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973A -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973A
KR20130096973A KR1020120018611A KR20120018611A KR20130096973A KR 20130096973 A KR20130096973 A KR 20130096973A KR 1020120018611 A KR1020120018611 A KR 1020120018611A KR 20120018611 A KR20120018611 A KR 20120018611A KR 20130096973 A KR20130096973 A KR 2013009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ersonal information
marker
marker bod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867B1 (ko
Inventor
김만근
Original Assignee
김만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근 filed Critical 김만근
Priority to KR102012001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8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2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wearable, e.g. having the form of a ring, watch, glove or bracel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은 배지(badge), 장신구, 열쇠고리, 휴대폰 걸이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개인의 신체나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상시적으로 소지될 수 있고, 소지하고 있는 개인의 신상정보와 같은 개인정보가 QR코드로 코드화되어 있어 필요시 스마트 폰과 같은 리더기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 각종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특히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가 소지하도록 하여 실종이 예방되고,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는 개인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QR코드가 표면에 노출형성되는 표식체 본체와; 표식체 본체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은 개인의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QR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운용장치와;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가 표면에 노출형성되고, 개인의 신체에 장착되어 소지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QR코드 표식체와;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인식하게 되는 리더기를 포함하여,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통해 개인의 개인정보가 식별되어 필요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은 의뢰자가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QR코드 서버에 접속하여, QR코드 표식체를 소지할 개인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QR코드 서버가 의뢰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의 개인정보를 코드화하여 QR코드를 생성하고, QR코드 서버에 구비되는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된 QR코드를 저장하는 QR코드 생성단계와; 의뢰자가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 배지(badge)형 표식체 본체,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 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표식체 본체로 선택하여 선택된 표식체 본체를 제작하는 표식체 본체 제작단계와; QR코드 서버에서 생성된 QR코드를 표식체 본체 표면에 형성하여 QR코드 표식체를 이루도록 하는 QR코드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QR code sign device with individu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배지(badge), 장신구, 열쇠고리, 휴대폰 걸이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개인의 신체나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상시적으로 소지될 수 있고, 소지하고 있는 개인의 신상정보와 같은 개인정보가 QR코드로 코드화되어 있어 필요시 스마트 폰과 같은 리더기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 각종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특히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가 소지하도록 하여 실종이 예방되고,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수의 미아 또는 실종자가 발생하고 있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미아나 실종자를 찾는데 많은 사회적 비용이 들어가고 있다. 또한, 아직 정신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영유아, 아동이나,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자의 경우 발견시 신상정보 확인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워 보호자에게 안전하게 인계하는데 많은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따라, 길을 잃은 미아나 실종자를 찾아 보호자에게 안전하게 인계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보호자의 연락처나 신상정보가 기재된 미아/실종 방지용 팔찌나 목걸이와 같은 식별표지나 식별장치를 영유아, 아동이나,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자가 소지하도록 하여 미아/실종자 발생시 발견된 미아/실종자의 식별표지나 식별장치를 확인하여 보호자에게 인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미아/실종자 발생지의 관리요원이나 경찰이 발견하기 전에는 미아/실종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었고, 연락처가 곧바로 노출되어 미아/실종자의 임시 보호자가 보호자의 연락처를 직접 확인하게 됨으로써,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여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통신망과 연동되는 단말기를 구비하도록 하여 미아/실종자 발생시 곧바로 통신망을 통해 미아/실종자의 위치 및 신상정보가 확인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고안되었는데, 이는 시스템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89774호 "전자라벨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및 방법" 등에서와 같이 주민등록번호 및 신상정보 등을 코드화한 바코드나 RFID 태그와 같은 전자라벨을 보호대상자의 옷, 가방, 속옷, 신발 등에 부착하고, 미아/실종자 발생시 일정공간 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자라벨인식기로 전자라벨을 인식하여 미아/실종자의 