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596A -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 Google Patents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596A
KR20130101596A KR1020137022929A KR20137022929A KR20130101596A KR 20130101596 A KR20130101596 A KR 20130101596A KR 1020137022929 A KR1020137022929 A KR 1020137022929A KR 20137022929 A KR20137022929 A KR 20137022929A KR 20130101596 A KR20130101596 A KR 20130101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ha
dpan
pufa
dementia
a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리 에이. 엘리스
Original Assignee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0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 및/또는 이같은 용태의 증상 또는 특징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FOR TREATMENT OF DEMENTIA AND PRE-DEMENTIA-RELATED CONDITIONS}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치매 및 치매 전단계(pre-dementia)와 관련된 용태 및/또는 이같은 용태의 증상 또는 특징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억력 및 인지 능력에서의 감퇴는 인간 노화의 정상적인 결과인 것으로 간주된다. 연령-관련 인지 감퇴는 동년배에 비해 인지 기능이 정상인 노인에서의 객관적인 기억력 감퇴를 기술하기 위한 용어이다. 연령-관련 인지 감퇴는 더욱 심각하거나 일관적인 경도 인지 손상 (MCI)과 상이하고, 치매와 같은 용태의 초기 단계를 가리킬 수 있다 (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the Assessment of Age-Consistent Memory Decline and Dementia, February 1998). 연령-관련 인지 감퇴의 유병률이 높다면, 기억력 손실이 다수의 55세 이상의 개인에게 두드러진 건강 관심사이다.
치매는 통합 중추 신경계 기능의 손실을 특징으로 하여, 단순한 개념 또는 지시를 이해하고 정보를 기억에 저장하고 생각해낼 수 없게 되고, 행동 및 성격이 변하게 된다. 치매의 진단에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은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이다. DSM-IV에 따른 치매의 진단적 양상에는 기억력 손상 및 하기의 것들 중 1가지 이상이 포함된다: 언어 손상 (실어증), 학습된 운동 기능을 실행하는 능력의 손실 (실행증), 친숙한 대상을 인식할 수 없음 (인식불능증), 또는 실행성 기능 또는 의사 결정에서의 교란.
미국에서 가장 우세한 형태의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진단의 40 내지 60%); 혈관 치매 (모든 진단의 10 내지 20%); 혼합형 치매 (모든 진단의 10%); 루이체(Lewy Body)가 있는 치매 (모든 진단의 10%)이다. 약물, 섬망 또는 우울증에 의해 야기되는 2차 치매가 미국에서 모든 치매 진단의 5% 이하를 나타낸다.
알츠하이머병 (AD)은 신경변성이 있는 치매로 분류되고, 세계적으로 우세하다. AD의 진단은 뇌의 여러 영역에서의 아밀로이드 플라크 및 신경섬유 얽힘의 축적, 시냅스 손실 및 신경변성, 및 뇌실 확장에 의해 사후에 확인된다. 노인 치매 자체는 65세 이상의 집단에서의 모든 치매를 지칭하고, AD를 포함한다. 그러나, AD의 발달을 담당하는 메커니즘은 불충분하게 이해되고 있다.
조직학적으로, AD에서의 주요 신경병리학적 발견에는 증가된 뉴런내 아밀로이드 펩티드, 아밀로이드 플라크, 신경섬유 얽힘, 시냅스 손실, 및 뉴런 세포 사망이 포함된다. 증가된 플라크 로드는 인지 기능의 손상과 강하게 상호관련되지는 않지만, 아밀로이드 플라크 로드는 AD 중증도의 전조이다. [Morris and Price (2001)]은 신피질 내의 광범위한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매우 초기 단계의 AD를 가장 잘 구분짓는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증가된 신경섬유 얽힘 형성 및 뉴런 변성이 포함되는 기타 AD 병변이, 치매의 발현 및 중증도에 더욱 즉각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지만, 아밀로이드-개시 병리학적 프로세스로부터 초래되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 특히 노인의 어류 소비가 개선된 인지 수행, 감소된 공격성 표명 및 감소된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위험과 연관되었다. 도코사헥사엔산 (DHA) 및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의 조합물의 공급은 치매가 있는 대상 또는 치매가 없는 대상에서 인지 수행 및 시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uzuki et al (2001)]). 또한, 마우스에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알츠하이머병의 트랜스제닉(transgenic) 마우스 모델에서의 연구는 DHA가 아밀로이드 수준 및 플라크 부하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가리켰다. 그러나, 어류 소비 또는 DHA 또는 EPA 소비의 효과의 작용 메커니즘은,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병리생리학과 관련하여, 본 발명 이전에 결정되지 않았다.
신경학적 질환 또는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은 전통적으로 제약학적 접근법에 초점에 맞춰졌다. 예를 들어, 증상을 완화시키지만 신경학적 문제의 본래의 원인을 완화시키지는 못하는 신경정신학적 또는 신경변성 약물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치매, 예컨대 AD에서 나타나는 신경학적 장애의 치료를 위한 신규 치료 전략이 당업계에서 또한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어류 소비 및/또는 DHA 및 EPA 보충이 AD에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존재하지만, 개선된 제형 및 프로토콜을 개발할 수 있고, AD가 발달될 위험이 있는 개체가 치료가 가장 효과적일 시점에, 특히 임상 증상의 발병 전에 용이하게 확인 및 치료될 수 있도록, 이같은 요법의 작용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것이 당업계에서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아밀로이드 β (Aβ) 펩티드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Aβ 펩티드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상에서, Aβ 펩티드는 가용성 Aβ 펩티드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타우(tau)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타우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상에서, 타우 단백질은 인산화 타우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프레세닐린-1 (PS1)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PS1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시냅스 기능장애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DHA, DPAn-6,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조합물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시냅스 기능장애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의 조합물은 DPAn-6 및 DHA의 조합물, ARA 및 DHA의 조합물, 및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치매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DHA, DPAn-6,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조합물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치매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의 조합물은 DPAn-6 및 DHA의 조합물, ARA 및 DHA의 조합물, 및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아밀로이드 β (Aβ) 펩티드, 프레세닐린-1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또는 타우 단백질의 양 또는 발현 증가 또는 이의 기능장애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a) Aβ 펩티드,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타우 단백질,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바이오마커(biomarker)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이 음성 대조군 개체에서의 바이오마커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과 비교하여 증가된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Aβ 펩티드,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또는 타우 단백질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감소시키고, 이때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 감소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a)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이 감소된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개체에게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조합물을 투여하여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 감소의 효과를 보상하고, 이때 PUFA의 조합물은 DPAn-6 및 DHA의 조합물, ARA 및 DHA의 조합물, 및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뇌 기능 감퇴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DHA, DPAn-6, 또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조합물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뇌 기능 감퇴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의 조합물은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ARA 및 DHA의 조합물, 및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상에서, 뇌 기능은 신경심리학적 또는 인지 테스트, 뇌 영상화 방법 (PET, SPECT, CT, MRI, fMRI), 및 뇌파검사 (EEG)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수초탈락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조합물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수초탈락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의 조합물은 DPAn-6 및 DHA의 조합물, ARA 및 DHA의 조합물, 및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신경섬유 얽힘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DHA, DPAn-6, 또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조합물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신경섬유 얽힘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의 조합물은 DPAn-6 및 DHA의 조합물, ARA 및 DHA의 조합물, 및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서 세타파(theta wave) 활성을 안정화 또는 정상화시키거나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의 발달을 감소 또는 방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a)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이 발달되었거나 발달될 것으로 예측되는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세타파 활성을 안정화 또는 정상화시키거나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의 발달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고, 이때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서, 한 양상에서, 개체는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리기 쉽거나 또는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된다. 한 양상에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다. 예를 들어, 한 양상에서, 개체는 생물학적 마커의 측정, 치매를 나타내는 가족력, 경도 인지 손상, 또는 연령-관련 인지 감퇴에 의해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렸거나 또는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확인된다. 생물학적 마커에는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PS1, 및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 양상에서, 생물학적 마커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이 개체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에서 측정된다. 생물학적 샘플에는 세포 샘플, 조직 샘플, 및 체액 샘플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바람직한 샘플에는 뇌척수액 또는 혈액 샘플이 포함된다.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의 한 양상에서, 투여 단계 전에, 개체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 내의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 PS1 단백질로부터 선택된 바이오마커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개체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동일한 유형의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의 기준선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과 비교하고, 이때 기준선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과 비교하여 개체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증가는 개체가 치매가 발달될 위험이 있거나 치매에 걸린 것을 가리키는 단계가 방법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의 한 양상에서, 투여 단계 전에, 개체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 내의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개체 샘플 내의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동일한 유형의 샘플 내의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기준선 양 또는 생물학적 활성과 비교하고, 이때 기준선 양과 비교하여 개체 샘플 내의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의 변화는 개체가 치매가 발달될 위험이 있거나 치매에 걸린 것을 가리키는 단계가 방법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바이오마커 또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의 양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는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면역블롯,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 (ELISA), 방사선면역분석법 (RIA), 면역침전, 표면 플라즈몬 공명, 화학발광, 형광 편광, 인광, 면역조직화학적 분석법, 매트릭스-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시간 (MALDI-TOF) 질량 분광법, 미세세포분석법,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현미경검사법,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 (FACS), 유동 세포분석법, 모세관 전기영동, 단백질 마이크로칩(microchip) 또는 마이크로어레이,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화/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법,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실시양태는 투여 단계에 이어서 1회 이상 개체에서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또는 PS1 단백질 수준에 대한 PUFA 투여 효율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임의의 상기 기술된 실시양태는 투여 단계에 이어서 1회 이상 개체에서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수준에 대한 PUFA 투여 효율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후속 치료에서 개체에게의 PUFA 투여를 조정하는 단계가 방법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PUFA는 30%, 40%, 50%, 60%, 70%, 80%, 또는 그 이상의 PUFA를 포함하는 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PUFA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 PUFA를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 단백질 및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의 조합물, 건식 해양 미세조류, PUFA를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에스테르, 유리 지방산, PUFA와 또다른 생활성 분자의 접합체,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학적 형태이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PUFA가 DPAn-6 및 DHA를 포함하는 경우, DPAn-6 대 DHA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1:10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PUFA가 ARA 및 DHA를 포함하는 경우, ARA 대 DHA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1:10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PUFA가 DPAn-6, ARA 및 DHA를 포함하는 경우, DPAn-6 대 ARA 대 DHA의 비율은 약 1:1:1 내지 약 1:1:10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한 양상에서, PUFA는 약 50 ㎎ 내지 약 20,000 ㎎/일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서, PUFA는 약 0.025 ㎎/일 내지 약 15 g/일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서, PUFA는 약 0.05 ㎎/체중 ㎏/일 내지 약 275 ㎎/체중 ㎏/일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PUFA의 공급원은 어유(魚油), 해양 미세조류, 식물성 오일,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실시양태의 한 양상에서, PUFA는 DHA를 포함하고, 이때 DHA의 전구체는 α-리놀렌산 (LNA);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도코사펜타엔산 (DPA); LNA, EPA, 또는 DPA의 블렌드로부터 선택된다.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PUFA는 개체에게 경구 투여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PUFA는 개체에게 씹을 수 있는 정제, 급속 용해 정제, 기포성 정제, 재구성성 분말, 엘릭시르(elixir), 액체, 용액, 현탁액, 에멀션, 정제, 다층 정제, 이층 정제, 캡슐, 연질 젤라틴 캡슐, 경질 젤라틴 캡슐, 캐플릿(caplet), 로젠지(lozenge), 씹을 수 있는 로젠지, 비드(bead), 분말, 과립, 입자, 미세입자, 분산성 과립, 카세(cachet), 관주액, 좌약, 크림, 국소작용제, 흡입제, 에어로졸 흡입제, 패치, 입자 흡입제, 이식물, 데포(depot) 이식물, 섭취물, 주사제, 주입물, 헬스 바(health bar), 당제, 시리얼, 시리얼 코팅물, 식품, 영양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서, 제형 내의 PUFA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PUFA를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 단백질 및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의 조합물, PUFA를 포함하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 PUFA를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PUFA의 에스테르, 유리 지방산, PUFA와 또다른 생활성 분자의 접합체,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DHA, DPAn-6, 또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조합물, 및 치매에 걸렸거나 치매가 발달될 위험이 있는 개체에서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1가지 이상의 치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UFA의 조합물은 DPAn-6 및 DHA, ARA 및 DHA, 및 DPAn-6, ARA 및 DHA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상에서, PUFA의 조합물은 30% 이상, 80% 이상까지의 상기 PUFA를 포함하는 오일을 포함하고, 이때 PUFA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 PUFA를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 단백질 및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의 조합물, 건식 해양 미세조류, PUFA를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에스테르, 유리 지방산, PUFA와 또다른 생활성 분자의 접합체,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학적 형태이다. 한 양상에서, PUFA의 공급원은 어유, 해조류, 식물성 오일,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상에서, DHA의 전구체는 α-리놀렌산 (LNA);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도코사펜타엔산 (DPA); LNA, EPA, 또는 DPA의 블렌드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상에서, PUFA는 씹을 수 있는 정제, 급속 용해 정제, 기포성 정제, 재구성성 분말, 엘릭시르, 액체, 용액, 현탁액, 에멀션, 정제, 다층 정제, 이층 정제, 캡슐, 연질 젤라틴 캡슐, 경질 젤라틴 캡슐, 캐플릿, 로젠지, 씹을 수 있는 로젠지, 비드, 분말, 과립, 입자, 미세입자, 분산성 과립, 카세, 관주액, 좌약, 크림, 국소작용제, 흡입제, 에어로졸 흡입제, 패치, 입자 흡입제, 이식물, 데포 이식물, 섭취물, 주사제, 주입물, 헬스 바, 당제, 시리얼, 시리얼 코팅물, 식품, 영양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제형 내에서 제공된다. 한 양상에서, 제형 내의 PUFA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PUFA를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 단백질 및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의 조합물, PUFA를 포함하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 PUFA를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PUFA의 에스테르, 유리 지방산, PUFA와 또다른 생활성 분자의 접합체,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치료 화합물에는 단백질, 아미노산, 약물 및 탄수화물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 양상에서, 치료 화합물은 타크린;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메만틴; 네오트로핀; 누트로픽; 알파-토코페롤 (비타민 E); 셀레질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 은행(gingko biloba); 에스트로겐; β-분비효소 억제제; 백신; B 복합 비타민; 칼슘 채널 차단제; HMG CoA 환원효소 억제제; 스타틴; 폴리코사놀; 피브레이트; 클리오퀴놀; 쿠르쿠민; 리그난; 식물성 에스트로겐; 식물성 스테롤; 니아신; 및 비타민 보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조성물 제조에서의 도코사헥사엔산 (DHA);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용도이다. 이같은 조성물은 개체에서의 아밀로이드 β (Aβ) 펩티드 수준의 감소; 개체에서의 타우 단백질 수준의 감소; 개체에서의 프레세닐린-1 (PS1) 단백질 수준의 감소; 아밀로이드 β (Aβ) 펩티드, 프레세닐린-1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또는 타우 단백질의 양 또는 발현 증가 또는 기능장애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 및/또는 개체에서의 세타파 활성의 안정화 또는 정상화 또는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의 발달의 감소 또는 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조성물 제조에서의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용도이다. 이같은 조성물은 개체에서의 시냅스 기능장애의 발병 지연 또는 중증도 감소; 개체에서의 치매의 발병 지연 또는 중증도 감소;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의 양 감소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 개체에서의 뇌 기능 감퇴의 발병 지연 또는 중증도 감소; 개체에서의 수초탈락의 지연 또는 중증도 감소; 및/또는 개체에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신경섬유 얽힘의 발병 지연 또는 중증도 감소를 위해 사용된다.
도 1A-1C는 3개월 (도 1A; n=6), 6개월 (도 1B; n=6), 또는 9개월 (도 1C; n=6) 동안의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전체 뇌 지방산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2A-2C는 3개월 (도 2A), 6개월 (도 2B), 또는 9개월 (도 2C) 동안의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적혈구 지방산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3A-3C는 3개월 (도 3A), 6개월 (도 3B), 또는 9개월 (도 3C) 동안의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뇌 포스파티딜콜린 (PC)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4A-4C는 3개월 (도 4A), 6개월 (도 4B), 또는 9개월 (도 4C) 동안의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뇌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5A-5C는 3개월 (도 5A), 6개월 (도 5B), 또는 9개월 (도 5C) 동안의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뇌 포스파티딜세린 (PS)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6A-6F는 3개월 (도 6A 및 6B; n=6), 6개월 (도 6C 및 6D; n=6) 및 9개월 (도 6E 및 6F; n=6) 동안의 DHA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가용성 (도 6A, 6C, 6E) 및 불용성 (도 6B, 6D, F) Aβ 수준을 나타낸다.
도 6G-6J는 6E10으로의 DAB 염색이 3개월 동안 대조군 식이 (도6G), DHA/DPA 식이 (도 6H), DHA 식이 (도 6I), 및 DHA/ARA 식이 (도 6J)로 치료된 마우스로부터의 40 μM 절편에서 Aβ-유사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 영상이다.
