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745A -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 Google Patents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745A
KR20130107745A KR1020120029766A KR20120029766A KR20130107745A KR 20130107745 A KR20130107745 A KR 20130107745A KR 1020120029766 A KR1020120029766 A KR 1020120029766A KR 20120029766 A KR20120029766 A KR 20120029766A KR 20130107745 A KR20130107745 A KR 20130107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ealing
glass composi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만
이상호
정효성
정승화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닉스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닉스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닉스소재
Priority to KR102012002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745A/ko
Publication of KR2013010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4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Bi2O3 73 내지 90 중량부, SiO2 0.1 내지 4 중량부, B2O3 3 내지 11 중량부, Al2O3 0.1 내지 1.5 중량부, ZnO 5 내지 15 중량부 및 BaO 0.2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스무스계 유리조성물; 및 Fe2O3, CoO, CuO,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착색제 0.6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은 납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505℃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의 소성공정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GLASS COMPOSITION FOR SEALING OF VACCUM GLAZING}
본 발명은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납성분을 함유하는 유리분말과 내화 세라믹 분말 등이 필러로 구성되는 납 성분을 함유하는 유리 혼합물 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환경적인 이유로 납성분 등의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저온에서 밀봉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재 인 유리, 붕규산 유리, 알카리 유리 및 비스무트 유리 등의 납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유리 조성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비스무트 유리는 저온에서 소성될 수 있고, 화학적 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비스무트 유리는 다양한 종류의 기판 글라스를 봉착하기 위한 열팽창 특성을 충족하기 위해 필러로서 저팽창 내화 세라믹 분말과 함께 혼합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판유리를 봉착하기에 적합한 열팽창 특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기판유리를 봉착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저팽창 세라믹 분말이 요구된다. 그러나 다량의 저팽창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유리조성물의 유동특성이 저하되게 되고, 이러한 유리조성물을 이용하여 진공유리를 봉착하는 경우 봉착이 충분하지 않을뿐더러 봉착을 위한 높은 온도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납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505℃ 이하의 낮은 온도의 소성공정에 적용가능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유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진공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Bi2O3 73 내지 90 중량부, SiO2 0.1 내지 4중량부, B2O3 3 내지 11중량부, Al2O3 0.1 내지 1.5 중량부, ZnO 5 내지 15 중량부 및 BaO 0.2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스무스계 유리조성물; 및 Fe2O3, CoO, CuO,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착색제 0.6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365 내지 390℃의 연화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505℃ 이상의 결정화 시작온도(Tx)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결정화 시작온도(Tx)와 연화온도(Tdsp)의 차이(Tx-Tdsp)가 1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은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윌레마이트(willemite), 지르코늄 텅스텐 포스페이트(zirconium tungsten phosphate), 알루미늄 티탄나이트(aluminum titanate), β-스포듀민(β-spodumene), β-유크립타이트(β-eucrypti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로 제조된 진공유리를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은 납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505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의 소성공정에 적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은,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Bi2O3 73 내지 90 중량부, SiO2 0.1 내지 4중량부, B2O3 3 내지 11중량부, Al2O3 0.1 내지 1.5 중량부, ZnO 5 내지 15 중량부 및 BaO 0.2 내지 7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스무스계 유리조성물; 및 Fe2O3, CoO, CuO,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착색제 0.6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스무스계 유리조성물에 있어서, Bi2O3는 유리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중 Bi2O3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유리 조성물의 연화 온도가 높아져 저온에서의 봉착이 어렵고, 지나치게 높으면 결정화에 불리하며 그 결과로 흐름성이 저하되어 봉착이 어렵다. 이에 따라, 상기 Bi2O3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73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유리 조성물이 적절한 연화온도 및 열팽창 계수를 가져 저온 봉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SiO2는 유리형성제로서, 유리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를 높이고, 결정화 발생을 억제시키며 열팽창계수(CTE)를 낮추는 유리안정화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중 상기 SiO2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Tg가 과도하게 상승될 우려가 있으므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2O3는 유리 골격을 형성하여 유리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성분이며, 열팽창 계수를 낮추는 성분이다. 그러나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중 B2O3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유리 형성이 어렵고,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유리전이온도 및 연화점이 높아져 저온 봉착이 어렵다. 