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188A - 전동 손수레 - Google Patents

전동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188A
KR20130106188A KR1020120027890A KR20120027890A KR20130106188A KR 20130106188 A KR20130106188 A KR 20130106188A KR 1020120027890 A KR1020120027890 A KR 1020120027890A KR 20120027890 A KR20120027890 A KR 20120027890A KR 20130106188 A KR20130106188 A KR 20130106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heel
motor
brake
drive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094B1 (ko
Inventor
최인덕
Original Assignee
최인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덕 filed Critical 최인덕
Priority to KR102012002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tiltably-mount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a handle bar a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요약하면 하부 전측에는 원동바퀴가 형성되고 하부 후측에는 종동바퀴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후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프레임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는 상기 원동바퀴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본체 상부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구동부;상기 본체 상측에 위치하여 전측 일측단과 탈부착 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함; 및 상기 원동바퀴와 종동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원동바퀴의 동력을 상기 종동바퀴로 전달하는 보조바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원동바퀴로 구동하는 것을 종동바퀴도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4륜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손수레{The motor-driven carts}
본 발명은 전동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전기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레를 컴팩트하게 제작하게 하고, 원동바퀴와 종동바퀴 사이에서 원동바퀴의 동력을 종동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보조바퀴가 구비되게 하여 동력을 증가시킨 전동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레는 하부에 바퀴가 달려있고, 상부에 적재함이 있어서 토사나 벽돌, 짐 등을 싣고 사람이 밀거나 끌어서 이동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수레는 공사장이나 농장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전동으로 움직이는 손수레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165219 '전동식 손수레'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후방에 손잡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일측단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적재함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용 배터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측 후방에 위치하며 상호간의 설치폭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한쌍의 후륜 및 상기 전륜에 전달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수단으로 이루어져 운반작업이 손쉽고 운전이 간편한 전동식 손수레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수레가 사용되는 곳이 보통 공사장이나 농장에서 많이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곳은 지면이 울퉁불퉁하여 골을 지나갈 때 어려움이 많고, 또한 수레의 짐이 많이 싣린 경우에는 높은 경사로와 계단을 오르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륜으로 구동되게 하고, 필요시에는 전륜과 후륜을 같이 구동하게 하는 4륜구동으로 하여 구동력이 좋은 전동 손수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레에 짐을 싣는 적재함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적재함을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적재함으로부터 짐을 쉽게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손수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전측에는 원동바퀴가 형성되고 하부 후측에는 종동바퀴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후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프레임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는 상기 원동바퀴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본체 상부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본체 상측에 위치하여 전측 일측단과 탈부착 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함; 및 상기 원동바퀴와 종동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원동바퀴의 동력을 상기 종동바퀴로 전달하는 보조바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와 보조바퀴사이에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일측은 상기 보조바퀴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나사산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슬라이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 직 상방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가압하는 볼트로 구성된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함의 하측에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측에는 상기 걸림편이 수용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걸림편을 단속되게 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레버로 구성되는 걸림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하부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단속하는 밴드형 브레이크와,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스위치로 구성되는 브레이크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원동바퀴와 종동바퀴 사이에 보조바퀴가 구비되게 제작한다. 이는 원동바퀴의 회전력을 종동바퀴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4륜 구동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되어 구동력이 좋아지게 된다. 그래서 경사로나 골을 지나갈 때 힘있게 지나갈 수 있으므로 공사장이나 농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부착되는 적재함을 탈부착 되게 함에 따라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적재부를 사용할 수 있고, 적재함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적재함에 담긴 내용물을 쉽게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손수레의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의 좌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와 스토퍼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에 걸림장치가 구비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에 브레이크장치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b),(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의 정면, 평면, 좌측면의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본체(100), 구동부(200), 적재함(300) 및 보조바퀴(400)로 구성되게 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골격이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프레임을 상부라 하고, 하부프레임을 