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460A -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460A
KR20130099460A KR1020120020996A KR20120020996A KR20130099460A KR 20130099460 A KR20130099460 A KR 20130099460A KR 1020120020996 A KR1020120020996 A KR 1020120020996A KR 20120020996 A KR20120020996 A KR 20120020996A KR 20130099460 A KR20130099460 A KR 2013009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ea
cover
display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960B1 (ko
Inventor
김영욱
신진환
이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2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960B1/ko
Priority to US13/618,080 priority patent/US20130223667A1/en
Publication of KR2013009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2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상호 구획된 제1 및 제2영역을 구비하는 몸체부, 제1 및 제2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설치되는 스피커부 및, 제1 및 제2영역을 커버하도록 몸체부의 일면에 고정체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고정체에는 제1 및 제2영역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마련되어, 제1 및 제2영역을 스피커부의 공명공간으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명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른 스피커부의 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TERMINAL HAVING SPEAKER UNIT}
본 발명은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분한 공명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상대방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말기로써, 셀룰러폰, PCS 또는 PDA 등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보급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조작패널을 이용한 조작신호 입력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터치방식으로 조작신호을 입력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입력방식이 적용된 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스피커가 내장되며, 음질 개선을 위해 단말기에 대해 차폐되어 독립적인 공명공간을 갖는 밀폐형 스피커가 주로 채택된다. 그런데, 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해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됨과 아울러, 단말기는 점차 사용성과 심미성 향상을 위해 소형화 및 슬림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다양한 내장 부품들로 인해 상기 스피커의 공명을 위한 공간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공명공간의 확보 어려움은 단말기의 스피커 음질을 저하시킴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 신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분한 공명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압차에 의한 흡착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상호 구획된 제1 및 제2영역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및 제2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설치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고정체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기 스피커부의 공명공간으로 제공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스피커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영역에는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방식으로 조작신호 입력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표시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 공간을 상기 제1영역과 연통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영역과 마주하도록 개방된 상기 연통부와, 상기 제2영역에 설치된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부와 노출부는 상호 연통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상기 커버부를 부착시키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영역과 마주하도록 개방된 상기 연통부와, 상기 제2영역에 설치된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부와 상기 노출부는 상호 연통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영역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영역을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기 공명공간으로 제공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은 상기 스피커부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및 제2영역 측으로 흡착됨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에어홀이 관통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에어홀에는 필터부재가 장착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제1영역 내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는,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부가 설치되는 제1영역과,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1영역에 대해 구획되어 이웃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스피커부 및 표시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상기 커버부와, 상기 스피커부 및 표시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기 스피커부의 공명공간으로 제공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터치방식으로 조작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표시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을 상기 제1영역과 연통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는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노출부와, 상기 제1영역과 마주함과 아울러 상기 노출부와 연통하도록 개방된 상기 연통부가 마련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관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에어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스피커부와 표시부 측으로 흡착됨을 방지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에어홀에는 필터부재가 장착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제1영역 내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스피커부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까지 공명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충분한 공명공간 확보에 따른 음질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제1영역 내로 공기의 출입을 위한 에어홀이 마련됨으로써, 기압차에 의한 커버부가 스피커부와 표시부 측으로 흡착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커버부의 흡착이 방지됨에 따른 커버부와 표시부 사이의 간격을 저감시킬 수 있어,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로부터 고정체의 연통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부의 음질을 종래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고하면,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1)는 몸체부(10), 스피커부(20), 표시부(30) 및 커버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단말기(1)의 몸체로써, 상호 구획된 제1 및 제2영역(A1)(A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A1)은 도 1의 도시를 기준으로 몸체부(10)의 좌측 영역이며, 상기 제2영역(A2)은 제1영역(A1)과 우측으로 이웃하는 영역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영역(A1)(A2)은 도시 기준으로 몸체부(10)의 좌측 및 우측 영역이지만, 몸체부(10)를 사용방향을 기준으로 상, 중, 하 영역으로 구분할 경우, 각각 상 및 중 영역에 대응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영역(A1)(A2)은 제1 및 제2지지 프레임(11)(12)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상기 스피커부(20)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A1)(A2) 중 어느 한 영역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의 제1영역(A1)에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부(20)는 인크로저(Incloser) 방식으로 밀폐된 공간 내에서 공명되어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밀폐형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제1영역(A1)과 이웃하는 제2영역(A2)에 설치되며, 소정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30)는 다양한 표시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수단(LCD, Liquid Crystal Display)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0)는 터치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터치방식으로 조작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표시부(30)의 터치방식을 통해 조작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표시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부(40)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A1)(A2)을 커버하도록 몸체부(10)의 일면에 고정체(41)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체(41)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영역(A1)(A2)을 커버하도록 소정 두께(t)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2영역(A2)에 설치된 표시부(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부(30)과 마주하는 영역이 개방된 노출부(42)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커버부(40)는 몸체부(10)의 일면을 향해 표시부(30)가 노출됨을 간섭하지 않은 상태로 몸체부(10)에 고정체(41)에 의해 고정되어, 몸체부(10)에 내장된 표시부(30) 뿐만 아니라, 스피커부(20)를 보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40)는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정보의 노출을 간섭하지 않도록 일종의 윈도우(Window)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41)는 일종의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여 커버부(40)를 몸체부(10)에 부착시킨다.