이에 따라 상기 B2O3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결정화를 억제하고 유리화 및 저온봉착을 가능하게 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Al2O3는 유리안정화제로서, 결정화를 억제시키고, 화학적 안정성을 높여주며, 열팽창계수(CTE)를 낮추는 기능을 한다. 다만,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중 상기 Al2O3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오히려 결정화를 유발시키며, 유리 제작 시 미용융될 우려가 있으므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ZnO 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의 열팽창계수 낮추는 역할을 하며 화학적 안정성을 높여 주는 성분이다. 그러나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중 ZnO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유리 안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진다. 반면,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오히려 결정화를 촉진시키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여 저온 봉착을 어렵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ZnO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유리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화학적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BaO 는 비스무스계 모유리의 안정화 및 유리전이 온도의 저하를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중 BaO 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유리화가 어렵고,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열팽창계수 증가 및 모유리의 결정화를 유도하여 봉착특성을 열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BaO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모유리의 안정화를 증가시키고, 유리 전이온도의 저하를 유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상기한 비스무스계 유리조성물과 함께 착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착색제는 유리조성물 내에서 결정화 유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Fe2O3, CoO, CuO,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착색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결정화를 촉진시킬 우려가 있고,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결정화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색제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결정화 유도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또한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윌레마이트(willemite), 지르코늄 텅스텐 포스페이트(zirconium tungsten phosphate), 알루미늄 티탄나이트(aluminum titanate), β-스포듀민(β-spodumene), β-유크립타이트(β-eucrypti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모유리와의 반응성이 적고, 결정화를 유발하지 않으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의 주성분인 비스무스계 유리에 비해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져, 진공유리와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진제는 비스무스계 유리의 열팽창계수가 진공유리의 열팽창계수에 근접하도록 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유동을 저하시키지 않고, 기판과의 매칭성을 가지는 열팽창계수를 얻을 수 있어 좋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365 내지 390℃의 연화온도(Tdsp)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의 연화온도를 가져 상기 온도범위에서 유동성을 나타내기 시작하기 때문에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은 낮은 온도에서의 소성공정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505℃ 이상의 결정화 시작온도(Tx)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로, 505℃ 이상에서 결정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의 결정화 시작온도(Tx)와 연화온도(Tdsp)의 차이(Tx-Tdsp)가 115℃ 이상, 좋게는 115℃ 내지 250℃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성온도에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은 납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PbO 대신 Bi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릿을 얻기 위한 최적 함량을 제공하며, 505℃ 이하, 좋게는 480℃이하, 더 좋게는 400℃ 내지 480℃ 의 낮은 온도에서의 소성공정에 적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봉착용 유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를 제공한다.
상기 봉착용 유리는 상기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봉착용 유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을 1,100 내지 1,250℃의 온도에서 용융시킨 후 건식 및 습식 퀀칭(quenching)을 통해 급냉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유리분말에 대해 진공유리 봉착에 적절한 입자직경, 바람직하게는 D50 기준으로 8 내지 20㎛의 입자직경을 갖도록 볼밀 등을 이용한 분쇄공정을 더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된 유리분말을 이용한 진공유리의 봉착 및 이에 따른 진공유리의 제조는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1에서 각 구성성분의 함량단위는 중량%임).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5 6
Bi2O3 81.4 81.5 79.3 81.2 80.5 78.2 75.0 68.8 84.5 85.0 81.0 75.6
SiO2 0.3 0.4 0.2 0.2 0.3 0.2 3.5 18.0 1.5 1.0 1.0 1.1
B2O3 6.0 6.0 5.8 6.0 6.3 5.8 18.0 2.0 9.5 8.0 8.0 10.0
Al2O3 1.0 0.5 1.0 1.0 0.5 1.0 0.5 2.0 0.5 0.5 0.5 0.1
ZnO 10.1 9.4 10.0 9.9 10.7 11.8 0.0 7.0 3.5 5.0 9.0 11.2
BaO 0.2 1.0 0.2 0.5 0.5 0.2 - - - - - -
Li2O - - - - - - - 2.0 - - - -
Na2O - - - - - - 3.0 - - - - 2.0
Fe2O3 0.2 0.2 0.2 0.2 0.2 0.2 - - - - 0.5 -
CoO 0.1 0.1 2.4 0.1 0.1 0.1 - - - 0.5 - -
CuO 0.6 0.8 0.8 0.8 0.8 2.4 - - 0.5 - - -
CeO2 0.1 0.1 0.1 0.1 0.1 0.1 - 0.2 - - - -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알카리(Li2O+Na2O) 0.0 0.0 0.0 0.0 0.0 0.0 3.0 2.0 0.0 0.0 0.0 2.0
착색제
(Fe2O3+CoO+CuO+CeO2)
1.0 1.2 3.5 1.2 1.2 2.8 0.0 0.2 0.5 0.5 0.5 0.0
(실시예 7 내지 11 및 비교예 7 내지 13)
하기 표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7 내지 11 및 비교예 7 내지 13의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표2에서 각 구성성분의 함량단위는 중량%임).
