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784A - 볼 체인의 제조 방법과 볼 체인의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볼 체인의 제조 방법과 볼 체인의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784A
KR20130105784A KR1020127031140A KR20127031140A KR20130105784A KR 20130105784 A KR20130105784 A KR 20130105784A KR 1020127031140 A KR1020127031140 A KR 1020127031140A KR 20127031140 A KR20127031140 A KR 20127031140A KR 20130105784 A KR20130105784 A KR 2013010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connecting member
ball chain
ball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160B1 (ko
Inventor
에이지 카와이
하지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9Control syste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9/00Rope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driving, or for being driven by, pulleys or other gea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06B2009/3265Emergency release to prevent strangulation or excessive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각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1볼 체인부를 형성하며,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2볼 체인부 또는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며 또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부위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형성하며, 제1볼 체인부와 제2볼 체인부의 서로의 단부 또는 제1볼 체인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서로의 단부를 고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볼 체인의 제조 방법과 볼 체인의 연결 부재{BALL CHAIN MANUFACTURING METHOD, AND BALL CHAIN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횡형 블라인드, 종형 블라인드, 롤 스크린, 방충망, 상하 슬라이드 창문, 어닝, 천창, 건조 장대의 승강 장치 등의 조작 코드로 사용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횡형 블라인드의 일종으로서, 헤드 박스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에 무단형의 볼 체인이 걸려 있고, 상기 볼 체인을 조작하여 풀리를 회전시킴으로써, 헤드 박스내의 슬랫 구동 기구에 전달되어, 슬랫을 승강 조작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이 있다.
볼 체인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 의해 끈 모양으로 형성된 코드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 볼을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고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풀리의 원주면에 형성된 요부에 각 볼을 순차적으로 결합(係合)시켜서 풀리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볼 체인으로서, 다수의 볼을 형성하여 장착된 코드의 양단을 커넥터로 연결하여 무단형으로 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또한, 풀리에 대하여 볼 체인을 1회 이상 주회(周回)시켜 슬랫의 승강 조작을 행하는 횡형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볼 체인의 결합부의 볼 형상 및 볼 간격을 다른 부분의 볼 형상 및 볼 간격과 동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실용신안공고 소 62-45025호 공보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볼 체인은, 블라인드나 어닝 등 각종 장치에 이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둘레 길이도 다양하다. 또한, 블라인드는 창문의 크기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주문 메이드가 많으며, 이러한 주문 메이드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비용과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된 것이며, 각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 위에 다수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볼 체인부를 형성하며,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부위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형성하며, 루프 길이가 원하는 길이로 되게끔 상기 볼 체인부를 절단하여 상기 볼 체인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서로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서는, 볼 체인부를 절단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볼 체인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를 접합시킴으로써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을 형성하기에, 한 종류 또는 몇 종류의 길이를 가지는 볼 체인부를 준비해 두면, 각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이란, 고착(접착(接着), 용착(溶着)), 봉제(縫製), 코킹 등에 의해 2개의 물체를 일체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 부재"란, 서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부재의 조합을 의미한다. "연결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도 좋고, 서로 분리되어도 좋다. "연결 부재의 단부"란, "연결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가 연결되었을 경우에 단부로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각종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 나타내는 각종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시킬 수 있다.
일 례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단부에 반구부(半球部)를 가지며, 상기 볼 체인부는 단부가 반구부로 되게끔 절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구부"란, 볼 체인부에 배치된 볼을 2등분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2등분할 필요는 없으며, 2등분보다도 다소 크거나 작아도 된다.
일 례에서, 상기 볼 체인부는, 코드 위에 다수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볼 체인체를 형성하며, 상기 볼 체인체를 단부가 반구부로 되게 하며 또한 루프 길이가 원하는 길이로 되게끔 절단하여 형성한다.
일 례에서, 상기 볼 체인부는 코드 위에 볼을 아웃 서트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일 례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嵌合部)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1연결 부재와, 제1감합부에 대하여 감합가능한 제2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감합된 상태에서의 제1감합부와 제2감합부의 외형은 제1볼 체인부의 볼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일 례에서, 제1연결 부재는, 충실체의 감합 돌기부(嵌合突部)를 가지는 제1감합부 및 반구부를 코드 위에 아웃 서트 성형 하며, 제1감합부와 상기 반구부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코드를 절단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2연결 부재는, 제2감합부의 전구체 및 반구부를 코드 위에 아웃 서트 성형 하며, 상기 전구체와 상기 반구부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코드를 절단하며, 상기 전구체에 감합공(嵌合孔)을 굴삭 가공하여 제2감합부를 형성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일 례에서, 상기 감합 돌기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감합 돌기부의 기단부보다 직경이 큰 직경 증대부가 설치되며, 상기 감합공의 안쪽부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 례에서, 상기 감합 돌기부는, 상기 감합공에 삽입하여 회동됨으로써 상기 감합공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 례에서, 상기 감합 돌기부를 축 형상으로 하며, 상기 감합공은 상기 감합 돌기부를 삽입 가능한 직경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감합 돌기부를 상기 코드의 축심(軸心) 방향으로 추출 가능하게 하는 개구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홈의 폭이 상기 감합 돌기부의 직경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일 례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연결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 부재의 각각과 감합되는 한쌍의 제2감합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일 례에서, 제1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 및 반구부를 코드 위에 아웃 서트 성형 하며, 제1감합부와 상기 반구부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코드를 절단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2연결 부재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일 례에서, 제1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는 충실체의 감합 돌기부를 가지며, 제2연결 부재는 계지부를 가지는 감합공으로 이루어지는 제2감합부를 양단에 가지는 원통 형상 부재이며, 상기 감합 돌기부의 선단부는 상기 감합 돌기부의 기단부보다 직경이 큰 직경 증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감합공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에 결합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 례에서, 상기 감합공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를 삽입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직경 증대부에 결합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 례에서, 제2연결 부재에 감합되는 한 쌍의 감합 돌기부의 감합 각도가 상대적으로 어긋난다.
일 례에서, 상기 직경 증대부는 상기 감합 돌기부의 외주면의 전체 원주(全周)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일 례에서, 제1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는 감합공을 가지며, 제2연결 부재는 양단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감합공에 감합 가능한 한 쌍의 감합 돌기부와, 상기 한 쌍의 감합 돌기부를 서로 연결하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감합공은 상기 감합 돌기부를 상기 코드의 축심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감합 돌기부를 축 형상으로 하며, 상기 감합공은 상기 감합 돌기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직경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감합 돌기부를 상기 코드의 축심 방향으로 추출 가능하게 하는 개구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홈의 폭이 상기 감합 돌기부의 직경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례에서, 제2연결 부재는 감합 돌기부와 축부를 경도(硬度)가 다른 합성 수지로 일체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볼 체인부를 복수개 형성하며,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며 또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부위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부재의 각각의 일단을 상기 복수개의 볼 체인부 중의 1개에 대하여 고착시키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부재의 각각의 타단(他端)을 상기 복수개의 볼 체인부 중의 다른 것에 대하여 고착시키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소정의 거리로 격리된 복수의 연결 부재를 가지는 볼 체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 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 체인부의 적어도 1개에 대하여, 단부가 반구부로 되며 또한 루프 길이가 원하는 길이로 되게끔 상기 볼 체인부를 절단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 체인이 풀리에 걸려 수하(垂下)되며,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의해 상기 풀리를 회전 구동하는 조작 장치의 볼 체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코드 위에 다수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볼 체인부를 형성하며,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며 또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부위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형성하며, 단부가 반구부로 되며 또한 루프 길이가 원하는 길이로 되게끔 상기 볼 체인부를 절단하며, 상기 볼 체인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서로의 단부를 고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연결 부재와, 양단에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길이가 상기 풀리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이상인 제3연결 부재와, 제1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와 제3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의 각각과 감합되는 한 쌍의 제2감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제2연결 부재에 제3연결 부재의 양단이 연결되며, 제3연결 부재의 길이가 풀리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이상이기에, 한 쌍의 제2연결 부재의 사이가 풀리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이상 격리된다. 제2연결 부재의 각각에는 제1연결 부재가 연결되며, 제1연결 부재가 볼 체인부에 고착되어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이 형성된다. 볼 체인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 제2연결 부재에서 볼 체인이 분리된다. 한 쌍의 제2연결 부재가 서로 충분히 격리되어 있기에, 제2연결 부재의 양쪽이 풀리에 결합하는 상태로는 되지 않으며, 볼 체인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볼 체인은 확실하게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1연결 부재와, 제1감합부에 대하여 감합 가능한 제2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나,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한쌍의 제1연결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 부재의 각각과 감합되는 한쌍의 제2감합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를 이용하면 본 발명의 볼 체인의 제조 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각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1은, 제1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제1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제1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제1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는, 제1실시 형태의 제2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제1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제1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의 제조 공정의 전체상(全體像)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8은, 제1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부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9는, 제1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10은, 제1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부와 연결 부재를 접합하여 볼 체인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11은, 제1실시 형태에서의 스텝SA1의 볼 체인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2는, 제1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중이 제1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3은, 제1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중의 제2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4는, 제1실시 형태에서의 제1연결 부재와 제2연결 부재의 연결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는, 제1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부를 절단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6은, 제1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부를 절단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7은, 제2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8은, 제2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9는, 제2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0은, 제2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21은, 도19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22는, 제2실시 형태의 제2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3은, 제2실시 형태의 제2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4는, 도2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25는, 제2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6은, 제3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7은, 제3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8은, 제3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9는, 제3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0은, 제3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1은, 제3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2는, 도29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33은, 제3실시 형태의 제2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4는, 제3실시 형태의 제2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35는, 도33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36은, 도33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37은, 도35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이다.
