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283A -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283A
KR20170017283A KR1020150110989A KR20150110989A KR20170017283A KR 20170017283 A KR20170017283 A KR 20170017283A KR 1020150110989 A KR1020150110989 A KR 1020150110989A KR 20150110989 A KR20150110989 A KR 20150110989A KR 20170017283 A KR20170017283 A KR 2017001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in server
client terminal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애연
Original Assignee
이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애연 filed Critical 이애연
Priority to KR102015011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283A/ko
Priority to PCT/KR2015/008340 priority patent/WO2017022877A1/ko
Publication of KR2017001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9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with means to differentiate between right and left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8System arrangements wherein both parent and child units can emit and rece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되고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한 QR코드부 또는 NFC태그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부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도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인증정보부를 인식하여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hoes Having Missing Protection Function,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되고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한 QR코드부 또는 NFC태그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부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도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인증정보부를 인식하여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장애인, 치매노인 등의 실종방지 대상의 경우 실종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자의 연락처, 주소 등의 보호자정보를 RFID태그에 저장하고, 상기 RFID태그를 상기 실종방지 대상이 휴대하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장신구에 삽입하여, 상기 실종방지 대상이 길을 잃을 경우 경찰서 등과 같은 미아관련 유관기관에서 RFID리더기로 장신구에 삽입된 RFID태그를 판독하여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적 장애인의 경우 목걸이 등과 같이 몸에 걸쳐진 물건을 무의식적으로 벗어버리는 습관이 있으며, 유아나 치매노인이 목걸이나 팔찌 등의 장신구를 분실하거나 착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와 같은 RFID 방식으로는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제3자가 길을 잃은 실종방지 대상을 발견한 경우, 상기 RFID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RFID리더가 없기 때문에, 실종방지 대상을 미아관련 유관기관에 데리고 가야만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었기 때문에 즉각적인 조치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유아나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유괴, 납치, 폭행 등의 안전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피보호자가 휴대한 스마트폰 등의 통신단말을 이용한 비상신호 송출 및 위치추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통신단말 내에 어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비상신호 송출 및 위치추적 시스템 기능이 구현되어, 통신단말의 특정키를 조작하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부모나 유관기관 등의 보호자에게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가 전송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그러나, 통신단말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위치추적 기능을 제공받지 못함은 물론, 휴대한다 하더라도 상기 통신단말의 조작이 능숙하지 않은 유아나 노인의 경우 비상시에 상기 특정키를 조작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신단말의 조작이 능숙하더라도 피보호자가 통신단말을 조작하려는 행동을 취할 경우 범죄자가 이를 착안하기 쉬워 통신단말을 뺏기기 일수였으며, 경험이 많은 지능범의 경우 범죄 이전에 통신단말과 같이 외부로 범죄를 알릴 수 있는 수단은 전부 제거하기 때문에 정작 필요한 상황에서는 종래의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하기가 제한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60764 A에 개시된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이 있다.
선행기술의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본체(100), 착용자 정보모듈(200), 및 클램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착용자 정보모듈(200)이 신발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착용자 정보를 음성이나 화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착용자의 상황이나 정보를 주변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은 구성이 복잡하고 신발에 포함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 제조하기가 쉽지 않으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30), 신호발생기(240), 출력부(250) 등이 고장나게 되면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제 구실을 하지 못하게 되고, 고장난 부품을 교체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선행기술의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에 채택되는 부품들이 고장나서 착용자의 정보를 음성이나 화상으로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 불빛이 없는 야간에 착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착용자 정보모듈을 주변 사람들이 인지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10-2014-0060764 A (2014.05.2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 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된 인증정보부를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서 불빛이 없는 야간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켤레의 신발 각각의 짝에 동일한 인증정보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하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 인증정보부, 2차 인증정보부, 및 3차 인증정보부를 구비하여 보안 단계를 여러 단계로 둠으로써, 보호자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실종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의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인증정보부를 야광부재에 배치함으로써, 불빛이 없는 야간에도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단말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부를 인식하여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여 필요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은,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된 형태로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프로그램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면서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증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정보부는, 야광(夜光)부재와;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거나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는 QR코드부, 및 상기 야광부재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QR코드부는,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인쇄되거나,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상기 투명필름의 하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로 이루어진 1차 인증정보부; 및 상기 QR코드이미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필름의 하면에 인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QR코드부는,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의 상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로 이루어진 1차 인증정보부; 상기 QR코드이미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필름의 상면에 인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 및 상기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광투과성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QR코드부는, 상기 야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기 위해 상기 야광부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집광필름과, 상기 집광필름의 상면에 적층되고 QR코드이미지가 인쇄되는 투명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정보부는, 상기 야광부재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로 