참고로, 상기 스피커부(20)를 통해 발생된 음향신호를 단말기(1)의 몸체부(10)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부(20)과 순차적으로 마주하는 제1지지 프레임(11), 고정체(41) 및 커버부(40)에 상호 연통되는 제1 내지 제3스피커홀(21)(22)(2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41)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영역(A1)(A2)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부(43)가 마련됨으로써, 제1 및 제2영역(A1)(A2)을 스피커부(20)의 공명공간으로 제공한다. 즉, 상기 연통부(43)는 상술한 고정체(41)의 노출부(42)와 연통됨에 따라, 제1 및 제2영역(A1)(A2)의 빈공간을 스피커부(20)의 공명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통부(43)와 마주하는 제1지지 프레임(11)에 연통홀(44)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영역(A1)(A2)이 상호 연통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제1지지 프레임(11)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체(41)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통부(43)가 고정체(41)의 노출부(42)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영역(A1)(A2)을 동시에 개방시키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영역(A1) 뿐만 아니라 제2영역(A2)까지 스피커부(20)의 후방 공명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통부(43)로 인한 제1 및 제2영역(A1)(A2)의 공명공간 확보는 도 3과 같이, 개선 전 종래에 비해 20 ~ 1000Hz의 저음 영역과 1000 ~ 10000Hz의 중음 영역에서 음질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41) 상에 노출부(42)가 개방되어 형성됨에 따라,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고정체(41)의 두께(t)에 대응되는 커버부(40)과 표시부(30) 사이의 간격(G)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부(40)과 표시부(30) 사이의 간격(G)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이 연통부(43)에 의해 제1영역(A1)과 연통됨으로써, 스피커부(20)의 공명공간으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스피커부(20)가 설치되는 제1영역(A1)을 지지하는 제1지지 프레임(11)에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에어홀(11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홀(11a)을 통해 유입된 공기로 인해 제1영역(A1) 내외의 기압차에 따른 커버부(40)가 스피커부(20)과 표시부(30) 측으로 흡착됨이 방지된다. 이러한 에어홀(11a)에 의한 흡착 방지로 인해, 커버부(40)과 표시부(30) 사이의 간격(G)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소형화 및 슬림화된 단말기(1)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에어홀(11a)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영역(A1)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부직포와 같은 필터부재가 장착됨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1)의 공명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제1영역(A1)에 대응되는 제1지지 프레임(11)에 지지되어 마련된 스피커부(20)가 동작되면,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영역(A1)(A2)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부(43)를 구비하는 고정체(41)로 인해, 제1영역(A1) 뿐만 아니라 제2영역(A2)을 이용해 스피커부(20)가 공명된다. 이때, 상기 제2영역(A2)의 공명공간은 도 1에 표시된 표시부(30)과 커버부(40) 사이의 간격(G)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과 커버부(40) 사이의 간격(G)은 고정체(41)의 두께(t)에 대응될 정도로 좁아도, 제1영역(A1) 내외의 기압차가 에어홀(11a)에 의해 보상됨에 따라, 커버부(40)가 흡착되지 않는 공명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스피커부(20)를 통해 발생된 음향신호는 제1 내지 제3스피커홀(21)(22)(23)을 차례로 경유한 후 몸체부(10)의 외부로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단말기 10: 몸체부
20: 스피커부 30: 표시부
40: 커버부 41: 고정체
42: 노출부 43: 연통부

Claims (13)

  1. 상호 구획된 제1 및 제2영역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및 제2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설치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고정체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커버부;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기 스피커부의 공명공간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스피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방식으로 조작신호 입력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표시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 공간을 상기 제1영역과 연통시키는 단말기.