도38은, 제3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9는, 제3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40는, 제3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중의 제1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41은, 제3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중의 제1연결 부재의 다른 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42는, 제4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3은, 제5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4는, 제5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5는, 제5실시 형태의 제2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6은, 제5실시 형태의 제2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7은, 제5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8은, 제5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9는, 도47에 있어서의 G-G선 단면도이다.
도50은, 도47에 있어서의 H-H선 단면도이다.
도51은, 제5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2는, 제5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53은, 제5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중의 제1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54는, 제6실시 형태의 볼 체인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5는, 제6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6은, 제7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7은, 제7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58은, 제7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부와 연결 부재를 접합하여 볼 체인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59는, 제7실시 형태에서의 제1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60은, 제7실시 형태에서의 메인 코드를 절단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1은, 제7실시 형태에서의 메인 코드를 절단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2는, 제8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3은, 제8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4는, 제8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5는, 제8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의 조작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6은, 제8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67은, 제8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68은, 제9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9는, 제9실시 형태의 볼 체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0은, 제9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의 조작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1은, 제9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72는, 제9실시 형태에서의 연결 부재중의 제3연결 부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제1실시 형태)
아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횡형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1)에 매달려 지지되는 래더 테이프(2)에 다수단(多藪段)의 슬랫(3)이 지지되며, 상기 래더 테이프(2)의 하단에는 하부 레일(4)이 부착 되어 있다.
상기 슬랫(3)에는 상기 래더 테이프(2)의 지지 위치 근방에서 승강 코드(5)가 삽입되며, 이 승강 코드(5)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레일(4)이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 코드(5)의 상단은 상기 헤드 박스(1)안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축(7)에 권취되어 있다.
상기 헤드 박스(1)의 일단에는 풀리(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풀리(12)에는 무단형의 볼 체인(9)이 걸려 있다. 또한, 볼 체인(9)을 조작하여 풀리(12)를 정역방향(正逆方向)으로 회전시키면 기어 박스(10)및 승강축(12a) 등을 통하여 상기 권취축(7)이 회전되며, 승강 코드(5)가 권취축(7)에 권취 혹은 권취 해제되어 슬랫(3) 및 하부 레일(4)이 승강된다.
또한, 풀리(12)를 회전시키면 기어 박스(10), 틸트 유닛(11), 틸트축(12b) 등을 통하여 틸트 드럼(13)이 회동되며, 상기 래더 테이프(2)를 통하여 각 슬랫(3)이 회동 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볼 체인(9)의 구체적 구성을 도2~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체인(9)에는 폴리에스테르의 코드(14)위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합성 수지 볼(15)이 형성되어 있다. 각 볼(15)은 코드(14)의 표면위에 성형기(成形機)에 의해 장구(長球) 형상의 충실체로 성형된 것이며, 각 볼(15)이 코드(14)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기 코드(14)의 양단부가 연결 부재(16)에 의해 연결되어 무단형의 볼 체인(9)을 구성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6)는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17)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드(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19)의 일단에는 상기 볼(15)의 절반보다 조금 큰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 (반부)(20)가 아웃 서트 성형되며, 타단에는 제1감합부(21)가 그 선단까지 충실체로 되게끔 아웃 서트 성형 되어 있다. 반구부(20)와 제1감합부(21)의 간격은 상기 볼(15)의 간격과 동일하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합부(21)는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상기 연결 코드(19)가 매립되게끔 충실체로 아웃 서트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감합부(21)와 연결 코드(19)의 접합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다. 도4는 상기 연결 코드(19)가 제1감합부(21)의 선단 근방까지 매립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런 경우에는 감합 돌기부(22)의 압축 방향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상기 반구부(20) 및 제1감합부(21)는 상기 볼(1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상기 연결 코드(19)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감합부(21)의 기단부는 상기 볼(15)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감합부(21)의 선단부에는 둥근축(丸軸) 형상의 감합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22)는 선단부에 프렌지 형상의 직경 증대부(22a)가 형성되며, 그 직경 증대부(22a)의 외형은 반구 형상의 기단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또한, 직경 증대부(22a)의 선단측 모서리부에는 면취부(22b)가 형성되어 직경 증대부(22a)를 감합공(26)에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감합부(21)는 상기 연결 코드(19)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구부(20)와 동일하게 형성된 후, 감합 돌기부(22)를 절삭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제2연결 부재(18)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드(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23)의 일단에는 상기 볼(15)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24)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2감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반구부(24)와 제2감합부(25)의 간격은 상기 볼(15)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반구부(24) 및 제2감합부(25)는 상기 볼(1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상기 연결 코드(23)의 양단부에 아웃 서트 성형된다. 상기 제2감합부(25)의 기단부는 상기 볼(15)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감합부(25)의 선단부에는 감합공(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공(26)의 안쪽부의 직경이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합 돌기부(22)의 직경 증대부(22a)를 탄성적으로 감합시키며, 또한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감합공(26)의 깊이는 제2감합부(25)의 길이의 절반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감합 돌기부(22)는 감합공(26)의 깊이와 같은 길이로 돌출 되어 있다.
감합 돌기부(22)를 유지하는 감합공(26)의 유지력은, 통상의 슬랫 승강 조작 및 슬랫 각도 조절 조작시에 볼 체인(9)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으로는 감합 돌기부(22)와 감합공(26)의 감합이 이탈되지 못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에 한하여,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 돌기부(22)와 감합공(26)의 감합이 이탈되게 되어 있다.
상기 감합공(26)은 상기 연결 코드(23)의 타단에 반구부(24)와 동일한 반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반구부의 선단 중앙부를 절삭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감합 돌기부(22)를 감합공(26)에 감합시킨 상태에서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감합부의 외형이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게 형성된다.
상기 감합공(26)의 깊이는, 상기 제2감합부(25)의 길이의 절반보다 얕게 형성되며, 상기 제2감합부(25)의 기단부는 충실체이다. 따라서, 제2감합부(25) 안에 매립되는 연결 코드(23)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17,18)의 반구부(20,24)는 상기 코드(14)의 양단에 형성된 반구부(15a)에 고착되어,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의 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합 돌기부(22)를 감합공(26)에 감합하면 무단형의 볼 체인(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9)에서는 상기 볼 체인(9)의 코드(14)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연결 코드(19,23)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은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周回)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볼 체인(9)의 코드(14) 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연결 코드(19,23)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을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周回)시켜 슬랫의 승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2)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연결 부재(16)의 감합 돌기부(22)와 감합공(26)의 감합이 이탈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의 무단연(無端緣)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렸을 때, 볼 체인(9)을 절단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또한 볼 체인(9)이 걸려 있는 풀리(12)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페일세이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3) 연결 부재(16)의 감합 돌기부(22)와 감합공(26)의 감합이 이탈된 후에, 감합 돌기부(22)를 감합공(26)에 다시 감합시키면, 무단형의 볼 체인(9)으로서 용이하게 재생될 수 있다.
4) 반구 형상의 제1감합부(21)에 형성된 둥근축 형상의 감합 돌기부(22)를 그 선단까지 충실체로 하여, 반구 형상의 제2감합부(25)에 삽입된 감합공(26)에 감합되는 구성으로 하였기에, 감합 돌기부(22)가 감합공(26)에 유지되는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5) 직경 증대부(22a)의 선단부에 설치된 면취부(22b)에 의해, 직경 증대부(22a)를 감합공(26)에 용이하게 감합시키는 동시에, 감합공(26)에 직경 증대부(22a)가 감합될 때의 감합공(26)의 개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6) 제2감합부(25)안에 매립된 연결 코드(23)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2감합부(25)와 연결 코드(23)의 접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7)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합부(21)는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상기 연결 코드(19)가 매립되게끔 충실체로 아웃 서트 성형되어 있기에, 제1감합부(21)와 연결 코드(19)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8) 제2감합부(25)와 연결 코드(23)의 접합 거리는, 제2감합부(25)의 길이의 절반 이상을 확보할 수 있기에, 연결 코드(23)에 아웃 서트 성형되는 제2감합부(25)와 연결 코드(23)의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볼 체인(9)의 제조 방법)
다음에, 도7~도16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볼 체인(9)의 제조 공정의 전체상(全體像)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8은 볼 체인부(9a)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9는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10은 볼 체인부(9a)와 연결 부재(16)를 연결하여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11(a)~도11(b)는 스텝SA1의 볼 체인부(9a)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2(a)~도12(c)는 연결 부재(16)내의 제1연결 부재(17)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3(a)~도13(e)는 연결 부재(16)내의 제2연결 부재(18)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4는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의 연결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a)~도15(b)는 볼 체인부(9a)를 절단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6a~도16b는 볼 체인부(9a)를 절단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볼 체인부(9a)의 제조
스텝SA1에서는, 볼 체인부(9a)를 제조한다. 스텝SA1은 구체적으로 도8에 나타내는 스텝SB1~SB2로 구성된다. 스텝SB1에서는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 섬유를 편입하여 코드(14)를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B2에서는,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4)위에 다수의 볼(15)을 동일한 간격으로 아웃 서트 성형하여, 볼 체인부(9a)의 제조를 완료한다.
