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794A -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794A
KR20130100794A KR1020137018106A KR20137018106A KR20130100794A KR 20130100794 A KR20130100794 A KR 20130100794A KR 1020137018106 A KR1020137018106 A KR 1020137018106A KR 20137018106 A KR20137018106 A KR 20137018106A KR 20130100794 A KR20130100794 A KR 20130100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polyoxyethylene
external prepara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260B1 (ko
Inventor
나오코 이토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5Phosphorus compound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fosfo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이며,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만이 배합되고, 추가로,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14

<화학식 2>
Figure pct00015

[식 중, R1은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냄]

Description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및 그의 다양한 유도체는, 미백 작용, 항산화 작용, 콜라겐 합성 촉진 작용 등의 효능 및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로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종종 의약품, 화장료, 사료 등에 배합된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중에서, 아스코르브산의 2위치의 히드록실기를 포스페이트 에스테르화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범용되고 있다. 공지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의 예로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의 6위치의 히드록실기를 팔미트산 등의 고급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이들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는 통상 염의 형태로 이용된다. 이들 염의 전형적인 예로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의 나트륨 염 및 마그네슘 염, 및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나트륨 염이 있다.
상기 유도체 중에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 특히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 (이하, APPS로 약기함)은, 양친매성이기 때문에 생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피부 등의 생체 조직으로의 이행이 빠르기 때문에, 화장료 등의 피부 외용제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다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대한 APPS의 장점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다.
그러나, APPS 등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을 피부 외용제로서 제제화하면,제제 중에서 분해가 일어나서, 외관에 변화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초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분해는 주로 아스코르브산의 6위치의 히드록실기에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결합된 고급 지방산의 가수분해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분해에 의해, 물에 불용인 팔미트산 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염이 생성되고, 이들은 제제 중에서 침전물로서 나타난다. 크림과 같은 백탁 제형의 경우, 이러한 침전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투명 로션 또는 미용액 등에서는, 이러한 침전물이 흐림 또는 퇴적으로서 나타나 생성물의 외관에 변화가 발생한다. (흐림 또는 퇴적에 의해 유래되는) 이러한 문제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고급 지방산 부분의 길이의 증가에 따라서 발생이 현저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이러한 증가가 에스테르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고급 지방산 염의 소수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에 대응하여,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에 다른 성분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하는 방법으로서,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 등의 수용성 합성 고분자 화합물 및 물을 제제에 배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피부 외용제 중에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의 분해 및 감소가 억제되어, 피부 외용제의 경시적인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하는 방법으로서,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피부 외용제의 경시적인 흐림 또는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하는 방법으로서, 평균 중합도가 8 내지 12인 폴리글리세롤과 탄소수가 14 내지 22인 불포화 지방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평균 중합도가 2 내지 6인 폴리글리세롤과 탄소수가 14 내지 22인 불포화 지방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폴리글리세롤 모노-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화제로서 사용하여, 평균 유화제 입자 크기가 1 내지 200nm인 유화제를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피부 외용제 중에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의 분해가 억제되어, 저장 안정성이 향상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름다운 외관이 보다 잘 유지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첫번째 공개공보 제H10-298174호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첫번째 공개공보 제2005-187466호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첫번째 공개공보 제2005-336156호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첫번째 공개공보 제2008-13464호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것과 같이 제제에 수용성 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의 경우, 어느 정도의 APPS의 분해 억제 효과는 얻어지지만, 제제가 불안정하고, 예컨대 pH의 변화 또는 염화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등의 해리성 화합물의 첨가에 의한 점도의 감소, 침전 또는 착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의 첨가는 제제의 점도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특히 유화제의 안정화에는 유효하지만,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강알칼리제를 첨가함으로써 중화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APPS의 분해가 상당히 진행되기 쉽고, 경시적인 침전 및 착색이 현저하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것과 같이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는 방법의 경우, 유화제에서는 다가 알코올의 다용에 의해 유화제의 점도가 감소되고 제제를 불안정화하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되는 것과 같이 폴리글리세롤 모노-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하는 방법의 경우, 염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 나트륨 등의 해리성 화합물의 첨가에 의해 유화제가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고, 제제에 첨가되는 다른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크리밍이 발생하여, 오일 비함유 투명 로션의 제제에는 사용할 수 없어, 제제를 적용할 수 있는 제형의 유형이 한정된다.
또한,APPS를 함유하는 제형은 저온에서 저장하는 경우, APPS의 용해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APPS 자체가 침전을 일으킬 수 있다.
침전은 제형의 외관의 변화뿐만 아니라, 피부 외용제를 피부에 적용했을 때의 감촉의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술된 유형의 배경 사정과는 대조적으로, APPS를 함유하고, 제제 안정성이 우수하고, 경시적인 흐림 및 침전이 억제되고, 또한 사용시 감촉도 우수한 피부 외용제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APPS를 함유하고, 제제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및 이러한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피부 외용제에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APPS만을 배합하고, 이후 APPS에 특정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함으로써, 상기한 과제가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이며,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만이 배합되고,
추가로,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식 중, R1은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냄]
[2] 상기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화학식 1 중의 R1이 탄소수가 12 내지 24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화합물인, [1]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
[3] 상기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화학식 2 중의 R2가 탄소수가 12 내지 24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화합물인, [1]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
[4]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의 배합량이,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의 범위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
[5] 상기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질량%의 범위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
[6] pH가 6.5 내지 7.5의 범위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
[7] 화장료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
[8]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만을,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ct00003
<화학식 2>
Figure pct00004
[식 중, R1은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냄]
[9]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이,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8]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
[10] 상기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질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8]에 기재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APPS를 함유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
우선, 본 발명에 이용되는 APPS에 대해서 설명한다.