실시예 비교예
구분 7 8 9 10 11 7 8 9 10 11 12 13
Bi2O3 85.5 82.5 80.0 80.4 77.6 37.8 88.0 88.5 80.5 78.0 78.0 74.5
SiO2 2.5 0.1 0.3 0.1 0.1 1.6 1.0 1.0 1.0 0.5 0.5 0.5
B2O3 3.4 5.3 6.0 6.6 6.0 16.8 8.0 8.0 8.0 9.0 9.0 7.5
Al2O3 1.0 0.5 1.0 0.1 0.4 5.2 - - - - - -
ZnO 6.5 10.5 8.6 10.5 12.4 19.5 - - 8.0 9.0 8.5 8.5
BaO 0.5 0.5 0.5 1.7 2.9 19.0 - - - - - -
Li2O - - - - - - 1.0 0.5 1.0 - - -
Na2O - - - - - - 2.0 2.0 1.5 3.5 4.0 3.3
Fe2O3 0.0 0.0 0.2 0.0 0.0 - - - - - - -
CoO 0.4 0.4 1.5 0.6 0.0 - - - - - - -
CuO 0.0 0.0 1.8 - 0.6 - - - - - - 5.7
CeO2 0.2 0.2 0.1 0.0 0.0 0.1 - - - - - -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알카리
(Li2O+Na2O)
0.0 0.0 0.0 0.0 0.0 0.0 3.0 2.5 2.5 3.5 4.0 3.3
착색제
(Fe2O3+CoO+CuO+CeO2)
0.6 0.6 3.6 0.6 0.6 0.1 0.0 0.0 0.0 0.0 0.0 5.7
시험예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리조성물의 각 구성성분들을 정확히 계량한 후, 무중력 혼합기를 통해 모든 구성성분들이 완전히 혼합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두고 혼합하였다. 혼합 완료된 유리 조성물을 백금도가니에 투입한 뒤, 1,100℃ 내지 1,250℃의 온도에서 용융작업을 진행하였다. 용융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용융단계에서 용융된 유리조성물은 건식 및 습식 퀀칭(quenching)을 통해 급냉시켰다. 급냉된 유리용융물을 젯트밀을 사용하여 분말상태로 분쇄하였으며, D50 기준으로 8 내지 20㎛ 범위로 제작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리 분말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리전이온도(Tg), 연화온도(Tdsp), 결정화 시작온도(Tx), 결정화 피크온도(Tp), 플로우버튼 테스트(Flow button test)를 통해 결정화 여부 및 입경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Tg: 유리전이온도 (단위: ℃)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리분말들 각각에 대해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 Scanning Calorimeter, TA사)를 이용하여 10℃/min의 승온속도로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첫번째 기울기가 변하는 구간의 접선을 구해서 Tg온도를 측정하였다.
2) Tdsp: 수축이 시작되는 연화온도 (단위: ℃)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리분말들을 각각 알루미늄팬(pan)에 넣은 후 시차주사열량계(TA사제)를 이용하여10℃/min의 승온속도로 580℃까지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고, 흡열반응이 끝나는 피크점을 분석하여 Tdsp온도를 분석하였다.
3) Tx: 결정화 시작온도 (단위: ℃)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리분말들 각각에 대해 시차주사열량계 (TA사제)를 이용하여 10℃/min의 승온속도로 580℃까지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고, 발열피크가 나타나는 점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변하는 구간의 접선을 구해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4) 표면결정화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리분말들 각각 7g을 직경 20mm 치구에 넣은 후 압력을 가하여 분말을 펠릿형(pellet type)으로 제작한 후 기판유리에 놓고 박스로를 이용하여 5℃/min의 승온속도로 480℃까지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고, 온도가 떨어진 후 광학현미경으로 결정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시 결정상이 관찰되는 경우를 'O'로,결정상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X'로 나타내었다.
