 A KR20130108552 A KR 20130108552A KR 1020137006234 A KR1020137006234 A KR 1020137006234A KR 20137006234 A KR20137006234 A KR 20137006234A KR 20130108552 A KR20130108552 A KR 2013010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aft coupling
intermediate member
flange
coup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보쉬
Original Assignee
하크포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크포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크포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0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16D3/6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the elements being made of rubber or simila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Gears, Cam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 기계 부품에 샤프트 커플링을 연결하기 위한 구동 플랜지(1)와 피구동 플랜지(9), 시리즈로 배치된 두 개의 탄성 커플링 바디(3),(8) 및 제 1 커플링 바디(3)를 통하여 구동 플랜지에(1) 연결되고, 제 2 커플링 바디(8)를 통하여 피구동 플랜지(9)에 연결된 중간 부재(6)로 구성되고,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토크가 제 1 커플링 바디(1)를 통하여 구동 플랜지(1)로부터 중간 부재(6)로 전달되고 중간 부재(6)와 피구동 플랜지(9)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제 2 커플링 바디(8)를 통하여 중간 부재(6)로부터 피구동 플랜지(9)로 전달되는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 박스에서의 소음을 줄이고 작동 중에 기어 박스 내에서 소음이 나지 않는 샤프트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제1및 제2 커플링 바디(3),(8)가 제1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탄성 정지 소재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대적인 비틀림 각을 갖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Torsionally Elastic Shaft Coupling}
본 발명은 인접 기계 부품에 샤프트 커플링을 연결하기 위한 구동 플랜지와 피구동 플랜지, 시리즈로 배치된 두개의 탄성 커플링 바디 및 제 1 커플링 바디를 거쳐 구동 플랜지에 연결되고, 제 2 커플링 바디를 거쳐 피구동 플랜지에 연결된 중간 부재로 구성된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서, 토크가 플랜지와 중간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제 1 커플링 바디를 거쳐 구동 플랜지로부터 중간 부재로 전달되고 중간 부재와 피구동 플랜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제 2 커플링 바디를 거쳐 중간 부재로부터 피구동 플랜지로 전달되는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은 동력전달계열에서 일어나는 비틀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모터와 피구동 기계 사이의 동력전달계열에 토크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동력전달계열은 선박에서 엔진과 프로펠러 사이에 설치된다. 샤프트 커플링은 구동 플랜지와 피구동 플랜지를 통하여 인접 기계 소재, 예를 들면 모터의 플라잉 휠이나 샤프트에 연결된다. 가동 중에는 구동 및 피구동 플랜지가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커플링 바디는 탄성 변형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커플링 바디는 전단 방향에서 부하를 받게 된다.
특히 선박의 추진 계통에서는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의 비틀림 강성률 특성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토크 비율이 높아질 때 구동 및 피구동 플랜지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 각은 급격히 증가하고 동시에 정격 토크 범위에서는 약간만 증가한다. 따라서 커플링의 강성률은 저부하 또는 부분부하 범위에서보다 정격 토크 범위(전부하 범위)에서 더 높게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비선형 특성은 전달될 부하를 최선의 방법으로 받아들이도록 된 커플링의 완충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하다. 선박 추진계통에서와 같은 부분 부하 범위에서는 완충 요구에 기대되는 더 높은 진동 응답이 전부하 범위에서보다 더 높아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은 DE 10 2006 045 614 A1에 공개되었다. 이 공개된 커플링에서는 시리즈로 배치된 두 개의 탄성 커플링 바디가 사용되고 있으며, 제 1 커플링 바디는 저부하 또는 부분부하에 적용되도록 되었다. 종래의 샤프트 커플링에서는 시리즈로 배치된 두 개의 탄성 커플링 바디가 제안되었다. 제 1 커플링 바디는 오직 저부하 또는 부분부하에 적용되도록 되었으며, 전달된 토크의 최저치가 달성된 후 제 1 커플링 바디는 경질 정지 소재에 의하여 브릿지 되도록 되었다. 경질 정지 소재가 영향을 주는 최저 토크 값은 커플링 바디의 강성률 특성을 통한 구동 플랜지와 중간 부재 사이의 주어진 상대적인 비틀림각과 관계된다.