2) 연결 부재(16)의 제조
스텝SA2에서는 연결 부재(16)를 제조한다. 스텝SA2는 구체적으로 도9에 나타내는 스텝SC1~SC8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16)는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로 구성되며, 스텝SC1~SC3은 제1연결 부재(17)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C4~SC7은 제2연결 부재(18)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C8은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의 연결 공정에 관한 것이다.
(2-1) 제1연결 부재(17)의 제조
스텝SC1에서는 도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 섬유를 편입하여 코드(19)를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C2에서는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9)위에 반구부(20)와 제1감합부(21)를 아웃 서트 성형한다. 제1감합부(21)는 충실체인 감합 돌기부(22)를 가진다. 다음에, 스텝SC3에서 반구부(20)의 단부와 제1감합부(21)의 단부(도12(b)의 화살표B의 위치)에서 코드(19)를 절단하여 도12(c)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게 되고, 제1연결 부재(17)의 제조가 완료된다.
(2-2) 제2연결 부재(18)의 제조
스텝SC4에서는, 도1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 섬유를 편입하여 코드(23)를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C5에서는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23)위에 반구부(24)와 제2감합부(25)의 전구체(25a)를 아웃 서트 성형한다. 다음에, 스텝SC6에서는 반구부(24)의 단부와 전구체(25a)의 단부(도13(b)의 화살표B의 위치)에서 코드(23)를 절단하여, 도13(c)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는다. 다음에, 스텝SC7에서는 도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체(25a)에 대하여 감합공(26)을 굴삭하는 굴삭 공정을 행하여 도13(e)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게 되고, 제2연결 부재(18)의 제조가 완료된다.
(2-3)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의 연결
스텝SC8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1연결 부재(17)의 감합 돌기부(22)와 제2연결 부재(18)의 감합공(26)을 탄성적으로 감합시켜 연결 부재(16)를 얻게 되고, 연결 부재(16)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방법에 의하면, 코드 위에 다수의 반구부와 감합 물체를 아웃 서트 성형한 후에, 적당한 위치에서 코드를 절단함으로써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제조하기에,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연결시켜 연결 부재(16)를 형성하고 있지만,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는 반드시 연결시킬 필요는 없다. 즉,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연결하는 공정(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C8)은 생략할 수 있다.
(3) 볼 체인(9)의 제조
스텝SA3에서는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을 제조한다.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있으면 루프 형상의 볼 체인부(9)이 제조되는 것이고,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이 제조되는 것이다.
스텝SA3은 구체적으로 도10에 나타내는 스텝SD1~SD2로 구성된다. 스텝SD1에서는, 볼 체인(9)의 루프 길이가 소망의 길이로 되게 볼 체인부(9a)를 절단한다. 일 례에서는, 도15 (a)의 점선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군데에서 볼 체인부(9a)를 절단하여 도15(b)에 나타내는 구조체를 얻는다. 볼 체인부(9a)는 그 양단이 반구부(15a)로 되게 절단한다. 다른 예에서는 도16 (a)와 같이, 아웃 서트 성형 시에 볼 체인부(9a)의 일단을 반구부(15a)로 하며, 스텝SD1에서는, 도16 (a)의 점선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곳에서 볼 체인부(9a)를 절단하여 도16(b)에 나타내는 구조체를 얻어도 좋다.
스텝SD2에서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 체인부(9a)의 한 쌍의 반구부(15a)와, 연결 부재(16)의 한 쌍의 반구부(20,24)를 고착시키는 것에 의해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을 얻음으로써, 볼 체인(9)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방법에 의하면, 볼 체인부(9a)를 절단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볼 체인부(9a)와, 연결 부재(16)를 고착시키는 것에 의해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을 제조하기에, 한 종류 또는 몇 종류의 길이를 가지는 볼 체인부를 준비해 두면, 각 종 둘레 길이를 가지는 볼 체인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방법에 의하면, 각 종 둘레 길이의 볼 체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의 단부에 있는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연결시켜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좋다. 또한, 반구부와 반구부는, 고착(용착(溶着), 접착(接着))외의 방법(코킹, 봉제 등)에 의해 일체화 시켜도 좋다.
(제2실시 형태)
도17~도25는 볼 체인(9)의 제2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 체인(9)은 폴리에스테르의 코드(14)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합성 수지 볼(15)이 형성되어 있다. 각 볼(15)은 코드(14)의 표면위에 성형기에 의해 장구 형상의 충실체를 형성한 것이며, 각 볼(15)이 코드(14)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기 코드(14)의 양단부가 연결 부재(16)에 의해 연결되어 무단형의 볼 체인(9)을 구성한다.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는 제1연결 부재(27)와 제2연결 부재(28)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 부재(27)는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드(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19)의 일단에 상기 볼(15)의 절반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20)를 형성되며, 타단에 제1감합부(29)를 형성한다. 반구부(20)와 제1감합부(29)의 간격은 상기 볼(15)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반구부(20) 및 제1감합부(29)는 상기 볼(15)과 동일한 합성 수지에 의해 상기 연결 코드(19)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감합부(29)의 기단부는 상기 볼(15)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감합부(29)의 선단부에는 둥근축의 양측부를 평행으로 절제한 단면이 쌀가마니 형상(斷面俵形)인 감합 돌기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30)의 선단부에는, 도20 및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쌀가마니 형상인 장축 방향으로 직경이 증대된 직경 증대부(31)가 형성되며, 그 직경 증대부(31)의 장축 방향의 양측부의 외주면에는 요조(32)가 제1감합부(29)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경 증대부(31)의 선단 모서리부에는 면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 부재(28)는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드(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23)의 일단에 상기 볼(15)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24)를 형성하며, 타단에 제2감합부(34)를 형성한다. 반구부(24)와 제2감합부(34)는 상기 볼(15)과 동일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반구부(24)와 제2감합부(34)의 간격은 상기 볼(15)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반구부(24) 및 제2감합부(34)는 상기 볼(15)과 동일한 재질로 상기 연결 코드(23)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감합부(34)의 기단부는 상기 볼(15)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감합부(34)의 선단면의 중앙부에는 감합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공(35)은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감합 돌기부(30)의 직경 증대부(31)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쌀가마니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감합공(35)의 안쪽부는 도22 및 도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감합공(35)내에서 상기 감합 돌기부(30)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직경을 가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합공(35)의 개구부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31)에 결합되는 계지부(37)가 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부(37)의 개구 연부는 상기 감합 돌기부(30)의 기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공(35)의 안쪽부 내주면의 한측에는 상기 요조(32)와 결합 가능한 돌조(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조(36)는 상기 감합공(35)의 개구부의 장축(L1)에 직교하는 단축(L2)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감합부(29)와 제2감합부(34)를 연결하기 위하여 감합 돌기부(30)의 직경 증대부(31)를 감합공(35)에 삽입하며, 이 상태에서 제1감합부(29)를 임의의 한쪽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킨다. 그러면, 직경 증대부(31)의 요조(32)가 감합공(35)내의 돌조(36)에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며,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증대부(31)가 계지부(37)에 결합하여 감합공(35)내에 유지된다.
이 유지력은 통상의 슬랫 승강 조작 및 슬랫 각도 조절 조작시에 볼 체인(9)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으로는 감합 돌기부(30)와 감합공(35)의 감합이 이탈되지 않게끔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한하여,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공(35)의 개구부를 넓게 하여 직경 증대부(31)가 감합공(35)으로부터 당겨 뽑혀져, 감합 돌기부(30)와 감합공(35)의 감합이 이탈되게 되어 있다.
또한, 감합 돌기부(30)를 감합공(35)에 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감합부(29,34)의 외형이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27,28)의 반구부(20,24)는, 상기 코드(14)의 양단에 형성된 반구부(15a)에 고착되어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합 돌기부(30)를 감합공(35)에 감합시키면 무단형의 볼 체인(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9)에서는 상기 볼 체인(9)의 코드(14)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연결 코드(19,23)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은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周回)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볼 체인(9)의 코드(14)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연결 코드(19,23)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을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周回)시켜서 슬랫의 승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2)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연결 부재(16)의 감합 돌기부(30)와 감합공(35)의 감합이 이탈된다. 따라서, 볼 체인의 무단연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외의 이동 물체에 걸렸을 때, 볼 체인(9)을 연결 부재(16)에서 절단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또한 볼 체인(9)이 걸린 풀리(12)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3) 연결 부재(16)의 감합 돌기부(30)와 감합공(35)의 감합이 이탈된 후에는, 감합 돌기부(30)를 감합공(35)에 다시 감합시켜면 무단형의 볼 체인(9)으로서 용이하게 재생될 수 있다.