도 7A-7D는 DHA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APP 단편 (도 7A 및 7B) 및 IDE (도 7C 및 7D)의 정류 상태 수준 (도 7A 및 7C) 및 로딩 대조군으로서의 β-액틴 수준에 대해 표준화된 단백질 블롯의 정량화 (도 7B 및 7D)를 나타낸다.
도 8A-8B는 DHA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ADAM10 및 BACE의 정류 상태 수준 (도 8A) 및 로딩 대조군으로서의 β-액틴 수준에 대해 표준화된 단백질 블롯의 정량화 (도 8B)를 나타낸다.
도 8C-8D는 DHA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프레세닐린 1 및 니카스트린의 정류 상태 수준 (도 8C) 및 로딩 대조군으로서의 β-액틴 수준에 대해 표준화된 단백질 블롯의 정량화 (도 8D)를 나타낸다.
도 8E는 3:1로 BSA와 복합체를 형성한 0.3 ㎍/㎖ DHA (n=3), 또는 등가량의 단독 BSA (n=3)으로 48시간 동안 처치된 SHSY5Y 세포에서 DHA가 프레세닐린 1 mRNA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나타낸다 (*, p<0.05).
도 9A-9F는 3개월 (도 9A 및 9B), 6개월 (도 9C 및 9D) 및 9개월 (도 9E 및 9F) 동안의 DHA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타우 정류 상태 수준 (도 9A, 9C 및 9E) 및 로딩 대조군으로서의 β-액틴 수준에 대해 표준화된 단백질 블롯의 정량화 (도 9B, 9D 및 9F)를 나타낸다.
도 10A-10D는 3개월 동안의 식이 치료 후 3xTg-AD 마우스에서의 입체구조적으로 변형된 타우 면역응답성을 나타내는 디지털화 영상이다 (도 10A = 대조군 식이, 도 10B = DHA/DPA 식이, 도 10C = DHA 식이, 및 도 10D = DHA/아라키돈산).
도 10E는 9개월의 식이 치료 후의 인산화 타우를 나타내는 디지털화 영상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지방산 보충, 바람직하게는,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보충 (예를 들어, DHA 및 DPAn-6)을 사용하여, 치매의 발병을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치매의 중증도 및/또는 증상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알츠하이머병 (AD)이 포함되는 치매의 발달 및/또는 치매로의 진행과 관련된 생물학적 화합물 (예를 들어,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체의 신경 조직에서 아밀로이드-β (가용성 또는 불용성), 타우 단백질, 타우 인산화 단백질 및/또는 프레세닐린-1 (PS1)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 개체에서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신경섬유 얽힘의 형성, 및/또는 치매를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아밀로이드-β, (가용성 또는 불용성)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또는 프레세닐린-1 (PS1) 단백질의 양 증가, 또는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PUFA의 양 감소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체에서 세타파 활성을 안정화 또는 정상화시키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의 발달을 감소 또는 방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는 단계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및/또는 DPAn-6 및/또는 ARA를 단독으로, 서로 조합하여, 및/또는 다른 PUFA와 조합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매는 단순한 개념 또는 지시를 이해하고 정보를 기억에 저장하고 생각해낼 수 없음 및 행동 및 성격 변화를 초래하는 통합 중추 신경계 기능의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 치매의 진단에 대해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은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이다. DSM-IV에 따른 치매의 진단적 양상에는 기억력 손상 및 하기의 것들 중 1가지 이상이 포함된다: 언어 손상 (실어증), 학습된 운동 기능을 실행하는 능력의 손실 (실행증), 친숙한 물질을 인식할 수 없음 (인식불능증), 또는 실행성 기능 또는 의사 결정에서의 교란. 알츠하이머병 (AD)은 치매의 가장 우세한 형태이다.
최근,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의 한 그룹에서 알츠하이머병의 마우스 삼중 트랜스제닉 모델이 개발 및 보고되었다 ([Oddo et al., 2003]). 이러한 마우스는 PS1M146V, APPSwe, 및 타우P301L 트랜스진(transgene)을 함유한다. 프레세닐린-1 (PS1)은 뇌 세포에서 생산되는 단백질이고, Aβ 펩티드의 양 증가와 연관된다. 염색체 14 상의 PS1 유전자의 유전적 돌연변이는 가족성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이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은 뇌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기능이 불확실한 단백질이다. 알츠하이머병에서, APP가 비정상적으로 분해되어, 아밀로이드의 형성이 초래된다. 고도로 비대칭형이고 열-안정성 단백질인 타우는 주로 뇌에서 발현되어, 이곳에서 뉴런, 성상세포 및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미세관의 배향 및 안정성을 조절한다. 이러한 삼중-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알츠하이머-관련 뇌 영역 (해마, 편도, 및 대뇌피질)에서 플라크 및 얽힘 병리학 모두가 발달된다. 아밀로이드 캐스케이드 가설과 일치하게, 얽힘 형성 전에 세포외 Aβ 침착물이 마우스에서 발달된다. 마우스는 빠르게는 6개월령에 시냅스 기능장애를 나타낸다. 세포외 Aβ 침착물이 이러한 연령 때 해마 영역에 국소화되지 않지만, 가장 병원성인 Aβ42 펩티드를 포함하여 Aβ 펩티드의 세포내 축적이 이러한 연령 때 나타났다. 이러한 모델의 발견은 뉴런내 Aβ가 관찰된 시냅스 기능장애의 기초가 되는 것을 시사한다. 얽힘 형성은 인간 개체에서 뇌 변연계 구조에서 전형적으로 시작되어 피질 영역으로 진행되고, 이는 이러한 마우스 모델에서 관찰된 패턴이다.
본 발명가는 인간 AD를 근접하게 모사하는 이러한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AD의 발달 및 진행에 대한 PUFA의 작용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AD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신규 치료 전략 및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가는 이러한 마우스 군에게 1가지 이상의 PUFA의 상당한 식이 공급원을 포함한 식이를 제공하였다. 식이에는 DHA가 강화된 식이, DHA 및 DPAn-6 모두가 강화된 식이, 및 DHA 및 ARA가 강화된 식이가 포함되었다. 본 발명가는 PUFA의 투여가 이러한 동물 모델에서 실제로 가용성 Aβ의 양을 감소시키고, 전체 타우 단백질의 양을 감소시키며, 프레세닐린-1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뜻밖에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가는 DHA-함유 식이가, 특히 아드렌산 또는 아라키돈산 수준이 상승된 개체, 또는 DPAn-6 수준이 감소된 개체에서, 비록 DHA의 효과가 경시적으로 감소하였지만, 가용성 Aβ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단독 DHA를 함유하는 식이가 경시적으로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 초기 시점에 또한 효과적이었고, DHA 및 ARA의 조합물이 초기 시점에 또한 효과적이었다. 또한, DPAn-6과 조합된 충분한 식이성 예비형성 DHA가 제공된 동물에서 조직 내의 DPAn-6DPAn-6 수준이 단독 DHA를 먹인 동물과 비교하여 상당히 증가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가는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 놀라운 예상밖의 이점을 전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혈액 DHA 및 ARA 수준이 더 높은 동물이 독성 아밀로이드 펩티드로의 APP의 절단과 관련된 단백질인 프레세닐린-1이 더 많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단독 DHA 또는 DHA 및 DPAn-6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식이 또한 프레세닐린-1 수준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가는 조합 식이의 효과가 경시적으로 약해져서, DHA를 우세한 PUFA로서 함유하는 식이만이 전체적인 타우 수준 감소를 초래하였지만, 단독 DHA, DHA 및 DPAn-6 또는 DHA 및 ARA을 함유하는 식이를 포함하여 DHA-함유 식이가 전체 타우 수준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또한 발견하였다. 그러나, 인산화 타우와 관련하여, DHA 또는 DHA 및 DPAn-6를 함유하는 식이 모두, 더 늦은 시점에서도, 인산화 타우를 상당히 감소시켰고,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 DHA만이 강화된 식이만큼 효과적이고, DHA만이 강화된 식이보다 더욱 효과적인 경향이 있었다. 조합하여, 본 발명가의 결과는 DHA 또는 DHA 및 DPAn-6을 함유하는 식이가 AD 병리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및 DHA 및 DPAn-6를 함유하는 식이 또한 적어도 인산화 타우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효과적이지만, 전체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제형은 단독 DHA를 우세한 PUFA로 함유하는 식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더욱 특히, 본 발명가는 PUFA가 AD와 같은 인지 장애의 병리학에 대해 여러 효과를 가져서, 환자가 적절하게 표적화될 수 있고/있거나, PUFA가 바람직한 용량으로 또는 바람직한 시점에 투여되어 질환을 더욱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가는 DHA가 초기 병리학인 것으로 여겨지는 아밀로이드를 감소시키고, DPAn-6이 병리학의 후기 바이오마커인 것으로 여겨지는 타우 및 포스포-타우 병리학을 감소시키는데 추가적으로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 이전에는, AD의 증상을 개선시키거나 AD의 특징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DPAn-6의 역할이 기술되지 않았기 때문에, DPAn-6을 함유하는 식이로부터 관찰된 이로운 효과가 또한 놀라웠다. 본 발명가의 결과는 질환의 다양한 시점에서 PUFA 보충 또는 치료에 대해 가장 양성적으로 응답할 것 같은 대상을 확인하기 위한 강력한 새로운 시장을 또한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는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Aβ 펩티드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신경 조직에서 Aβ 펩티드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감소되는 Aβ 펩티드는 가용성 Aβ 펩티드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DPAn-6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의 신경 조직에서 APP의 수준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APP (수준과 상관없음)의 프레세닐린-1에 의한 Aβ 펩티드로의, 특히 더욱 독성인 크기 형태의 Aβ 펩티드로의 절단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APP 수준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APP의 프레세닐린-1에 의한 Aβ 펩티드로의, 더욱 독성인 크기 형태의 Aβ 펩티드로의 절단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또는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다.
세포외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주성분은 아밀로이드 단백질 (Aβ)이고, 이는 미지 기능의 유형 I 막통과 당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단백질 전구체 (APP)의 단백질분해성 절단으로부터 유도된 아미노산 42 내지 43개의 펩티드이다. 3개의 별개의 효소가 APP를 절단하여, 크기가 상이한 베타 아밀로이드 펩티드가 생산된다. 알파-분비효소는 Aβ 펩티드 서열 내의 부위 (Aβ 16)에서 APP의 C-말단 끝부분으로부터 절단하여, 아미노산 83개의 C-말단 단편 및 아미노산 26개 형태의 Aβ를 생성시킨다. 이어서 감마-분비효소가 아미노산 83개의 펩티드를 Aβ 펩티드의 C-말단 끝부분에서 절단하여, 아밀로이드생성에서의 역할이 잘 규명되지 않은 아미노산 15개의 짧은 펩티드 (p3)를 방출시킨다. 베타-분비효소, 또는 BACE1은 Aβ 펩티드의 N-말단 끝부분 상에서 자르는 반면, 실제로 프레세닐린일 수 있는 감마-분비효소는 Aβ 펩티드의 C-말단 끝부분 상에서 자른다. 베타-분비효소와 함께 감마-분비효소가 정확히 어디에서 APP를 절단하느냐에 따라, 아미노산 40개 또는 42개의 펩티드가 생산된다. 아미노산 42-43개의 더 긴 펩티드가 아미노산 15개 또는 40개의 형태와 비교하여 더욱 병원성인 형태의 Aβ인 것으로 여겨진다. Aβ-유래 확산성 리간드 (또는 ADDL)는 알츠하이머 플라크에서 발견되는 대형 Aβ 원섬유와 비교하여 신경독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된 Aβ 1-42의 비-원섬유성의 응집화 유도체이다. 올리고머성 ADDL로의 Aβ 1-42 응집이 노인성 플라크의 단백질 성분인 클러스테린 (Apo J)의 존재 하에 증가된다. Aβ 1-42 + 클러스테린은 PC12 배양 뉴런에서 고도로 독성이다.
인간 아밀로이드 단백질 전구체 (APP)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결정되었고, APP 펩티드에 대한 뉴클레오티드 및 코딩된 아미노산 서열을 공공 서열 데이타베이스, 예컨대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데이타베이스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APP 펩티드에 대한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을 NCBI 데이타베이스에서 접속 번호 NM_000484 (변이체 1), NM_201413 (변이체 2), 및 NM_201414 (변이체 3) 하에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타베이스 접속 번호에 의해 제시되는 모든 정보는 거명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Aβ 펩티드의 검출 및/또는 측정이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하기에 상세하게 논의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타우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신경 조직에서 타우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감소되는 타우 단백질은 인산화 타우 단백질 또는 입체구조적으로 변화된 타우 단백질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DPUFA는 DHA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다.
타우 단백질, 특히 인산화 타우는 알츠하이머병 개체에 존재하는 후기 단계 병변인 신경섬유 얽힘에서 발견되는 우세한 단백질이다. 신경섬유 얽힘은 뉴런 미세관의 주성분인 뉴런-특이적 인단백질인 비정상적으로 인산화된 타우로 주로 구성된다. 알츠하이머병에서, 신경섬유 얽힘은 대뇌피질의 뉴런에서 발견되지만, 측두엽 영역, 특히 해마 및 편도에서 가장 일반적이다. 신경섬유 얽힘의 밀도 및 패턴은 AD의 중증도와 상호관련된다. 타우 단백질 및/또는 인산화 타우 단백질의 검출 및/또는 측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는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신경섬유 얽힘의 형성의 발달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신경섬유 얽힘의 형성의 발달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PS1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신경 조직에서 프레세닐린-1 (PS1)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DPUFA는 DHA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및 DPAn-6의 조합물이다.
프레세닐린-1은 당업계에서 APP를 베타 아밀로이드로 병원성 펩티드로 절단하는 감마-분비효소 활성을 담당하는 것으로 간주되거나, 또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에 필요한 "감마-분비효소" 활성의 중요한 결정인자인 것으로 여겨진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mAPP) 및 프레세닐린 1 (mPS1)에서의 돌연변이 모두 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 (Aβ)의 증가된 생산에 연관되었다. 프레세닐린-1 발현 또는 활성의 검출 및/또는 측정은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시냅스 기능장애의 발병을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시냅스 기능장애의 발병을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시냅스 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병 신경병증의 주요 표현형 소견이고,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인 기억력 및 인지 변화와 가장 상호관련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치매의 발병을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의 발병을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또는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뇌 기능 감퇴의 발병을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뇌 기능 감퇴의 발병을 지연시키고/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또는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수초탈락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수초탈락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또는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수초는 신경 축삭을 코팅하는 백색 물질이고, 뇌와 신체의 다른 부분 간의 자극(impulse)의 효율적인 신경 전도를 가능하게 한다. 수초의 손실 (즉 수초탈락) 또는 비정상적인 수초 조성은 신경 프로세싱 속도 또는 활성에서의 감소 및 이어지는 인지 감퇴와 관련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PP, Aβ 펩티드,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또는 타우 단백질의 양 증가 및/또는 기능장애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a) APP, Aβ 펩티드,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타우 단백질, 또는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양이 증가되고/되거나 이의 기능장애가 있는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Aβ 펩티드,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또는 타우 단백질의 증가된 양 또는 기능장애를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것으로 결정된 양으로 투여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PUFA는 DHA,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 감소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이 방법은 (a)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 (예를 들어, 조직 또는 혈액 내의 양)이 감소된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의 양 감소의 효과를 보상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결정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PUFA는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 또는 관련 장애를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a)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 또는 관련 장애를 가리키는 1가지 이상의 증상 또는 바이오마커가 있는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 또는 관련 장애를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것으로 결정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PUFA는 DHA,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억력 손실이 있거나, 초기 알츠하이머병에 걸렸거나 또는 임의의 종류의 치매의 잠재적인 환자이고, 뇌파도 (EEG) 상에서 세타 활성, 특히 전두엽의 세타 활성이 깊고 느리며 비정상적인 개체에서 EEG 상의 세타파를 안정화 및 정상화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족력 또는 유전자 마커에 의해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의 경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개체에서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의 발달을 방지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a)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이 있거나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이 발달될 경향이 있는 것으로 예측되는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개체에서 세타파 활성을 안정화 또는 정상화시키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세타파 활성의 발달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것으로 결정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바람직하게는 DHA, DPAn-6, DPAn-6 및 DHA의 조합물, DHA 및 ARA의 조합물, 또는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PUFA는 DHA,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들의 한 양상에서, 개체는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확인된다. 또다른 양상에서, 개체는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로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또다른 양상에서, 개체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개체가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여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렸거나 걸리기 쉬운지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생물학적 마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APP, Aβ 펩티드, PS1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또는 타우 단백질)의 측정, 또는 치매를 나타내는 가족력의 결정, 또는 현재의 경도 인지 손상의 검출, 또는 연령-관련 인지 감퇴의 검출이 포함된다.
경도 인지 손상 (MCI)은 신경심리학적 테스트 상에서 수행하는 사람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억력 손실의 형태이다. MCI가 있는 개체는 기준이 되는 표준 테스트에서의 점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기억력이 손상되었지만, 다른 유형의 뇌 기능 예컨대 계획 또는 주의력은 손상되지 않았다. 이러한 개체는 일상 생활에 필요한 관리 기술에서 심각한 문제를 갖지 않는다. MCI가 있는 개체는 알츠하이머병 또는 다른 형태의 치매가 발달될 위험이 상당히 증가된다.