종래 샤프트 커플링의 결점은 경질 정지 소재의 작용을 통하여 시스템이 저부하에서 부분부하나 전부하로 변경되는바, 이때 동력전달계열 내의 기어박스 내부에서 소음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 중에 기어 박스내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비틀림 탄성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커플링 바디가 상이한 강성율 특성을 갖고 있으며 탄성 스프링 소재로 구성되는 탄성 정지 소재에 의하여 제한되는 구동 플랜지와 중간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각을 갖도록 함으로서 달성된다.
종래 알려진 탄성 커플링에 유사하게 본 발명의 커플링도 상이한 강성률 특성을 갖는 시리즈로 연결된 두 탄성 커플링 바디를 갖고 있다. 낮은 강성률 특성을 갖는 커플링 바디는 근본적으로 저부하 범위나 중간 부하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부하 범위의 토크 전달은 보다 큰 강성률 특성을 갖는 커플링 바디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저부하 또는 부분부하 범위에서는 커플링이 보다 높은 탄성에 적응되게 되었다. 탄성 스프링 소재가 접촉하였을 때 그 탄성은 제 1 커플링 바디의 탄성에 추가되며 제1 커플링 바디가 받는 탄성 변형은 토크 비율이 증가하여도 더 작은 소리를 내게 한다. 토크 비율이 증가하면 제 2 커플링 바디에 의하여 생성된 쿠션 효과는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탄성 스프링 소재는 토크의 증가에 따라서 샤프트 커플링의 비틀림 강성률이 제 2 커플링 바디의 강성률에 해당하는 강성률 특성에 일정한 패션으로 근접하게 만든다. 이와 반대로 공지의 탄성 커플링에서는 경질 정지 소재를 사용하였으므로 비틀림 강성률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비약적인 비틀림 강성률의 증가는 기어 박스 내에서 유해한 소음이 나오도록 한다. 이러한 기어 박스 내에서의 소음은 본 발명에 의한 비틀림 강성률 특성을 서서히 변경시키므로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커플링의 한 예에서는, 탄성 스프링 소재가 중간 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그 축이 샤프트 커플링의 원주 방향으로 놓여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있게 지지된 피스톤을 포함한다. 커플링은 필요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설계되었다. 상기 실린더와 피스턴 및 스프링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플링의 크기에 따라서 적당한 수의 실린더와 스프링을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시리즈로 배치할 수 있다. 실린더, 피스톤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실린더 소재는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스프링 소재는 피스톤의 행정을 제한하는 두 개의 단부 정지 수단에 의하여 단부에서 정지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피스톤에 가하여지는 힘은 피스톤을 최대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부여된 비틀림 비율이 증가하면 구동 플랜지와 중간 부재는 서로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피스톤이 스프링의 압력에 대항하여 실린더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 플랜지와 중간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최대 비틀림각은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스프링 소재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의 최대 단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도달된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구동 플랜지에 부착된 다수의 돌출부들이 스프링 소재의 피스톤 방향을 샤프트 커플링의 원주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들은 최저 토크 비율이 토크 전달 샤프트 커플링에 도달하였을 때 피스톤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커플링의 상이한 강성률 특성이 상이한 부하 범위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저부하 범위에서는 구동 플랜지에 부착된 돌출부들이 아직은 피스톤에 작용하지 않은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프링 소재들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범위에서는 샤프트 커플링의 비틀림 강성률이 시리즈로 배치된 두 커플링 바디에 의하여 결정된다. 