4) 감합 돌기부(30)의 직경 증대부(31)를 감합공(35)에 삽입하여 90도 회동 시키는 것으로써, 감합 돌기부(30)가 감합공(35)에 감합되는 구성으로 형성되었기에, 감합 돌기부(30)를 감합공(35)에 감합시키기 위한 조작력을 제1실시 형태에 비하여 경미하게 하면서, 감합 돌기부(30)가 감합공(35)에 유지되는 유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1감합부(29)및 제2감합부(34)를 합성 수지보다도 강성이 큰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페일세이프 기능은 얻을 수 없지만, 볼 체인(9)에 강한 힘이 가해져도 비루프화되지 않기에, 갑자기 비루프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볼 체인(9)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9)은 제1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9)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도9에 나타내는 스텝SC8에 있어서, 제1실시 형태에서는 제1연결 부재(17)의 감합 돌기부(22)와 제2연결 부재(18)의 감합공(26)을 탄성적으로 감합시키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 돌기부(30)를 감합공(35)에 삽입하여 회동 시키는 것으로써 감합 돌기부(30)를 감합공(35)에 감합시킬 수 있기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연결 부재(27)와 제2연결 부재(28)의 연결은 제1실시 형태보다 용이하다.
(제3실시 형태)
도26~도41은 볼 체인(9)의 제3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 체인(9)은 폴리에스테르의 코드(14)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합성 수지 볼(15)을 형성한다. 각 볼(15)은 코드(14)의 표면위에 성형기에 의해 장구 형상의 충실체를 형성한 것이며, 각 볼(15)이 코드(14)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기 코드(14)의 양단부가 연결 부재(16)에 의해 연결되어 무단형의 볼 체인(9)이 구성된다.
도27 및 도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는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 2개의 제1연결 부재(41)를 원통 형상인 제2연결 부재(42)에 의해 연결한 구성이다.
상기 제1연결 부재(41)는 도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드(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19)의 일단에 상기 볼(15)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 반구부(20)를 형성하며, 타단에 제1감합부(43)를 형성한다. 상기 반구부(20)와 제1감합부(43)의 사이에는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볼(44)이 고착되며, 상기 제1감합부(43)와 볼(44)의 간격 및 볼(44)과 반구부(20)의 간격은 상기 볼(15)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반구부(20)및 제1감합부(43)는 상기 볼(15,44)과 동일하게 형성된 합성 수지에 의해 상기 연결 코드(19)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감합부(43)의 기단부는 상기 볼(15)의 단부와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감합부(43)의 선단부에는 둥근축 형상의 감합 돌기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45)의 선단부의 외주면 위에는 도28~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둥근축의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직경 증대부(46)가 형성되며, 그 직경 증대부(46)의 중간에는 단면이 반원 형상인 계지 요부(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경 증대부(46)의 선단측 및 기단측에는 면취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돌기부(45)의 기단부에는 도28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둥근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동 규제부(48)가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회동 규제부(48)는 상기 둥근축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계지 요부(47)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45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 부재(42)는 상기 제1감합부(43) 및 볼(15,44)과 동일하게 형성된 합성 수지에 의해 원통 형상에 형성되며, 도33및 도34에 나나내는 바와 같이 양측의 개구부(49a,49b)는 상기 감합 돌기부(45)의 직경 증대부(46)를 포함하는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한 쌀가마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49a,49b)는 상기 쌀가마니 형상의 방향이 원통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90도 회전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 부재(42)의 내부에는 상기 감합 돌기부(45)의 선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직경을 구비한 원형 구멍(감합공) (50)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49a)의 쌀가마니 형상의 단축 방향의 개구 연부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46)의 원형 구멍(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51a,51b)가 각각 형성되며, 개구부(49b)의 쌀가마니 형상의 단축 방향의 개구 연부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46)의 원형 구멍(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51c,51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35및 도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계지부(51a~51d)와 상기 원형 구멍(50)의 경계부에는 면취부(5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합 돌기부(45)가 원형 구멍(50)으로부터 당겨 뽑혀질 때, 상기 면취부(53,54)의 작용에 의해 상기 계지부(51a~51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지부(51a,51c)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원형 구멍(50)의 내주면에는 상기 계지 요부(47)에 결합되는 계지 돌출부(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감합부(43)의 감합 돌기부(45)를 제2연결 부재(42)의 개구부(49a)에 삽입하며, 제1감합부(43)를 제2연결 부재(4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킨다. 그러면, 감합 돌기부(45)의 계지 요부(47)가 원형 구멍(50)내의 계지 돌출부(52)에 결합되며, 회동 규제부(48)가 개구부(49a)의 쌀가마니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옆의 모서리부까지 이동되어 도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2연결 부재(42)의 다른쪽의 개구부(49b)에도 동일하게 제1연결 부재(41)를 삽입하여 90도 회동 시켜서 위치 결정한다. 그러면, 도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연결 부재(42)를 통하여 제1연결 부재(41)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각 제1연결 부재의 감합 돌기부(45)의 직경 증대부(46)가 제2연결 부재(42)의 계지부(51a~51d)에 결합하여, 제2연결 부재(42)의 원형 구멍(50)안에 유지된다.
이 유지력은 통상의 슬랫 승강 조작 및 슬랫 각도 조절 조작시에 볼 체인(9)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으로는, 감합 돌기부(45)가 제2연결 부재(42)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한하여, 제2연결 부재(42)의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 돌기부(45)의 직경 증대부(46)에 의해 제2연결 부재(42)의 개구부(49a,49b)를 펴 넓힐 수 있어, 감합 돌기부(45)가 제2연결 부재(42)로부터 이탈될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연결 부재(42)의 양측에 제1감합부(43)를 감합시킨 상태에서의 외형 형상은,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41)의 반구부(20)는 상기 코드(14)의 양단에 형성된 반구부(15a)에 고착되어,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의 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로 연결하면, 무단형의 볼 체인(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9)에서는 상기 볼 체인(9)의 코드(14)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연결 코드(19)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은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周回)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볼 체인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볼 체인(9)의 코드(14)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연결 코드(19)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을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고 주회(周回)시켜서, 슬랫의 승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2)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 부재(16)의 제1연결 부재(41)의 임의의 하나와 제2연결 부재(42)의 감합이 이탈된다. 따라서, 볼 체인의 무단연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렸을 때, 볼 체인(9)을 연결 부재(16)에서 분리시켜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또한 볼 체인(9)이 걸려있는 풀리(12)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3) 연결 부재(16)의 감합이 이탈된 후에는,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다시 감합시키면, 무단형의 볼 체인(9)으로서 용이하게 재생될 수 있다.
4) 감합 돌기부(45)를 제2연결 부재(42)의 개구부(49a,49b)에 삽입하여 90도 회동 시키는 것으로써, 감합 돌기부(45)를 제2연결 부재(42)에 감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감합 돌기부(45)를 제2연결 부재(42)에 감합시키기 위한 조작력은, 제1실시 형태에 비하여 경미하면서, 감합 돌기부(45)가 제2연결 부재(42)에 유지되는 유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5) 제2연결 부재(42)에 의해 연결되는 제1연결 부재(41)는 상기 감합 돌기부(45)가 서로 90도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감합 돌기부(45)에 인장력이 작용되었 때, 각 감합 돌기부(45)의 직경 증대부(46)가 제2연결 부재(42)의 개구부(49a,49b)를 서로 90도 떨어진 방향으로 펴 넓히게 동작하기 때문에 유지력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6) 면취부(53)에 의해 상기 감합 돌기부(45)를 원형 구멍(50)으로부터 당겨 뽑을 때, 상기 계지부(51a~51d)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아래의 상태에서 실시해도 좋다.
*제1감합부(43) 및 제2연결 부재(42)를 합성 수지보다도 강성이 큰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페일세이프 기능은 얻을 수 없지만 볼 체인(9)에 강한 힘이 가해져도 비루프화되지 않기에, 갑자기 비루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제3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구부(15a)와 반구부(20,24)의 접합면을, 반구부(15a)와 반구부(20,24)의 축심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합면의 면적을 증대해도 좋다.
*제3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연결 부재(42)내의 면취부(53)대신에 단면 직각 형상의 단차로 해도 좋다.
(볼 체인(9)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은 기본적으로 제1실시 형태의 볼 체인(9)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도7의 스텝SA2의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은, 아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A2는 구체적으로 도39에 나타내는 스텝SE1~SE5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16)는 한 쌍의 제1연결 부재(41)와, 1개의 제2연결 부재(42)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텝SE1~SE3은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E4는 제2연결 부재(42)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E5는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의 연결 공정에 관련된다.
2-1)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
스텝SE1에서는, 도40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를 편입하여 코드(19)를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E2에서 도4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19)위에 반구부(20), 볼(44), 제1감합부(43)를 아웃 서트 성형 한다. 제1감합부(43)는 충실체의 감합 돌기부(45)을 가진다. 다음에, 스텝SE3에서는, 반구부(20)의 단부와 제1감합부(43)의 단부(도40(b)의 화살표B의 위치)에서 코드(19)를 절단하여 도40(c)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음으로서,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가 완료된다. 볼(44)에는,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金型)을 식별하기 위한 마크 ("캐비"로 칭함)를 첨부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제1연결 부재(41)의 품질 등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제1연결 부재(41)가 어떤 금형에 의해 제조되였는지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볼(44)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연결 부재(41)는 도41(a)~(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조된다.
2-2) 제2연결 부재(42)의 제조
스텝SE4에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도28 및 도33~도37에 나타내는 제2연결 부재(42)를 제조한다. 제2연결 부재(42)는 한 쌍의 개구부(49a,49b)를 가지는 원통 형상 부재이며, 계지부(51a~51d)를 가지는 감합공(50)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2감합부를 가진다.