위치 및 관련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미아/실종자의 위치 및 관련정보는 곧바로 중앙처리장치로 전송된 후 다시 보호자나 경찰의 연락망, 미아찾기 인터넷사이트 등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미아을 찾을 수 있도록 한 시스템도 현재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라벨을 이용한 미아/실종자 찾기 시스템의 경우 전자라벨의 생성에 번거로움이 많은 한편, 전자라벨을 인식하기 위한 전용 인식기가 필요하여 미아/실종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하는데 번거로움이 많고, 신상정보 확인이 곧바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용 인식기가 없을 경우 미아/실종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특허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89774호 "전자라벨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인의 신상정보와 같은 개인정보가 QR코드로 코드화되어 개인에게 제공됨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리더기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자가 길을 잃어 실종되는 일을 방지하거나, 사고 등에 의해 의식이 불명확한 자의 신원파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 각종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지(badge), 장신구, 열쇠고리, 휴대폰 걸이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개인의 신체나 휴대물품 등에 부담없이 장착되어 상시적으로 소지될 수 있음에 따라,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에 대한 활용성이 향상되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필요시 개인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가 소지하도록 하여 실종이 예방되고,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QR코드가 적용됨에 따라, 코드화된 개인정보의 생성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QR코드의 확인이 현재 보편화되고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미아/실종자의 신원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미아/실종자가 소지한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QR코드 서버에 접속한 자의 스마트 기기 정보와 접속정보가 QR코드 서버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QR코드에 코드화된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방지되고, 범죄 악용될 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개인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QR코드가 표면에 노출형성되는 표식체 본체와; 상기 표식체 본체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에서 상기 고정구는 클립, 고정핀, 끈, 고리, 벨크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표식체 본체는 개인의 신체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것과,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에서 상기 표식체 본체는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 배지(badge)형 표식체 본체, 열쇠고리형 표식체 본체,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에서 상기 표식체 본체의 QR코드에 코드화된 개인정보는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식체 본체의 QR코드에 코드화된 개인정보는 사진, 주소지 지도, 개인 현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에서 상기 표식체 본체의 QR코드는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의 개인정보가 코드화되어 실종 방지 및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개인의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QR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운용장치와;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가 표면에 노출형성되고, 개인의 신체에 장착되어 소지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QR코드 표식체와;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상기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인식하게 되는 리더기를 포함하여, 상기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통해 개인의 개인정보가 식별되어 필요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에서 상기 운용장치는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QR코드 서버이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QR코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에서 상기 QR코드 서버는 QR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QR코드 생성기와; 생성된 QR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QR코드 서버와 통신하는 상기 리더기의 정보와 상기 리더기의 접속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접속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에서 상기 QR코드 표식체는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의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사진, 주소지 지도, 개인 현황을 포함하는 신상정보가 개인정보로서 코드화된 QR코드를 가져 실종 방지 및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의뢰자가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QR코드 서버에 접속하여, QR코드 표식체를 소지할 개인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QR코드 서버가 의뢰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의 개인정보를 코드화하여 QR코드를 생성하고, QR코드 서버에 구비되는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된 QR코드를 저장하는 QR코드 생성단계와; 의뢰자가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 배지(badge)형 표식체 본체, 열쇠고리형 표식체 본체,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 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표식체 본체로 선택하여 선택된 표식체 본체를 제작하는 표식체 본체 제작단계와; 상기 QR코드 서버에서 생성된 QR코드를 상기 표식체 본체 표면에 형성하여 QR코드 표식체를 이루도록 하는 QR코드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QR코드 형성단계는 QR코드를 표식체 본체의 