하부라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전측에 원동바퀴(122) 한 쌍이 설치되고, 후측에는 종동바퀴(124) 한 쌍이 설치되게 되어 상기 원동바퀴(122)로 구동하여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후측 양쪽에 바 형상의 손잡이(140)가 형성되어 사람이 잡고 밀거나 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본체(10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도 2(b)에서 처럼 모터(220)와 컨트롤러(240)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220)는 도 2(b)에서 보듯이 상기 본체(100) 하부에 상기 원동바퀴(122)를 지지하는 축(221)에 회전력을 공급하여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모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도 2(b)의 상기 모터(2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240)와 상기 모터(22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에는 배터리(2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함(3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0)의 전측 일측단과 탈부착 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전측에 핀(320)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적재함(300)을 상기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함(300)의 형상이 일반 손수레에 쓰이는 버킷형성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짐을 실을 수 있는 것(예:지게발)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여기서, 적재함(300)은 토사, 벽돌, 거름 등을 싣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전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적재함(300)에 있는 내용물을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바퀴(400)는 상기 원동바퀴(122)와 종동바퀴(12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원동바퀴(122)의 동력을 상기 종동바퀴(124)로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바퀴(400)는 상기 원동바퀴(122)로 구동하는 2륜 구동에서, 상기 종동바퀴(124)도 같이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4륜 구동을 하는 효과를 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보조바퀴(400)에 의해서 종동바퀴(124)도 동력을 전달받게 되어 특히 울퉁불퉁한 지면을 지나갈 때와 경사로를 올라갈 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면이 진흙이 있는 곳이거나 겨울철 눈, 얼음으로 미끄러운 곳에서도 운행이 좋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400)는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 2(c)와 같이 높이조절부(500)와 스토퍼(600)가 구비되게 된다.
도 2(c)를 상세히 나타낸 아래의 도면 3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와 스토퍼의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부(500)는 상기 보조바퀴(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와 보조바퀴(400)사이에 구비되는데 그 구성은 지지부재(520)와, 슬라이딩부재(540) 및 고정부재(56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20)는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 나사산(522)이 돌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40)는 일측이 상기 보조바퀴(400)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520)의 나사산(522)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슬롯(542)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560)는 상기 나사산(522)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520)에 슬라이딩부재(54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540)를 상,하로 조절가능함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540)에 결합된 상기 보조바퀴(400)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바퀴(400)의 높이에 따라서 원동바퀴와 종동바퀴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보조바퀴(400)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높이조절부(500)에 의해 조절된 높이를 고정하게 하는 것으로 브라켓(620)과 볼트(64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620)은 상기 슬라이딩부재(540) 직 상방에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볼트(640)는 상기 브라켓(620)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540)를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540)의 상승이 제한되게 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보조바퀴(400)가 결합된 슬라이딩부재(540)가 충격이나 유격에 의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조바퀴(400)가 상기 원동바퀴의 동력을 상기 종동바퀴에 잘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함(300)은 일측으로 회전 가능한 것인데, 이동시에는 충격과 경사로에 따라 무게중심이 달라져서 원하지 않을때 회전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걸림장치(700)가 더 구비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에 걸림장치가 구비된 예시도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적재함(300)의 하측에는 걸림편(360)이 돌출 형성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장치(700)는 상기 걸림편(360)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판(720)과, 스프링(740) 및 걸림레버(76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걸림판(720)은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편(360)이 수용되도록 슬롯(722)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740)은 상기 걸림판(72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720)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슬롯(722)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걸림편(360)을 단속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레버(760)는 상기 스프링(740)을 작동시키도록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140)에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전동 손수레는 전동으로 운행 가능하고,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속도를 제어할 수 있지만, 안전을 위해 급정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브레이크장치(8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에 브레이크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브레이크장치(800)는 밴드형 브레이크(820)와 브레이크스위치(84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밴드형 브레이크(820)는 상기 본체(100) 하부에 구비된 모터(220)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모터(220)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스위치(840)는 상기 손잡이(140)에 구비되게 되고, 상기 밴드형 브레이크(820)와 와이어(830)로 연결되어 상기 밴드형 브레이크(82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동바퀴와 종동바퀴 사이에 동력을 증가시키는 보조바퀴를 구비하게 하여 4륜 구동이 가능하게 하는 전동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122: 원동바퀴
124: 종동바퀴 140: 손잡이
200: 구동부 220: 모터
240: 컨트롤러 300: 적재함
400: 보조바퀴 500: 높이조절부
520: 지지부재 540: 슬라이딩부재
560: 고정부재 600: 스토퍼
620: 브라켓 640: 볼트
700: 걸림장치 720: 걸림판
740: 스프링 760: 걸림레버
800: 브레이크장치 820: 밴드형 브레이크
840: 브레이크스위치