2-3)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의 연결
스텝SE5에서는,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도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며, 한쪽의 제1연결 부재(41)의 감합 돌기부(45)를 제2연결 부재(42)의 개구부(49a)에 삽입하여 회동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에, 다른쪽의 제1연결 부재(41)의 감합 돌기부(45)를 제2연결 부재(42)의 개구부(49b)에 삽입하여 회동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이로 인하여, 도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연결 부재(41)와 1개의 제2연결 부재(42)가 서로 고정된 구조를 얻어, 연결 부재(16)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여기에서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연결시켜서 연결 부재(16)를 형성하지만,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반드시 연결시킬 필요는 없다. 즉,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연결시키는 공정(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E5)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 부재(16)를 볼 체인부(9a)에 고착시킨 후,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의 양단부에 있는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에 의해 연결시켜 루프 형상의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좋다.
(제4실시 형태)
도42는 볼 체인(9)의 제4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의 구성 및 제조 방법은 제3실시 형태와 유사하지만, 제1연결 부재(41)의 감합 돌기부(45)의 외주면의 전체 원주에 걸쳐서 직경 증대부(46)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3실시 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41)는 제1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17)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1연결 부재(41)의 감합 돌기부(45)와 제2연결 부재(42)의 감합공(50)을 탄성적으로 감합시킴으로써,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5실시 형태)
도43~도53은 볼 체인(9)의 제5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 체인(9)은 폴리에스테르의 코드(14)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합성 수지 볼(15)을 형성한다. 각 볼(15)은 코드(14)의 표면위에 성형기에 의해 장구 형상의 충실체를 형성한 것이며, 각 볼(15)은 코드(14)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기 코드(14)의 양단부가 연결 부재(16)에 의해 연결되어 무단형의 볼 체인(9)이 구성된다.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6)는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 2개의 제1연결 부재(17)를 제2연결 부재(18)에 의해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17)는 상기 코드(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 코드(19)의 일단에 상기 볼(15)의 절반 형상인 반구부(20)를 아웃 서트 성형하며, 타단에 제1감합부(21)를 형성한다. 상기 제1감합부(21)와 반구부(20)의 간격은 상기 볼(15)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제1감합부(21)는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볼에 감합 요부(72)를 설치하며, 상기 제2연결 부재(18)는 상기 감합 요부(72)에 감합될 수 있는 감합 돌기부(73)를 축부(74)의 양단에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 부재(18)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도45 및 도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축부(74)의 양단에는 둥근축 형상의 감합 돌기부(73)가 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둥근축의 중심축과 상기 축부(74)의 중심축은 직교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 요부(72)에는 도47~도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코드(19)의 중심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감합공(75)이 형성되며, 상기 감합공(75)은 상기 감합 돌기부(73)를 용이하게 끼워 넣을수 있게 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합공(75)은, 그 감합공(75)의 직경보다 좁은 홈 폭의 개구홈(76)으로 상기 연결 코드(19)의 반대측을 향하여 개구되며, 상기 개구홈(76)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18)의 축부(74)를 삽입 가능하게 한 삽입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연결 부재(17,18)는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연결 부재(17)의 감합공(75)에 대하여, 제2연결 부재(18)의 감합 돌기부(73)를 연결 코드(19)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할 경우 제1연결 부재(17)가 제2연결 부재(18)에 의해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둥근축 형상의 감합 돌기부(73)가 감합공(75)에 유지되며, 그 유지력은 통상의 슬랫 승강 조작 및 슬랫 각도 조절 조작시에 볼 체인(9)에 작용하는 통상의 인장력으로서는, 감합 돌기부(73)가 감합공(75)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한하여, 제1연결 부재(17)의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해, 감합 돌기부(73)로 개구홈(76)을 펴 넓힐 수 있기에 감합 돌기부(73)가 감합공(7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1감합부(21)에 감합 돌기부(73)를 감합시킨 상태에서의 외형 형상은, 상기 볼(15)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17)의 반구부(20)가 상기 코드(14)의 양단에 아웃 서트 성형 된 반구부(15a)에 고착되어, 상기 볼(1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 부재(17)를 제2연결 부재(18)로 연결할 경우, 무단형의 볼 체인(9)이 형성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볼 체인(9)의 코드(14)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연결 코드(19) 및 축부(24)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을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周回)시킴으로서 슬랫의 승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2)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 부재(16)의 감합 돌기부(73)와 감합공(75)의 감합이 이탈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의 무단연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렸을 때, 볼 체인(9)을 절단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또한 볼 체인(9)이 걸려있는 풀리(12)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페일세이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3) 연결 부재(16)의 감합 돌기부(73)와 감합공(75)의 감합이 이탈된 후에 감합 돌기부(73)를 감합공(75)에 다시 감합시키면, 무단형의 볼 체인(9)으로서 용이하게 재생될 수 있다.
4) 감합 돌기부(73)를 제1연결 부재(17)의 감합 요부(72)에 대하여 연결 코드(19)의 연장 방향으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하여 감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에, 감합 돌기부(73)를 제1연결 부재(17)에 경미한 조작력으로 감합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감합 돌기부(73)가 제1연결 부재(17)에 유지되는 유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5) 감합 돌기부(73)를 감합공(75)에 감합시킬 경우에, 공구 등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볼 체인(9)의 조립 작업 및 감합 돌기부(73)를 감합공(75)에 다시 감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아래의 형태에서 실시해도 좋다.
*제1감합부(21) 및 제2연결 부재(18)를 합성 수지보다도 강성이 큰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페일세이프 기능은 얻을 수 없지만, 볼 체인(9)에 강한 힘이 가해져도 비루프화되지 않기에, 갑자기 비루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연결 부재(18)는 상기 코드(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코드의 양단에 감합 돌기부(23)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감합 돌기부(23)는 둥근축 외에, 단면 다각 형상의 축으로 해도 좋다.
*반구부(15a)와 반구부(20)의 접합면을 반구부(15a)와 반구부(20)의 축심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합면의 면적을 증대시켜도 좋다.
*상기 연결 부재(16)를, 횡형 블라인드의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게 하여 하부 레일에 접속되는 승강 코드 또는 조작 코드의 중간부에 설치하여, 페일세이프 기능을 갖게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제1실시 형태의 제1연결 부재(17)의 연결 코드(19)를 승강 코드 또는 조작 코드의 단부에 봉착(縫着)하며, 제1연결 부재(17)를 제2연결 부재(18)로 연결한다. 또는, 제2실시 형태의 코드(14)를 승강 코드 또는 조작 코드의 단부에 봉착하며, 제1감합부(21)에 감합 돌기부(23)를 감합시킨다.
(볼 체인(9)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은 기본적으로 제1실시 형태에서의 볼 체인(9)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도7의 스텝SA2의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은 아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A2는 구체적으로 도52에 나타내는 스텝SF1~SF6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16)는 한 쌍의 제1연결 부재(17)와 1개의 제2연결 부재(18)로 구성되며, 스텝SF1~SF4는 제1연결 부재(17)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F5는 제2연결 부재(18)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F6은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의 연결 공정에 관한 것이다.
2-1) 제1연결 부재(17)의 제조
스텝SF1에서는 도53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를 편입하여 코드(19)를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F2에서는 도5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19)위에 반구부(20)와, 제1감합부(21)의 전구체(21a)를 아웃 서트 성형한다. 다음에, 스텝SF3에서는 반구부(20)의 단부와 제1감합부(21)의 전구체(21a)의 단부(도53(b)의 화살표B의 위치)에서 코드(19)를 절단하여, 도53(c)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는다. 다음에, 스텝SF4에서는 도5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구체(25a)에 대하여 감합 요부(72)를 굴삭하는 굴삭 가공으로 제1감합부(21)를 형성하여, 도53(e)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음으로써, 제1연결 부재(17)의 제조가 완료된다.
2-2) 제2연결 부재(18)의 제조
스텝SF5에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도44~도46에 나타내는 제2연결 부재(18)를 제조한다. 제2연결 부재(18)는 축부(74)와 그 양단에 설치된 감합 돌기부(73)를 가진다. 한편, 감합 돌기부(23)와 축부(24)는 경도가 다른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감합 돌기부(23)를 경질(硬質)인 합성 수지로 하며, 축부(24)를 연질(軟質)인 합성 수지로 한다.
2-3)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의 연결
스텝SF6은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며, 제2연결 부재(18)의 한쪽의 감합 돌기부(73)를 한쪽의 제1연결 부재(17)의 감합 요부(72)에 삽입하여, 상기 제1연결 부재(17)를 제2연결 부재(18)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에, 제2연결 부재(18)의 다른쪽의 감합 돌기부(73)를 다른 한쪽의 제1연결 부재(17)의 감합 요부(72)에 삽입하여, 상기 제1연결 부재(17)를 제2연결 부재(18)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이로 인하여, 도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연결 부재(17)와 1개의 제2연결 부재(18)가 서로 고정된 구조를 얻음으로써, 연결 부재(16)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여기에서는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연결시켜서 연결 부재(16)를 형성하지만,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반드시 연결시킬 필요는 없다. 즉,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연결시키는 공정(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F6)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 부재(16)를 볼 체인부(9a)에 고착시킨 후 루프화가능한 볼 체인(9)의 양단부에 있는 제1연결 부재(17)를 제2연결 부재(18)에 의하여 연결시켜 루프 형상의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좋다.