연령-관련 인지 감퇴 (ACRD) (연령-관련 기억력 손상 (AAMI), 연령-일치 기억력 감퇴, 양성 노인성 건망증 (BSF), 인지 감퇴 (연령-관련), 건망증 (양성 노인성), 또는 기억력 감퇴 (연령-일치)로 또한 지칭됨)는, 비록 권위자들이 연령-관련 인지 감퇴가 알츠하이머병 및 다른 형태의 치매에 부분적으로 관련되는지 여부 또는 별개의 실체인지 여부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지만, 질환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ARCD가 있는 개체는 기억력 및 학습, 주의력 및 집중, 사고(思考), 언어 사용, 및 기타 정신 기능에서의 악화를 겪는다.
경도 인지 손상 (MCI) 및 연령-관련 인지 감퇴 (ARCD)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 (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캠브리지 신경심리학 테스트 자동화 배터리 (CANTAB: Cambridge Neuropsychological Test Automated Battery), 알츠하이머병 평가 스케일-인지 테스트 (ADAScog: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Scale-cognitive test), 대뇌 척수액 내의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 또는 인산화 타우의 존재,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또는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 (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에 의해 결정되는 확장된 뇌실, PET 또는 SPECT 연구 시 뇌 내의 아밀로이드 플라크 또는 신경섬유 얽힘의 존재의 검출, 뇌파도 (EEG), 및 일부 경우의 유전자 테스트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신경학적 및 인지 테스트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MCI는 임상 시험, 기억력 불만을 나타내는 신경심리학적 테스트, 연령에 비해 비정상적인 기억력, 일상 생활의 정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정상적인 일반적 인지 기능, 치매의 결여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대뇌 척수액 (CSF) 타우 및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의 수준, 및 뇌 영상화 (PET, SPECT, 자기 공명 영상화 (MRI))를 사용하여 알츠하이머병을 배제하거나 또는 2차 위험 인자로 판결할 수 있다.
시냅스 기능장애는 산소 및 글루코스 활용 (PET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 (SPECT)) 및 기능성 자기 공명 분광법 (fMRI), 뇌파도, 및 장기(長期) 강화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수의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뇌 기능은 정보 프로세싱의 속도, 실행성 기능 및 기억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인지 테스트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로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 (MMSE), 캠브리지 신경심리학 테스트 자동화 배터리 (CANTAB), 알츠하이머병 평가 스케일-인지 테스트 (ADAScog), 위스콘신 카드 분류 테스트, 언어 및 숫자 유창성 테스트 및 선로잇기 테스트, 뇌파검사 (EEG), 자기뇌파검사 (MEG),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 (SPECT), 자기 공명 영상화 (MRI),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화 (fMRI), 컴퓨터화 단층촬영, 및 장기 강화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뇌의 전기 활성의 측정인 EEG는 다양한 경계표에서 두피 상에 전극을 놓고, 크게 증폭된 뇌 신호를 기록함으로써 달성된다.
MEG는 전기장에 연결된 자기장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EEG와 관련된다. MEG는 신경계 내의 동기파(synchronous wave)를 포함하여 자발적인 뇌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Joliot et al., 1994]; [Deutsch, 1998]).
PET는 산소 활용 및 글루코스 대사의 측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에서, 방사성 양전자-방출 추적자가 투여되고, 뇌에 의한 추적자 흡수가 뇌 활성과 상호관련된다. 이러한 추적자는 감마선을 방출하고, 감마선이 머리를 둘러싼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뇌 활성화의 3D 지도가 생성된다. 추적자가 뇌에 의해 흡수되자 마자, 검출된 방사능이 국부적인 대뇌 혈류의 함수로 나타나고 ([Frackowiak, 1989]), 활성화 동안, CBF 및 뉴런 글루코스 대사에서의 증가가 수초 이내에 검출될 수 있다.
MRI 및 fMRI는 원자핵의 한 성질인 이의 회전이 이를 커다란 자기력에 노출시킴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대상이 자신의 머리를 강력한 자석 (1.5 내지 5 테슬라의 힘) 내에 놓고 누워있는 동안, 단파 라디오파 안테나가 메인 자석보다 훨씬 약한 방식으로 자기장을 변화시킨다. 변화되는 펄스로 핵으로부터 공명 신호가 생산되고, 3D로 정량되어 디지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개체는 신경정신학적 테스트, 임상 시험, 및 개체의 인지 기능 손실 (예를 들어, 주관적인 기억력 손실) 불만을 통해 또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개체를 확인하거나 개체의 치료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평가하기 위한 바람직한 생물학적 마커에는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PS1, 및/또는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바람직하게는 DHA, ARA 및/또는 DPAn-6),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 (예를 들어, 생물학적 샘플 내의 이러한 바이오마커의 함량)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이러한 생물학적 마커의 ㅂ바발현 (예를 들어 RNA 또는 단백질 검출)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본 발명에 따른 PUFA의 투여 단계 전에 개체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에서 측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바이오마커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예를 들어, 증상 또는 용태의 치료에 대한 소정의 방법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PUFA의 투여 단계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생물학적 마커의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수준의 유의성을 결정하는 것 (예를 들어, 개체가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렸거나 걸리기 쉬운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또는 소정의 PUFA 투여 프로토콜이 효과적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개체 샘플 내의 생물학적 마커 (바이오마커로 또한 칭해짐)의 발현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수준을 대조군 또는 기준선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의 양, 발현 및/또는 생물학적 수준의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는 것을 수반한다. 기준선 양과 비교하여 개체 샘플에서의 바이오마커의 양의 증가 (바이오마커 APP, Aβ,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 PS1의 경우), 또는 기준선 양과 비교하여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의 양의 감소는 개체가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전단계 또는 치매 또는 관련 장애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에 걸렸거나, 이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바이오마커는 개체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의 양, 발현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전형적으로 평가된다. 생물학적 샘플은 세포 샘플, 조직 샘플 및/또는 체액 샘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세포 샘플"은 단리된 세포의 샘플, 조직 샘플 및/또는 체액 샘플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평가되는 세포를 함유하는 임의 유형의 샘플을 지칭하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리된 세포의 샘플은 전형적으로 현탁되었거나 또는 생체내에서 조직 내에 세포를 연결시켰을 수 있는 연결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의 표본이고, 이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평가를 위해 적절한 개수의 세포가 수집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기관, 조직 또는 체액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를 단리하여 세포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세포 샘플 내의 세포는 반드시 동일한 유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조직을 스크레이핑(scraping)함으로써, 조직 샘플을 프로세싱하여 개별적인 세포를 방출시킴으로써, 또는 체액으로부터 세포를 단리시킴으로써, 세포를 수득할 수 있다.
조직 샘플은, 단리된 세포의 샘플과 유사하지만, 여러 세포 유형 및/또는 세포들을 함께 유지시키는 세포골격 구조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신체의 기관 또는 조직의 절편으로 본원에서 정의된다. 당업자는 용어 "조직 샘플"이 일부 경우에 "세포 샘플"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세포 샘플보다 더욱 복합적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조직 샘플은 생검에 의해, 예를 들어, 절단, 슬라이싱(slicing), 또는 펀치 사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체액 샘플은, 조직 샘플과 마찬가지로, 또한 세포를 함유할 수 있고, 특정 체액의 샘플 추출에 적절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샘플 추출에 적절한 체액에는 혈액, 뇌척수액, 점액, 정액, 타액, 유액, 담즙 및 소변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임의의 혈액 분획 (예를 들어, 전혈, 혈장, 혈청)이 포함되는 혈액 샘플, 또는 뇌척수액 샘플이다.
일반적으로, 샘플 유형 (즉, 세포, 조직 또는 체액)은 샘플의 접근성 및 방법의 목적을 기초로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가장 덜 침습성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생물학적 샘플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혈액),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평가를 위해 세포 또는 조직 샘플을 수득하는 것이 유용하거나 필요할 수 있다. 비-침습성 방법, 예컨대 영상화 방법에 의해 개체 조직을 또한 평가할 수 있다.
일단 개체로부터 샘플을 수득하면, 샘플을 평가하여, 샘플 내의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또는 PS1, 및/또는 오메가- 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이 포함되는 임의의 본원에 기술된 바이오마커의 존재,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검출한다. 바이오마커의 "발현"의 검출에 대한 언급은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번역후 프로세싱을 검출하는 것 (예를 들어, 샘플 내의 단백질의 양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mRNA 전사 또는 단백질 번역을 검출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바이오마커의 "존재"의 검출은 샘플 내에 바이오마커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검출하는 임의의 방법을 지칭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발현을 검출하는 것 또는 양을 검출하는 것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체에서 존재,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검출하는 방법은 바이오마커의 기준선 또는 대조군 수준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샘플 내의 존재,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검출에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질적으로 등가이다.
바이오마커 전사를 검출하는데 적절한 방법에는 체액, 세포 또는 세포 추출물로부터 mRNA 수준을 검출 및/또는 측정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포함된다. 이같은 방법에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 (PCR), 역전사효소 PCR (RT-PCR), 원위치 혼성화, 노던 블롯, 서열 분석,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및 리포터 유전자의 검출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사 수준의 검출을 위한 이같은 방법은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고, 다수의 이같은 방법이, 예를 들어,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s Press, 1989] 및/또는 [Glick et al., Molecular Biotech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Recombinant DNA, ASM Press, 1998]에 기술되어 있고; [Sambrook et al., 동일 문헌], 및 [Glick et al., 동일 문헌]은 거명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바이오마커 전사의 측정은 샘플이 세포 또는 조직 샘플인 경우에 주로 적절하다; 따라서, 샘플이 세포 또는 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액 샘플인 경우, 전형적으로 세포를 체액으로부터 단리하여 발현 분석을 수행한다.
바이오마커 발현은 번역의 검출 (즉, 샘플 내의 단백질의 검출)에 의해 또한 확인될 수 있다. 단백질의 검출에 적절한 방법에는 체액, 세포 또는 세포 추출물로부터 단백질을 검출 및/또는 측정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포함된다. 이같은 방법에는 웨스턴 블롯, 면역블롯,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 (ELISA), 방사선면역분석법 (RIA), 면역침전, 표면 플라즈몬 공명, 화학발광, 형광 편광, 인광, 면역조직화학적 분석법, 매트릭스-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시간 (MALDI-TOF) 질량 분광법, 미세세포계산법, 마이크로어레이, 현미경검사법,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 (FACS), 유동 세포분석법, 및 단백질 마이크로칩 또는 마이크로어레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같은 방법은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이오마커에 대한 항체가 당업계에서 생산되어 기술되어 있고, 바이오마커의 검출을 위한 다수의 분석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별법적으로, 당업계에 주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바이오마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쉽게 생산할 수 있다. 구절 "선택적으로 결합하는"은 한 단백질이 또다른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지칭하고 (예를 들어, 항원에 대한 항체, 이의 단편, 또는 결합 파트너), 이때 임의의 표준 방법 (예를 들어, 면역분석법)에 의해 측정 시 결합 수준은 분석법을 위한 배경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다. 예를 들어, 면역분석법을 수행하는 경우, 대조군은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만을 함유하는 반응 웰/튜브 (즉, 항원의 부재)를 전형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항원의 부재 하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의한 반응성 (예를 들어, 웰에 대한 비-특이적 결합)의 양이 배경인 것으로 간주된다. 효소 면역분석법 (예를 들어, ELISA, 면역블롯 분석법 등)을 포함하여 당업계에서 표준인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분석 키트에 유용한 항체에는 폴리클로날(polyclonal) 및 모노클로날(monoclonal) 항체, 2가 및 1가 항체, 이중-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이같은 항체를 함유하는 혈청, 다양한 정도로 정제된 항체, 및 전체 항체의 임의의 기능성 등가물 (예를 들어, Fv, Fab, Fab', 또는 F(ab)2 단편)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Aβ 펩티드는 1가지 이상의 상이한 "크기 형태"로 개체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크기 형태"가 또한 서로에 대해 검출 및 비교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단백질의 특정 크기 형태를 기준선 또는 대조군 샘플 내의 동일한 모이어티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개체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 내의 여러 Aβ 펩티드 또는 다른 상기 언급된 펩티드의 크기 형태들 중 임의의 것의 비율, 또는 프로파일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파일을 기준선 대조군으로부터의 것과 비교할 수 있다. 검출하는데 특히 유용한 Aβ 크기 형태 (모이어티)에는 아미노산 15개, 아미노산 40개, 아미노산 42개 또는 아미노산 43개의 길이를 갖는 APP의 절단 생성물이 포함된다. 단백질의 검출을 위한 다수의 상기 확인된 방법을 사용하여 크기 형태를 서로로부터 검출 및 구별할 수 있다.
바이오마커의 생물학적 활성 (예를 들어,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검출함으로써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를 또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물학적 활성"은 효소 활성; 또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수용체, 신호전달 단백질, 기질 등)에 대한 단백질의 결합; 단백질의 활성화; 세포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 및 바이오마커의 발현, 존재 또는 활성화의 결과로 발생하는 하류 생물학적 이벤트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본원에 기술된 바이오마커의 임의의 생물학적 작용을 지칭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이오마커의 생물학적 활성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결합 분석법, 효소 분석법, 및 인산화 분석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치료를 위해 개체를 진단하는 단계, 및/또는 치료 또는 프로토콜의 효율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여러 방법은 개체에서 검출된 바이오마커 (예를 들어,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PS1, 오메가-3 PUFA 및/또는 오메가-6 PUFA)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 또는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 또는 관련 장애와 관련된 특정 테스트의 결과를 바이오마커의 발현 또는 활성 또는 테스트 결과의 기준선 또는 대조군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선 수준"은 바이오마커의 발현 또는 활성 또는 테스트 결과의 대조군 수준이고,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이의 정상 수준 (예를 들어,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 또는 이와 관련된 용태에 걸리지 않은 개체에서 발견되거나 발견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오마커의 수준)이고, 이에 대해 바이오마커의 발현 또는 활성 (즉, 개체 샘플 내) 또는 테스트 결과의 테스트 수준이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마커 또는 테스트 결과의 대조군 또는 기준선 수준을 기초로, 평가될 샘플에서, 기준선 또는 대조군 수준과 비교하여, 바이오마커의 발현 또는 활성의 수준, 또는 테스트 결과가 측정가능하게 증가되었는지, 감소되었는지, 또는 실질적으로 변화가 없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선 수준과 관련되어 사용된 용어 "음성 대조군"은 바이오마커의 발현 또는 활성과 관련하여 또는 기능에 대한 특정 테스트의 결과와 관련하여 정상인 것으로 여겨지는 개체 또는 개체의 집단으로부터의 샘플에서 수립된 기준선 수준을 지칭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기준선은 치매 또는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기타 용태 및/또는 질환의 양성 진단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양성 대조군" 기준선으로 또한 지칭되는 이같은 기준선 수준은 대조군으로부터의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활성의 수준 또는 테스트 결과가 개체에서의 기능장애, 치매-전단계 또는 치매를 가리키는 바이오마커의 수준 또는 테스트 결과에 상응하는 것으로 여겨진 경우에 개체, 또다른 개체, 또는 개체의 집단으로부터의 샘플에서 수립된,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활성의 수준, 또는 테스트 결과를 지칭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개체의 바이오마커 또는 테스트 결과 상태를 경시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기준선 수준인 테스트될 개체로부터의 이전의 샘플로부터 수립될 수 있다.