표면에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QR코드 형성단계는 QR코드가 코팅필름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코팅필름이 상기 표식체 본체의 표면에 코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지(badge), 장신구, 열쇠고리, 휴대폰 걸이 등으로 이루어진 표식체 본체 표면에 개인의 신상정보와 같은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가 형성되어 개인이 상시적으로 소지/휴대하여 필요시 스마트 폰과 같은 리더기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자신의 개인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자가 길을 잃어 실종되는 일을 방지하거나, 사고 등에 의해 의식이 불명확한 자의 신원파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 각종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가 소지하도록 하여 실종이 예방되고,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은 현재 보편화된 QR코드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코드화된 개인정보의 생성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QR코드의 확인이 전용 리더기 없이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미아/실종자의 신원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미아/실종자가 소지한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QR코드 서버에 접속한 자의 스마트 기기 정보와 접속정보가 QR코드 서버에 저장됨에 따라, QR코드에 코드화된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방지되고, 범죄 악용될 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QR코드, 장신구, 배지, 휴대폰 걸이, 열쇠고리, 리더기, 스마트 기기, 스마트 폰,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20)는 표식체 본체(22)와 고정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식체 본체(22)는 개인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QR코드(222)가 표면에 노출형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표식체 본체(22)는 소지자 개인의 신체에 착용되어 소지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소지된다. 이를 위하여 표식체 본체(22)는 도 2의 배지(badge)형 표식체 본체(22a)로 이루어지거나, 도 3의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식체 본체(22)는 도 4의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22c)로 이루어지거나, 도 5의 열쇠고리형 표식체 본체(22d)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식체 본체(22)에 형성된 QR코드(222)에 코드화된 개인정보는 QR코드 표식체(20) 소지자의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를 포함하는데, 소지자의 사진, 주소지 지도, 소지자의 개인 현황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지자의 성명도 QR코드(222)에 코드화된 개인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영유아, 아동의 경우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에게 친근감을 느끼며 따를 수 있어 유괴의 위험이 있으므로, 영유아나 아동에게 QR코드 표식체(20)를 소지시킬 경우, 성명은 개인정보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표식체(20)는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가 소지하도록 하여 미아/실종이 예방되고, 미아/실종이 발생할 경우 미아/실종 발생지 주변인에게 신속하게 신상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임에 따라, QR코드(222)는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의 개인정보가 코드화되도록 한다.
고정구(24)는 표식체 본체(22)에 형성되어 소지자 개인의 신체에 표식체 본체(22)가 착용되거나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고정구(24)는 클립(24a), 끈(24b), 고리(24c), 고정핀, 벨크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100)은 운용장치(40), QR코드 표식체(20), 리더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운용장치(40)는 개인의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222)를 생성하고, 생성된 QR코드(222)를 관리하게 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용장치(40)는 인터넷망(80)과 이동통신망(82)과 연동되는 QR코드 서버(42)이다. 이와 같은 QR코드 서버(42)는 QR코드 생성기(422),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424), 접속관리 데이터베이스(426), 전화연결 데이터베이스(428)를 구비한다.
QR코드 생성기(422)는 QR코드(222)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QR코드 서버(42)에 접속한 의뢰인이 QR코드 표식체(20)의 소지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QR코드 생성기(422)가 QR코드(222)를 생성하게 된다.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424)는 QR코드 생성기(422)와 연동되어 QR코드 생성기(422)로부터 생성된 QR코드(222)를 개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다수의 QR코드(222)를 관리하게 된다.
접속관리 데이터베이스(426)는 QR코드 서버(42)와 통신하는 리더기(60)의 기기정보와 접속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리더기(60)의 기기정보는 리더기(60)의 종류, 제품명칭, 제품번호, 리더기(60) 소유자 정보 등이고, 리더기(60)의 접속정보는 리더기(60)가 QR코드 서버(42)에 접속을 시도한 지점, 접속시간 등이다.
QR코드 표식체(20) 소지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QR코드(222)를 리더기(60)로 읽음으로써, QR코드 서버(42)에 접속하게 될 시 리더기(60)의 기기정보와 리더기(60)의 접속정보가 접속관리 데이터베이스(426)에 저장되고 관리됨에 따라, QR코드(222)에 코드화된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범죄자가 QR코드(222)에 코드화된 개인정보를 QR코드 서버(42)를 통해 인식하여 유괴 등의 범죄를 시도할 시 접속관리 데이터베이스(426)에 저장된 리더기(60)의 기기정보와 리더기(60)의 접속정보를 분석하여 범죄자를 용이하게 검거할 수 있게 된다.
전화연결 데이터베이스(428)는 리더기(60)로서 전화기능을 갖는 스마트 폰(61a)이 사용될 경우, QR코드 서버(42)에 접속하여 QR코드(222)를 인식함으로써 스마트 폰(61a) 화면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로 전화접속을 시도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폰(61a) 화면창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가 선택될 시 전화연결 데이터베이스(428)는 해당 전화번호로 통신을 시도하게 된다.