(제6실시 형태)
도54 및 도55는 볼 체인(9)의 제6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의 연결 부재(16)는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의 감합 구조의 관점에서 제5실시 형태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는 감합 요부(72)를 가지는 제1연결 부재(17)와, 감합 요부(72)와 감합되는 감합 돌기부(73)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18)의 2개 피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점에서 보면, 본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는 제1실시 형태와 유사하며,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 제1연결 부재(17)가 감합 요부(72)를 가지며, 제2연결 부재(18)가 감합 돌기부(73)를 가지기에, 도9의 스텝SC1~SC3에서 제2연결 부재(18)를 제조하며, 스텝SC4~SC7에서 제1연결 부재(17)를 제조하며, 그 후 스텝SC8에서 제1연결 부재(17)와 제2연결 부재(18)를 연결시킨다.
(제7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7실시 형태의 볼 체인(9)에 대하여 도56~도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의 구성 및 제조 방법은 제3실시 형태와 유사하지만, 제3실시 형태에서 볼 체인부(9a)의 반구부(15a)와 제1연결 부재(41)의 반구부(20)를 접합시킨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 도5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 체인부(9a)의 연결 코드(14e)와 제1연결 부재(41)의 연결 코드(19a)를 접합시킨 점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연결부 16의 감합구조는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아래에,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 체인(9)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은, 제3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7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아래에, 제3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1) 볼 체인부(9a)의 제조
스텝SA1에서 볼 체인부(9a)를 제조한다. 볼 체인부(9a)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11을 참조).
2) 연결 부재(16)의 제조
스텝SA2에서 연결 부재(16)를 제조한다. 스텝SA2는 구체적으로 도57에 나타내는 스텝SJ1~SJ5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16)는 한 쌍의 제1연결 부재(41)와 1개의 제2연결 부재(42)로 구성되며, 스텝SJ1~SJ3은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J4는 제2연결 부재(42)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J5는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의 연결 공정에 관한 것이다.
2-1)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
스텝SJ1에서 도59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를 편입하여 코드(19)를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J2에서 도5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19)위에 제1감합부(43)와 볼(44)을 아웃 서트 성형 한다. 도5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감합부(43)의 감합 돌기부(45)의 선단과, 볼(44)의 사이의 코드(19)의 길이는, 메인 코드(14)의 인접되는 2개의 볼(15)사이의 거리의 절반 정도로 형성되는 길이 이다. 이 부분이 제1연결 부재(41)의 연결 코드(19a)로 된다. 한편, 볼(44)은 생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되는 2개의 제1감합부(43)의 사이의 코드(19)의 길이를 메인코드(14)의 인접되는 2개의 볼(15)사이의 거리의 절반 정도로 되는 길이로 한다. 다음에, 스텝SJ3에서 제1감합부(43)의 감합 돌기부(45)의 선단(도59(b)의 화살표B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코드(19)를 절단하여, 도59(c)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게 되고,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가 완료된다.
2-2) 제2연결 부재(42)의 제조
스텝SJ4에서 제2연결 부재(42)를 제조한다. 제2연결 부재(42)는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2-3)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의 연결
스텝SJ5에서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연결한다.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의 연결은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연결시켜서 연결 부재(16)를 형성하지만,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반드시 연결시킬 필요는 없다. 즉, 제1연결 부재(41)와 제2연결 부재(42)를 연결시키는 공정(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J5)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 연결 부재(16)를 볼 체인부(9a)에 접합시킨 후,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의 양단부에 있는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에 의해 연결시켜 루프 형상의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좋다.
3) 볼 체인(9)의 제조
스텝SA3에서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을 제조한다.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루프 형상의 볼 체인부(9)가 제조되며, 연결되지 않을 경우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이 제조된다.
스텝SA3은 구체적으로 도58에 나타내는 스텝SK1~SK2로 구성된다. 스텝SK1에서 볼 체인(9)의 루프 길이가 원하는 길이로 되게 볼 체인부(9a)를 인접하는 2개의 볼의 중앙 근방에서 절단한다. 일 례에서 도60 (a)의 점선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곳에서 볼 체인부(9a)를 절단하여 도60(b)에 나타내는 구조체를 얻는다. 볼 체인부(9a)는 인접되는 2개의 볼(15)사이의 거리의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 코드(14e)가 양단에 형성되게 절단한다. 다른 예에서 아웃 서트 성형시에 볼 체인부(9a)의 일단을 연결 코드(14e)로 하며, 스텝SK1에서 도61 (a)의 점선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곳에서 메인코드(14)를 절단하여 도61(b)에 나타내는 구조체를 얻어도 좋다.
스텝SK2에서 볼 체인부(9a)의 양단에 있는 연결 코드(14e)와 제1연결 부재(41)의 연결 코드(19a)를 접합한다. 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형성된 튜브 형상의 공지된 코킹 부재내에 연결 코드(14e)와 연결 코드(19a)를 삽입하며, 연결 코드(14e)와 연결 코드(19a)의 단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코킹 부재를 코킹함으로써, 메인코드(14)와 제1연결 부재(41)를 접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조하면, 볼(15)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볼(15)과 볼(44)이 소정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인접되는 볼 체인으로 할 수 있다. 이 접합은 용착, 접착, 봉제 등 다른 방법으로 행해도 좋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을 얻게 되고, 볼 체인(9)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 부재(16)를 볼 체인부(9a)에 접합시킨 후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의 양단부에 있는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에 의해 연결시켜 루프 형상의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좋다.
(제8실시 형태)
도62~도67은 볼 체인(9)의 제8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에 있어서, 연결 부재(16a,16b)의 구조는 제3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와 동일하지만, 제3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연결 부재(16)와 1개의 볼 체인부(9a)가 고착하여 볼 체인(9)을 제조함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연결 부재(16a,16b)가 제1 및 제2볼 체인부(9b,9c)에 고착되어 1개의 볼 체인(9)이 제조되는 점에서 다르다.
아래에 본 실시 형태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63은 횡형 블라인드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며, 헤드 박스의 일단에 부착 된 케이스(61)에 풀리(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풀리(12)에는 무단형의 볼 체인(9)이 걸려 있으며, 상기 케이스(61)에는 풀리(12)의 윗쪽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가이드(64)가 형성되어 풀리(12)로부터 볼 체인(9)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볼 체인(9)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64)의 하단부는 풀리(12)의 외주면에 따라 상기 풀리(12)의 하부 가장자리 근방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단면이 입 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단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 체인(9)은 항상 풀리(12)로부터 수하되며, 조작시에는 볼 체인(9)의 한쪽이 아래 쪽 혹은 도63에 나타내는 쇄선(鎖線)으로 나타내게 실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끌리워 진다. 그리고, 볼 체인(9)의 조작에 의해 풀리(12)가 회전될 때, 헤드 박스내에 배설된 슬랫 승강 장치 및 슬랫 각도 조절 장치를 통하여 슬랫이 승강되거나, 혹은 각도 조절된다.
상기 볼 체인(9)은 연결 부재(16a,16b)에 의해 2곳에서 연결되어 무단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63 및 도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a,16b)의 간격은 연결 부재(16a,16b)의 한쪽이 풀리(12)에 결합 될 때, 다른쪽은 풀리(12)에 결합되지 않는 위치로 되게 설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16a,16b)의 구성은 제3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와 동일하다.
이렇게 구성된 볼 체인(9)에서는 상기 코드(14)및 상기 연결 부재(16a,16b)의 연결 코드(19)의 전체 길이에서 동일한 형상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 체인(9)은 풀리(12)에 대하여 제한 없이 주회(周回)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볼 체인(9)을 구비한 횡형 블라인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6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리(12)로부터 수하되는 볼 체인(9)을 조작하여 풀리(12)를 회전 조작하면 슬랫이 승강되거나, 혹은 회동된다.
이 때, 연결 부재(16a,16b)는 임의의 하나의 풀리(12)에 결합 하지 않거나, 혹은 도6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이 풀리(12)에 결합 하면, 다른 쪽은 풀리(12)에 결합하지 않는다.
볼 체인(9)의 무단연이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려, 예를 들면 도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 체인(9)을 실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당길 때, 볼 체인(9)의 쌍방에 화살표 방향의 인장력F가 작용한다.
이 때, 연결 부재(16a,16b)의 임의의 하나의 풀리(12)에 결합 하지 않으면, 연결 부재(16a,16)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가 분단된다. 또한, 도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a)가 풀리(12)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장력F는 가이드 단부(64a) 및 풀리(12)의 돌출부(12a)에 작용하며, 연결 부재(16a)에는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 부재(16a)는 분단되기 어렵지만 연결 부재(16b)는 풀리(12)에 결합 하지 않기에 인장력F에 의해 분단된다.
동일하게, 연결 부재(16b)가 풀리(12)에 결합 할 때에는 연결 부재(16a)가 풀리(12)에 결합 하지 않기에 연결 부재(16a)가 분단된다.
도65는 볼 체인(9)이 가이드(64)에 의해 풀리(12)의 아래 쪽까지 안내되지 않고, 볼 체인(9)이 풀리(12)의 외주부 양측으로부터 수하될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볼 체인(9)은 풀리(12)의 외부 둘레 길의의 거의 1/2의 길이로 풀리(12)에 결합 하기 때문에, 연결 부재(16a,16b)는 풀리(12)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을 초과하는 간격을 두어 위치시킨다. 그러면, 볼 체인(9)의 양쪽으로 화살표 방향의 인장력F가 작용할 때, 연결 부재(16a,16b)의 임의의 하나가 분단된다.