이루어지는 1차 인증정보부; 및 상기 상기 야광부재의 외면 또는 NFC태그의 외면에 인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야광부재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야광필름 또는 야광판으로 이루어져서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한 켤레의 신발 각각의 짝에 각각 채용되고, 상기 한 켤레의 신발 각각의 짝에는 동일한 인증정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은,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프로그램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면서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증정보부를 포함하고,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 상기 인증정보부에 포함된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별로 매칭되는 보호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해당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되는 보호자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신발에 포함된 인증정보부의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시키기 위한 보호자정보를 입력하는 보호자정보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정보부는, 야광(夜光)부재와;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거나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는 QR코드부, 및 상기 야광부재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인증하는 1차 및 2차 인증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발신된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의 답신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인증하는 3차 인증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복수 개의 보호자 연락처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발신하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로의 통화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신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종방지 시스템 제어방법은, 신발 구매자가 보호자정보를 보호자단말기를 통해 메인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 구매자가 보호자정보를 보호자단말기를 통해 메인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보호자 연락처에 대한 정보 등을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이후에,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의 이메일로 인증번호를 발신하여 추가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인증정보부는, 상기 신발에 구비되는 QR코드부 및/또는 NFC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인증정보부는, 상기 QR코드부 및/또는 NFC태그와 함께 구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3차 인증정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보안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된 인증정보부를 야광부재의 일측에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QR코드이미지로 이루어지는 QR코드부, 또는 야광부재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부착되는 NFC태그로 구비함으로써,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서 인증정보부가 구비된 위치를 불빛이 없는 야간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불빛이 없는 야간에도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NFC태그 및 QR코드이미지를 인식하여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여 필요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인증정보부를 2개씩 제작함으로써 한 켤레의 신발 각각의 짝에 동일한 인증정보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하여 만일의 경우 신발 한 짝을 잃어버리더라도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1차 인증정보부, 2차 인증정보부, 및 3차 인증정보부와 같이 보안 단계를 여러 단계로 구비함으로써, 보호자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NFC리더나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QR코드 인식프로그램에 의해 판독되는 NFC태그 및 QR코드이미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호자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제3자가 길을 잃은 실종방지 대상을 발견한 경우 미아관련 유관기관에 데려가지 않더라도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 연락처, 주소 등을 확인하여 직접 연락할 수 있어 실종방지 대상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미아관련 유관기관의 실종관련 업무가 집약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면에 QR코드이미지가 인쇄되고 하면에 광투과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 필름의 상면에는 광투과성 보호필름이 적층됨으로써 수분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QR코드이미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필름의 하면에 QR코드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QR코드이미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필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야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기 위해 야광부재의 상면에 집광필름을 적층함으로써, QR코드이미지 사이를 통과하는 빛의 양이 더 많아지도록 하여 야간에 QR코드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신발의 장착부위와 야광부재의 하부면에는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가 각각 장착되어, 야광부재가 신발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므로, 신발의 세척 등의 이유로 상기 QR코드이미지 또는 NFC태그가 훼손되거나 물에 접촉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설포, 갑피 및 밑창 등의 장착부위에는 일측이 개구된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져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야광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외피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간이 형성된 위치에 일정 크기의 투과창이 장착되고, 상기 야광부재가 삽입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투과창을 통해 외부로 야광부재가 표시되므로, 필요시 야광부재를 포함한 인증정보부를 신발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음은 물론, 야광부재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QR코드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신발로부터 탈거할 필요없이 상기 투과창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QR코드이미지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판독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QR코드이미지 또는 NFC태그에 매칭되는 보호자정보를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구매자인 보호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보호자 단말기로의 통화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단계에서, 보호자정보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되어 소정의 피해를 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특정 언어로 동작하는 보호자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메인서버로 전달되는 정보, 또는 메인서버로부터 보호자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달되는 정보는 특정 언어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신발 구매자 또는 클라이언트가 사용언어의 차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1실시예로서, QR코드부가 밑창에 장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2실시예로서, QR코드부가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에 의해 장착된 상태와 신발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에 장착되는 QR코드부의 다른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3실시예로서, QR코드부가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투과창을 통해 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4실시예로서, NFC태그가 밑창에 장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5실시예로서, NFC태그가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에 의해 신발에 장착된 상태와 신발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6실시예로서, NFC태그가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투과창을 통해 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신발구매자가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호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된 형태로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1)에 구비되고,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프로그램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면서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증정보부;를 포함한다.