APPS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즉, APPS는 아스코르브산의 2위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히드록실기에 인산이 에스테르 결합하고, 아스코르브산의 6위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히드록실기에 팔미트산이 에스테르 결합하고, 상기 포스페이트기 중의 인 원자에 결합된 2개의 히드록실기와 아스코르브산의 3위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히드록실기로부터 수소 원자가 분해하여 삼나트륨 염을 형성한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5
APPS의 배합량은, 피부 외용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5 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 질량% 이상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를 피부에 적용했을 때에, APPS의 피부로의 이행이 빠르고, 피부 외용제에 요구되는 효능 및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APPS의 배합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더라도, 상응하는 효과 증대는 통상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서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APPS만이 배합된다. 즉,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를 제조할 때에,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APPS만을 배합하고, APPS 이외의 다른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는 배합하지 않는다. APPS 이외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APPS와 함께 배합하면,APPS의 분해가 촉진되어,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고, 착색 및 침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아스코르브산-2-인산 나트륨을 APPS와 함께 배합하는 경우에는 착색이 현저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면 아스코르브산-2-인산 마그네슘을 APPS와 함께 배합하는 경우에는 APPS의 마그네슘 염이 생성되어 침전이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APPS 이외의 다른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의 예로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및 그의 염, 및 APPS 이외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염의 예로는, 나트륨 염, 마그네슘 염, 나트륨 마그네슘 염을 들 수 있다. APPS 이외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에서의 고급 지방산의 예로는,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산 (팔미트산을 제외함)을 들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중에, APPS가 분해하여 팔미트산과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가 생성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제조시에 배합되어 있지 않더라도, 경시적으로 미량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또는 그의 염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조 1시간 후에 측정되는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의 양은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 내지 0.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추가로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이하,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라고도 칭함)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6
<화학식 2>
Figure pct00007
화학식 1 중, R1은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중, R2는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1)"이라고도 칭함)은,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 3급 아민이 아세트산에 결합된 베타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베타인 구조는, 우수한 가용화 능력 및 우수한 APPS 안정화 능력을 화합물에 부여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라고도 칭함)은, 지방산, 디메틸프로필디아민 및 아세트산이 서로 결합된 베타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베타인 구조는 또한 우수한 가용화 능력 및 우수한 APPS 안정화 능력을 화합물에 부여한다.
화합물 (1) 및 (2)는 특정한 베타인 구조 (4급 암모늄 염의 양이온을 가짐)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등전점에 가까운 pH 영역에서도 물에 가용하며, 이에 의해 화합물은 우수한 APPS의 가용화 능력을 발휘한다고 생각된다.
상기 화학식 1 중, R1은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R1은 원료 입수성 및 계면활성제의 가용화 능력의 관점으로부터, 탄소수가 10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2 내지 24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는 라우릴기, 미리스틸기, 세틸기, 스테아릴기, 이소스테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1)로서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는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미리스틸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스테아릴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야자유 알킬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1)은 공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의 예로는, 카오사(Kao Corporation) 제조의 상품명 앰피톨(Amphitol) 24B 및 앰피톨 86B, 닛코 케미컬즈사(Nikko Chemicals Co., Ltd.) 제조의 상품명 닛콜(Nikkol) AM-301, 엔오에프사(NOF Corporation) 제조의 상품명 닛산나논(Nissananon) BF 및 닛산나논 BL, 및 신닛본케미컬즈사(New Japan Chemicals Co., Ltd.) 제조의 상품명 리카비온(Rikabion) A-100, 리카비온 A-110, 리카비온 A-200, 리카비온 A-7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중, R2는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원료 입수성 및 계면활성제의 가용화 능력의 관점으로부터, 탄소수가 10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2 내지 24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는 라우릴기, 미리스틸기, 세틸기, 스테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2)로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는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야자핵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및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을 들 수 있다.