제 2 커플링 바디가 제 1 커플링 바디 보다 현저하게 더 강성으로 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저부하 범위에서의 비틀림 강성률은 제 1 커플링 바디의 강성률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부분부하 범위 초기의 경우와 같이 최저 토크 비율이 도달한 후에는 바로 스프링 소재가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이 범위에서는 제 1 커플링 바디와 스프링 소재가 서로 평행하게 유사한 작동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스프링 소재들은 부분부하 범위에서의 샤프트 커플링의 전체 비틀림 강성률이 저부하 범위에서 보다 높지만 전부하 범위에서 보다 낮도록 설계된다. 전부하 범위에서는 스프링 소재의 피스톤이 실린더 깊숙히 완전히 삽입되어 최대 단부점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오직 전부하 범위에서만 제 2 커플링 바디가 작동됨을 의미한다. 최대 비틀림 강성률은 제 2 커플링 바디의 강성률과 동일하거나 우세하게 된다. 이러한 전후 관계에서 최저 토크 비율이 최저일 때인 부분부하 범위의 초기에 구동 플랜지와 중간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 각이 적당히 결정되게 된다. 이 각도는 상대적인 최대 비틀림 각의 10% 이상, 특히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플랜지와 중간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최대 비틀림 각은 전부하 범위로의 전환점을 결정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커플링의 컴팩트한 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커플링 바디는 제 1 커플링 바디가 제 2 커플링 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동축으로 배치되고, 스프링 소재는 커플링 바디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토크가 구동 플랜지에서 외측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피구동 플랜지에 전달된다. 부하 범위에 따라서 토크의 전달은 구동 플랜지로부터 제 1 커플링 바디를 거쳐 중간 부재에 있는 스프링 부재로 전달되고 이어서 제 2 커플링 바디를 거쳐 피구동 플랜지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 샤프트는 작동 중에 기어 박스 내에서 소음이 나지 않는 개량된 특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커플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커플링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커플링의 특성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 및 3에 도시된 샤프트 커플링은 구동 플랜지(1)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주면에 치차를 갖는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플랜지(1)는 일체로 돌출되게 주조된 돌출부(2)를 갖고 있다.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제 1 커플링 바디(3)는 외주면에 다수의 홈(5)을 갖는 원륜상 지지 디스크(4)에 지지되었다. 돌출부(2)는 상기 홈(5) 속에 삽입되어 구동 플랜지(1)가 회전할 때 지지 디스크(4)가 구동 플랜지(1)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커플링 바디(3)는 원륜상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 중간 부재(6)에 연결되었으며, 이 중간부재(6)는 원륜상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 연결 링크(7)에 볼트로 결합되게 되었다. 연결 링크(7)와 일체로 형성된 피구동 플랜지(9)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제 2 커플링 바디(8)가 가황 처리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도 1 내지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바디(3),(8)는 시리즈로 연결되었으며, 중간 부재(6)는 제 1 커플링 바디(3)를 통하여 구동 플랜지(1)에 연결되고 또한 제 2 커플링 바디(8)을 통하여 피구동 플랜지(9)에 연결되었다. 토크는 구동 플랜지(1)로부터 중간 부재(6)에 형성된 제 1 커플링 바디(3)로 전달되고 이어서 제 1 커플링 바디(3)의 강성률 특성에 맞춘 회전에 따라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하는 중간 부재(6)와 중간 부재에 연결된 연결 링크(7)를 거쳐 제 2 커플링 바디(8)로 전달되고 이어서 제 2 커플링 바디(8)의 강성률 특성에 맞춰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하는 피구동 플랜지(9)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커플링 바디(3),(8)는 상이한 강성률 특성을 갖고 있다. 제 1 커플링 바디(3)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었으며 제 2 커플링 바디(8) 보다 현저하게 부드러운 탄성을 갖고 있다. 이 제 1 커플링 바디(3)는 저부하 범위나 부분부하 범위에 대처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서, 전부하 범위의 토크 전달은 제 2 커플링 바디(8)에서 이루어 진다.