실종방지 대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1)을 착용한 피보호자로서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는 부모나 경찰서와 같은 유관기관 등 상기 실종방지 대상에게 실종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실종방지 대상의 현재 위치 정보가 전달되어 구조나 신고 등의 수습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이며 설정사항에 따라 그 대상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신발(1)은 상기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며 보호자 연락처, 주소, 실종방지 대상의 이름, 나이, 특이사항 등의 보호자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이미지(52)가 인쇄된 투명필름(50) 또는 NFC태그(60)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부가 구비된다.
인증정보부는, 야광(夜光)부재(40)와; 야광부재(40)의 일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52)를 포함하거나 야광부재(40)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50)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52)를 포함하는 QR코드부, 및 야광부재(40)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QR코드부와 NFC태그(60)를 각각 야광부재(40)에 구비할 수도 있고, QR코드부와 NFC태그(60)를 야광부재(40)에 같이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인증정보부는, QR코드부 또는 NFC태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QR코드부는 야광부재(40)의 일면에 인쇄되거나, 야광부재(40)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50)의 하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52)로 이루어진 1차 인증정보부; 및 QR코드이미지(52)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필름(50)의 하면에 인쇄되는 숫자(54)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2차 인증정보부는 숫자 이외에도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숫자만으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QR코드부는, 야광부재(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기 위해 야광부재(40)의 상면에 적층되는 집광필름(미도시)과, 집광필름(미도시)의 상면에 적층되고 QR코드이미지(52)가 인쇄되는 투명필름(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와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54)는,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된 형태로 야광부재(40)의 외면에 인쇄되거나 투명필름(50)의 하면 또는 상면에 인쇄되어, 카메라가 장착되며 QR코드 인식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면서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 및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54)의 QR코드부가 인쇄되는 투명필름(50)은 접착물질이 도포된 투명한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야광부재(40)의 임의 장착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인증정보부는 야광부재(40)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60)로 이루어지는 1차 인증정보부와, 야광부재(40)의 외면 또는 NFC태그(60)의 외면에 인쇄되는 숫자(64)로 이루어지는 2차 인증정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NFC태그(60)는,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1)의 설포(10), 갑피(20) 또는 밑창(30) 중 어느 하나의 장착부위에 배치되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된 NFC태그(6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NFC리더에 의해 인식되면서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보호자정보는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로서, 보호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지 등과 같이 제3자 또는 유관 기관 담당자가 연락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는 메모리에 접속되어 상기 보호자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URL코드 정보이다.
한편, 야광부재(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야광필름 또는 야광판으로 이루어져서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한 켤레의 신발(1) 각각의 짝에 각각 채용되고, 상기 한 켤레의 신발(1) 각각의 짝에는 동일한 인증정보부가 구비되어 만일의 경우 신발(1) 한 짝을 잃어버리더라도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야광필름 또는 야광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야광부재(40)는, 일면 또는 전면에 야광물질이 도포된다. 이러한 야광물질은 인광을 발하는 물질로서 인광체라고도 하는데 천연물로는 각종 보석, 황화광물 등이 있고, 인공물로는 알칼리 토금속의 황화물이나 황화아연에 중금속을 함유시킨 것이 있다. 발광 도료도 그 일종이며,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에 미량의 라듐이 섞여 있어서 그 방사선의 자극에 의해 장시간 빛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인광체에 라듐이나 스트론튬 90 등의 방사성 원소를 조금 첨가해 빛을 쬐지 않아도 발광하는 제품이 나오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1실시예로서, QR코드부가 밑창에 장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신발(1)의 밑창(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부가 구비된 야광부재(40)를 배치하되, 신발(1)의 밑창(3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QR코드부가 구비된 야광부재(40)를 함께 사출성형함으로써 밑창(30) 상에 야광부재(40)를 보다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신발(1)의 밑창(30)을 사출성형하는 금형에는 야광부재(4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32)이 형성되도록 삽입공간 형성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삽입공간 형성부가 형성된 금형의 성형공간에 밑창모재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금형으로부터 밑창모재를 탈거하면 상기 야광부재(40)가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3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광부재(40)의 외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밑창(30)의 삽입공간(32)에 야광부재(40)를 억지끼움하는 방식으로 체결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야광부재(40)를 밑창(3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 밑창(30)의 삽입공간(32)에 삽입되는 야광부재(40)에 인쇄되는 QR코드부 또는 야광부재(40)에 부착되는 투명필름(50)에 인쇄된 