Claims (5)

  1. 하부 전측에는 원동바퀴(122)가 형성되고 하부 후측에는 종동바퀴(124)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후측으로 손잡이(140)가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프레임 본체(100);
    상기 본체 하부에는 상기 원동바퀴를 구동하는 모터(220)와, 상기 본체 상부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40)로 구성된 구동부(200);
    상기 본체 상측에 위치하여 전측 일측단과 탈부착 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함(300); 및
    상기 원동바퀴와 종동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원동바퀴의 동력을 상기 종동바퀴로 전달하는 보조바퀴(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와 보조바퀴(400)사이에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520)와, 일측은 상기 보조바퀴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나사산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540)와,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슬라이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60)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5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 직 상방에 결합되는 브라켓(620)과, 상기 브라켓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가압하는 볼트(640)로 구성된 스토퍼(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300)의 하측에는 걸림편(36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측에는 상기 걸림편이 수용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걸림판(720)과, 상기 걸림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걸림편을 단속되게 하는 스프링(740)과, 상기 스프링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레버(760)로 구성되는 걸림장치(7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부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단속하는 밴드형 브레이크(820)와,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스위치(840)로 구성되는 브레이크장치(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KR1020120027890A 2012-03-19 2012-03-19 전동 손수레 KR10132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90A KR101328094B1 (ko) 2012-03-19 2012-03-19 전동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90A KR101328094B1 (ko) 2012-03-19 2012-03-19 전동 손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88A true KR20130106188A (ko) 2013-09-27
KR101328094B1 KR101328094B1 (ko) 2013-11-13

Family

ID=4945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890A KR101328094B1 (ko) 2012-03-19 2012-03-19 전동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5677A (zh) * 2014-04-04 2014-07-02 宝时得机械(张家港)有限公司 一种手推车
CN103963813A (zh) * 2014-04-03 2014-08-06 浙江理工大学 新型多用途电动载物爬楼车
CN105946937A (zh) * 2016-06-27 2016-09-21 励通(上海)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式助推车
CN109823385A (zh) * 2019-01-18 2019-05-31 陈治帆 一种上楼梯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4226A (en) * 2009-08-25 2011-04-13 Terry Charles Rowlands Motorised wheelbarrow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3813A (zh) * 2014-04-03 2014-08-06 浙江理工大学 新型多用途电动载物爬楼车
CN103895677A (zh) * 2014-04-04 2014-07-02 宝时得机械(张家港)有限公司 一种手推车
CN105946937A (zh) * 2016-06-27 2016-09-21 励通(上海)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式助推车
CN105946937B (zh) * 2016-06-27 2023-12-15 励通(上海)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式助推车
CN109823385A (zh) * 2019-01-18 2019-05-31 陈治帆 一种上楼梯辅助装置
CN109823385B (zh) * 2019-01-18 2020-03-31 陈治帆 一种上楼梯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094B1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9088A (en) Power control hand truck
KR101328094B1 (ko) 전동 손수레
EP2796405B1 (en) Self-propelled accessory
KR101179804B1 (ko) 자동 핸드 카트
CN103112802A (zh) 一种电动搬运车
US8240683B1 (en) Portable hand truck with powered lifting device
KR102250313B1 (ko) 전동조향 기능을 가지는 전동손수레
JP5296271B1 (ja) 電動手押し運搬車
KR200456019Y1 (ko) 전동 손수레
KR101485300B1 (ko) 전동 카트
KR20110007445U (ko) 농작물 수확용 차량
KR102324477B1 (ko) 보호자의 탑승이 가능한 전동 웨건
KR20170052043A (ko) 계단 이동이 가능한 운반수레
CN101811513A (zh) 运输装置
CN203112435U (zh) 一种堆高车
US753284A (e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
CN220374552U (zh) 一种电动推车
KR20230052411A (ko) 스마트팜용 전동 수레
JP2010274704A (ja) 電動小型運搬台車
KR20160088988A (ko) 지능형 카트
JP3197342U (ja) 電動2輪荷車
JPH0848252A (ja) 荷 車
KR200244071Y1 (ko) 소형운반전동차
TWM582010U (zh) Power assist device and trolley having the power assist device
CN210734185U (zh) 具有辅助倾斜功能的医用爬楼拉货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