화합물 (2)는 공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의 예로는,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의 상품명 닛콜 AM-3130N, 가와켄 파인 케미컬즈사(Kawaken Fine Chemicals Co., Ltd.) 제조의 상품명 소프타졸린(Softazoline) CPB-R, 소프타졸린 LPB-R 및 소프타졸린 PKPB, 및 도호 케미컬 인더스트리사(Toho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의 상품명 오바졸린(Obazoline) BC, 오바졸린 LB, 오바졸린 LB-SF, 오바졸린 CAB-30 및 오바졸린 ISAB 등을 들 수 있다.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단일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5 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1 질량% 이상이면,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장 시의 침전 또는 흐림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양이 10 질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사용시 감촉이 나빠질 수 있어, 배합량 증가에 상응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 밖의 임의 성분>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는 화합물의 포함을 배제하는 한, 아스코르브산, 그의 염, 및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 이외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염의 예로는, 나트륨 염, 칼륨 염 등을 들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 이외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예로는, 아스코르브산-3-포스페이트-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염, 아스코르브산-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염, 아스코르브산-2,6-디-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염, 아스코르브산-2,3,5,6-테트라-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염, 아스코르브산-2-술페이트 및 그의 염,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염의 예로는, 나트륨 염, 칼륨 염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의 예로는,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구체예로는, 아스코르브산-3-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 6-팔미트산 아스코르빌, 2,6-디팔미트산 아스코르빌, 2,3,5,6-테트라이소팔미트산 아스코르빌, 아스코르브산-2-황산 이나트륨,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중에, APPS의 2위치의 포스페이트 기가 경시적으로 3위치로 전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화합물의 제조시에 배합되지 않더라도, 미량의 아스코르브산-3-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조 1시간 후에 측정되는 아스코르브산 3-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의 양은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 내지 0.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는 성분의 포함을 배제하는 한, 피부 외용제에 통상 이용되는 성분, 예컨대 피부 외용제로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성분의 예로는, 탄화수소류, 천연 유지류,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류,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실리콘 오일류, 다가 알코올류, 1가의 저급 알코올류, 당류, 고분자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상기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해당하지 않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천연계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분체류, 색재류, 식물 추출물, 아미노산류, 펩티드류, 비타민류, 비타민 유사 작용 인자류,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 이온 봉쇄제, 보습제, 항염증제, pH 조정제, 염류, 유기산류, 미백제, 정유류, 테르펜류, 향료, 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류의 구체예로는,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미네랄유, 바셀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유지류의 구체예로는, 호호바유,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쌀겨 왁스, 셀락, 라놀린, 밍크 피지 왁스, 고래 기름 왁스, 사탕수수 왁스, 항유 고래 오일, 밀랍, 몬탄 왁스 등의 천연 왁스류,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참기름, 쌀겨유, 미강유, 쌀배아유, 옥수수유, 홍화유, 대두유, 유채씨유, 퍼식(persic) 오일,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면실유, 야자유, 수소첨가 야자유, 우지, 경화유, 말유, 밍크유, 난황유, 난황 지방유, 로즈힙유, 쿠쿠이넛유, 달맞이꽃유, 소맥배아유, 낙화생유, 동백유, 애기동백유, 카카오 버터, 목랍, 소골지, 우족유, 돼지 기름, 말지, 양지, 시어 버터, 마카다미아 견과유, 메도폼 시드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류의 구체예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인산, 리놀린산, 리놀렌산, γ-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야자유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류의 구체예로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타놀,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류의 구체예로는, 바틸 알코올, 키밀 알코올, 세라킬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글리세릴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류의 구체예로는,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부틸,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에틸, 스테아르산 부틸, 올레인산 에틸, 리놀린 산 에틸, 리놀린산 이소프로필, 카프릴산 세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이소옥틸, 미리스트산 데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미리스트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타데실, 팔미트산 세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올레인산 데실, 올레인산 올레일, 리시놀산 세틸, 라우르산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 이소세틸, 미리스트산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이소세틸, 팔미트산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인산 이소데실, 올레인산 옥틸도데실, 리시놀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 에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 세틸, 2-에틸헥산산 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 헥실, 디옥탄산 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 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산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산/디카프르산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르산 프로필렌 글리콜, 디올레인산 프로필렌 글리콜, 디 카프르산 네오펜틸 글리콜, 디옥탄산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트리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트리카프르산/트리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미리스트산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 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네오펜탄산 옥틸도데실, 옥탄산 이소세틸, 옥탄산 이소스테아릴, 이소페라곤산 2-에틸헥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 옥틸도데실, 이소팔미트산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 옥틸도데실, 락트산 라우릴, 락트산 미리스틸, 락트산 세틸, 락트산 옥틸도데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시트르산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 트리옥틸, 시트르산 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 트리옥틸도데실, 말레인산 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 디-2-에틸 헥실,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아디프산 디옥틸, 아디프산 디헵틸운데실, 세박산 디에틸,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옥틸,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올레인산 콜레스테릴, 올레인산 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토스테릴, 올레인산 피토스테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 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 (3) 폴리옥시프로필렌 (1) 세틸에테르, 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 (3) 폴리옥시프로필렌 (1) 이소세틸에테르,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옥틸, 이소노난산 트리데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탄산 디카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류의 구체예로는,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류의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3-메틸-1,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탈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가의 저급 알코올류의 예로는, 탄소수가 1 내지 7인 1가 알코올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벤질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당류의 구체예로는,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멀티톨,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스쿠로오스, 프록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크실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류의 구체예로는, 아르긴산 나트륨, 카라기닌, 한천, 퍼셀러렌, 구아 검, 알칼리제네스 라투스(Alcaligenes latus) B-16 균주 생산 다당류(B-16 폴리머), 젤란 검, 퀸스 씨드, 곤약 만난, 타마린드 검, 타라 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 빈 검, 아라비아 검, 가티 검, 카라야 검, 트라거캔스 검, 아라비노갈락탄, 펙틴, 마르멜로(quince), 키토산, 커드런, 크산 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루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양이온화 구아 검,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 검, 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 검, 알부민, 카제인, 젤라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든,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계 폴리머, 비닐 알코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질소-치환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화 폴리머, 디메틸아크릴암모늄계 폴리머, 아크릴산계 음이온 폴리머, 메타크릴산계 음이온 폴리머, 변성 실리콘, 알킬 (C10 내지 30)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야자유 지방산 칼륨, 야자유 지방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르산 칼륨, 라우르산 나트륨, 라우르산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트산 칼륨, 미리스트산 나트륨,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판올아민, 팔미트산 칼륨, 팔미트산 나트륨, 팔미트산 이소프로판올아민, 스테아르산 칼륨, 스테아르산 나트륨, 스테아르산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인산 칼륨, 올레인산 나트륨, 피마자유 지방산 나트륨, 운데실렌산 아연, 라우르산 아연, 미리스트산 아연, 미리스트산 마그네슘, 팔미트산 아연,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미리스트산 칼슘, 미리스트산 마그네슘, 디미리스트산 알루미늄, 이소스테아르산 알루미늄,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아세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아세트산 나트륨, 스테아로일 락트산 나트륨, 이소스테아로일 락트산 나트륨, 라우로일 사르코신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사르코신, 라우로일 사르코신 칼륨, 라우로일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오일 사르코신,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 칼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아실글루타민산, 라우로일 아실글루타민산 칼륨, 라우로일 아실글루탐산 나트륨, 라우로일 아실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타민산,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타민산 칼륨,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탐산 나트륨,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타민산,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타민산 칼륨,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타민산 이나트륨,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칼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마그네슘, 미리스토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팔미토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스테아로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올레오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알칸 술폰산 나트륨, 테트라데센 술폰산 나트륨, 술포숙신산 디옥틸 나트륨, 술포 숙신산 라우릴 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술폰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세틸 황산 나트륨, 알킬(11,13,15)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3) 황산 나트륨, 알킬(12,13)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4,16) 황산 암모늄, 알킬(12 내지 13) 황산 디메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4)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5)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야자유 알킬 황산 마그네슘-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암모늄, 라우릴 황산 칼륨, 라우릴 황산 마그네슘, 라우릴 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디에탄올아민, 미리스틸 황산 나트륨, 