QR코드 표식체(20)는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222)가 표면에 노출형성되고, 개인의 신체에 착용/장착되어 소지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QR코드 표식체(20)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20)가 사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더기(60)는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62)이 구비되어 QR코드 표식체(20)의 QR코드(222)를 인식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리더기(60)로는 QR코드 서버(42)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61)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폰(61a)이 리더기(60)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100)은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여 미아나 실종이 예방되고, 미아/실종자 발생시 신속하게 신원을 확보하고,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개인이 소지하는 QR코드 표식체(20)는 각 개인의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사진, 주소지 지도, 개인 현황을 포함하는 신상정보가 개인정보로서 코드화된 QR코드(222)를 가져 실종 방지 및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은 정보입력단계, QR코드 생성단계, 표식체 본체 제작단계, QR코드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보입력단계는 의뢰자가 인터넷망(80)이나 이동통신망(82)을 통해 QR코드 서버(42)에 접속(S1)하고, QR코드 표식체(20)를 소지할 개인의 개인정보를 입력(S2)하는 단계이다.
QR코드 생성단계는 QR코드 서버(42)의 QR코드 생성기(422)가 의뢰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의 개인정보를 코드화하여 QR코드를 생성(S3)하고, QR코드 서버(42)에 구비되는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424)에 생성된 QR코드(222)를 저장(S4)하는 단계이다.
표식체 본체 제작단계는 QR코드 서버(42)가 제공하는 메뉴화면에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22b), 배지(badge)형 표식체 본체(22a),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22c), 열쇠고리형 표식체 본체(22d) 등이 개시되고, 의뢰자가 개시된 표식체 본체(22a)(22b)(22c)(22d)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S5)하고, 선택된 표식체 본체(22)를 제작(S6)하는 단계이다.
QR코드 형상단계는 QR코드 서버(42)의 QR코드 생성기(422)에서 생성된 QR코드(222)를 표식체 본체(22)의 표면에 형성(S7)하여 QR코드 표식체(20)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QR코드 표식체(20)의 제조를 완료(S8)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QR코드(222)는 표식체 본체(22)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표식체 본체(22)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QR코드(222)는 먼저 코팅필름에 형성된 후, QR코드(222)가 형성된 코팅필름이 표식체 본체(22)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QR코드(222)가 표식체 본체(22)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가 완료된 QR코드 표식체(20)는 의뢰인에게 공급(S8)되어, QR코드 표식체(20)를 필요로 하는 개인에게 착용/장착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와 그의 운용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QR코드 표식체 22 : 표식체 본체
222 : QR코드 22a : 배지형 표식체 본체
22b :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 22c :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
22d : 열쇠고리형 표식체 본체 24 : 고정구
24a : 클립 24b : 끈
24c : 고리 40 : 운용장치
42 : QR코드 서버 422 : QR코드 생성기
424 :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 426 : 접속관리 데이터베이스
428 : 전화연결 데이터베이스 60 : 리더기
61 : 스마트 기기 61a : 스마트 폰
62 :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 80 : 인터넷 망
82 : 이동통신망 100 :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Claims (13)

  1. 개인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QR코드가 표면에 노출형성되는 표식체 본체와;
    상기 표식체 본체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클립, 고정핀, 끈, 고리, 벨크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표식체 본체는 개인의 신체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것과,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체 본체는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 배지(badge)형 표식체 본체, 열쇠고리형 표식체 본체,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체 본체의 QR코드에 코드화된 개인정보는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체 본체의 QR코드에 코드화된 개인정보는 사진, 주소지 지도, 개인 현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체 본체의 QR코드는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의 개인정보가 코드화되어 실종 방지 및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
  7. 개인의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QR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운용장치와;
    개인정보가 코드화된 QR코드가 표면에 노출형성되고, 개인의 신체에 장착되어 소지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물품에 장착되어 소지되는 QR코드 표식체와;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상기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인식하게 되는 리더기를 포함하여, 상기 QR코드 표식체의 QR코드를 통해 개인의 개인정보가 식별되어 필요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장치는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QR코드 서버이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QR코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서버는 QR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QR코드 생성기와;