도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a,16b)의 각각의 일단에는 볼 체인부(9a)가 고착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16a,16b)의 각각의 일단에는 제2볼 체인부(9b)가 고착되어 있다. 제2볼 체인부(9c)는 풀리(12)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을 초과하는 길이이며, 따라서 연결 부재(16a)와 연결 부재(16b)의 간격은 풀리(12)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을 초과하는 간격으로 된다.
이렇게 구성된 볼 체인(9)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볼 체인(9)에 통상의 인장력을 초과하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 부재(16a,16b)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를 확실하게 분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볼 체인(9)의 무단연이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에 걸렸을 때, 볼 체인(9)을 연결 부재(16a,16b)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에서 분단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또한 볼 체인(9)이 걸려 있는 풀리(12)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 연결 부재(16a,16b)의 간격을 풀리(12)에 결합하는 볼 체인(9)의 길이 이상으로 함으로써,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 부재(16a,16b)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를 분단할 수 있다.
3) 볼 체인(9)을 풀리(12)로부터 가이드 단부(64a) 등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끌어 당길 때, 연결 부재(16a,16b)의 간격은 풀리(12) 및 상기 풀리(12)로부터 가이드 부재에 결합 하는 볼 체인(9)의 길이 이상으로 된다. 그러면,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 부재(16a,16b)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를 분단할 수 있다.
4) 연결 부재(16a,16b)의 간격을 풀리(12)의 외부 둘레 길이이상으로 함으로써,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 부재(16a,16b)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를 분단할 수 있다.
5) 도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 체인(9)이 풀리(12)의 외주부 양측으로 수하될 경우에는 연결 부재(16a,16b)의 간격이 풀리(12)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이상이 되게, 제1연결 부재(41)의 반구부(20)를 코드(15)의 단부의 반구부(16a)에 용착 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큰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연결 부재(16a,16b)의 적어도 임의의 하나를 분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아래의 형태에서 실시해도 좋다.
*연결부를 3개 이상으로 하여 각 연결부의 간격을 균일하게 해도 좋다.
*2개의 연결 부재(16a,16b)의 한쪽이 풀리(12)의 정상부(頂部)에 위치하며, 다른쪽이 볼 체인(9)의 무단연에 위치할 경우, 상기 무단연에 실내를 이동하는 거주자나 그 외의 이동 물체가 걸렸을 때, 양쪽 연결부에 인장력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2개의 연결 부재(16a,16b)의 간격은 볼 체인(9)의 전체 길이의 1/2의 길이 이외의 간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구부(15a)와 반구부(20)의 접합면을, 반구부(15a)와 반구부(20)의 축심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접합면의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해도 좋다.
(볼 체인(9)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은, 기본적으로 제1실시 형태의 볼 체인(9)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도7의 스텝SA3의 볼 체인(9)의 제조 공정은 아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한편, 스텝SA1의 볼 체인부의 제조 공정 및 스텝SA2의 연결부의 제조 공정은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A3은 구체적으로 도66에 나타내는 스텝SG1~SG4로 구성되며, 상기 스텝에서 2종류의 볼 체인부 (도62에 나타내는 제1 및 제2볼 체인부(9b,9c))가 제조된다.
스텝SG1에서는, 스텝SA1로 제조한 볼 체인부(9a)를 소요 루프 길이에 맞춰 절단하며, 양단을 반구부(15a)로 하여 제1볼 체인부(9b)를 얻는다. 일 례에서 도67 (a)의 점선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곳에서 볼 체인부(9a)를 절단하여, 도67(b)에 나타내는 구조의 제1볼 체인부(9b)를 얻는다.
스텝SG2에서는 스텝SA1로 제조한 볼 체인부(9a)를 풀리(12)의 직경에 맞춘 소정 길이(볼 개수)로 절단하며, 양단을 반구부(15a)로 하여 제2볼 체인부(9c)을 얻는다. 일 례에서 도67(c)의 점선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위에서 볼 체인부(9a)를 절단하여 도67(d)에 나타내는 제2볼 체인부(9c)를 제조한다.
스텝SG3에서는 연결 부재(16a,16b)와 제1 및 제2볼 체인부(9b,9c)를 도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며, 2개의 연결 부재(16a,16b)의 각각의 일단의 반구부(20)를 한 방향의 볼 체인부 (예를 들면, 제2볼 체인부(9c))의 반구부(15a)에 고착시킨다.
다음에, 스텝SG4에서는 2개의 연결 부재(16a,16b)의 각각의 타단의 반구부(20)를 다른쪽의 볼 체인부 (예를 들면, 제1볼 체인부(9b))의 반구부(15a)에 고착시킨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루프 형상 또는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을 얻어 볼 체인(9)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방법에 의하면 2개의 연결 부재(16a,16b)가 적절하게 격리된 볼 체인(9)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 부재(16a,16b)를 볼 체인부(9a,9b)에 고착시킨 후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의 양단부에 있는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에 의해 연결시켜 루프 형상의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좋다.
한편, 제1볼 체인부(9b)와 제2볼 체인부(9c)는 동일한 길이의 볼 체인부(9a)를 절단하여 제조해도 되며, 제2볼 체인부(9c)의 제조용으로, 길이가 비교적 짧은 볼 체인부(9a)를 달리 준비하여, 상기 볼 체인부(9a)를 절단하여 제2볼 체인부(9c)을 제조해도 좋다.
또한 제2볼 체인부(9c)는 코드(14)위에 양단이 반구부(15a)로 되게 수지를 아웃 서트 성형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코드(14)위에 일단이 반구부(15a)로 되게 수지를 아웃 서트 성형 하여 타단을 절단 함으로써 제조해도 좋다. 이 경우 절단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제9실시 형태)
도68~도72는 볼 체인(9)의 제9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의 연결 부재(16)는 제8실시 형태의 2개의 연결 부재(16a,16b)를 제2볼 체인부(9c)에 고착시켜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는 분리 가능한 감합구조를 2개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감합구조는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16)는 구체적으로 제1감합부(43)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20)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연결 부재(41)와, 양단에 제1감합부(43)를 가지며 또한 길이가 풀리(12)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이상인 제3연결 부재(91)와, 제1연결 부재(41)의 제1감합부(43)와 제3연결 부재(91)의 제1감합부(43)의 각각과 감합하는 한 쌍의 제2감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2연결 부재(42)로 구성된다.
아래에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볼 체인(9)은 기본적으로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도7의 스텝SA2의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은 아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A2는 구체적으로 도71에 나타내는 스텝SH1~SH8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16)는 한 쌍의 제1연결 부재(41), 한 쌍의 제2연결 부재(42), 1개의 제3연결 부재(91)로 구성되며, 스텝SH1~SH3은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H4는 제2연결 부재(42)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H5~SH7은 제3연결 부재(91)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스텝SH8은 제1~제3연결 부재(41,42,91)의 연결 공정에 관한 것이다.
2-1) 제1연결 부재(41)의 제조
제3실시 형태의 스텝SE1~SE3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텝SH1~SH3을 실시함으로써 제1연결 부재(41)를 제조한다.
2-2) 제2연결 부재(42)의 제조
제3실시 형태의 스텝SE4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텝SH4를 실시 함으로써 제2연결 부재(42)를 제조한다.
2-3) 제3연결 부재(91)의 제조
스텝SH5에서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를 편입하여 코드(19)를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H6에서는 도72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19)위에 볼(44)과 제1감합부(43)을 아웃 서트 성형 한다. 제1감합부(43)는 충실체의 감합 돌기부(45)를 가진다. 다음에, 스텝SH7에서는 양단의 제1감합부(43)의 단부(도72 (a)의 화살표B의 위치)에서 코드(19)를 절단하여 도72(b)에 나타내는 구조를 얻음으로써, 제3연결 부재(91)의 제조가 완료된다. 볼(44)의 수는 풀리(12)의 직경에 맞춰 적당히 조절한다.
2-4) 제1 ~제3연결 부재(41,42,91)의 연결
스텝SH8에서는 제1~제3연결 부재(41,42,91)를 연결한다. 제1~제3연결 부재(41,42,91)의 연결은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69에 나타내는 구성의 연결 부재(16)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여기에서 제1~제3연결 부재(41,42,91)를 연결시켜 연결 부재(16)를 형성하지만 제1~제3연결 부재(41,42,91)는 반드시 연결할 필요는 없다. 즉, 제1~제3연결 부재(41,42,91)를 연결시키는 공정(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SH8)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결 부재(16)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 부재(16)를 볼 체인부(9a)에 고착시킨 후, 루프화 가능한 볼 체인(9)의 양단부에 있는 제1연결 부재(41)를 제2연결 부재(42) 및 제3연결 부재(91)에 의해 연결시켜 루프 형상의 볼 체인(9)을 제조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좋다.
여기까지 각종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임의의 하나의 실시 형태로 행한 내용은 그 취지에 범위내에 한하여, 다른 실시 형태에도 적용된다.