QR코드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QR코드부의 외측으로 광투과성 재질의 투과창(34)이 배치되어 QR코드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2실시예로서, QR코드부가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에 의해 장착된 상태와 신발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부는 야광부재(40)의 일면에 구비되어 신발(1)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와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54)가 인쇄된 투명필름(50)이 야광부재(40)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신발(1)의 설포(10)의 장착부위와, 상기 야광부재(40)의 하부면에는 수벨크로(70) 및 암벨크로(80)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야광부재(40)가 신발(1)로부터 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투명필름(50)의 하면에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와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54)가 인쇄되기 때문에 별도의 보호필름이 필요 없게 되고, 신발의 세척 등의 이유로 QR코드이미지와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외부환경으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에 장착되는 QR코드부의 다른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QR코드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광부재(40)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50)의 상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52)로 이루어진 1차 인증정보부; QR코드이미지(52)의 일측에 위치하여 투명필름(50)의 상면에 인쇄되는 숫자(54)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 및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를 보호하기 위해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광투과성 보호필름(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야광부재(40)의 상면에는 투명필름(50)이 구비되고, 투명필름(50)의 상면에는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와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54)가 인쇄되며, 투명필름(50)의 하면에는 광투과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투명필름(50)이 야광부재(4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투명필름(50)의 상면에는 광투과성 보호필름(56)이 적층됨으로써 수분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 QR코드부는, 야광부재(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기 위해 야광부재(40)의 상면에 적층되는 집광필름(미도시)과, 집광필름(미도시)의 상면에 적층되고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 및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54)가 인쇄되는 투명필름(50)을 포함한다. 야광부재(40)의 상면에 적층되는 집광필름(미도시)에는 요철(凹凸) 모양의 미세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QR코드이미지(52) 및 숫자(54)가 인쇄된 투명필름(50)과 집광필름(미도시)이 접착되는 경우 야광부재(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집광필름(미도시)에 형성된 요철 모양의 패턴을 따라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QR코드이미지(52) 사이를 통과하는 빛의 양이 더 많아지도록 하여 야간에 QR코드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QR코드부는, QR코드이미지(52) 및 숫자(54)가 인쇄되고 야광부재(40)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명필름(50)과, 투명필름(50)의 상부에 적층되고 요철(凹凸) 모양의 미세한 패턴이 형성된 광투과성 산란방지 필름(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QR코드부는, 투명필름(50) 하면에는 QR코드이미지(52) 및 숫자(54)를 인쇄하고, 야광부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명필름(50)의 상면에는 요철(凹凸) 모양의 미세한 패턴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투명필름(50)이 산란방지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야광부재(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 주위로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이 QR코드이미지(52)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QR코드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3실시예로서, QR코드부가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투과창을 통해 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신발(1)의 설포(10)의 장착부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외피(12)와 내피(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12)와 내피(14) 사이에는, QR코드부가 인쇄된 야광부재(40) 또는 QR코드부가 인쇄된 투명필름(50)이 부착된 야광부재(4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16)이 형성되되, 상기 외피(12)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간(16)이 형성된 위치에 일정크기의 투과창(18)이 형성되어 야광부재(40)가 삽입공간(1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투과창(18)을 통해 외부로 QR코드부가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1차 인증정보부인 QR코드이미지(52) 및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54)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야광부재(40)를 신발(1)로부터 탈거할 필요없이 상기 투과창(18)을 통해 표시되는 QR코드부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판독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4실시예로서, NFC태그가 밑창에 장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신발(1)의 밑창(3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태그(60)가 구비된 야광부재(40)를 배치하되, 신발(1)의 밑창(3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NFC태그(60)가 구비된 야광부재(40)를 함께 사출성형함으로써 밑창(30) 상에 야광부재(40)를 보다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신발(1)의 밑창(30)을 사출성형하는 금형에는 야광부재(4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32)이 형성되도록 삽입공간 형성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삽입공간 형성부가 형성된 금형의 성형공간에 밑창모재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금형으로부터 밑창모재를 탈거하면 상기 