  4. 제2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영역과 마주하도록 개방된 상기 연통부와, 상기 제2영역에 설치된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부와 노출부는 상호 연통되는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상기 커버부를 부착시키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영역과 마주하도록 개방된 상기 연통부와, 상기 제2영역에 설치된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부와 상기 노출부는 상호 연통되는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영역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영역을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기 공명공간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은 상기 스피커부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및 제2영역 측으로 흡착됨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에어홀이 관통 형성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에는 필터부재가 장착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제1영역 내로 유입됨을 차단하는 단말기.
  9.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부가 설치되는 제1영역과,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1영역에 대해 구획되어 이웃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스피커부 및 표시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커버부;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상기 커버부와, 상기 스피커부 및 표시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상기 스피커부의 공명공간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방식으로 조작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표시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을 상기 제1영역과 연통시키는 단말기.
  11. 제9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노출부와, 상기 제1영역과 마주함과 아울러 상기 노출부와 연통하도록 개방된 상기 연통부가 마련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관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에어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스피커부와 표시부 측으로 흡착됨을 방지시키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에는 필터부재가 장착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제1영역 내로 유입됨을 차단하는 단말기.
KR1020120020996A 2012-02-29 2012-02-29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KR10134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96A KR101345960B1 (ko) 2012-02-29 2012-02-29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US13/618,080 US20130223667A1 (en) 2012-02-29 2012-09-14 Terminal having speak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96A KR101345960B1 (ko) 2012-02-29 2012-02-29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460A true KR20130099460A (ko) 2013-09-06
KR101345960B1 KR101345960B1 (ko) 2014-01-06

Family

ID=4900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996A KR101345960B1 (ko) 2012-02-29 2012-02-29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23667A1 (ko)
KR (1) KR1013459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36A1 (ko) * 2016-10-07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201511A1 (ko) * 2020-03-3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 유닛
WO2022154468A1 (ko)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75113A1 (ko) * 2021-11-01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2531A (zh) * 2013-08-01 2013-12-1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电子装置的外壳及其制造方法
CN103442532A (zh) * 2013-08-01 2013-12-1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的外壳及电子装置
KR102352365B1 (ko) * 2015-11-17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44795B2 (en) * 2018-03-16 2019-10-15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Glass cover plate for a display assembly, display assembly, and terminal
CN112822311B (zh) * 2021-01-11 2023-03-10 Tcl通讯(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054A (en) * 1984-08-09 1987-02-03 Nippon Ceramic Company, Limited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FI116874B (fi) * 1999-12-02 2006-03-15 Nokia Corp Äänenmuuntimet
DE60226098T2 (de) * 2001-06-2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Lautsprechersystem, Mobilendgerä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GB2386281B (en) * 2002-03-07 2005-03-16 Matsushita Comm Ind Uk Ltd Aural interface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7382890B2 (en) * 2003-07-31 2008-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20070044194A (ko) * 2005-10-24 2007-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공명 구조
JP2007150393A (ja) * 2005-11-24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装置
WO2009068927A1 (en) * 2007-11-26 2009-06-04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coustic chamber
JP5401898B2 (ja) * 2008-09-30 2014-0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5067346B2 (ja) * 2008-11-05 2012-1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US8483422B2 (en) * 2009-02-27 2013-07-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nclosure for a speaker of a wireless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36A1 (ko) * 2016-10-07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201511A1 (ko) * 2020-03-3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 유닛
WO2022154468A1 (ko)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75113A1 (ko) * 2021-11-01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960B1 (ko) 2014-01-06
US20130223667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460A (ko)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CN109547588B (zh) 移动终端
US9843659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536566B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TWI465173B (zh) 行動式終端機
WO2020011075A1 (zh) 移动终端
TWI539832B (zh) 可攜式電子裝置
CN103108269B (zh) 扬声器模组及其应用该扬声器模组的电子装置
EP2999238A1 (en) Audio output device, audio output method, and video display device
KR20190086899A (ko) 발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1055300A (ja) 携帯端末装置
CN104238657B (zh) 可携式电子装置
CN113271527B (zh) 用于电子设备的传感器组件
CN203225864U (zh) 扬声器模组及其应用该扬声器模组的电子装置
CN103347234A (zh) 低音扬声器及其后声腔形成方法
US11451902B1 (en) Speaker with vented resonator
JP2003158787A (ja) スピーカ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210112257U (zh) 一种后音腔连通于前音腔的智能电子设备
TW201517640A (zh) 手持式電子裝置
JP2018160816A (ja) 電子機器
CN110853503A (zh) 一种双面吊装显示屏
US20090302553A1 (en) Watertight navigation device
CN114070913A (zh) 电声组件以及电子设备
KR2014003571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JP2014050076A (ja) 浴室テレ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