9...볼 체인, 9a...볼 체인부, 9b...제1볼 체인부, 9c...제2볼 체인부, 12...풀리, 14...코드, 15,44...볼, 15a ,20,24...반구부, 16...연결부, 17,27,41,61...제1연결 부재, 18,28,42,62...제2연결 부재, 19...연결 코드, 21,29,63...제1감합부, 22,30,45,65,73...감합 돌기부, 23...연결 코드, 25,34...제2감합부, 26,35,67,75...감합공, 72...감합요부, 74...축부, 76...개구홈, 77...삽입 구멍, 91...제3연결 부재

Claims (17)

  1. 코드 위에 다수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볼 체인부를 형성하며,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부위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형성하며,
    루프 길이가 소망의 길이로 되게 상기 볼 체인부를 절단하여,
    상기 볼 체인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서로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며,
    상기 볼 체인부는 단부가 반구부로 되게 절단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체인부는 코드 위에 볼을 아웃 서트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1연결 부재와, 제1감합부에 대하여 감합 가능한 제2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감합된 상태에서의 제1감합부와 제2감합부의 외형이 볼 체인부의 볼과 거의 동일한 형상인 볼 체인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연결 부재는 충실체의 감합 돌기부를 가지는 제1감합부 및 반구부를 코드 위에 아웃 서트 성형 하며, 제1감합부와 상기 반구부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코드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며,
    제2연결 부재는 제2감합부의 전구체 및 반구부를 코드 위에 아웃 서트 성형하며, 상기 전구체와 상기 반구부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코드를 절단하며, 상기 전구체에 감합공을 굴삭 가공하여 제2감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돌기부를 축 형상으로 하며,
    상기 감합공은 상기 감합 돌기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직경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감합 돌기부를 상기 코드 축심 방향으로 추출 가능하게 하는 개구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홈의 폭이 상기 감합 돌기부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한쌍의 제1연결 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1연결 부재의 각각과 감합되는 한쌍의 제2감합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 및 반구부를 코드 위에 아웃 서트 성형하며, 제1감합부와 상기 반구부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코드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제2연결 부재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1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는 충실체의 감합 돌기부를 가지며, 제2연결 부재는 계지부를 가지는 감합공으로 이루어지는 제2감합부를 양단에 가지는 원통 형상 부재이며,
    상기 감합 돌기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감합 돌기부의 기단부보다 직경이 큰 직경 증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감합공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에 결합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공에는 상기 직경 증대부를 삽입하여 회동 시킴으로써 상기 직경 증대부에 결합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제1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는 감합공을 가지며, 제2연결 부재는 양단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감합공에 감합 가능한 한쌍의 감합 돌기부와, 상기 한쌍의 감합 돌기부를 서로 연결하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감합공은 상기 감합 돌기부를 상기 코드 축심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볼 체인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연결 부재는 감합 돌기부와 축부를 경도(硬度)가 다른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체인부를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연결 부재를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볼 체인부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루프 길이가 소망의 길이로 되게 절단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부재의 각각의 일단을 상기 복수개의 볼 체인부 중의 하나에 접합시키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부재의 각각의 타단을 상기 복수개의 볼 체인부 중의 다른 것에 접합시키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14. 볼 체인이 풀리에 걸려 수하되며,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의해 상기 풀리를 회전 구동하는 조작 장치의 볼 체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코드 위에 다수의 볼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볼 체인부를 형성하며,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부위를 가지는 연결 부재를 형성하며,
    루프 길이가 소망의 길이로 되게 상기 볼 체인부를 절단하며,
    상기 볼 체인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서로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제1감합부를 가지는 한쌍의 제1연결 부재와, 양단에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길이가 상기 풀리의 외부 둘레 길이의 1/2이상인 제3연결 부재와, 제1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와 제3연결 부재의 제1감합부의 각각과 감합되는 한쌍의 제2감합부를 가지는 한쌍의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연결 부재는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며,
    상기 볼 체인부는 단부가 반구부로 되게 절단하는 볼 체인의 제조 방법.
  16.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1연결 부재와, 제1감합부에 대하여 감합 가능한 제2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볼 체인의 연결 부재.
  17. 제1감합부를 가지며 또한 단부에 반구부를 가지는 한쌍의 제1연결 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1연결 부재의 각각과 감합되는 한쌍의 제2감합부를 가지는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볼 체인의 연결 부재.
KR1020127031140A 2010-04-30 2011-04-27 볼 체인의 제조 방법과 볼 체인의 연결 부재 KR101771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5932 2010-04-30
JP2010105932 2010-04-30
PCT/JP2011/060226 WO2011136254A1 (ja) 2010-04-30 2011-04-27 ボールチェーンの製造方法、ボールチェーンの連結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784A true KR20130105784A (ko) 2013-09-26
KR101771160B1 KR101771160B1 (ko) 2017-08-24

Family

ID=4486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140A KR101771160B1 (ko) 2010-04-30 2011-04-27 볼 체인의 제조 방법과 볼 체인의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565494A4 (ko)
JP (1) JP5766183B2 (ko)
KR (1) KR101771160B1 (ko)
CN (1) CN102859232B (ko)
HK (1) HK1173766A1 (ko)
MY (1) MY164104A (ko)
SG (1) SG185006A1 (ko)
TW (1) TWI527546B (ko)
WO (1) WO2011136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961A (zh) * 2014-09-23 2014-12-10 湖南海诺电梯有限公司 一种“绳-球”牵引链
US11306534B2 (en) 2019-02-06 2022-04-19 Hunter Douglas Inc. Connector for a looped operating element of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EP3954859A4 (en) * 2019-04-12 2022-06-22 Tachikawa Corporation BALL CHAIN AND ROLL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06228B (de) * 1963-07-15 1965-12-02 Drahtwerk C S Schmidt Ag Gelenkkette mit gleichen Kettengliedern
JPH0244744Y2 (ko) 1985-09-06 1990-11-28
DD248957A1 (de) * 1986-05-15 1987-08-26 Medizin Labortechnik Veb K Kugelkette
JPS62268858A (ja) * 1986-05-16 1987-11-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無端状合成樹脂製ボ−ルチエ−ン
DK162498C (da) * 1989-05-12 1992-06-01 Neil Johan Jensen Kugleleds-transmissionssystem
JPH05295642A (ja) * 1992-04-09 1993-11-09 Yoshida Kogyo Kk <Ykk> 長尺ボールチェーンと継ぎ具
DE29514535U1 (de) * 1995-09-09 1995-10-26 MHZ Hachtel GmbH + Co, 97996 Niederstetten Verbindungsschloß für Perlketten
CN2339807Y (zh) * 1998-07-21 1999-09-22 周哲文 可重组式安全联接头
JP3080506U (ja) * 2001-03-22 2001-09-28 トーソー株式会社 ボールチェーンジョイント
CN2479863Y (zh) * 2001-05-20 2002-03-06 梁炳财 窗帘拉珠绳连接结构
US6606764B2 (en) * 2001-06-12 2003-08-19 Ball Chain Manufacturing Co., Inc. Beaded chain connector
JP2003184456A (ja) * 2001-12-20 2003-07-03 Yokota:Kk 日除け部材の操作コード
JP2007177440A (ja) * 2005-12-27 2007-07-12 Tachikawa Blind Mfg Co Ltd 操作コード接続具及び操作コード接続具の製造方法
KR101351241B1 (ko) * 2009-06-25 2014-01-13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조작 코드, 조작 코드의 제조 방법, 조작 코드의 연결 부재, 조작 코드의 감합 부재 및 조작 코드의 커넥터 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254A1 (ja) 2011-11-03
MY164104A (en) 2017-11-30
CN102859232A (zh) 2013-01-02
JPWO2011136254A1 (ja) 2013-07-22
HK1173766A1 (en) 2013-05-24
TW201206380A (en) 2012-02-16
KR101771160B1 (ko) 2017-08-24
TWI527546B (zh) 2016-04-01
JP5766183B2 (ja) 2015-08-19
SG185006A1 (en) 2012-11-29
EP2565494A4 (en) 2016-04-27
CN102859232B (zh) 2014-12-17
EP2565494A1 (en)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241B1 (ko) 조작 코드, 조작 코드의 제조 방법, 조작 코드의 연결 부재, 조작 코드의 감합 부재 및 조작 코드의 커넥터 피스
JP2007177440A (ja) 操作コード接続具及び操作コード接続具の製造方法
KR20130105784A (ko) 볼 체인의 제조 방법과 볼 체인의 연결 부재
US20190352961A1 (en) Retainer for window blind
JP5341637B2 (ja) 操作コード
JP2011006929A (ja) 操作装置のボールチェーン
US8898871B2 (en) Operation cord, and operation apparatus for sunlight shielding apparatus
CA2639632A1 (en) Window covering having at least one deformable connector
JP5337596B2 (ja) ボールチェーン及び横型ブラインドのコード
US9255443B2 (en) Window covering
WO2011027407A1 (ja) 操作コ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降装置
JP5610833B2 (ja) 操作コードの製造方法、操作コードの連結部材
JP5719120B2 (ja) 操作コード
JP5529443B2 (ja) ボールチェーン及びボールチェーンの製造方法
JP5442331B2 (ja) ボールチェーン及びボールチェーンの製造方法
JP5376733B2 (ja) 操作コード接続具の製造方法
JP5351349B2 (ja) 操作コ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降装置
JP5538599B2 (ja) 無端コード
JP5618612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JP5752777B2 (ja) ボールチェーン及びブラインド
JP6019057B2 (ja) ボールチェーン、ボールチェーンの製造方法及びブラインド
JP2011236555A (ja) 操作コード
JP2014156775A (ja) 操作コード及び操作コードにより操作される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