더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은 예를 들면 다섯개의 스프링 소재(10)로 구성되는 탄성 정지 소재에 의하여 제한된다. 이러한 스프링 소재(10)는 각각 네개의 볼트(12)에 의하여 중간부재(6)와 해당하는 연결 링크(7)에 부착된 입방체형 실린더(11)를 포함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의 축은 샤프트 커플링의 원주 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각개 실린더(11) 내에는 피스톤(13)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각개 피스톤(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4)에 의하여 외부로 밀어내도록 하는 힘을 받게 설치되었으며, 실린더(11) 내부에는 피스톤(13)이 외부로 발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피스톤(13)이 행정거리 만큼 이동할 수 있을 뿐이고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었다.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상대적인 최대 비틀림 각은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스프링 소재(10)의 피스톤(13)이 실린더(11)의 최대 단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나타난다. 허브의 역할을 하는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가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할 때 돌출부(2)가 피스톤(13)에 작용하게 된다. 샤프트 커플링에 의하여 전달된 토크의 최저 비율이 달성되었을 때, 즉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상대적인 최저 비틀림 각이 나타났을 때 돌출부(2)는 피스톤(13)의 두부와 접촉하게 된다. 토크 비율이 최저일 때 스프링 소재(10)에 의하여 부여되는 탄성 정지 기능이 역할을 발휘하게 된다. 돌출부(2)가 피스톤(13)에 접촉하였을 때의 접촉점은 저부하로부터 부분부하까지의 전환점을 표시한다. 토크 비율이 더 증가하면 스프링 압력을 받는 스프링 소재(10)의 피스톤(13)이 실린더(11) 내측으로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샤프트 커플링이 부분부하에서 작동할 때까지 계속된다. 토크가 올라가면 피스톤(13)은 실린더 내부의 정지점에 도달하고, 이 정지점은 부분부하 범위에서 전부하 범위까지의 전환점을 표시한다. 스프링 소재(10)는 그들의 정지점에 접촉하게 되고, 이는 제 1 커플링 바디(3)가 전체적으로 브릿지 되었음을 나타낸다. 토크의 전달은 중간 부재(6)의 정지 위치에 있는 스프링 소재(10)와 링크(7)를 거친 다음 제 2 커플링 바디(8)와 피구동 플랜지(9)로 이어진다.
도 2 및 도 3에는 추가의 고무 완충재(15)가 도시되었다. 이러한 완충재는 샤프트 커플링이 바람직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토크에 노출되어 돌출부(2)가 피스톤(11)의 배면에 접촉하였을 때 완충 작용을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시켰을 때 도시된 샤프트 커플링은 경질 정지점을 구비하고 있어서 독일DE 10 2006 045 614 A1에 지적한 것에 유사하게 제 1 커플링 바디(3)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커플링의 특성 커브 곡선을 보여준다. 도표에서, 토크 T는 구동 플랜지와 피구동 플랜지 사이에 나타나는 상대적인 비틀림 각(Φ)을 나타낸 것이다. 작은 비틀림 각과 낮은 토크의 경우에는 특성 커브가 커플링이 비틀림 강성률이 낮음을 나타내는 완만한 경사로 된다. 이는 도 4에서 I 로 표시한 저부하 범위를 나타낸다. 토크의 증가에 따라서 비틀림 각이 증가하면 커브 곡선이 급격히 상승한다. 이러한 구역에서는 돌출부(2)가 스프링 소재(10)의 피스톤(13)과 접촉하였을 때를 나타낸다(도 1 내지 3 참조). 도 4의 Ⅱ로 표시한 부분부하 범위에서는 스프링 소재(10)가 영향을 받을 때이다. 이러한 스프링 소재들은 제 1 커플링 바디(3)와 평행하게 연결된다. 