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988A - 지능형 카트 - Google Patents

지능형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988A
KR20160088988A KR1020150007964A KR20150007964A KR20160088988A KR 20160088988 A KR20160088988 A KR 20160088988A KR 1020150007964 A KR1020150007964 A KR 1020150007964A KR 20150007964 A KR20150007964 A KR 20150007964A KR 20160088988 A KR20160088988 A KR 20160088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load cell
unit
loading
cel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수
남상윤
곽현우
박상오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988A/ko
Publication of KR2016008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이동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퀴의 상부에 물건이 적재되는 적재부가 형성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실리는 물건의 중량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 센싱부와, 상기 이동바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로드셀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값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이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카트의 이동바퀴에 모터회전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카트를 밀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카트{THE INTELLIGENT CART}
본 발명은 지능형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의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건 중량을 센싱하여, 무거운 물건이 적재될 경우에는 카트의 이동바퀴에 모터구동 회전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큰 힘을 들지 않고서도 카트를 밀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손수레로서, 마트나 공장에서 사용자나 작업자가 직접 옮기기 무거운 물건을 적재시켜 실어 나르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카트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이 매우 무거운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지된 상태의 카트를 밀어 물건을 운반하기에는 매우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경사로에서는 카트를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카트의 차륜이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지 않고 모터구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카트가 대형화되어 마트나 공장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카트가 손수레의 범위를 벗어나 일반 전동차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무거운 물건이 적재되는 카트를 사용자가 손쉽게 밀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에 보조 동력이 제공되며, 카트 기기의 구조가 대형화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에 따라 카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카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 제 2012-18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을 센싱하여, 일정 중량 이상일 경우에만 카트의 바퀴에 보조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이동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퀴의 상부에 물건이 적재되는 적재부가 형성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실리는 물건의 중량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 센싱부와, 상기 이동바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로드셀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값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 센싱부는 상기 적재부의 사방에 4개의 로드셀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값이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이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카트의 이동바퀴에 모터회전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카트를 밀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에 설치되는 로드셀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에 설치되는 로드셀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는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손수레로서, 물건이 적재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10)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부(10)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센싱부(30)와, 상기 적재부(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21)과 프레임(2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이동바퀴(22)를 포함하는 이동수단(20)과, 이동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40)와, 모터 구동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적재부(10)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로드셀 센싱부(30)와 모터 구동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 및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파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드셀 센싱부(30)는 적재부(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셀이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적재부(10)의 사방에 4개의 로드셀이 설치되어 적재부(10)에 적재되는 물건의 하중이 4개의 로드셀에 분산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로드셀 센싱부(30)는 로드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로드셀의 변형량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신호를 제어부(50)로 전송한다.
모터 구동부(40)는 이동바퀴(22)의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모터(41)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50)의 제어명령에 의해 모터(41)가 구동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로드셀 센싱부(30)에서 센싱된 전기신호값에 따라 모터 구동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로드셀 센싱부(30)에서 센싱되는 전기신호값이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모터 구동부(40)가 구동되도록 한다. 즉, 적재부(10)에 적재되는 물건이 일정 중량값 이하로 가벼우면 전원공급부(60)에서 모터로 전원공급을 해제시키고, 일정 중량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전원공급부(60)에서 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0)의 제어명령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임의로 모터 구동부(40)의 동작을 제한시키도록 한다. 즉, 적재부(10)에 일정 중량값 이상의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재된 물건을 차에 실거나 카트가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일측에 모터 전원공급 스위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로드셀 센싱부(30)에서 센싱되는 전기신호값의 크기에 따라 모터로 공급되는 전압크기를 비례하도록 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의 작동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트의 적재부(10)에 물건이 적재되면, 적재부(10)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셀 센싱부(30)에서 적재부(10)의 중량을 센싱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제어부(50)에서는 로드셀 센싱부(30)에서 센싱된 전기신호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모터 구동부(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일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해지시킨다.
적재부(10)에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서 카트가 이동되지 않고 정지상태가 요구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모터 전원공급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에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바퀴(22)의 일측에 이동바퀴(22)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이동바퀴(22)가 회전될 경우에만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카트를 정지시킬 경우에는 다시 사용자가 모터 전원공급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에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트의 적재부(10)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을 센싱하여 일정 중량값 이상이면, 이동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카트를 미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 구동력에 의해 경사진 곳으로 연탄과 같이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로드셀에 의해 감지되는 전기신호값의 크기에 따라 모터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하여, 무거운 물건의 경우 회전속도를 더 빨리하여 카트가 구동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적재부
20 : 이동수단 21 : 프레임
22 : 이동바퀴
30 : 로드셀 센싱부 31 : 로드셀
40 : 모터 구동부
50 : 제어부
60 : 전원공급부
70 : 파지부

Claims (3)

  1.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이동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퀴의 상부에 물건이 적재되는 적재부가 형성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실리는 물건의 중량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 센싱부와;
    상기 이동바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로드셀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값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 센싱부는 상기 적재부의 사방에 4개의 로드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값이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KR1020150007964A 2015-01-16 2015-01-16 지능형 카트 KR20160088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964A KR20160088988A (ko) 2015-01-16 2015-01-16 지능형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964A KR20160088988A (ko) 2015-01-16 2015-01-16 지능형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988A true KR20160088988A (ko) 2016-07-27

Family

ID=5661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964A KR20160088988A (ko) 2015-01-16 2015-01-16 지능형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9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564B1 (ko) * 2022-02-10 2022-11-17 주식회사 지이솔루션 전동식 외발 수레
KR20230011825A (ko) * 2021-07-14 2023-01-25 최재영 스마트 보조구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845A (ko) 2010-06-30 2012-01-05 효성굿스프링스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845A (ko) 2010-06-30 2012-01-05 효성굿스프링스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825A (ko) * 2021-07-14 2023-01-25 최재영 스마트 보조구동 장치
KR102467564B1 (ko) * 2022-02-10 2022-11-17 주식회사 지이솔루션 전동식 외발 수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9617B2 (en) Driven load-bearing system
JP5798878B2 (ja) 搬送台車
KR101939144B1 (ko) 전동식 이동 대차의 안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K3071165T3 (en) Steering wheel mounted on a movable part
JP5860658B2 (ja) 電動アシスト台車
US20150028787A1 (en) Conveyance cart
US20180105407A1 (en) Handle position s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US10618737B2 (en) Conveying device with improved wiring of drive motor and brake of a conveying roll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8983740B2 (en) Driven loadable construc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8545668B (zh) 一种agv叉车三向属具及其工作方法
KR102500301B1 (ko) 연료전지모듈 구동형 물류이송로봇
JP2013086545A (ja) 電動アシスト台車
CN103842238A (zh) 电动辅助台车
JP2012148611A (ja) 電動アシスト台車及び台車の電動アシストユニット
US20180043916A1 (en) Vehicle
US20110276181A1 (en) Programmable electric hand truck
KR20160088988A (ko) 지능형 카트
CN106494257A (zh) 一种自动导航车的驱动悬挂装置及自动导航车
CN108438034A (zh) 搬运台车
KR20120001845U (ko) 힘 감지용 조작 핸들이 장착된 전동식 카트
KR100737818B1 (ko) 무인운반카트
KR20140048674A (ko) 전동 지게차의 모터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797053B1 (ko) 전동식 이동 대차
KR101328094B1 (ko) 전동 손수레
CN207809442U (zh) 一种电动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