바이오마커 또는 테스트 결과의 기준선 수준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은 샘플 유형, 샘플이 수득된 조직 또는 기관, 평가될 개체의 상태, 및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분석법의 초점 또는 목표 (예를 들어, 초기 진단, 모니터링)를 기초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샘플 또는 개체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방법과 동일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기준선 수준이 개체로부터 수득된 자가 대조군 샘플에서 수립된다. 자가 대조군 샘플은 단리된 세포의 샘플, 조직 샘플 또는 체액 샘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체액 샘플 (예를 들어, CSF 또는 혈액)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고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자가"는 평가될 샘플이 수득되는 개체와 동일한 개체로부터 샘플이 수득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조군 샘플이 평가될 샘플에 대한 최고의 가능한 기준선으로 기능하도록, 대조군 샘플은 평가될 샘플과 동일한 체액, 기관 또는 조직으로부터 수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개체로부터의 이전의 판독이 바이오마커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 진단으로 수립된 경우에 가장 종종 사용된다. 그후, 이러한 기준선을 사용하여, 질환 또는 용태를 향한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는 개체의 진전 중인 진행을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치료법 (예를 들어, PUFA 보충)의 성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새로운 샘플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예를 들어,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로 진단되지 않았지만, 질환의 징후를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건강한 개체에게 특히 유용한 연례 신체검사에서, 또는 개체를 치료하는 임상의에 의해 결정된 일정에서), 지방산 보충을 통한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를 각 시점에 결정한다. 첫번째 평가를 위해,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이 대리 대조군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원한다면 추가적인 테스트를 수행하여 바이오마커 또는 테스트 결과 및 치매-전단계 또는 치매의 지시와 관련하여 초기 음성 또는 양성 진단을 확인할 수 있고, 바이오마커 또는 테스트 결과의 이러한 수준을 이후에 기준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기준선 대조군은 "정상" 수준이 개체마다 상이할 수 있고/있거나 진단 시점에 자가 대조군 샘플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거나, 실용적이지 않거나 이롭지 않은 다른 임상 진단 절차에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바이오마커 또는 테스트 결과의 기준선 수준을 수립하는 또다른 방법은 대조군 대상이 바람직하게는 매칭된 개체의 집단인 경우에 대조군 샘플로부터의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대조군 대상으로부터의 테스트 결과의 기준선 수준을 수립하는 것이다. 대조군 샘플이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평가될 샘플 유형과 동일한 샘플 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절 "매칭된 개체"는 평가될 파라메터, 세포 유형, 조직 샘플, 또는 체액 샘플에 적절한 1가지 이상의 특징을 기초로 하는 대조군 집단의 매칭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성별, 연령, 인종, 또는 대조군 개체 및 개체의 기준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의의 관련된 생물학적 또는 사회학적 인자 (예를 들어, 선재(先在) 용태, 특정 물질의 소비, 기타 생물학적 또는 생리학적 인자의 수준)를 기초로 평가될 개체와 대조군 개체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개체의 혈액 내의 본원에 기술된 바이오마커의 수준이 소정의 분류의 개체에서 더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인 대 십대, 여성 대 남성).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대조군 또는 기준선 수준을 수립하기 위해, 다수의 매칭된 개체로부터의 샘플을 수득하고,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평가한다. 적절한 대조군 수준을 수립하기 위해 대조군 샘플이 수득되어야 하는 매칭된 개체의 수 (예를 들어, 집단)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평가될 개체 (즉, 테스트 개체)과의 비교를 위해 적절한 기준선이 수립되도록 통계적으로 적합하여야 한다. 대조군 샘플로부터 수득된 값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이같은 값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당업계에 표준인 방법을 사용하여 적절한 기준선 수준을 수립한다.
상기 기술된 것들과 같은 기준선은 명백하게 정상인 대조군 개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립된 기준선과 같이 음성 대조군 기준선일 수 있다. 별법적으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1가지 이상의 기준선 수준이 개체를 평가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수립될 수 있도록, 이같은 기준선은 비정상적인 수준의 바이오마커, 바이오마커에서의 기능장애,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가 있는 것으로 양성으로 진단된 개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립될 수 있다. 그후, 개체 샘플에서의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수준 또는 개체로부터의 테스트 결과를 각각의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여, 어떤 유형의 기준선 (양성 또는 음성)에 개체의 바이오마커 수준 또는 테스트 결과가 통계학적으로 가장 가까운지를 결정한다. 최상의 진단이 개체가 적어도 약간의 지방산 보충에 대한 필요성을 가리키는 기능장애를 나타내기 시작하고 있을 것이고 더 높은 단계로 진척되고 있는 중일 것이다라는 것이도록 소정의 개체 샘플이 기준선 수준들 사이에 속할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는 이같은 진척 중인 질환을 역행, 정정 또는 보상하는 것이다.
분석법 또는 평가가 수행될 때마다 각각의 분석법 또는 평가에 대해 기준선이 수립될 필요가 없고, 소정의 대조군 샘플에 대해 이전에 결정된 기준선 수준, 예컨대 임의의 상기 기술된 방법에 의해 수립된 기준선 수준에 관한 저장된 정보의 형태를 지칭함으로써 기준선이 수립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정될 것이다. 이같은 저장된 정보의 형태는, 예를 들어, "정상" (음성 대조군) 또는 양성 대조군에 관한 집단 또는 개체 데이타의 기준 차트, 목록 또는 전자 파일; 이전의 평가로부터의 개체 기록 데이타에 대한 의학 차트; 또는 개체가 진단 또는 평가되는데 유용한 기준선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활성 또는 테스트 결과에 관한 임의의 기타 데이타 공급원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개체 테스트 또는 개체 샘플로부터의 결과와 기준선 대조군(들)의 비교에서, 테스트 샘플에서 기준선 수준에 비해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이 측정가능하게 감소 또는 증가되었는지 여부, 또는 테스트 수준과 기준선 수준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단계 후에, 진단하거나, 개체를 치료하거나, 개체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개체의 추가적인 치료를 결정하는 최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여,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또는 PS1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수준 증가의 검출, 또는 평가될 샘플 (즉, 테스트 샘플)에서의 APP의 더욱 독성인 크기 형태의 Aβ로의 프로세싱 증가의 검출, 또는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 증상에서의 증가 또는 감퇴 없음의 검출, 또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의 양 감소의 검출은, 기준선 샘플 또는 기준선 결과와 비교하여 임의의 본원에서 논의된 질환 또는 용태 (예를 들어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개체에서 증가되었을 수 있거나 개체가 이에 걸렸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가리킨다. 기준선 샘플이 개체 (또는 집단 대조군)으로부터의 이전의 샘플 또는 평가이고, 개체에서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의 양성 진단을 나타내는 경우, 기준선과 비교하여 샘플 내의 증가된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검출 또는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감퇴,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에서의 증가 또는 감퇴 없음의 검출, 또는 감소된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의 검출은 개체의 용태가 개선되기보다는 악화되고 있고, 치료가 재평가 또는 조정되어야 함을 가리킨다.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여,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또는 PS1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정상적인 또는 건강한 양의 검출, 평가될 샘플 (즉, 테스트 샘플)에서의 APP의 덜 독성인 크기 형태로의 프로세싱의 검출, 또는 시냅스 기능장애 감소 또는 없음, 뇌 기능 감퇴 감소 또는 없음, 수초탈락 감소 및/또는 치매 증상 감소 또는 없음의 검출, 또는 정상적인 또는 증가된 수준의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의 검출 또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의 검출은, 기준선 샘플과 비교하여, 임의의 본원에서 논의된 질환 또는 용태에 걸릴 가능성이 개체에서 감소되었을 수 있거나 개체가 이에 걸리지 않았다는 것을 가리킨다. 기준선 샘플이 개체 (또는 집단 대조군)로부터의 이전의 샘플이고, 개체에서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의 양성 진단을 나타내는 경우 (즉, 양성 대조군), 기준선과 비교하여 샘플 또는 개체에서의 이러한 결과의 검출은 개체가 본원에서 논의된 질환 또는 용태에서의 개선을 겪고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기준선 샘플에서의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테스트 결과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은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활성의 검출, 또는 테스트 결과는, 기준선 샘플과 비교하여, 본원에서 논의된 질환 또는 용태에서의 차이가 개체에서 나타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기준선 샘플이 개체 (또는 집단 대조군)로부터의 이전의 샘플이고, 개체에서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의 양성 진단을 나타내는 경우 (즉, 양성 대조군), 기준선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은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활성의 검출 또는 테스트 결과는 개체에서 용태의 변화가 없는 것을 가리키고, 이는 임상의에게, 예를 들어, 현재 처방되고 있는 치료가 용태의 제어에 효과가 없음을 시사할 수 있다.
바이오마커의 발현 또는 활성의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여 또는 테스트 결과와 관련하여 변화의 진단을 수립하기 위하여,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활성의 수준 또는 테스트 결과 값이 수립된 기준선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으로 변화된다 (즉, 95% 이상의 신뢰 수준, 또는 p<0.05). 바람직하게는,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여,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테스트 결과 값에서의 약 5% 이상의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의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의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의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의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의 변화로 테스트 샘플과 기준선 샘플 간의 차이의 진단이 초래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여 샘플 내의 바이오마커 양, 발현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테스트 결과 값에서의 1.5배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배 이상의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배 이상의 변화,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배 이상의 변화,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4배 이상의 변화로 기준선 샘플과 비교하여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활성 또는 테스트 결과 값에서의 유의한 변화의 진단이 초래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투여 단계에 이어서 1회 이상 개체에서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PS1 단백질의 수준에 대한, 그리고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오메가-3 PUFA 및/또는 오메가-6 PUFA 수준에 대한 PUFA의 투여 효율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효율은 1가지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에서의 변화, 경도 인지 손상의 개선, 연령-관련 인지 감퇴의 개선, 및/또는 당업계에 공지되고 상기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기타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치료 효율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후속 치료에서 개체에게의 PUFA 투여를 조정하는 단계가 방법에 임의로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은 여러 상이한 용도를 갖는다. 첫번째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가장 이익을 얻을 것 같은 개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용태 (예를 들어, 신경학적 용태)가 있는 개체들의 더 큰 풀 내에서 과도한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또는 PS1 발현 또는 기능장애가 있는 개체의 부분집합을 진단 및 모니터링하는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은 인지 감퇴의 현성(顯性) 증상이 명백할 수 있기 전에, 치매 및 치매-전단계의 발달 초기에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PUFA 결핍증 (예를 들어, DHA, DPAn-6 및/또는 ARA 결핍증)이 있는 개체, 또는 개체에서의 PUFA 결핍증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개체를 진단 및 모니터링하는데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개체는 PUFA 결핍증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개체 또는 건강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PUFA 결핍증에 대한 관례적인 스크리닝을 받는 개체일 수 있다. 또한 개체는 이전에 PUFA 결핍증으로 진단되어 치료되었고, 현재 PUFA 결핍증의 재발에 대해 관례적인 감시 하에 있는 개체일 수 있다.
용어 "진단하다", "진단", "진단하는" 및 이의 변형은 질환 또는 용태를 이의 징후 및 증상을 기초로 확인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양성 진단"은 질환 또는 용태, 또는 질환 또는 용태가 발달될 가능성이 확인된 것을 가리킨다. 대조적으로, "음성 진단"은 질환 또는 용태, 또는 질환 또는 용태가 발달될 가능성이 확인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양성 진단의 경우에,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의 징후, PUFA 결핍증, 및/또는 APP, Aβ 펩티드, 타우 단백질, 인산화 타우 단백질, 및/또는 PS1의 비정상적인 양, 발현 및/또는 활성을 역행 또는 제거하는 치료가 개체에게 처방될 수 있다. 음성 진단 (즉, 음성 평가)의 경우, 개체에게 전형적으로 어떠한 치료도 처방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의 PUFA가 보충될 있지만, 바이오마커 또는 시냅스 기능장애, 뇌 기능, 수초탈락 및/또는 치매 증상의 지표의 수준을 다시 평가하기 위해 미래의 1회 이상의 시점에 개체가 재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의 이러한 특정 실시양태에 대한 기준선 수준은,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테스트 샘플과 동일한 신체 공급원 (즉, 동일한 조직, 세포 또는 체액)으로부터의 "정상적인" 또는 "건강한" 샘플을 전형적으로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용태와 관련하여 음성 진단이 제공된 개체에서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 또는 이의 증상 또는 지표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이오마커 수준)에 대한 치료의 성공 또는 성공 결여를 모니터링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의사 또는 관리 제공자가 소정의 용태에 대해 개체에게 제공되고 있는 치료 (예를 들어, PUFA 보충)의 성공 또는 성공 결여를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치료가 변형되어야 하는지 여부 (예를 들어, PUFA 보충이 증가, 감소,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의사가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 또는 이의 증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또다른 치료를 개체에게 제공하는 추가적인 단계가 방법에 포함된다.
바이오마커의 수준 또는 PUFA 조직 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또는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 또는 용태의 발병/발달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UFA(들)의 투여는 건강한 정상적인 개체, 뿐만 아니라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가 발달될 수 있거나, 치매 또는 치매-전단계에 걸린 개체 모두에게 약간의 이점 (예를 들어, 치료적 또는 건강 이점)을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치료 이점은 반드시 특정 질환 또는 용태에 대한 치유일 필요가 없고, 그보다는 질환 또는 용태의 완화, 질환 또는 용태의 제거, 질환 또는 용태와 관련된 증상의 감소, 질환, 용태 또는 증상의 발병 또는 증상의 발달의 지연, 1차 질환 또는 용태의 발생으로부터 초래되는 2차 질환 또는 용태의 예방 또는 완화, 및/또는 질환 또는 용태의 예방이 가장 전형적으로 포함되는 결과가 바람직하게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구절 "질환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질환 또는 용태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 질환 또는 용태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 질환 또는 용태의 발병 또는 발달을 지연시키는 것, 및/또는 질환 또는 용태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따라서, 개체를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질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예방적 처치) 및 질환에 걸린 개체를 치료하는 것 (치료적 처치) 모두가 포함된다. 이로운 효과는 당업자 및/또는 개체를 치료하는 숙련된 임상의에 의해 쉽게 평가될 수 있다. 용어 "질환"은 포유동물의 정상적인 건강으로부터의 임의의 탈선을 지칭하고, 질환 증상이 존재하는 단계, 뿐만 아니라 탈선이 발생하였지만 증상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양태는 개체에게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은 대부분의 진핵생물에서 막 지질의 중요한 성분이고 ([Lauritzen et al., Prog. Lipid Res. 40 1 (2001)]; [McConn et al., Plant J. 15, 521 (1998)]), 특정 호르몬 및 신호전달 분자의 전구체이다 ([Heller et al., Drugs 55, 487 (1998)]; [Creelman et al.,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8, 355 (1997)]).
본 발명에 따르면, PUFA는 탄소 사슬 길이가 16개 이상의 탄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18개 이상의 탄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의 탄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22개 이상의 탄소이고, 3개 이상의 이중 결합,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의 이중 결합이 있으며, 모든 이중 결합은 시스 입체형태인 지방산이다. 본원에서의 장쇄 다중불포화 지방산 (LCPUFA)에 대한 언급은 3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사슬 길이가 18개 이상의 탄소,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의 탄소인 지방산을 더욱 특히 지칭한다. 오메가-6 계열의 LCPUFA에는 감마-리놀렌산 (C18:3), 디-호모-감마리놀렌산 (C20:3n-6), 아라키돈산 (C20:4n-6), 아드렌산 (도코사테트라엔산 또는 DTA로 또한 칭해짐) (C22:4n-6), 및 도코사펜타엔산 (C22:5n-6)이 포함된다. 오메가-3 계열의 LCPUFA에는 알파-리놀렌산 (C18:3), 에이코사트리엔산 (C20:3n-3), 에이코사테트라엔산 (C20:4n-3), 에이코사펜타엔산 (C20:5n-3), 도코사펜타엔산 (C22:5n-3), 및 도코사헥사엔산 (C22:6n-3)이 포함된다. LCPUFA에는 C28:8(n-3)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22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 및 4개 이상의 이중 결합이 있는 지방산이 또한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지질"은 인지질 (PL); 유리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 트리아실글리세롤 (TAG); 디아실글리세리드; 모노아실글리세리드; 포스파티드; 왁스 (알콜 및 지방산의 에스테르); 스테롤 및 스테롤 에스테르; 카로티노이드; 잔토필 (예를 들어, 옥시카로티노이드); 탄화수소;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지질을 포함한다. 용어 "다중불포화 지방산" 및 "PUFA"는 유리 지방산 형태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컨대 TAG 형태 및 PL 형태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지방산, 특히 오메가-3 지방산 및 오메가-6 지방산의 블렌드를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PUFA에는 3개 이상의 이중 결합이 있는 오메가-3 및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된다. 오메가-3 PUFA는 최후의 에틸렌계 결합이 지방산의 말단 메틸기를 포함하여 이로부터 3개의 탄소인 폴리에틸렌계 지방산이고, 예를 들어, 도코사헥사엔산 C22:6(n-3) (DHA) 및 오메가-3 도코사펜타엔산 C22:5(n-3) (DPAn-3)을 포함한다. 오메가-6 PUFA는 최후의 에틸렌계 결합이 지방산의 말단 메틸기를 포함하여 이로부터 6개의 탄소인 폴리에틸렌계 지방산이고, 예를 들어, 아라키돈산 C20:4(n-6) (ARA); C22:4(n-6), 오메가-6 도코사펜타엔산 C22:5(n-6) (DPAn-6); 및 디호모감마리놀렌산 C20:3(n-6) (디호모 GLA)이 포함된다.
동물, 식물 및 미생물 공급원을 예를 들어 포함하여 PUFA의 임의의 공급원을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공급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PUFA의 임의의 공급원일 수 있다. 바람직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공급원에는 바이오매스(biomass) 공급원, 예컨대 동물, 식물 및/또는 미생물 공급원이 포함된다.