스테아릴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1) 알킬(11,13,15) 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1) 알킬(11,13,15) 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3) 알킬(11 내지 15) 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 알킬(12,13) 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알킬(12 내지 14) 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알킬(12 내지 15) 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미리스틸 에테르 황산 나트륨, 고급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황산 나트륨, 라우릴 인산, 라우릴 인산 나트륨, 세틸 인산 칼륨, 세틸 인산 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10) 알킬(12,13)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 내지 15)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 내지 16)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인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디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디옥틸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트리라우릴아민,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염화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염화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20 내지 22)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염화 알킬(28)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메틸암모늄(2EO), 염화 디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메틸암모늄, 염화 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25) 디에틸메틸암모늄, 염화 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 암모늄(5EO),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알킬(12 내지 15)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알킬(12 내지 18)디메틸암모늄, 염화 디 알킬(14 내지 18)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코코일 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세틸 디메틸암모늄, 염화 이소스테아릴 라우릴 디메틸암모늄, 염화 벤즈알코늄, 염화 미리스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염화 라우릴 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 염화 라우릴 피리디늄, 염화 세틸 피리디늄, 염화 라우로일 콜아미노 포르밀메틸 피리디늄, 염화 스테아로일 콜아미노 포르밀메틸 피리디늄, 브롬화 알킬 이소퀴놀리늄, 염화 메틸 벤제토늄, 염화 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중에, "EO"의 앞에 첨부된 수치는 폴리옥시에틸렌 유닛에 서의 옥시에틸렌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낸다.
상기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해당하지 않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륨 베타인,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 글리신, 라우릴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나트륨, 운데실 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 베타인 나트륨, 운데실-N-카르복시메틸 이미다졸륨 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 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 에틸렌디아민 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 에틸렌디아민 이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나트륨, 라우릴아미노디프로피온산 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트리에탄올아민, 팜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나트륨, 스테아릴 디히드록시에틸 베타인, 라우릴 히드록시술포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10) 알킬(12,13)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7,12) 알킬(12 내지 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sec-알킬(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10,20)이소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도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디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 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4) 폴리옥시 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7) 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8) 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 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5) 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0) 폴리옥시 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40) 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8) 폴리옥시프로필렌(2)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5) 폴리옥시프로필렌(4)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 폴리옥시프로필렌(4)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4)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8)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6)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0) 폴리옥시프로필렌(6)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 폴리옥시프로필렌(5)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5) 폴리옥시프로필렌(30)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0) 폴리옥시프로필렌(8)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6) 폴리옥시프로필렌(17)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20)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25) 폴리옥시프로필렌(30)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35) 폴리옥시프로필렌(40)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00) 폴리옥시프로필렌(40)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300) 폴리옥시프로필렌(55)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400) 폴리옥시프로필렌(70)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 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 폴리옥시프로필렌(1)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 폴리옥시프로필렌(1)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1)세틸 에테르, 모노라우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라우르산 디에틸렌글리콜, 미리스트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팔미트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스테아르산 디에틸렌글리콜,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2),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옥탄산 에틸렌글리콜, 디라우르산 디에틸렌글리콜, 디라우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팔미트산 폴리에틸렌글리콜(150), 디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 디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 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리시놀레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6)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6)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20)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8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150) 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4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4) 소르비톨,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3)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3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4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60) 소르비톨,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3) 소르비톨, 테트라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60) 소르비톨, 헥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6) 소르비톨, 헥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펜타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40) 소르비톨,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3)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5)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1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3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40) 글리세릴, 트리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50)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3)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6)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10) 글리세릴, 이소 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1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3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4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5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6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3)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4)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5)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6)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1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4) 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3) 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5) 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10) 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20) 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30) 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40) 글리세릴, 트리 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50) 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60)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1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2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4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5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 피마자유, 친유성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친유성 모노올레인산 글리세롤,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라우르산 글리세롤, 미리스트산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리시놀레산 글리세릴, 모노히드록시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올레인산 글리세롤, 리놀린산 글리세릴, 에루크산 글리세릴, 베헨산 글리세릴, 소맥배아유 지방산 글리세리드, 홍화유 지방산 글리세릴, 수소첨가 대두 지방산 글리세릴, 포화 지방산 글리세리드,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모노미리스트산 글리세릴, 우지 모노글리세리드, 모노라놀린 지방산 글리세릴,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디아라키드산 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 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디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이소팔미트산 디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 테트라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 테트라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테트라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테트라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헥사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세스퀴올레인산 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테트라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펜타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펜타올레인산 헥사글리세릴, 펜타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헵타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데카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데카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축합 리시놀린산 헥사글리세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야자유 지방산 자당 에스테르, 알킬 글루코시드, 야자유 알킬 디메틸아민 옥시드, 라우릴 디메틸아민 옥시드, 디히드록시에틸 라우릴 디메틸아민 옥시드, 스테아릴 디메틸아민 옥시드, 올레일 디메틸아민 옥시드,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알킬 디메틸아민 옥시드, 팔미트산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덱스트린,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에,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이후의 괄호 내의 수치는, 각각 폴리옥시에틸렌 유닛에서의 옥시에틸렌의 평균 중합도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유닛에서의 옥시프로필렌의 평균 중합도를 나타낸다.