5) 플로우버튼 크기(flow button size: FB크기)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리분말들 각각 7g을 직경 20mm 치구에 넣은 후 압력을 가하여 분말을 펠릿형으로 제작한 후 기판유리에 놓고 박스로를 이용하여 5℃/min의 승온속도로 480℃까지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고, 온도가 떨어진 후 버니어 캘리퍼스로 가로 세로 직경을 측정한 후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5 6
Tg 359 350 366 357 350 354 407 421 390 371 376 368
Tdsp 380 378 384 377 378 375 434 452 413 395 399 392
Tx 532 535 537 535 535 522 560 560 526 511 551 519
Tx-Tdsp 152 157 153 157 157 147 126 108 113 115 152 128
표면 결정화 X X X X X X X X X X X X
FB 크기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상기 표 3에서 각 온도의 단위는 ℃임)
실시예 비교예
구분 7 8 9 10 11 7 8 9 10 11 12 13
Tg 366 353 358 362 358 462 323 339 331 338 339 314.9
Tdsp 385 373 376 384 380 491 343 363 352 366 364 363.6
Tx 507 520 529 510 516 560 375 392 393 469 466 399.1
Tx-Tdsp 122 148 153 126 136 69 31 29 41 103 102 35
표면결정화 X X X X X O O O O O O O
FB 크기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상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23mm이하
(상기 표 4에서 각 온도의 단위는 ℃임)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유리 봉입용 유리 조성물은 연화온도(Tdsp)가 365℃ 내지 390℃의 범위로, 상기 범위에서 유동성을 가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의 소성공정에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유리 봉입용 유리 조성물은 505℃ 이상에서 결정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결정화 시작 온도(Tx)와 연화온도(Tdsp)의 차이(Tx-Tdsp)가 115℃ 이상이므로 소성온도에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Bi2O3 73 내지 90 중량부, SiO2 0.1 내지 4 중량부, B2O3 3 내지 11 중량부, Al2O3 0.1 내지 1.5 중량부, ZnO 5 내지 15 중량부 및 BaO 0.2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스무스계 유리조성물; 및
    Fe2O3, CoO, CuO,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착색제 0.6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365 내지 390℃의 연화온도를 갖는 것인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은 505℃ 이상의 결정화 시작온도(Tx)를 갖는 것인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의 결정화 시작온도(Tx)와 연화온도(Tdsp)의 차이(Tx-Tdsp)가 115℃ 이상인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 조성물은 실리카, 알루미나, 코디어라이트, 윌레마이트, 지르코늄 텅스텐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티탄나이트, β-스포듀민, β-유크립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진공유리.
KR1020120029766A 2012-03-23 2012-03-23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KR20130107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766A KR20130107745A (ko) 2012-03-23 2012-03-23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766A KR20130107745A (ko) 2012-03-23 2012-03-23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745A true KR20130107745A (ko) 2013-10-02

Family

ID=4963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766A KR20130107745A (ko) 2012-03-23 2012-03-23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6461A (zh) * 2017-04-25 2017-07-14 福州大学 一种CeO2改性的低温封接玻璃及其制备与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6461A (zh) * 2017-04-25 2017-07-14 福州大学 一种CeO2改性的低温封接玻璃及其制备与使用方法
CN106946461B (zh) * 2017-04-25 2019-07-09 福州大学 一种CeO2改性的低温封接玻璃及其制备与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3560B (zh) 一种无铅低熔玻璃及其制备方法
CN102992812B (zh) 一种微晶增强透明无铅熔块釉及其制备方法
JP5257827B2 (ja) 封着材料
KR20080085087A (ko) 봉착용 유리조성물 및 봉착재료
JP5212884B2 (ja) ビスマス系封着材料およびビスマス系ペースト材料
JP5083706B2 (ja)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およびビスマス系封着材料
JP6966724B2 (ja) 複合セラミック粉末、封着材料及び複合セラミック粉末の製造方法
TWI784127B (zh) 玻璃組合物及密封材料
CN105731802A (zh) 一种用于光纤密封的封接玻璃及其封接方法
JP2003238199A (ja) プレスフリット
JP3748533B2 (ja) 低融点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751744B2 (ja) ガラス
CN103253862A (zh) 一种低碱低熔点光学玻璃及其制备方法
WO2015029792A1 (ja) 無鉛ガラス及び封着材料
KR20130107745A (ko) 진공유리 봉착용 유리조성물
KR101484634B1 (ko) 색변환 효율 및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led 색변환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2551902A (zh) 一种含碱土金属的低熔点玻璃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8308393A (ja) 無鉛低軟化点ガラス、無鉛低軟化点ガラス組成物、無鉛低軟化点ガラスペースト、および蛍光表示管
KR100833474B1 (ko) Oled 봉착용 저융점 유리 조성물 및 유리 혼합물
SU1565344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ипоечного боросвинцового стекла
JP2019031403A (ja) 封着材料
CN113165957B (zh) 玻璃粉末以及使用了该玻璃粉末的封装材料
JP4093347B2 (ja) 点火プラグ用封着ガラスおよび点火プラグ
KR101236968B1 (ko) 유기발광소자 봉착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자
KR100782160B1 (ko) 피디피 격벽용 유리프릿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