    생성된 QR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QR코드 서버와 통신하는 상기 리더기의 정보와 상기 리더기의 접속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접속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표식체는 영유아, 아동,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정신장애자, 신체결함을 갖는 장애자, 노인성 질환을 갖고 있는 자의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사진, 주소지 지도, 개인 현황을 포함하는 신상정보가 개인정보로서 코드화된 QR코드를 가져 실종 방지 및 실종자의 신상확인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11. 의뢰자가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QR코드 서버에 접속하여, QR코드 표식체를 소지할 개인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QR코드 서버가 의뢰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의 개인정보를 코드화하여 QR코드를 생성하고, QR코드 서버에 구비되는 QR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된 QR코드를 저장하는 QR코드 생성단계와;
    의뢰자가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형 표식체 본체, 배지(badge)형 표식체 본체, 열쇠고리형 표식체 본체, 휴대폰 걸이형 표식체 본체 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표식체 본체로 선택하여 선택된 표식체 본체를 제작하는 표식체 본체 제작단계와;
    상기 QR코드 서버에서 생성된 QR코드를 상기 표식체 본체 표면에 형성하여 QR코드 표식체를 이루도록 하는 QR코드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형성단계는 QR코드를 표식체 본체의 표면에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형성단계는 QR코드가 코팅필름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코팅필름이 상기 표식체 본체의 표면에 코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제조방법.
KR1020120018611A 2012-02-23 2012-02-23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KR10142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11A KR101420867B1 (ko) 2012-02-23 2012-02-23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11A KR101420867B1 (ko) 2012-02-23 2012-02-23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73A true KR20130096973A (ko) 2013-09-02
KR101420867B1 KR101420867B1 (ko) 2014-07-18

Family

ID=4944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611A KR101420867B1 (ko) 2012-02-23 2012-02-23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435A (ko) * 2020-01-08 2021-07-16 윤영훈 Qr 코드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207B1 (ko) * 2015-07-15 2016-12-2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83065A (ko) 2017-01-12 2018-07-20 (주) 동광 모바일 사물인터넷 지식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2280721B1 (ko) * 2020-09-17 2021-07-22 공영일 웨어러블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인증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048A (ja) * 2005-10-14 2007-04-26 Koji Koda Qrコードが印刷されたカード
JP2011054009A (ja) * 2009-09-03 2011-03-17 Hozumi Yamamura 迷子札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435A (ko) * 2020-01-08 2021-07-16 윤영훈 Qr 코드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867B1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9615B2 (en) Medical and personal data retrieval system
US9990828B2 (en) Rescue method, rescue system, wandering person care method, and wandering person care system
KR101420867B1 (ko)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US119418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ugmented reality to locate objects, identify persons, and interact with inanimate objects
US20200388382A1 (en) Systems fo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vital signs in the field with redundant electronic/visual security mechanisms
US78108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ication of guardians of location of lost persons
US20120320428A1 (en) Image transfer identification system
US7330121B2 (en) Method for locating a lost registered person
JP3205249U (ja) Nfcタグ付き物品
JP6587931B2 (ja) 要支援者確認ツール
US20210241901A1 (en) Systems for secure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tracking with redundant electronic/visual security mechanisms
US20150081742A1 (en) Human enumeration and tracking
JP6944237B2 (ja) 被介護者の救護支援システム
JP2016218992A (ja) 救援方法、救援システム、徘徊者保護方法および徘徊者保護システム
JP2016218992A5 (ko)
WO2016176223A1 (en) Misplaced or forgotten article recovery process
KR20170017283A (ko)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60879A1 (en) Hum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method of use thereof
JP3195519U (ja) 二次元コードをレーザーマーキングした電子識別票。
KR20210109345A (ko) 긴급구호용 qr코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20080024710A (ko)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Javed Sensors-based Crisis Response and Management for Mass Gatherings: A Case of Hajj.
El-Adl A Proposed Design of a Smart Bracelet for Facilitating the Rituals of Hajj and Umra
JP2001078815A (ja) 緊急用身飾品
IT201800009200A1 (it) Braccialetto identificativo di sicurezz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