상기 천연계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사포닌, 레시틴, 수소첨가 레시틴, 대두 인 지질, 수소첨가 대두 인 지질,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레시틴, 수소첨가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인지질, 스핑고미엘린, 강글리오사이드, 담즙산, 콜산, 데옥시콜산, 콜산 나트륨, 데옥시콜산 나트륨, 스피쿨리스포르산, 람놀리피드, 트레할로스 리피드, 소포로리피드,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 소듐 서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및 파라-아미노벤조산 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 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신남산 벤질, 디-파라-메톡시신남산 모노-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 메틸,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 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 칼륨, 파라-메톡시신남산 나트륨, 파라-메톡시신남산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톡시에틸, 파라-에톡시신남산 에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칸산, 및 우로칸산 에틸 등의 우로칸산 유도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소듐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포네이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소듐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2-에틸헥실, 살리실산 페닐, 살리실산 벤질, 살리실산 p-tert-부틸페닐, 살리실산 호모멘틸, 살리실산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및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및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 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체류 및 색재류의 구체예로는, 카올린, 무수 규산,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성 규산 나트륨 마그네슘, 견운모, 탈크, 질화 붕소, 운모, 몬트모릴로나이트, 삼 셀룰로오스 분말, 밀 전분, 실크 분말, 옥수수 전분; 니트로계 색소, 아조계 색소, 니트로소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크산텐계 색소, 키놀린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피렌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후라보노이드, 퀴논, 포르피린, 수용성 아나토, 스퀴드 잉크 분말, 카라멜, 구아이아줄렌, 치자나무 블루, 치자나무 옐로우, 코치닐, 시코닌, 구리 클로로피린 나트륨, 파프리카 색소, 홍화 레드, 홍화 옐로우, 락카인산, 리보플라빈 부티르산 에스테르 등의 천연 색소; 카본 블랙, 황 산화철, 흑 산화철, 적 산화철, 감청, 군청, 산화 아연, 산화크롬, 산화티탄, 흑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산 리튬 코발트, 망간 바이올렛트, 진주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구체예로는, 신선초 추출물, 웅카리아 감비르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감차 추출물,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추출물, 양아욱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유용성 아르니카 몬타나 추출물, 알몬드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스티랙스 벤조인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아이리스 뿌리 추출물, 회향 추출물, 강황 추출물, 도그 로즈 과육 추출물, 에키네이셔 잎 추출물, 황금 뿌리 추출물, 황벽 나무껍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보리 추출물, 오크라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유용성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유용성 광대수염 추출물, 오노니스 스피노자 추출물, 나스투리튬 컴프리종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오렌지 꽃물, 해조 추출물, 감 탄닌, 갈근 뿌리 추출물, 일본 쥐오줌풀 추출물, 부들개지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유용성 캐모마일 추출물, 캐모마일 워터, 야생 귀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유용성 당근 추출물, 당근유, 사철쑥 추출물, 감초 추출물, 분말 감초 추출물, 감초 후라보노이드, 칸타리스 틴크, 라즈베리 추출물, 참다래 추출물, 기나나무 추출물, 오이 추출물, 행인 추출물, 퀸스 씨드 추출물, 치자 추출물, 산죽속(Sasa albo-marginata) 추출물, 느삼대 추출물, 호도 껍질 추출물, 포도 추출물, 클레머티스 추출물, 흑당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계수나무 껍질 추출물, 겐티아나 추출물, 제라늄 허브 추출물, 홍차 추출물, 개연꽃 추출물, 우엉 추출물, 유용성 우엉 추출물, 밀 배아 추출물, 가수분해 밀 분말, 쌀겨 추출물, 발효 쌀겨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족도리풀 추출물, 샤프란 추출물, 소프워트(Saponaria officinalis) 추출물, 유용성 샐비어 추출물, 크라타에구스 쿠네아타(Crataegus cuneata) 추출물, 초피나무 추출물, 표고 버섯 추출물, 분말 표고 버섯 추출물, 지황 추출물, 자근 자초 추출물, 유용성 자근 자초 추출물, 페릴라 허브 추출물, 린덴 추출물, 유용성 린덴 추출물, 터리풀(Filipendula) 추출물, 작약 추출물, 율무 추출물, 생강 추출물, 유용성 생강 추출물, 생강 팅크, 창포 뿌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유용성 자작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인동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유용성 쇠뜨기 추출물, 스코르디닌, 스테비아 추출물, 아이비 추출물, 산사나무(whitethorn) 추출물, 서양 딱총나무(Sambucus nigra) 추출물, 두송(Juniperus communis)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유용성 서양톱풀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유용성 세이지 추출물, 세이지 워터, 아욱 추출물, 셀러리 추출물, 천궁 추출물, 천궁 워터, 당약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추나무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녹차 추출물, 건조 증류 차잎액, 차씨 추출물, 정향 추출물, 귤피 껍질 추출물, 동백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용성 페르시아 호두 추출물, 란시움 도메스티큠(Lansium domesticum) 추출물, 터미날리아(Terminalia) 추출물, 고추 추출물, 왜당귀 추출물, 유용성 왜당귀 추출물, 왜당귀 워터, 금잔화 추출물, 유용성 금잔화 추출물, 두유 분말, 피치커넬(peach kernel) 추출물, 등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포텐틸라 토르멘틸라 샤크(Potentilla tormentilla Schrk) 추출물, 발효 대두 추출물, 인삼 추출물, 유용성 인삼 추출물, 마늘 추출물, 야생 장미 추출물, 유용성 야생 장미 추출물, 맥아 추출물, 맥아 뿌리 추출물, 맥문동 덩굴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호밀 잎 즙 농축액, 페퍼민트 증류액, 하마메리스 워터, 하마메리스 추출물, 장미 추출물, 파리에타리아(parietaria)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에리오보트리아 자포니카(Eriobotrya japonica) 잎 추출물, 유용성 에리오보트리아 자포니카 잎 추출물, 부스 브룸(butcher's broom) 추출물, 분말 부쳐스 브룸 추출물, 포도 추출물, 포도 잎 추출물, 포도 워터, 헤이플라워 추출물, 수세미 추출물, 수세미 워터, 홍화 추출물, 유용성 보리자나무 추출물, 보리자나무 워터, 모란 추출물, 홉 추출물, 유용성 홉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큰엉겅퀴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유용성 마로니에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전동싸리 추출물, 복숭아 잎 추출물, 유용성 복숭아 