특성 커브의 경사는 커플링의 일정하게 증가하는 비틀림 강성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도 4의 Ⅲ으로 표시된 전부하 범위에서는 스프링 소재(10)가 그들의 단부 정지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제 1 커플링 바디(3)가 전부 브릿지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전부하 범위 에서는 제 2 커플링 바디(8)가 토크 전달에 활발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 2 커플링 바디(8)의 강성률은 전부하의 특성 커브의 최대 경사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커플링 바디(3) 보다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인접 기계 부품에 샤프트 커플링을 연결하기 위한 구동 플랜지(1)와 피구동 플랜지(9), 시리즈로 배치된 두 개의 탄성 커플링 바디(3),(8) 및 제 1 커플링 바디(3)를 통하여 구동 플랜지에(1) 연결되고, 제 2 커플링 바디(8)를 통하여 피구동 플랜지(9)에 연결된 중간 부재(6)로 구성되고,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토크가 제 1 커플링 바디(1)를 통하여 구동 플랜지(1)로부터 중간 부재(6)로 전달되고 중간 부재(6)와 피구동 플랜지(9)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제 2 커플링 바디(8)를 통하여 중간 부재(6)로부터 피구동 플랜지(9)로 전달되는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에 있어서, 두 커플링 바디(3),(8)가 탄성 정지 소재에 의하여 제한되는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 각을 갖는 상이한 강성률 특성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
  2. 제 1항에서, 탄성 정지 소재가 다수의 스프링 소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소재는 중간 부재(6)와 연결되고 샤프트 커플링의 원주 방향으로 놓여 있는 축을 갖고 있는 실린더(11)와 실린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부하 피스톤(13)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3. 제 2항에서, 스프링 소재(10)가 내부에 피스톤(13)의 행정 거리를 제한하는 단부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4. 제 3항에서, 스프링 소재(10)가 피스톤(13)을 최대 연장 거리 만큼 밀어내도록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5. 제 4항에서,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최대 비틀림 각이 스프링 소재(10)의 반발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스프링 소재(10)의 피스톤(13)이 최대 단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6. 청구항 2 내지 5항 중의 한 항에서, 구동 플랜지(1)에 다수의 돌출부(2)가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는 스프링 소재(10)의 피스톤(13)에 접촉하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7. 제 6항에서, 돌출부(2)는 최소 토크 비율이 비틀림 전달 샤프트 커플링에서 도달하였을 때 피스톤(13)에 접촉하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8. 제 7항에서,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 각이 최소 토크 비율이 달성되었을 때의 최대 상대적인 비틀림 각의 10% 이상, 특히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9. 청구항 2 내지 8항 중의 한 항에서, 토크 비율의 증가가 스프링 소재(10)의 피스톤(13)을 실린더(11) 내부에서 스프링의 힘을 압박하면서 실린더(11) 내측으로 밀어 넣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10. 청구항 2 내지 9항 중의 한 항에서, 제 1 및 제 2 커플링 바디(3),(8)가 샤프트 커플링의 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었으며, 제 1 커플링 바디(3)는 제 2 커플링 바디(8) 내측에 배치되고, 커플링 바디(3),(8) 사이에 스프링 소재(10)가 배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11. 청구항 1 내지 10항 중의 한 항에서, 증가하는 토크에서의 샤프트 커플링의 비틀림 강성률은 제 1 커플링 바디(3)의 강성률 특성으로부터 제2 커플링 바디(8)의 강성률 특성에 해당하는 강성률 특성으로 일정한 패션을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12. 청구항 1 내지 11항 중의 한 항에서, 저부하 범위(I)에서의 커플링의 비틀림 강성률 특성이 제 1 커플링 바디(3)의 강성률에 해당하고 전부하(Ⅲ)에서의 강성률 특성은 제 2 커플링 바디(8)의 강성률에 해당하며, 탄성 정지 소재는 저부하 범위(I)와 전부하(Ⅲ) 사이의 부분부하(II)에만 구동 플랜지(1)와 중간 부재(6) 사이의 최대 상대적인 비틀림 각도가 도달할 때까지 영향을 미침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커플링.