동물 공급원의 예로는 수생 동물 (예를 들어, 어류, 해양 포유류, 갑각류, 담륜충 등) 및 동물 조직 (예를 들어, 뇌, 간, 눈 등)으로부터 추출된 지질이 포함된다. 식물 공급원의 예로는 대형조류, 아마인, 평지씨, 옥수수, 달맞이꽃, 대두 및 지치(borage)가 포함된다. 미생물의 예로는 미세조류, 원생생물, 박테리아 및 진균류 (효모 포함)가 포함된다. 미생물 공급원, 예컨대 미세조류의 사용은 감각수용성(organoleptic)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즉, 미생물 공급원으로부터의 지방산은 어류 공급원으로부터의 지방산이 갖는 경향이 있는 어류의 맛 및 비린내가 없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쇄 지방산 공급원은 미세조류 또는 미세조류 오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이 장쇄 지방산의 공급원인 경우, 미생물이 발효기 내의 발효 배지에서 배양된다. 별법적으로, 미생물이 광생물반응기(photobioreactor) 또는 못에서 광합성적으로 배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은 지질-풍부 미생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은 미세조류, 박테리아, 진균류 및 원생생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은 황갈조류, 녹조류, 와편모조류, 효모, 모리티에렐라(Mortierella) 속의 진균류 및 스트라메노필레(Stramenopi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은 크립테코디니움(Crypthecodinium) 속 및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Thraustochytriales) 목의 미생물 및 모르티에렐라 속의 사상 진균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은 트라우스토키트리움(Thraustochytrium), 스키조키트리움(Schizochytrium), 울케니아(Ulkenia) 속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은 ATCC 번호 20888, ATCC 번호 20889, ATCC 번호 20890, ATCC 번호 20891 및 ATCC 번호 20892의 확인 특성을 갖는 미생물, 모르티에렐라 스크무케리(Mortierella schmuckeri) 및 모르티에렐라 알피나(Mortierella alpina)의 균주, 크립테코디니움 코흐니이(Crypthecodinium cohnii)의 균주, 임의의 상기의 것들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 균주,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같은 조류에 관한 정보는 거명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된 미국 특허 5,407,957, 5,130,242 및 5,340,59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해양 미세조류"는 해양 또는 염수 환경에서 서식할 수 있는 미세조류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해양 미세조류는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본원에서 트라우스토키트리드(Thraustochytrid)로 또한 지칭됨) 목의 미생물 및 라비린툴라레스(Labyrinthulales) (본원에서 라비린툴리드(Labyrinthulid)로 또한 지칭됨) 목의 미생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점에, 트라우스토기트리드의 분류학의 개정으로 라비린툴로이데스(Labyrinthuloides) 속이 라비린툴라세아에(Labyrinthulaceae) 과에 배치되었고,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아에(Thraustochytriaceae) 및 라비린툴라세아에의 두 과가 스트라메노필레 계통 내에 배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라비린툴라세아에가 때때로 라비린툴리드 또는 라비린툴라(labyrinthula), 또는 라비린툴로이데스(labyrinthuloides)로 통상적으로 칭해지고,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아에가 트라우스토키트리드로 통상적으로 칭해진다는 것을 주지한다. 라비린툴라세아에 과의 구성원이 이전에는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목의 구성원으로 간주되었지만, 현재 라비린툴라세아에 과는 라비린툴라레스 목의 구성원으로 간주되고, 라비린툴라레스 및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모두 라비린툴로미코타(Labyrinthulomycota) 문의 구성원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트라우스토키트리드"는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아 과를 포함하는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목의 임의의 구성원을 지칭하고, 용어 "라비린툴리드"는 라비린툴라세아에 과를 포함하는 라비린툴라레스 목의 임의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발전의 결과로 트라우스토기트리드의 분류학이 빈번하게 개정되었다. 분류학 이론가들은 일반적으로 트라우스토기트리드를 조류 또는 조류-유사 원생생물과 함께 배치한다. 그러나, 분류학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트라우스토기트리드로 본 발명에 기술된 균주가 하기의 생물을 포함하도록 간주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최상일 것이다: 목: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과: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아; 속: 트라우스토키트리움 (종: 아루디멘탈레(arudimentale), 아우레움(aureum), 벤티콜라(benthicola), 글로보숨(globosum), 킨네이(kinnei), 모티붐(motivum), 멀티루디멘탈레(multirudimentale), 파키데르뭄(pachydermum), 프로리페룸(proliferum), 로세움(roseum), 스트리아툼(striatum)), 울케니아 (어떤 이들은 기존에 트라우스토키트리움의 구성원으로 간주함) (종: 아모에보이데아(amoeboidea), 케르구엘렌시스(kerguelensis), 미누타(minuta), 프로푼다(profunda), 라디아타(radiata), 사일렌스(sailens), 사르카리아나(sarkariana), 스키조키트롭스(schizochytrops), 비수르겐시스(visurgensis), 요르켄시스(yorkensis)), 스키조키트리움 (종: 아그레가툼(aggregatum), 림나세움(limnaceum), 만그로베이(mangrovei), 미누툼(minutum), 옥토스포룸(octosporum)), 자포노키트리움(Japonochytrium) (종: 마리눔(marinum)), 아플라노키트리움(Aplanochytrium) (종: 할리오티디스(haliotidis), 케르구엘렌시스(kerguelensis), 프로푼다(profunda), 스톡키노이(stocchinoi)), 알토르니아(Althornia) (종: 크로우키이(crouchii)), 또는 엘리나(Elina) (종: 마리살바(marisalba), 시노리피카(sinorifica)).
라비린툴리드로 본 발명에서 기술된 균주에는 하기의 생물들이 포함된다: 목: 라비린툴라레스, 과: 라비린툴라세아에, 속: 라비린툴라(Labyrinthula) (종: 알게리엔시스(algeriensis), 코에노시스티스(coenocystis), 카토니이(chattonii), 마크로시스티스(macrocystis), 마크로시스티스 아틀란티카(macrocystis atlantica), 마크로시스티스 마크로시스티스(macrocystis macrocystis), 마리나(marina), 미누타(minuta), 로스코펜시스(roscoffensis), 발카노비이(valkanovii), 비텔리나(vitellina), 비텔리나 파시피카(vitellina pacifica), 비텔리나 비텔리나(vitellina vitellina), 좁피이(zopfii)), 라비린툴로이데스 (종: 할리오티디스(haliotidis), 요르켄시스(yorkensis)), 라비린토믹사(Labyrinthomyxa) (종: 마리나(marina)), 디플로프리스(Diplophrys) (종: 아르케리(archeri)), 피로소루스(Pyrrhosorus) (종: 마리누스(marinus)), 소로디플로프리스(Sorodiplophrys) (종: 스테르코레아(stercorea)) 또는 클라미도믹사(Chlamydomyxa) (종: 라비린툴로이데스(labyrinthuloides), 몬타나(montana)) (그러나, 현재 피로소루스, 소로디플로프리스 또는 클라미도믹사의 정확한 분류학적 배치에 대해 합의되지 않음).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유용한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적어도 약 10, 약 20, 약 30 또는 약 35 중량%), 도코사펜타엔산 (DPA, 바람직하게는 DPAn-6; 적어도 약 5, 약 10, 약 15, 또는 약 20 중량%), 및/또는 아라키돈산 (ARA; 적어도 약 20, 약 30, 약 40 또는 약 50 중량%)을 포함한다. 기타 PUFA는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을 포함할 수 있다. PUFA는 유리 지방산 및 PUFA 잔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인지질; 지방산의 에스테르; 트리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리드; 모노아실글리세리드; 리소인지질; 포스파티드 등 포함)을 포함한다.
인지질의 공급원에는 가금류 알, 강화 가금류 알, 조류, 어류, 어란, 및 유전자 조작 (GE) 식물 종자 또는 미세조류가 포함된다. DHA를 포함하는 PUFA의 특히 바람직한 공급원에는 어유, 해양 미세조류, 및 식물성 오일 (유전자 조작된 미세조류 및 식물로부터의 오일 포함)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PUFA, DHA의 바람직한 전구체에는 α-리놀렌산 (LNA);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도코사펜타엔산 (DPA); LNA, EPA, 및/또는 DPA의 블렌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 기술된 보충물 및 치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장쇄 지방산은 형태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이같은 형태에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PUFA를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PUFA를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 단백질 및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의 조합물, PUFA를 포함하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 PUFA를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PUFA의 에스테르, 유리 지방산, PUFA와 또다른 생활성 분자의 접합체, 및 이의 조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쇄 지방산은, 예컨대 공급원의 블렌딩, 정제, 강화 및 유전자 조작에 의해, 지방산의 천연 공급원에서 발생하는 양 또는 비율과 상이한 양 및/또는 비율로 제공될 수 있다. 생활성 분자에는 단백질, 아미노산 (예를 들어 천연 발생 아미노산 예컨대 DHA-글리신, DHA-라이신, 또는 아미노산 유사체), 약물, 및 탄수화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요된 형태는 관능적 품질이 높은 식품, 식이 보충물 및 제약 작용제의 제형에서 유연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현재 입수가능한 미세조류 오일은 약 40%의 DHA를 함유한다. 이러한 오일을 에스테르 형태로 변화시키고, 분자 증류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DHA 함량을 70% 이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이는 한정된 알맞은 알약 크기의 식이 보충물 또는 유아용 식품과 같이 크기 제한이 있는, 즉 1회 분량(serving size)이 작은 제품에서 유용할 수 있는 농축 제품을 제공한다. 오일 및 인지질 조합물의 사용은 미세조류 오일의 산화 안정성, 따라서 관능적 및 영양학적 품질을 증강시키는 것을 돕는다. 산화적 파괴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PUFA의 영양학적 및 관능적 품질을 손상시킨다. 인지질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인 경우보다, 원하는 PUFA가 더욱 안정적이고, 지방산이 더욱 생체이용가능하다. 미세조류 오일이 전형적인 어유보다 더욱 안정적이지만, 양쪽 모두 산화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산화적 분해는 이러한 지방산의 영양학적 가치를 감소시킨다. 추가적으로, 산화된 지방산은 좋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 안정적인 지방산 시스템인 인지질 DHA/DPA/ARA/디호모-GLA의 사용은 이러한 보충물의 영양학적 가치 및 건강을 증강시킨다. 또한 인지질은 트리글리세리드 오일보다 수성 시스템 내로 블렌딩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단백질 및 인지질 조합물의 사용은 단백질 및 지방산 모두가 제공되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 더욱 복합적인 식품이 제형되도록 한다. 건식 해양 미세조류의 사용은 내부의 오일에 고온 안정성을 제공하고, 고온에서 구워지는 식품의 제형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원하는 인지질의 공급원에는 DHA, DPA, ARA 및/또는 디호모-GLA가 풍부한 영양 보충물의 제조를 위해 프리올렉스(Friolex) 공정 및 인지질 추출 공정 (PEP) (또는 관련 공정)을 통해 제조된 알, 식물성 오일 및 동물 기관으로부터의 정제된 인지질이 포함된다. 프리올렉스 및 PEP, 및 관련 공정은 발명의 영문 명칭이 "Method for the Fractionation of Oil and Polar Lipid-Containing Native Raw Materials"인 PCT 특허 PCT/IB01/00841 (2001년 4월 12일 출원, WO 01/76715로 2001년 10월 18일 공개됨); 발명의 영문 명칭이 "Method for the Fractionation of Oil and Polar Lipid-Containing Native Raw Materials Using Alcohol and Centrifugation"인 PCT/IB01/00963 (2001년 4월 12일 출원, WO 01/76385로 2001년 10월 18일 공개됨); 및 발명의 영문 명칭이 "Process For Extracting Native Products Which Are Not Water-Soluble From Native Substance Mixtures By Centrifugal Force"인 PCT/DE95/01065 (1995년 8월 12일 출원, WO 96/05278로 1996년 2월 22일 공개됨)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거명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원하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인지질과 조합된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인지질 단독, 단백질 및 인지질 조합물, 또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는 DHA 및/또는 DPAn-3 및/또는 DPAn-6 및/또는 ARA 및/또는 디호모-GL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 잔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원하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인지질과 조합된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인지질 단독, 단백질 및 인지질 조합물, 또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는 DHA, ARA 및/또는 DPA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 잔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원하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인지질과 조합된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인지질 단독, 단백질 및 인지질 조합물, 또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는 DHA 및 DPA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 잔기를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원하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인지질과 조합된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인지질 단독, 단백질 및 인지질 조합물, 또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는 DHA의 지방산 잔기를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원하는 PUFA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제된 조류 오일, 인지질과 조합된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인지질 단독, 단백질 및 인지질 조합물, 또는 건식 해양 미세조류는 DPAn-6의 지방산 잔기를 포함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가는 PUFA의 이러한 조합이 DH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에 비해 놀라운 뜻밖의 이점을 전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DPAn-6 및 DHA의 조합물이 DH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 또는 DHA를 다른 오메가-6 PUFA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에 비하여 어떠한 이점을 전달할 것이라는 것은 뜻밖이다. 이는 불충분한 식이성 DHA가 소비되었을 때 조직에서의 DPAn-6의 역할이 상승하기 때문에 놀랍다. DHA-결핍 동물의 조직에서의 DPAn-6 상승은 차선의 조직 기능과 종종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DPAn-6과 조합된 충분한 식이성 예비형성 DHA가 제공된 동물에서 조직 내의 DPAn-6 수준이 단독 DHA를 먹인 동물과 비교하여 상당히 증가하였고, ARA 수준이 우수하였다. 혈액 DHA 및 ARA 수준이 더 높은 동물은 독성 아밀로이드 펩티드로의 APP의 절단과 관련된 단백질인 PS-1이 더 많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DPAn-6과 조합된 충분한 식이성 예비형성 DHA가 제공된 동물에서 치매 환자에서의 신경섬유 얽힘의 발달과 관련된 인산화 타우 수준이 감소하였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약 30% 이상, 약 35% 이상, 약 40% 이상, 약 45% 이상, 약 50% 이상, 약 55% 이상, 약 60% 이상, 약 65% 이상, 약 70% 이상, 약 75% 이상, 또는 약 80% 이상의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또는 제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일 또는 제형 내의 DHA 대 DPAn-6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10:1 사이, 또는 1:1 및 10:1 사이의 임의의 비율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다시, 본 발명가는 DHA 및 ARA의 조합물이 DH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에 비해 놀라운 뜻밖의 이점을 전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ARA 및 DHA의 조합물이 DH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 또는 DHA를 ARA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오메가-6 PUFA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에 비하여 어떠한 이점을 전달할 것이라는 것은 뜻밖이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혈액 DHA 및 ARA 수준이 더 높은 동물이 독성 아밀로이드 펩티드로의 APP의 절단과 관련된 단백질인 PS-1이 더 많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놀랍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약 30% 이상, 약 35% 이상, 약 40% 이상, 약 45% 이상, 약 50% 이상, 약 55% 이상, 약 60% 이상, 약 65% 이상, 약 70% 이상, 약 75% 이상, 또는 약 80% 이상의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또는 제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HA 대 ARA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10:1 사이, 또는 1:1 내지 10:1 사이의 임의의 비율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ARA 및 DPAn-6의 조합물을 포함하고, 이는 상기 논의된 이유로 인해 DH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에 비해 놀라운 뜻밖의 이점을 전달할 것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약 30% 이상, 약 35% 이상, 약 40% 이상, 약 45% 이상, 약 50% 이상, 약 55% 이상, 약 60% 이상, 약 65% 이상, 약 70% 이상, 약 75% 이상, 또는 약 80% 이상의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또는 제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HA 대 ARA 대 DPAn-6의 비율은 약 1:1:1 내지 약 10:1:1 사이, 또는 1:1:1 내지 10:1:1 사이의 임의의 비율이다.
바람직하게는 1일 PUFA 섭취량은, 0.005 증분 단위의 중간의 모든 증분 (예를 들어, 0.025, 0.030, 0.035 등)을 포함하여, 하루에 약 0.025 ㎎ 내지 약 15 g 범위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0.01 ㎎ 단위의 중간의 모든 증분 (예를 들어, 0.06 ㎎, 0.07 ㎎ 등)을 포함하여 개체의 체중 1 ㎏ 당 약 0.05 ㎎의 PUFA 내지 개체의 체중 1 ㎏ 당 약 200 ㎎ 이상의 PUFA의 투여량으로, 또는 대상 당 하루에 약 50 ㎎ 내지 약 20,000 ㎎ 사이의 범위의 양으로 투여된다 (예를 들어, 경구, 주사, 에멀션 또는 완전 비경구 영양, 국소, 복강내, 태반, 경피, 또는 두개내 전달에 의해).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약 0.45 ㎎ PUFA/체중 ㎏/일 내지 약 275 ㎎ PUFA/체중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0.005 증분 단위의 중간의 모든 증분 (예를 들어, 0.025, 0.030, 0.035 등)을 포함하여 약 0.025 ㎎ PUFA/체중 ㎏/일 내지 약 275 ㎎ PUFA/체중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PUFA는 약 0.05 ㎎ PUFA/체중 ㎏/일 내지 약 275 ㎎ PUFA/체중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전형적인 캡슐 DHA 보충물이, 예를 들어, 캡슐 당 100 ㎎ 내지 200 ㎎ 용량으로 생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캡슐 형태 또는 이러한 양의 DHA 또는 또다른 PUFA를 함유하는 캡슐에 한정되지 않는다.
DHA와 같은 지방산이 국소적으로 또는 주사물로서 투여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 투여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예를 들어, PUFA)은 영양 보충물 및/또는 식품 및/또는 제약 제형 및/또는 음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품, 음료, 및/또는 영양 보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품 및 음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품의 형태로 개체에게 투여된다. 바람직한 식품 유형은 의료용 식품 (예를 들어, 의사의 감독 하에 외부적으로 소비 또는 투여되는 제형이고, 인정된 과학적 원리를 기초로 특유의 영양학적 요구가 의학적 평가에 의해 수립된 질환 또는 용태의 특이적 식이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이다. 유아용으로, 지방산은 유아용 조제분유, 이유식, 병에 담긴 아기용 식품, 및 유아용 시리얼로 유아에게 투여된다.