잎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수레국화 증류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백합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유용성 의이인 추출물, 쑥 추출물, 쑥 워터, 라벤더 추출물, 라벤더 워터, 사과 추출물, 영지버섯(Gaenoderma lucidum) 추출물, 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장미 워터, 로즈마리 추출물, 유용성 로즈마리 추출물, 안테미스 노빌리스(Anthemis nobilis)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류 및 펩티드류의 구체예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γ-아미노부티르산,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 ε-아미노카프로산,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성 엘라스틴,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카제인, 글루타티온, 밀 펩티드, 대두 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류 및 비타민 유사 작용 인자류의 구체예로는,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아세트산 레티놀, 팔미트산 레티놀 등의 비타민 A,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δ-카로틴, 리코핀, 제아잔틴, 크립토크산틴, 에키네논,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로테노이드류, 타이민류 등의 비타민 B1 화합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 화합물,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6 화합물, 시아노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 화합물, 엽산류, 니코틴산, 니코틴아미드, 판토텐산류, 비오틴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 화합물,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화합물, 우비퀴논류, 비타민 K 화합물, 카르니틴, 페룰린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오로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의 구체예로는, 벤조산, 벤조산 나트륨,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소르브산 칼륨, 디히드로아세트산, 디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파라-히드록시벤조산 이소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 이소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산 에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 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 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산 벤질, 파라-히드록시벤조산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 메틸나트륨, 페녹시에탄놀, 감광 색소 101호, 감광 색소 201호, 감광 색소 401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구체예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갈산 프로필, 에리소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나트륨, 파라-히드록시아니솔 및 갈산 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봉쇄제의 구체예로는, 에틸렌디아민 히드록시에틸 삼아세트산 삼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삼나트륨, 에데트산 사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글루콘산, 피틴산,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히드록시에탄 이인산 사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구체예로는,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나트륨, 락트산 나트륨,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 베타인, 유산균 배양액, 효모 추출물, 세라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의 구체예로는,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 삼나트륨,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β-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 글리세롤,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염화 리소자임, 히드로코르티손, 알란토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의 구체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류의 구체예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타르타르산 나트륨, 말레산 나트륨, 글루탐산 나트륨, 아스파라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산류의 구체예로는, 시트르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백제의 구체예로는, 아르부틴, α-아르부틴, 태반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정유류의 구체예로는, 안젤리카유, 일랑일랑유, 엘레미유, 오렌지유, 캐모마일유, 로마 캐모마일유, 카다몬유, 카라무스유, 갈마늄유, 캠퍼유, 당근씨유, 클라리세이지유, 그레이프프루트유, 정향유, 계피껍질유, 고수유, 사이프러스유, 백단 유, 삼목유, 시트로넬라유, 계피잎유, 자스민 앱솔루트, 주니퍼베리유, 생강유, 스페아민트유, 세이지유, 세다유, 제라늄유, 타임유, 티트리유, 육두구유, 니아울리(niaouli)유, 시트러스 네롤리유, 파인유, 바질유, 박하유, 파튜리유, 팔마로사유, 페넬유, 페티트레인유, 블랙페퍼유, 유향유, 베티버유, 페퍼민트유, 베르가못유, 벤조인유, 보아드로즈유, 마조람유, 만다린유, 몰약유, 멜리사유, 유칼립투스유, 유자유, 라임유, 라벤사라유, 라반딘유, 라벤더유, 린덴유, 레몬유, 레몬그라스유, 로즈유, 향목유, 로즈마리유, 로바지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류의 구체예로는, 리모넨, 피넨, 테르피넨, 터피놀렌, 미르센, 론지폴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중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상기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해당하지 않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가 피부 외용제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가 화장료인 경우, 또한 기존의 화장품 원료를 피부 제제에 일반적인 농도로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품 원료 기준", 제2판, 주해, 일본 공정서 협회편, 1984년(야꾸지 닛포사(Yakuji Nippo Ltd.) 발간), "화장품 원료 기준외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년(야꾸지 닛포사 발간), "화장품 원료 기준외 성분 규격 추보",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년(야꾸지 닛포사 발간), "화장품 종별 허가 기준",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년(야꾸지 닛포사 발간),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7년(야꾸지 닛포사 발간) 또는 "화장품 원료 사전", 1991년(닛코 케미컬즈사 발간) 등에 기재된 임의의 화장품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는,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켜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특정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션, 유액, 크림, 팩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특히 침전이 눈에 띄는 로션 형태의 제형에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pH는 6.5 내지 7.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pH가 상기 범위이면, APPS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제제 안정성이 더욱 개선된다.