KR1020137006234A 2010-09-06 2011-09-05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 KR20130108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0012227.9 2010-09-06
DE202010012227U DE202010012227U1 (de) 2010-09-06 2010-09-06 Drehelastische Wellenkupplung
PCT/EP2011/004463 WO2012031733A1 (de) 2010-09-06 2011-09-05 Drehelastische wellenkupp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552A true KR20130108552A (ko) 2013-10-04

Family

ID=4338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234A KR20130108552A (ko) 2010-09-06 2011-09-05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14267B1 (ko)
KR (1) KR20130108552A (ko)
CN (1) CN103168182A (ko)
BR (1) BR112013005452A2 (ko)
DE (1) DE202010012227U1 (ko)
WO (1) WO2012031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751B1 (de) 2015-02-03 2016-08-15 Tectos Gmbh Drehelastische wellenkupplung
CN111365382A (zh) * 2020-03-17 2020-07-03 泉州市鑫鼎合德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一体多功能式旋转部件中部连接装置
CN113084864B (zh) * 2021-05-07 2022-09-27 重庆理工大学 一种可变刚度的机器人关节结构
CN115182937B (zh) * 2022-07-18 2023-06-02 西南石油大学 一种用于曲轴振动控制的变刚度叠片联轴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32936A (de) * 1954-01-01 1958-09-30 Hindmarch Thomas Nachgiebige Kupplung
CH353584A (de) * 1957-09-19 1961-04-15 Vyzk A Zkusebni Letecky Ustav Elastische Kupplung mit mechanischen Federn als Dämpfer der Torsionsschwingungen
DE4309745A1 (de) * 1993-03-26 1994-09-29 Kirschey Centa Antriebe Wellenkupplung
DE4403477C1 (de) * 1994-02-04 1995-04-06 Kirschey Centa Antriebe Wellenkupplung
US6142115A (en) * 1997-09-09 2000-11-0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Vibration damper for the crankshaft of a piston engine
DE10010953B4 (de) * 1999-03-10 2010-06-0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chwingungsdämpfer
JP3725492B2 (ja) * 2002-05-29 2005-12-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圧縮型弾性継手装置
FR2878305B1 (fr) * 2004-11-24 2008-05-30 Hutchinson Sa Poulie d'organ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alterno-demarreur separe equipe d'une telle poulie et systeme d'entrainement de moteur thermique
DE102006045614A1 (de) 2006-09-25 2008-04-03 Hackforth Gmbh Drehelastische Wellenkupplung mit überbrückbarem Elastomerkör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4267A1 (de) 2013-07-17
WO2012031733A1 (de) 2012-03-15
DE202010012227U1 (de) 2010-12-23
CN103168182A (zh) 2013-06-19
EP2614267B1 (de) 2015-04-22
BR112013005452A2 (pt)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3157B2 (ja) トルクリミッタを備えるトーショナルバイブレーションダンパ
CN101210589B (zh) 驱动轮
KR20130108552A (ko) 비틀림 탄성 샤프트 커플링
CN101298878B (zh) 离合器盘和具有该离合器盘的离合器
CN1818415A (zh) 扭转振动减振器
US3265172A (en) Cushioned torque-limiting centrifugal clutch
CN101086290A (zh) 离心力摆动装置
US20060172808A1 (en) Marine elastic coupling
CN101346567A (zh) 用于内燃机的牵引工具传动机构
KR101195945B1 (ko) 비선형 특성을 가지는 직렬 연결 토션 댐퍼
JP3680093B2 (ja) 自動車用フライホイール及び二重質量フライホイール
CN105987096A (zh) 自由轮
CN103925308A (zh) 非摩擦式离合器
US4499981A (en) Damper disc with concentric springs including hourglass-shaped springs to reduce the effect of centrifugal forces
CN105422733A (zh) 扭转减振器及工程车辆
KR20220114567A (ko) 토션 감쇠 장치
US6416416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drag element
JPS58178025A (ja) 回転方向に弾性的な継手
KR101130856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040091078A (ko) 스타터 구동 조립체의 완충 정지 요소를 구비한 전기 스타터
JP4743391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CN203847627U (zh) 高性能减震飞轮
KR101861155B1 (ko)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 장치
WO2019087677A1 (ja) ダンパ
US6231449B1 (en) Torsional vibration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