임의의 생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투여 형태, 및 이의 조합이 본 발명의 주제에 의해 구현된다. 이같은 투여 형태의 예로는 씹을 수 있는 정제, 급속 용해 정제, 기포성 정제, 재구성성 분말, 엘릭시르, 액체, 용액, 현탁액, 에멀션, 정제, 다층 정제, 이층 정제, 캡슐, 연질 젤라틴 캡슐, 경질 젤라틴 캡슐, 캐플릿, 로젠지, 씹을 수 있는 로젠지, 비드, 분말, 과립, 입자, 미세입자, 분산성 과립, 카세, 관주액, 좌약, 크림, 국소작용제, 흡입제, 에어로졸 흡입제, 패치, 입자 흡입제, 이식물, 데포 이식물, 섭취물, 주사제, 주입물, 헬스 바, 당제, 시리얼, 시리얼 코팅물, 식품, 영양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조합물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투여 형태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PUFA가 강화된 식품은 제과제빵류 및 믹스; 츄잉검; 아침식사용 시리얼; 치즈 제품; 견과류 및 견과류를 기초로 하는 제품; 젤라틴, 푸딩, 및 소(filling); 동결 유제품; 유제품; 유제품 유사물; 연질 캔디; 수프 및 수프 믹스; 스낵 식품; 가공 과일 쥬스; 가공 채소 쥬스; 지방 및 오일; 어류 제품; 식물성 단백질 제품; 가금류 제품; 및 육류 제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치매에 걸렸거나 치매가 발달될 위험이 있는 개체에서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1가지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 화합물과 함께 상당량의 1가지 이상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및/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HA, DPAn-6, 또는 DPAn-6 및 DHA의 조합물이 적어도 30% 이상인 DPAn-6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이 적어도 30% 이상인 DPAn-6,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PUFA는 ARA 및 DHA의 조합물이 적어도 30% 이상인 ARA 및 DHA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치료 화합물은 임의의 본원에서 논의된 용태 또는 질환에 대해 개체를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치료제를 포함하고, 단백질, 아미노산, 약물, 기타 천연 제품 및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은 치료 화합물은 치료되는 특정 질환 또는 용태에 대해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형에 포함되는 일부 바람직한 치료 화합물에는 타크린(Tacrine) (COGNEX); 도네페질(Donepezil) (ARICEPT);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EXELON); 갈란타민(Galantamine) (REMINYL); 메만틴(Memantine) (AKATINOL); 네오트로핀(Neotropin); 누트로픽(Nootropic); 알파-토포페롤(Alpha-tocopherol) (비타민 E); 셀레질린(Selegeline) (ELDEPRYL);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 은행(Gingko biloba); 에스트로겐; β-분비효소 억제제; 뇌 내의 플라크를 용해시키는 백신 (액체 또는 리포솜-기재 백신 포함); B 복합 비타민; 칼슘 채널 차단제; HMG CoA 환원효소 억제제; 스타틴; 폴리코사놀; 피브레이트; 클리오퀴놀(Clioquino); 및 기타 천연 제품 (예를 들어, 쿠르쿠민, 리그난, 식물성 에스트로겐, 식물성 스테롤, 니아신, 및 비타민 보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투여량 및 투여 경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건대 조성물의 성분들을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적절한 전달 형태로 조합시킴으로써, 임의의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영장류, 가축 및 애완동물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척추동물 강, 포유류의 구성원인 개체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더욱 전형적으로, 개체는 인간 개체일 것이다. 용어 "개체"는 용어 "대상" 또는 "환자"와 상호교환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또는 방법의 대상을 지칭한다. 따라서, 개체는 건강한 정상적인 (질환에 걸리지 않은) 개체, 뿐만 아니라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치매-전단계 또는 치매 또는 이의 증상 또는 지표가 있거나 이들이 발달될 위험이 있는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하기의 재료 및 방법이 하기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3XTg-AD 마우스의 생성
3XTg-AD 마우스의 생성이 [Oddo, "Triple-transgenic Model of Alzheimer's Disease with Plaques and Tangles: Intracellular Aβ and Synaptic Dysfunction," Neuron, Vol. 39, 409-21 (2003)]에 기술되어 있다. 간략하게, 스웨덴식 이중 돌연변이 (KM670/671NL)가 있는 인간 APP (695 이소형) cDNA를 Thy1.2 발현 카세트의 엑손 3 내로 서브클로닝하였다. P30IL 돌연변이가 있는 아미노 말단 삽입물 (4R0N)이 없는 인간 4-반복 타우를 또한 Thy1.2 발현 카세트 내로 서브클로닝하였다. 제한 절단으로 트랜스진을 유리시킨 후, 각각의 단편을 수크로스 구배 분획화에 의해 정제하고, 이어서 주입 완충제 (10 mM 트리스(Tris) [pH 7.5], 0.25 mM EDTA) 내에서 하룻밤 동안 투석하였다. 등몰량의 각각의 구축물을 동종접합성 PS1M146V 녹인(knockin) 마우스로부터 수확된 단일 세포 배아의 전핵 내로 공동-미세주입하였다 ([Guo et al., Arch. Pathol. Lab. Med. 125, 489-492(2001)]). PS1 녹인 마우스는 하이브리드 129/C57BL6 배경으로서 원래 생성되었다.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기존에 기술된 바와 같이 꼬리 DNA의 서던 블롯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Sugarman et al. Natl. Acad. Sci 99, 6334-6339 (2002)]). 시조 마우스를 어버이 PS1 녹인 마우스와 역교배시켰다.
식이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모든 마우스들에게 3개월령에 시작하여 6개월령, 9개월령 또는 12개월령에 실험이 완결될 때까지 실험 식이를 제공하였다. 식이 제형은 5% 전체 지방을 함유하는 AIN-76 설치류 식이였다. 각각의 식이의 표적 지방산 조성이 표 1에 기술되고, 이는 표 2에 개요된 바와 같이 식물성 및 미세조류 오일의 조합물을 블렌딩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연구가 처음에 맹검 방식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식이를 하기와 같이 색깔로 암호화하였고, 이는 일부 표 및 도면에서 참조된다: 청색 식이 (옥수수/대두); 황색 식이 (DHASCO®; DHA-보충 식이, 또는 DHA-강화 식이로 또한 알려짐); 녹색 식이 (DHA™-S; DHA- 및 DPAn-6-보충 식이 또는 DHA- 및 DPAn-6-강화 식이로 또한 알려짐); 및 적색 식이 (DHASCO®/ARASCO®; DHA- 및 ARA-보충 식이 또는 DHA- 및 ARA-강화 식이로 또한 알려짐). 총괄적으로, DHASCO®, DHA™-S, 또는 DHASCO®/ARASCO®를 함유하는 식이가 미세조류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로 지칭될 수 있다.
DHASCO®은 다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함유하는 크립테코디니움 코흐니이로부터 유래된 오일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의 대략적인 대표적인 양 (전체 지방산의 백분율)의 지방산들을 함유한다: 미리스트산 (14:0) 10-20%; 팔미트산 (16:0) 10-20%; 팔미톨레산 (16:1) 0-2%; 스테아르산 (18:0) 0-2%; 올레산 (18:1) 10-30%; 리놀레산 (18:2) 0-5%; 아라키드산 (20:0) 0-1%; 베헨산 (22:0) 0-1%; 도코사펜타엔산 (22:5) 0-1%; 도코사헥사엔산 (22:6) (DHA) 40-45%; 네르본산 (24:1) 0-2%; 및 기타 0-3%.
DHA™-S (이전에는 DHASCO®-S로 또한 지칭됨)는 다량의 DHA를 함유하고 도코사펜타엔산 (n-6) (DPAn-6)을 또한 함유하는 트라우스토키트리드, 스키조키트리움 종으로부터 유래된 오일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의 대략적인 대표적인 양 (전체 지방산의 백분율)의 지방산들을 함유한다: 미리스트산 (14:0) 8.71%; 팔미트산 (16:0) 22.15%; 스테아르산 (18:0) 0.66%; 리놀레산 (18:2) 0.46%; 아라키돈산 (20:4) 0.52%; 에이코사펜타엔산 (20:5, n-3) 1.36%; 도코사펜타엔산 (22:5, n-6) (DPAn-6) 16.28%; 도코사헥사엔산 (DHA) (22:6, n-3) 41.14%; 및 기타 8%.
ARASCO®은 다량의 아라키돈산 (ARA)을 함유하는 모르티에렐라 알피나로부터 유래된 오일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의 대략적인 대표적인 양 (전체 지방산의 백분율)의 지방산들을 함유한다: 미리스트산 (14:0) 0-2%; 팔미트산 (16:0) 3-15%; 팔미톨레산 (16:1) 0-2%; 스테아르산 (18:0) 5-20%; 올레산 (18:1) 5-38%; 리놀레산 (18:2) 4-15%; 리놀렌산 (18:3) 1-5%; 아라키드산 (20:0) 0-1%; 에이코사트리엔산 (20:3) 1-5%; 아라키돈산 (20:4) (ARA) 38-44%; 베헨산 (22:0) 0-3%; 도코사펜타엔산 (22:5) 0-3%; 및 리그노세르산 (24:0) 0-3%.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모든 식이는 100 g의 사료 당 50 g의 지방을 함유하였다. 각각의 DHA-함유 식이는 100 g의 사료 당 1.3 g의 DHA를 함유하였고, n-6 대 n-3 지방산이 비율이 약 10:1인 대조군 식이와 비교하여 n-6 대 n-3 지방산이 비율이 약 1:1이었다. 포화 지방산, 단일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백분율은 식이 전체에 걸쳐 등가였다. 전체 단백질 (20%) 및 탄수화물 (66%)의 양, 뿐만 아니라 전체 에너지 (3.9 kcal/gm) 또한 전체 식이에 걸쳐 등가였다.
ELISA 및 면역블롯
Aβ ELISA를 본질적으로 기존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Suzuki et al., Science 264, 1336-1340 (1994)]). 면역블롯을 위해, 트랜스제닉 마우스 및 대조군 마우스로부터의 뇌를 완전 미니 프로테아제 억제제 정제 (Roche 1836153)가 보충된 0.7 ㎎/㎖ 펩스타틴(Pepstatin) A를 함유하는 H2O 내의 2% SDS의 용액에서 다운스 균질화시켰다. 균질화된 믹스를 간략하게 초음파처리하여 DNA를 전단시키고, 4℃에서 1시간 동안 100,000 ×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면역블롯 분석에 사용하였다. 단백질을 환원 조건 하에 SDS/PAGE (Invitrogen으로부터의 10% 비스-트리스(Bis-Tris))에 의해 분리시키고,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옮겼다. 막을 무지방 밀크의 5% 용액에서 1시간 동안 2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차 항체와 함께 4℃에서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블롯을 트윈(Tween)-TBS에서 20분 동안 세정하고, 2차 항체와 함께 2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블롯을 T-TBS에서 20분 동안 세정하고, 20℃에서 2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블롯을 T-TBS에서 20분 동안 세정하고, 5분 동안 수퍼 시그널(Super Signal) (Pierce)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생화학적 마커
Aβ 측정: Aβ의 다양한 종 (예를 들어 Aβ40 대 Aβ42; 가용성 대 불용성 Aβ) ([Oddo et al., 2003])에 대한 DHA의 효과의 정량적 데이타를 수득하였다. DHA로 치료된 마우스의 뇌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단백질을 사용하여 가용성 및 불용성 단백질 추출물을 생성시키고, 샌드위치 ELISA에 의해 분석하였다. 웨스턴 블롯을 사용하여 APP 완전단백질(holoprotein), C99/C83 단편, 및 sAPPα의 정류 상태 수준을 측정하여, 이러한 바이오마커에 대한 DHA의 효과를 결정하였다.
타우 과인산화: 3xTg-AD 마우스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질 및 해마에 은친화성 및 실모양의 타우 면역반응성 뉴런 함유물(inclusion)이 축적되기 때문에 ([Oddo et al., 2003]), 타우 과인산화에 대한 DHA의 효과가 기능성 바이오마커로서 측정되었다. 이는 과인산화된 타우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예컨대 AT8, AT100, 또는 PHF1)로의 정량적 웨스턴 블롯팅으로 달성되었다
뇌를 피질, 해마 및 소뇌로 절개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전체 플라크 및 얽힘, 및 또한 미세아교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포르말린-고정되고 파라핀에 매입된 뇌를 5 ㎛로 구획화하고, 실란-코팅된 슬라이드 상에 마운팅하고,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Aβ (1-40, 1-42 및 올리고머성) 및 인산화된 형태의 타우에 대한 다양한 항체를 사용하여, 플라크 및 얽힘을 뇌 내에서의 위치 및 중증도에 대해 가시화시켰다. 또한, CD45와 같은 항체를 사용하여 미세아교 활성화에 대해 염색하여, 플라크 및 얽힘이 여전히 면역 응답을 개시시키는지를 결정하였다. 하기의 항체를 사용하였다: 항-Aβ 6E10 및 4G8 (Signet Laboratories, Dedham, MA), 항-Aβ 1560 (Chemicon), A11 ([Kayed et al, 2003]), 항-APP 22C11 (Chemicon), 항-타우 HT7, AT8, AT180 (Innogenetics), 타우 C17 (Santa Cruz), 타우 5 (Calbiochem), 항-GFAP (Dako) 및 항-액틴 (Sigma). 1차 항체를 GFAP에 대해 1:3000; 6E10에 대해 1:1000; 1560, AT8, AT180, 및 타우5에 대해 1:500; HT7에 대해 1:200의 희석물로 적용하였다.
뇌 전체 지질 추출
분석할 때까지 뇌를 -80℃에서 유지시켰다. 뇌를 동결-건조시키고, 지질을 항산화제로서의 0.5% BHT가 있는 2:1 (v/v) 클로로포름:메탄올 4 ㎖에 추출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초음파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고체를 펠렛화시켰다.
지방산 분석
전체 뇌 지질 분석
1.2 ㎎의 뇌 지질 추출물을 뇌 전체 지방산에 대해 분석하였다. 뇌 전체 지질을 14% BF3/메탄올로 100℃에서 30분 동안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FAME)로 전환시켰다 ([Morrison, W.R. and Smith, L.M. (1964) J Lipid Res. 5:600-8]).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을 비누화 전에 첨가하고, 모든 샘플을 공정 전반에 걸쳐 N2로 퍼징(purging)하여, 산화를 최소화시켰다. FAME 분석 전에 내부 표준으로서 트리코사노익 유리 지방산 (23:0)을 각각의 샘플에 첨가하였다.
뇌 인지질 분석
뇌 포스파티딜콜린 (PC), 포스파티딜세린 (PS),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을 [Gilfillan et al (1983), J Lipid Res. 24: 1651-1656]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시켰다. 0.25 ㎜ 두께의 20 × 20 ㎝ K 실리카 젤 플레이트 (Whatman, Clifton, NJ)를 60분 동안 100℃ 오븐에서 활성화시켰다. 전체 뇌 추출물의 샘플 (0.6 ㎎)을 플레이트 상에 스폿팅(spotting)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페트롤륨 에테르:아세트산:붕산 40:20:30:10:1.8 (v/v/v/v/w)을 사용하여 TLC 챔버 내에서 전개시켰다.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최상부의 1 ㎝ 이내까지 전개시켰다. 플레이트에 아세트산구리를 분무하여 밴드를 가시화시켰다. PC, PS 및 PE 밴드를 시험관 내로 스크레이핑하고, 지질을 14% BF3/메탄올로 100℃에서 30분 동안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FAME)로 전환시켰다 ([Morrison and Smith, 1964, 상기 문헌]).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을 비누화 전에 첨가하고, 모든 샘플을 공정 전반에 걸쳐 N2로 퍼징하여, 산화를 최소화시켰다. FAME 분석 전에 내부 표준으로서 트리코사노익 유리 지방산 (23:0)을 각각의 샘플에 첨가하였다.
적혈구 분석
전체 지질을 [Bligh, E.G. and Dyer, W.J. (1959), Can. J. Biochem. Physiol. 37:911]의 방법을 사용하여 400 ㎕ 농축 적혈구 (RBC)로부터 추출하였다. 추출 전에 내부 표준으로서 트리코사노익 유리 지방산 (23:0)을 각각의 샘플에 첨가하였다. RBC 지질을 0.5 N 메탄올성 수산화나트륨으로 비누화시키고, 지방산을 14% BF3/메탄올로 100℃에서 30분 동안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FAME)로 전환시켰다 ([Morrison and Smith, 1964, 상기 문헌]).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을 비누화 전에 첨가하고, 모든 샘플을 공정 전반에 걸쳐 N2로 퍼징하여, 산화를 최소화시켰다.