pH는 25℃에서의 값이며, pH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APPS, 상기 적어도 1종의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그 밖의 임의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APPS 이외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는 배합하지 않는다.
제형 공정은, 원하는 제제 형태에 따라 통상법을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PPS와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APPS 이외의 임의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피부 외용제의 경시적인 침전 또는 흐림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화장료 및 의약품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전반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화장료에 유용하다.
경시적인 침전 또는 흐림의 발생이 억제되는 이유는 완전히 분명하지 않지만, 이하인 것으로 생각된다. 즉, APPS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중에서, APPS의 분해에 의해, 물에 불용인 팔미트산 나트륨의 침전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팔미트산 나트륨의 침전물이 가용화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APPS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특정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APPS와 계면활성제 사이의 어떠한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APPS의 분해 및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이하, 일련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1, 비교예 1 내지 8]
표 1 또는 2에 나타내는 성분 (단위: 질량%)을 균일하게 교반하여 분산 또는 용해하여, 일련의 로션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각 로션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1. 침전의 평가]
얻어진 각 로션에 대해서, 로션의 제조 직후 및 그 후 40℃에서 1개월 저장 후 (40℃의 항온조 중에서 1개월 정치후)의 로션 중 침전물의 발생을 육안으로 평가하고, 하기 평가 기준을 따라 침전 수준을 평가하였다.
A: 침전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B: 침전이 약간 보였다.
C: 침전이 현저히 보였다.
[2. 저장 안정성의 평가]
얻어진 각 로션의 40℃에서 1개월 저장 후 (40℃의 항온조 중에서 1개월 정치후)의 APPS의 잔존율(%)을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하고, 상기 잔존율에 기초하여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잔존율이 높은 만큼,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잔존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3>
잔존율(%)= 100 × [40℃에서 1개월 저장 후의 로션 중의 APPS 농도(%)/제조 직후의 로션 중의 APPS 농도(%)]
상기 APPS 농도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하기의 측정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조건)
컬럼: 쇼와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Showdex C18P 4E (상품명)
컬럼 온도: 40℃
용리액: 0.03M 인산 이수소칼륨 수용액/아세토니트릴=4/6 (체적비)
유속: 0.7mL/분
검출: UV 265nm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표 1 및 2 중에서, pH 및 실제 활성 성분 농도의 값은 이하의 순서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pH: 제조된 로션 및 유액의 pH 값 (25℃)을 유리 전극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pH 측정에는 pH 미터 (호리바사(Horiba, Ltd.) 제조의 F-52)를 사용하였다.
실제 활성 성분의 농도: 로션 중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실제 활성 성분의 농도 (질량%)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에 의해, 하기의 측정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 측정 조건)
컬럼: 쇼와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Showdex C18M 4D (상품명)
컬럼 온도: 40℃
용리액: 0.01M 아세트산 암모늄 수용액/아세토니트릴 (구배)
유속: 1.0mL/분
검출: UV 200 내지 400nm (포토다이오드 어레이)
이온화법: 전기분무법
표 1 및 2에 나타낸 성분 중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그 밖의 계면활성제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26% 수용액: 카오사 제조의 앰피톨 24B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야자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30% 수용액:카오사 제조의 앰피톨 55AB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31% 수용액: 도호 케미컬 인더스트리사 제조의 오바졸린 ISAB
[그 밖의 계면활성제]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의 닛콜 데카글린(Nikkol Decaglyn) 1-SV
폴리옥시에틸렌 (15)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의 닛콜 TMGS-15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의 닛콜 TO-10V
폴리옥시에틸렌 (30)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에이트: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의 닛콜 GO-430NV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3)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25% 수용액: 카오사 제조의 에말(Emal) 20C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0% 수용액: 카오사 제조의 쿼타민(Quartamin) 60W
소듐 라우릴아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30% 수용액: 코그니스 재팬사(Cognis Japan Ltd.) 제조의 데리팻(Deriphat) 160C
표 1에 나타낸 침전 및 저장 안정성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1, 다른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비교예 2 내지 8과 비교하여, 로션 중의 APPS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경시적인 침전물의 발생이 억제된다는 점을 알아냈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침전 및 저장 안정성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실시예 4 내지 11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이 로션 중의 APPS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경시적인 침전물의 발생이 억제된다는 점을 알아냈다.