기체 크로마토그램 분석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FAME)를 불꽃 이온화 검출기가 장착된 휴렛 팩커드(Hewlett Packard) 6890을 사용하여 G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할 비율 48:1 및 20:1로 유속 2.1 ㎖/분의 헬륨을 사용하여 30 미터 FAMEWAX 모세관 컬럼 (Restek, Bellefonte, PA; 0.25 ㎜ 직경, 0.25 ㎜ 코팅 두께) 상에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분리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프 실행 파라메터에는 130℃에서 시작되어 6℃/분으로 225℃까지 증가되고, 이 온도에서 20분 동안 유지된 후, 15℃/분으로 250℃까지 증가되어, 최종적으로 5분 동안 유지되는 오븐 온도가 포함되었다. 주입기 및 검출기 온도는 각각 220℃ 및 230℃로 일정하였다. NuCheck Prep (Elysian, MN, U.S.A)으로부터의 외부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표준 혼합물과의 체류 시간의 비교에 의해 피크가 확인되었다. 지방산 프로파일이 지방산의 전체 ㎎의 백분율 (중량%)로 표현되었다.
실시예 1
하기의 실시예는 알츠하이머병의 신규 삼중 트랜스제닉 마우스 모델 (3xTg-AD)에서 질환의 병리생리학적 증상의 발병 또는 중증도를 조정하는 식이성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도코사헥사엔산 (DHA; 22:6 n-3), 도코사펜타엔산 (DPAn-6; 22:5 n-6), 또는 아라키돈산 (ARA; 20:4 n-6)의 잠재력의 평가를 기술한다.
동종접합성 3x-Tg-AD 마우스의 군에게 재료 및 방법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표 1 및 2 참조), DHA를 함유하는 식이, DHA 및 DPAn-6을 함유하는 식이, DHA 및 ARA를 함유하는 식이, 또는 이러한 PUFA가 결핍된 식이 (대조군)의 4가지 식이 중 1개를 급식하였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재료 및 방법에서의 식이의 논의 참조), 3가지의 실험 식이는 유사한 양의 DHA, 및 n-6 공급원으로서의 리놀레산, DPAn-6 또는 ARA를 함유하였다. 이러한 마우스에서의 병리학적 발달을 관찰함으로써 대조군 및 PUFA-보충 식이의 치료적 이점을 여러 치료 시점 후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개월령에 시작하여, 3xTg-AD 마우스에게 표 1 및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규정 식이를 12개월령까지 급식하였다. 각각의 식이는 기준 번호를 함유하였고, 식이 내에 함유된 실험 화합물의 수준에 관한 정보 없이 색으로 암호화되었다. 저장된 식이를 연구 전반에 걸쳐 0℃에서 유지시켰다. 3개월령 동물에서의 실험의 개시를 선택하여, Aβ 및 타우 신경병리학의 출현 전에 실험 식이로 치료하면서 마우스의 정상적인 성장 및 발육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6개월령, 9개월령, 또는 12개월령에 치료를 중단하고, 전체 APP,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 플라크 갯수, 플라크 크기, 및 APP 절단 효소 (알파 및 베타 분비효소, 프레세닐린-1)의 수준을 포함하여 뇌 및 혈액에 대한 다양한 신경병리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뇌 및 혈액 전체 지방산 및 뇌 인지질을 또한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점에, 완전한 신경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6마리 이상의 마우스로부터의 뇌 및 뇌척수액 (CSF)에 대해 완료하여, 유효한 통계학적 분석을 제공하였다. 혈액을 수집하여 적혈구 펠렛 및 혈청으로 가공하고, -80℃에서 저장하였다. 각각의 식이 군으로부터의 추가적인 6마리의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혈액 및 뇌 절편을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동결 운송하였다. 마우스가 6개월령, 9개월령, 및 12개월령일 때의 3가지 시점에 신경병리학 및 면역조직화학을 평가하였다.
표 3은 상기 기술된 PUFA-함유 식이를 급식한지 3개월, 6개월, 및 9개월 후의 평균 체중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수컷 및 암컷 마우스의 평균 체중이 3개월, 6개월 또는 9개월의 식이 치료 간에 다르지 않았다. 연구 기간 전반에 걸쳐 마우스가 계속 성장하였고 모든 식이 상에서 건강하게 유지되었다.
지방산 분석 결과
도 1A-C는 식이 치료 3개월 (도 1A; n=6), 6개월 (도 1B; n=6), 또는 9개월 (도 1C; n=6) 후의 4가지 식이 치료 군의 전체 뇌 균질화물 지방산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값들은 전체 뇌 지방산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도 2A-2C는 3개월 (도 2A), 6개월 (도 2B), 또는 9개월 (도 2C) 후의 4가지 식이 치료 군의 적혈구 균질화물 지방산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값들은 전체 적혈구 지방산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도 3A-3C는 3개월 (도 3A), 6개월 (도 3B), 또는 9개월 (도 3C) 후의 4가지 식이 치료 군의 뇌 포스파티딜콜린 (PC)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값들은 전체 뇌 PC 지방산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도 4A-4C는 3개월 (도 4A), 6개월 (도 4B), 또는 9개월 (도 4C) 후의 4가지 식이 치료 군의 뇌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값들은 전체 뇌 PE 지방산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도 5A-5C는 3개월 (도 5A), 6개월 (도 5B), 또는 9개월 (도 5C) 후의 4가지 식이 치료 군의 뇌 포스파티딜세린 (PS)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값들은 전체 뇌 PS 지방산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각각의 도 1-5에서, 4가지 식이는 대조군 (청색), DHA (황색), DHA/DPA (녹색) 및 DHA/ARA (적색)으로 제시된다. 각각의 도 1-5에서, DMA = 디메틸아세탈; ARA=아라키돈산 (n-6); DHA = 도코사헥사엔산 (n-3); EPA= 에이코사펜타엔산 (n-3); LA= 리놀레산 (n-6); ALA = 알파-리놀렌산 (n-3); DPAn-6 = 도코사펜타엔산 (n-6); DPAn-3 = 도코사펜타엔산 (n-3); 및 아드렌산 = 아드렌산 (n-6)이다.
결과는 PUFA 강화 식이의 결과로 6개월령 (3개월의 식이 치료), 9개월령 (6개월의 식이 치료) 및 12개월령 (9개월의 식이 치료) 마우스에서 적혈구 (RBC) 및 뇌 지방산이 변하였다는 것을 나타냈다 (도 1A-C 및 2A-C). RBC 22:6 n-3 (DHA) 중량% 수준이 모든 시점에 모든 PUFA-보충 식이로 대조군 수준의 2배를 초과하였다. 전체 뇌 22:6 n-3 (DHA) 수준 또한 모든 PUFA-보충 식이에서 1 내지 3 중량% 증가하였지만, RBC에서만큼 크지 않았다. DHA (황색) 식이가 급식된 마우스에서 RBC 및 뇌 전체 지질 모두에서 22:6 n-3 (DHA) 중량%의 변화가 가장 컸다. 지방산의 중량%로서, 22:6 n-3 (DHA) 및 20:4 n-6 (ARA)가 뇌 및 RBC 전체 지질 모두에서 가장 풍부한 장쇄 PUFA였다. 뇌 및 RBC에서의 20:5 n-3 (EPA) 수준은 낮았고, 전형적으로, 뇌에서의 22:6 n-3 (DHA) 중량% 수준은 20:5 n-3 (EPA)보다 약 14배 더 높았고, RBC에서는 약 5배 더 높았다.
DHA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대조군 식이 (n-6 대 n-3 비율이 10:1임)와 비교하여 모든 3가지의 PUFA 강화 식이로는 전체 뇌 지질 20:4 n-6 (ARA)가 이어서 감소되었다. DHA 및 ARA 뇌 지방산 수준 모두 보충 기간 전반에 걸쳐 유지되었다. RBC에서, DHA (황색) 식이는 모든 시점에 걸쳐 대조군 군과 비교하여 11.75 중량%로 RBC 20:4 n-6 (ARA) 수준을 크게 저하시켰다. 예상된 바와 같이, 적색 식이 (DHA- 및 ARA-보충)가 급식된 마우스는 20:4 n-6 (ARA) RBC 수준이 대조군 마우스에 가장 근접하였다.
RBC 및 전체 뇌 지질에서의 22:5 n-6 (DPAn-6) 수준은 모든 시점에 걸쳐 DHA 및 DPAn-6 (녹색) 식이에서 대조군 수준의 2배를 초과하였다. 뇌 및 RBC 22:5 n-6 (DPA) 수준은 DHA (황색) 또는 DHA 및 ARA (적색) 식이가 급식된 마우스에서 매우 낮거나 검출가능하지 않았다. 뇌 및 RBC 지질에서 최소의 18:3 n-3 (ALA)가 존재하고, 장쇄 PUFA의 이러한 전구체에 대해 양쪽 조직 유형에서 매우 작은 지방산 변화가 나타났다. 18:2 n-6 (LA) 수준은 뇌와 비교하여 RBC에서 약 15배 더 높다. RBC 18:2 n-6 (LA) 중량% 수준은 모든 PUFA 강화 식이에서 모든 시점에 걸쳐 대조군보다 낮았다. 이러한 변화는 투여된 식이의 지방산 조성을 반영한다. RBC 20:5 n-3 (EPA) 중량% 수준은 모든 PUFA 보충 식이에서, 심지어 이러한 식이가 감지할 수 있는 양의 20:5 n-3 (EPA)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조군 수준에 비하여 더 높았다. 이는 혈액 세포에서의 22:6 n-3 (DHA)의 20:5 n-3 (EPA)로의 역전환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PUFA 보충 식이 및 시점에 걸쳐서 뇌 지질에서 감지할 수 있는 양의 20:5 n-3 (EPA)가 검출되지 않았다.
PUFA 강화 식이로 6개월령 (3개월의 식이 치료), 9개월령 (6개월의 식이 치료) 및 12개월령 (9개월의 식이 치료) 마우스에서 PS, PE 및 PC 뇌 인지질 지방산이 또한 변하였다 (도 3A-3C, 4A-4C 및 5A-5C 참조). 중량%로서, 22:6 n-3 (DHA)가 PC (도 3) 분획과 비교하여 PS (도 5) 및 PE (도 4) 분획에서 5배 더 풍부하고, 20:4 n-6 (ARA)는 PE 분획에서 가장 풍부하였다. 뇌 인지질 내의 20:5 n-3 (EPA), 18:2 n-6 (LA) 및 18:3 n-3 (ALA) 수준은 매우 낮았다. DHA (황색) 식이로 모든 3가지 인지질에 대해 뇌 인지질 22:6 n-3 (DHA) 중량%가 대조군으로부터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모든 3가지 뇌 인지질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DHA (황색) 식이에서 20:4 n-6 (ARA) 수준이 또한 상응하여 감소하였다. RBC 및 전체 뇌 지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뇌 인지질 분획에서의 22:5 n-6 (DPA) 중량% 수준은 DHA- 및 DPAn-6-강화 (녹색) 식이가 급식된 마우스에서 최고로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식이의 n-6 대 n-3 지방산 조성의 비율이 RBC 및 뇌 지방산 수준에서 반영되었다. 식이에서의 22:6 n-3 (DHA) 함량 증가로 RBC 및 뇌 수준 모두에서 DHA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이 내의 22:6 n-3 (DHA) 수준이 증가되면, 이어서 n-6 지방산이 감소되었다. 기타 지방산 (즉 DPA 및 ARA)이 식이에 첨가되면, 이의 상응하는 지방산 수준이 또한 조직에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뇌 지방산 수준이 각각의 식이의 보충 기간에 걸쳐 잘 유지되었다.
생화학적 마커 분석
도 6A-6J는 6개월령 3X-TG-AD 마우스에서 3개월, 6개월 및 9개월의 식이 치료 후 아밀로이드-β (Aβ) 수준에 대한 식이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동물들에게 상기 표 1에 제시된 4가지 식이 중 1가지를 제공하였다. 전체 가용성 (도 6A, 6C 및 6E) 및 불용성 (도 6B, 6D 및 6F) Aβ 펩티드를 뇌 단백질 추출물로부터 Aβ 1-40 및 Aβ 1-42 및 전체 아밀로이드에 특이적인 항체로 측정하였다. 도 6A에 제시된 바와 같이, 3개월의 급식 후, 미세조류 DHA를 함유하는 식이 (황색, 녹색 및 적색 식이)가 급식된 동물에서는 옥수수-대두 오일이 급식된 동물과 비교하여 가용성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의 수준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6개월의 식이 보충물 급식에서 (도 6C), DHA를 함유하는 식이 (황색) 또는 DHA 및 DPAn-6을 함유하는 식이 (녹색)가 급식된 동물에서는 대조군 동물과 비교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의 수준이 여전히 유의하게 낮았지만, DHA 및 ARA을 함유하는 식이 (적색)가 급식된 동물에서의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의 수준은 더 이상 대조군과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 9개월의 급식에서 (도 6E), DHA를 함유하는 식이 (황색)가 급식된 동물에서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Aβ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불용성 아밀로이드의 전체 수준에서는 옥수수/대두를 함유하는 식이와 미세조류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 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6G-6J는 옥수수/대두 (청색 군), DHASCO® (황색 군), DHA™-S (녹색 군), 및 DHASCO®/ARASCO® (적색 군)이 급식된 동물로부터의 관상 절편 내에 존재하는 세포내 전체 아밀로이드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다. 옥수수-대두 및 DHASCO®/ARASCO® 식이가 급식된 동물은 3개월의 급식 후 DHASCO® 또는 DHA™-S 함유 식이가 급식된 동물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전체 세포내 아밀로이드를 함유하였다.
도 7A 및 7B는 3개월의 치료 후 6개월령 3x-TG AD 마우스에서의 APP 프로세싱에 대한 식이의 효과를 나타낸다. 옥수수-대두 오일 또는 미세조류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가 급식된 동물들 간에 APP, C83 및 C99의 전체 수준이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
도 7C 및 7D는 3개월의 치료 후의 Aβ 펩티드 소거 효소 (인슐린 분해 효소, IDE)에 대한 식이의 효과를 나타낸다. 옥수수/대두 또는 다양한 미세조류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가 급식된 동물들에서 IDE 수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8A 및 8B는 3개월의 실험 식이 치료 후 6개월령 3X-TG 동물에서의 APP 분비효소에 대한 식이의 효과를 나타낸다. 옥수수-대두 또는 미세조류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가 급식된 동물들에서 β-분비효소 (BACE) 또는 ADAM 10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명백하지 않았다.
도 8C 및 8D는, 옥수수-대두 식이가 급식된 동물과 비교하여, 미세조류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가 급식된 동물에서 효소 프레세닐린 1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니카스트린은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도 8E는 SHSY5Y 세포에서 DHA가 프레세닐린 1 mRNA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나타낸다 (*, p < 0.05).
도 9A-9F는 3개월, 6개월 및 9개월의 식이 치료 후의 전체 타우 수준에 대한 식이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9A 및 9B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DHA-함유 미세조류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 (황색, 녹색 및 적색 식이)에서는 옥수수-대두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와 비교하여 전체 타우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6개월의 급식 후, DHA를 우세한 PUFA로 함유하는 식이 (황색) 또는 DHA 및 DPAn-6을 함유하는 식이 (녹색)가 급식된 동물에서는 옥수수-대두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전체 타우 수준이 유지되었지만, DHA 및 ARA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식이 (적색)가 급식된 동물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체 타우 수준이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 9개월의 급식 후, DHA를 우세한 PUFA로 함유하는 식이 (황색)가 급식된 동물에서만 전체 타우 수준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도 10A-10D는 DHA 및 DPAn-6 (녹색) 식이가 3개월의 급식 후 다른 3가지 식이와 비교하여 입체형태적으로 변형된 타우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나타낸다.
도 10E 및 10F에 제시된 바와 같이, 9개월의 식이 치료 후, DHA를 우세한 PUFA로 함유하는 식이 (황색) 또는 DHA 및 DPAn-6을 함유하는 식이 (녹색)가 급식된 동물에서, 옥수수-대두 오일을 함유하는 식이가 급식된 동물과 비교하여, 인산화 타우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DHA 및 ARA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식이 (적색)가 급식된 동물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산화 타우 수준이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
본원에서 인용된 각각의 참조문헌 및 간행물은 거명에 의해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각각의 미국 특허 가출원 60/697,911 및 미국 특허 가출원 60/779,145의 전체 명세서는 거명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가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양태들의 변형 및 개조가 당업자에게 발생할 것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이같은 변형 및 개조가 하기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라는 것으로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

  1. 개체에게 1가지 이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공급원을 투여하여 개체에서 아밀로이드 β (Aβ) 펩티드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도코사펜타엔산 (DPAn-6); DHA 및 DPAn-6의 조합물; DHA 및 아라키돈산 (ARA)의 조합물; 및 DHA, DPAn-6 및 ARA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개체에서 아밀로이드 β (Aβ) 펩티드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137022929A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KR20130101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791105P 2005-07-08 2005-07-08
US60/697,911 2005-07-08
US77914506P 2006-03-02 2006-03-02
US60/779,145 2006-03-02
PCT/US2006/026331 WO2007008586A2 (en) 2005-07-08 2006-07-0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or treatment of dementia and pre-dementia-related condi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03109A Division KR20080027384A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다중불포화 지방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213A Division KR101870626B1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596A true KR20130101596A (ko) 2013-09-13

Family

ID=3763773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929A KR20130101596A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KR20087003109A KR20080027384A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다중불포화 지방산
KR1020187005646A KR20180026556A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KR1020167026213A KR101870626B1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KR1020197002673A KR101965124B1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03109A KR20080027384A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다중불포화 지방산
KR1020187005646A KR20180026556A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KR1020167026213A KR101870626B1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KR1020197002673A KR101965124B1 (ko) 2005-07-08 2006-07-07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20070032548A1 (ko)
EP (1) EP1904049B1 (ko)
JP (4) JP2009502745A (ko)
KR (5) KR20130101596A (ko)
CN (2) CN101262863B (ko)
AU (1) AU2006269405B2 (ko)
BR (1) BRPI0613358A8 (ko)
CA (1) CA2614473C (ko)
ES (1) ES2617577T3 (ko)
MX (1) MX336435B (ko)
RU (1) RU2444356C2 (ko)
WO (1) WO200700858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977A (ko) * 2015-08-31 2017-03-08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옥시리스 마리나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KR20220148335A (ko) * 2015-11-24 2022-11-04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치매를 예방, 경감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720B (fi) * 2006-06-16 2010-02-15 Neurofood Ab Oy Maitopohjaisia elintarvikkeita, jotka sisältävät keskushermoston lipidejä
CA2682497C (en) * 2007-04-05 2017-08-08 The J. David Gladstone Institutes Agents that reduce neuronal overexcitation
KR101409115B1 (ko) 2007-06-08 2014-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가중치 정보 전송 방법
PT2170316E (pt) * 2007-06-26 2014-01-30 Nutricia Nv Melhoramento de memória em indivíduos com exame de estado mini mental de 24-26
WO2009002146A1 (en) 2007-06-26 2008-12-31 N.V. Nutricia Suppor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WO2009002148A1 (en) 2007-06-27 2008-12-31 N.V. Nutricia Food composition for prodromal dementia patients
WO2009002145A1 (en) 2007-06-26 2008-12-31 N.V. Nutricia Lipid composition for improving function of brain functioning
CN101802607A (zh) * 2007-07-26 2010-08-11 菲诺梅诺米发现公司 用于诊断、风险评价、和监测孤独症谱系病症的方法
US20090247860A1 (en) * 2007-10-25 2009-10-01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pectral biomarker and algorithm for the identification and detection of neural stem and progenitor cells and their use in studying mammalian brains
US8343753B2 (en) 2007-11-01 2013-01-01 Wake Fores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microalgae
WO2009058799A1 (en) * 2007-11-01 2009-05-07 Wake Fores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mmalian diseases
WO2009057994A1 (en) 2007-11-02 2009-05-07 N.V. Nutricia Unit dosage for brain health
PL2609812T3 (pl) 2007-12-20 2019-02-28 N.V. Nutricia Ciekły produkt zawierający nukleotydy/nukleozydy
JP5979816B2 (ja) 2008-01-04 2016-08-3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不飽和脂肪酸及び酸化窒素放出化合物を含む組成物、並びに認知機能及び関連の機能を高め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WO2009158148A1 (en) * 2008-05-30 2009-12-3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or disorders
CN104042600A (zh) * 2009-02-02 2014-09-17 帝斯曼知识产权资产有限公司 改善认知功能和降低心率的方法
CN102106150A (zh) * 2009-02-05 2011-06-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摄像处理装置
ES2345241B1 (es) * 2009-03-16 2011-09-08 Lipopharma Therapeutics Uso de 2-hidroxiderivados de acidos grasos poliinsaturados como medicamentos.
JP2012524097A (ja) * 2009-04-14 2012-10-11 キム, ニコラス グリーン, プロadam10セクレターゼ及び/又はベータセクレターゼレベルの減少方法
EP2429317B2 (en) * 2009-04-17 2019-02-20 Natac Pharma, S.L. Compositions rich in omega-3 fatty acids with a low content in phytanic acid
WO2011006144A1 (en) 2009-07-10 2011-01-13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and preventing neurological disorders using docosahexaenoic acid
US20110082205A1 (en) 2009-10-01 2011-04-07 Panker Cynthia A Docosahexaenoic Acid Gel Caps
US20110257267A1 (en) * 2009-10-13 2011-10-20 Kevin Hadley Reducing the Risk of Pathological Effects of Traumatic Brain Injury
US10052299B2 (en) 2009-10-30 2018-08-21 Retrotope, Inc. Alleviating oxidative stress disorders with PUFA derivatives
US20110223246A1 (en) * 2010-03-10 2011-09-15 Joar Opheim Docosahexaenoic acid bound in phospholipids and method of recovering same from a natural source
US8715648B2 (en) 2011-02-16 2014-05-06 Pivotal Therapeutics Inc. Method for treating obesity with anti-obesity formulations and omega 3 fatty acids for the reduction of body weight in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CVD) and diabetics
US9119826B2 (en) 2011-02-16 2015-09-01 Pivotal Therapeutics, Inc. Omega 3 fatty acid for use as a prescription medical food and omega 3 fatty acid diagniostic assay for the dietary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CVD) who are deficient in blood EPA and DHA levels
US8951514B2 (en) 2011-02-16 2015-02-10 Pivotal Therapeutics Inc. Statin and omega 3 fatty acids for reduction of apolipoprotein-B levels
US8952000B2 (en) 2011-02-16 2015-02-10 Pivotal Therapeutics Inc. 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or and omega 3 fatty acids for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and for the prevention or reduction of cardiovascular, cardiac and vascular events
JP6145087B2 (ja) 2011-04-26 2017-06-07 レトロトッ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trotope, Inc. Pufa酸化関与障害
US10154983B2 (en) * 2011-04-26 2018-12-18 Retrotope, Inc.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nd muscle diseases implicating PUFAs
EP2701696B1 (en) 2011-04-26 2020-06-03 Retrotope, Inc. Impaired energy processing disorders and mitochondrial deficiency
KR102110200B1 (ko) 2011-04-26 2020-05-13 레트로토프 인코포레이티드 산화성 망막 질환
SI2579042T1 (sl) * 2011-10-04 2014-09-30 Affiris Ag Postopek za detektiranje Ass-specifičnih protiteles v biološkem vzorcu
CN104136008A (zh) * 2012-02-29 2014-11-05 贝朗医疗有限公司 含激素的乳液
JP5986440B2 (ja) * 2012-07-05 2016-09-06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長 アルツハイマー病の発症を予測する方法
US20140203176A1 (en) * 2013-01-23 2014-07-24 Dow Agroscien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sampling and analysis of biomolecules beneath the surface of biological tissue
CN103217463A (zh) * 2013-03-14 2013-07-24 中南大学 一种用于bace1抑制剂筛选的电化学方法
US9480672B2 (en) 2013-07-10 2016-11-01 Lion Corporation Internal composition
CN104368002B (zh) * 2014-10-17 2019-01-08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用于治疗痴呆或认知功能障碍的联合用药物
WO2016112174A2 (en) * 2015-01-08 2016-07-14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Biomarkers of Sleep Deprivation and Cognitive Impairment
EP3347486A4 (en) 2015-09-09 2019-06-1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REDUCTION OF ER-MAM-LOCALIZED APP-C99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 DISEASE
KR102643910B1 (ko) 2015-11-23 2024-03-06 레트로토프 인코포레이티드 1,4-다이엔 시스템에 대한 부위 특이적인 동위원소 표지법
EP3419439B1 (en) * 2016-02-22 2020-04-08 Newtricious B.V.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CN106666745A (zh) * 2016-12-22 2017-05-17 徐晓飞 一种含姜黄素和dha的组合物及应用
CN106617064A (zh) * 2016-12-22 2017-05-10 徐晓飞 一种含姜黄素和ω‑3多不饱和脂肪酸的组合物及其应用
EP3592369A4 (en) 2017-03-06 2020-09-09 Jun Liu MEANS OF INHIBITING OR MITIGATING BETA-INDUCED DAMAGE
US11065288B2 (en) 2017-09-29 2021-07-20 Kinjirushi Co., Ltd. Neuron activator
FR3092968B1 (fr) * 2019-02-22 2021-05-21 Microphyt Complement alimentaire
AU2021224854A1 (en) 2020-02-21 2022-10-06 Biojiva Llc Processes for isotopic modific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KR102466479B1 (ko) 2020-03-30 2022-11-15 주식회사 뷰브레인헬스케어 타우 단백질 축적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우 단백질 축적 예측 방법
CN114680336A (zh) * 2020-12-30 2022-07-01 云南汉盟制药有限公司 一种含火麻仁不饱和脂肪酸的滴剂及其制备方法
CN112798727B (zh) * 2021-04-09 2021-07-06 宝枫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用于诊断脑白质病变的生物标志物f7及其应用
WO2023154484A1 (en) * 2022-02-11 2023-08-17 Retrotope, Inc. Methods for monitoring patient response to treatment of retinal oxidative disease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594A (en) * 1974-04-25 1977-11-15 John Williams Immuno-suppressive agents
GB8601915D0 (en) * 1986-01-27 1986-03-05 Efamol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5198468A (en) * 1987-06-24 1993-03-30 Efamol Holdings Plc Essential fatty acid composition
JP2524217B2 (ja) * 1988-04-18 1996-08-14 マルハ株式会社 脳機能改善組成物、学習能力増強剤、記憶力増強剤、痴呆予防剤または痴呆治療剤
US5407957A (en) * 1990-02-13 1995-04-18 Martek Corporation Produ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by dinoflagellates
GB9300125D0 (en) * 1993-01-06 1993-03-03 Scotia Holdings Plc Compositions containing esters of unsaturated fatty acids
US5408326A (en) * 1993-04-28 1995-04-18 Shell Oil Company Dual-wavelength absorption detector adapted for continuous-flow detection
US5403826A (en) * 1993-05-28 1995-04-04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product for persons infected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CA2197187C (en) 1994-08-16 2007-03-27 Bernd Best Process for extracting native products which are not water-soluble from native substance mixtures by means of centrifugal force
IT1274734B (it) * 1994-08-25 1997-07-24 Prospa Bv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ntenenti acidi grassi poliinsaturi, loro esteri o sali, unitamente a vitamine o provitamine antiossidanti
JP3985035B2 (ja) * 1995-09-14 2007-10-0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n−6)系ドコサペンタエン酸含有油脂ならびに該油脂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DK1785492T3 (da) * 1996-07-23 2010-07-26 Nagase Chemtex Corp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docosahexaensyre og docosapentaensyre
CA2268257C (en) * 1996-10-11 2008-05-20 Scotia Holdings Plc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or stearidonic acid
US6528529B1 (en) * 1998-03-31 2003-03-04 Acadia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with activity on muscarinic receptors
US6191154B1 (en) * 1998-11-27 2001-02-20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and inflammatory diseases
GB9901809D0 (en) * 1999-01-27 1999-03-17 Scarista Limited Highly purified ethgyl epa and other epa derivatives for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disorderes
DE60034775T3 (de) * 1999-03-04 2016-11-24 Suntory Holdings Ltd. Verwendung von Docosapentsäure enthaltendem Material
CA2311974A1 (en) * 1999-06-28 2000-12-2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Processes of selectively separating and purifying ei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or their esters
WO2001051598A1 (en) * 2000-01-11 2001-07-19 Monsanto Technology Llc Process for making an enriched mixture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esters
DK1272049T3 (da) 2000-04-12 2010-03-22 Gea Westfalia Separator Gmbh Fremgangsmåde til fraktionering af olie- og polær lipidholdige oprindelige råmaterialer under brug af alkohol og centrifugering
US20070179197A1 (en) * 2000-05-01 2007-08-02 Accer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or preserving brain function
JP4629834B2 (ja) * 2000-05-12 2011-02-09 備前化成株式会社 神経細胞賦活剤およびその利用
US20060275294A1 (en) * 2002-08-22 2006-12-07 Omoigui Osemwota S Method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ging, age-related disorders and/or age-related manifestations including atherosclerosis, peripheral vascular disease, coronary artery disease, osteoporosis, arthritis, type 2 diabetes, dementia, alzheimers disease and cancer
US20040092590A1 (en) * 2002-09-27 2004-05-13 Linda Arterburn Glycemic control for prediabetes and/or diabetes Type II using docosahexaenoic acid
EP2283838A3 (en) * 2002-09-27 2011-04-20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Docosahexaenoic acid for treating subclinical inflammation
US20050265983A1 (en) * 2002-11-17 2005-12-01 Eldad Melamed Methods, nucleic acid constructs and cells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20050031651A1 (en) * 2002-12-24 2005-02-10 Francine Gervais Therapeutic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beta-amyloid related diseases
US7935365B2 (en) * 2003-10-22 2011-05-03 Enzymotec, Ltd. Glycerophospholipids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US20050249823A1 (en) * 2003-11-04 2005-11-10 Murphy Tanya K Methods for the prevention or amelioration of neuropsychiatric and related diseases
EP1713463A4 (en) * 2004-01-19 2009-03-18 Martek Biosciences Corp REELIN DYSFUNCTION OR DICTION AND ASSOCIATED TECHNIQUES
US20060020031A1 (en) * 2004-07-26 2006-01-26 Roger Berlin Compositions containing policosanol and omega-3 fatty acid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s
AU2005306320B2 (en) * 2004-11-19 2011-09-08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Oxylipins from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324276B2 (en) * 2005-01-24 2012-12-04 Pronova Biopharma Norge As Fatty aci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cognitive dysfunction
DE102005003625A1 (de) * 2005-01-26 2006-07-27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HA-haltigen Fettsäure-Zusammensetzung
US20060270739A1 (en) * 2005-04-28 2006-11-30 Trustees Of Tufts College Synergistic effects of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carotenoid absorption on macular pigmentation
WO2006117668A1 (en) * 2005-05-04 2006-11-09 Pronova Biopharma Norge As Fatty acid analogues, i.e. dha derivatives for uses as a medicament
ES2264886B1 (es) * 2005-05-12 2008-02-01 Proyecto Empresarial Brudy, S.L. Utilizacion de acido docosahexaenoico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tumorales.
EP1888081B1 (en) * 2005-05-23 2016-12-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mpositions containing pufa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70042953A1 (en) * 2005-08-16 2007-02-22 Bazan Nicolas G Antiepileptogenic complex of albumin with docosahexaenoate
BRPI0615381A2 (pt) * 2005-08-26 2011-05-17 Nestec Sa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melhorar a integridade vascular funcional, a sobrevivência celular e reduzir a apoptose na isquemia ou após um episódio isquêmico no cérebro
JP2010532418A (ja) * 2007-06-29 2010-10-07 マーテック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多価不飽和脂肪酸の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精製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977A (ko) * 2015-08-31 2017-03-08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옥시리스 마리나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KR20220148335A (ko) * 2015-11-24 2022-11-04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치매를 예방, 경감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44356C2 (ru) 2012-03-10
WO2007008586A3 (en) 2007-04-12
KR20080027384A (ko) 2008-03-26
US20110218242A1 (en) 2011-09-08
US20070032548A1 (en) 2007-02-08
BRPI0613358A8 (pt) 2017-12-26
KR20180026556A (ko) 2018-03-12
MX336435B (es) 2016-01-19
EP1904049A2 (en) 2008-04-02
KR20160116351A (ko) 2016-10-07
KR101965124B1 (ko) 2019-04-02
CN103211807A (zh) 2013-07-24
CN101262863A (zh) 2008-09-10
KR101870626B1 (ko) 2018-06-26
AU2006269405B2 (en) 2013-01-17
CA2614473A1 (en) 2007-01-18
CA2614473C (en) 2016-05-03
BRPI0613358A2 (pt) 2011-01-04
MX2008000178A (es) 2008-04-07
EP1904049B1 (en) 2016-12-07
EP1904049A4 (en) 2012-08-01
JP2018021078A (ja) 2018-02-08
AU2006269405A1 (en) 2007-01-18
CN101262863B (zh) 2016-08-31
KR20190014122A (ko) 2019-02-11
ES2617577T3 (es) 2017-06-19
JP2013056900A (ja) 2013-03-28
US20150119464A1 (en) 2015-04-30
JP2015147775A (ja) 2015-08-20
RU2008104697A (ru) 2009-08-20
WO2007008586A2 (en) 2007-01-18
JP2009502745A (ja)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626B1 (ko) 치매 및 치매-전단계와 관련된 용태의 치료를 위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US1034277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dihomo-γ-linolenic acid (DGLA) as the active ingredient
Bourre Dietary omega-3 fatty acids and psychiatry: mood, behaviour, stress, depression, dementia and aging
US20090215896A1 (en) Reelin deficiency or dysfunction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2018021067A (ja) 外傷性脳損傷の病理学的影響の危険を軽減する方法
US20080234377A1 (e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or treatment of dementia and pre-dementia-related conditions
Andraka et al. Can krill oil be of use for counteracting neuroinflammatory processes induced by high fat diet and aging?
WO2011006144A1 (en) Methods of treating and preventing neurological disorders using docosahexaenoic acid
US9254280B2 (en) Medical food for cognitive decline
Pallebage-Gamarallage et al. The effect of exogenous cholesterol and lipid-modulating agents on enterocytic amyloid-β abundance
WO2020138244A1 (ja) 認知機能改善用の組成物
EP1772146A1 (e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s bace inhibitors
Kruger et al. Health benefits of salmon and omega 3 oil sup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