Claims (10)

  1.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이며,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만이 배합되고,
    추가로,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화학식 1>
    Figure pct00010

    <화학식 2>
    Figure pct00011

    [식 중, R1은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화학식 1 중의 R1이 탄소수가 12 내지 24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화합물인, 피부 외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화학식 2 중의 R2가 탄소수가 12 내지 24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인 화합물인, 피부 외용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의 배합량이,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의 범위인, 피부 외용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질량%의 범위인, 피부 외용제.
  6. 제1항에 있어서, pH가 6.5 내지 7.5의 범위인, 피부 외용제.
  7.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인, 피부 외용제.
  8.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유도체로서,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만을,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ct00012

    <화학식 2>
    Figure pct00013

    [식 중, R1은 탄소수가 6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를 나타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6-팔미트산 나트륨이,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피부 외용제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질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 방법.
KR1020137018106A 2011-05-12 2012-05-02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02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7599 2011-05-12
JP2011107599A JP5690208B2 (ja) 2011-05-12 2011-05-12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2/062076 WO2012153825A2 (en) 2011-05-12 2012-05-02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794A true KR20130100794A (ko) 2013-09-11
KR101502260B1 KR101502260B1 (ko) 2015-03-12

Family

ID=46168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106A KR101502260B1 (ko) 2011-05-12 2012-05-02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80079B2 (ko)
EP (1) EP2642975B1 (ko)
JP (1) JP5690208B2 (ko)
KR (1) KR101502260B1 (ko)
CN (1) CN103338745B (ko)
WO (1) WO201215382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42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아이마더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5550B2 (ja) * 2012-12-20 2018-01-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溶液、皮膚外用剤
JP6116258B2 (ja) * 2013-01-23 2017-04-19 昭和電工株式会社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840771A (zh) * 2018-08-20 2020-02-28 天津美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焕颜精华乳
CN111700825B (zh) * 2020-06-29 2022-07-01 上海中医药大学 一种口腔健康护理用的油性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217263B1 (ko) * 2020-10-29 2021-02-17 조혜진 피부용 디톡스 조성물
CN115607608B (zh) * 2022-09-09 2023-11-28 贵州大学 一种复方花椒软膏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2419A (en) 1996-11-26 2000-12-19 Nicholas V. Perricone Stabilized ascorbyl compositions
JPH10298174A (ja) 1997-04-30 1998-11-10 Showa Denko Kk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ビタミンc剤
JP2003176217A (ja) * 2001-12-12 2003-06-24 Showa Denko Kk 皮膚外用剤
ES2317067T3 (es) * 2003-10-14 2009-04-16 Showa Denko K.K. Agente para uso externo cutaneo que contiene una sal de un derivado de acido ascorbico, procedimiento para estabilizar el agente para uso externo cutaneo.
JP4672328B2 (ja) * 2003-10-14 2011-04-20 昭和電工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05187466A (ja) 2003-12-04 2005-07-14 Showa Denko Kk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CA2508095A1 (en) * 2005-05-20 2006-11-20 Vivier Canada Inc.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JP2007269668A (ja) * 2006-03-30 2007-10-18 Kose Corp 水中油型美白化粧料
JP2007262039A (ja) * 2006-03-30 2007-10-11 Kose Corp 化粧料
JP2008007428A (ja) * 2006-06-27 2008-01-17 Showa Denko Kk 皮膚外用シワ防止剤
JP5342102B2 (ja) 2006-07-04 2013-11-13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4495748B2 (ja) * 2006-09-29 2010-07-07 株式会社ファンケル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6−脂肪酸凍結乾燥製剤及び化粧料
WO2009084477A1 (ja) * 2007-12-28 2009-07-09 Showa Denko K.K. 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42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아이마더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260B1 (ko) 2015-03-12
WO2012153825A2 (en) 2012-11-15
CN103338745B (zh) 2016-06-01
JP5690208B2 (ja) 2015-03-25
EP2642975B1 (en) 2016-08-24
EP2642975A2 (en) 2013-10-02
US20130287718A1 (en) 2013-10-31
CN103338745A (zh) 2013-10-02
WO2012153825A3 (en) 2013-08-01
US9180079B2 (en) 2015-11-10
JP2012236800A (ja)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102B2 (ja) 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20130100794A (ko)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EP2037873A2 (en) Dermatological anti-wrinkle agent
JP5363999B2 (ja) 養毛化粧料
KR20080030684A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KR20100107024A (ko)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US20100273877A1 (en) Emulsified skin external preparations and cosmetics
JP2007099670A (ja) 皮膚外用剤
JP2007056009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5047507B2 (ja) カルニチン誘導体及びその塩、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JP6116258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JP2007126438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4399332B2 (ja) 化粧料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JP2007254373A (ja) 抗老化化粧料
JP2009143860A (ja) 養毛化粧料
JP2007254387A (ja) 抗老化化粧料
KR100944593B1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JP2005336171A (ja) トコフェロール誘導体、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及びリポペプチド構造を有する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7254376A (ja) 養毛化粧料
JP2007254389A (ja) 美白化粧料
JP2007254375A (ja) 美白化粧料
JP2007254388A (ja) 抗肌荒れ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