야광부재(40)가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3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광부재(40)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밑창(30)의 삽입공간(32)에 야광부재(40)를 억지끼움하는 방식으로 체결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야광부재(40)를 밑창(3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 밑창(30)의 삽입공간(32)에 삽입되는 야광부재(40)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야광부재(40)의 외측으로 광투과성 재질의 투과창(34)이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5실시예로서, NFC태그가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에 의해 신발에 장착된 상태와 신발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NFC태그(60)는 야광부재(40)의 일면에 구비되거나 야광부재(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신발(1)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인증정보부인 NFC태그(60)와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64)가 야광부재(40)의 일면에 인쇄되며, 신발(1)의 설포(10)의 장착부위와, 상기 야광부재(40)의 하부면에는 수벨크로(70) 및 암벨크로(80)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야광부재(40)가 신발(1)로부터 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야광부재(40)의 일면에 NFC태그(6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NFC태그(60)의 상부에는 광투과성 보호필름(56)을 적층함으로써 NFC태그(60)가 외부환경으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의 제6실시예로서, NFC태그가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투과창을 통해 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신발(1)의 설포(10)의 장착부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외피(12)와 내피(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12)와 내피(14) 사이에는, 1차 인증정보부인 NFC태그(60)가 삽입되거나 일면에 구비되는 야광부재(4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16)이 형성되되, 상기 외피(12)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간(16)이 형성된 위치에 일정크기의 투과창(18)이 형성되어 야광부재(40)가 삽입공간(1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투과창(18)을 통해 외부로 야광부재(40)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NFC태그(60)가 야광부재(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야광부재(40)의 일면에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64)가 인쇄되고, NFC태그(60)가 야광부재(40)의 일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NFC태그(60)의 일측에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64)가 인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1차 인증정보부인 NFC태그(60) 및 2차 인증정보부인 숫자(64)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야광부재(40)를 신발(1)로부터 탈거할 필요없이 상기 투과창(18)을 통해 표시되는 야광부재(40)를 식별하여 야광부재(40)에 구비되는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판독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1), 메인서버(300) 및 보호자정보 입력수단(400)을 포함한다.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1)은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프로그램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의해 인식되면서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인증정보부를 포함한다.
메인서버(300)는 인증정보부에 포함된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별로 매칭되는 보호자정보가 저장되며,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해당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되는 보호자정보를 제공한다.
보호자정보 입력수단(400)은 메인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신발(1)에 포함된 인증정보부의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시키기 위한 보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인증정보부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광(夜光)부재(40)와; 야광부재(40)의 일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52)를 포함하거나 상기 야광부재(40)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50)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52)를 포함하는 QR코드부, 및 상기 야광부재(40)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QR코드부가 인쇄된 투명필름(50)과 NFC태그(60)를 각각 야광부재(40)에 구비할 수도 있고, QR코드부가 인쇄된 투명필름(50)과 NFC태그(60)를 야광부재(40)에 같이 구비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QR코드이미지(52) 또는 NFC태그(60)의 1차 인증정보부와 숫자(54,64)로 된 2차 인증정보부를 판독하여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추출하는 단말장치로서, 실종방지 대상을 발견한 제3자가 휴대하거나 유관기관 담당자가 휴대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NFC태그(60)를 판독할 수 있는 NFC리더가 구비되거나 상기 QR코드이미지(52)를 인식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카메라 및 QR코드 인식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NFC리더가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한 신발(1)에 근접하게 되면 NFC리더가 신발(1)에 구비된 NFC태그(60)를 인식하고 이를 판독한 다음 메인서버(300)로 1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망(200)을 이용하여 발신하게 되고, 메인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1차 인증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메인서버(300)로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게 되고 메인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2차 인증 신호를 보내게 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메인서버(300)로부터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3차 인증정보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보안코드로서, 웹사이트 또는 인터넷 카페 등의 가입시 추가입력하는 보안코드와 유사하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의 답신정보를 이동통신망(200)을 이용하여 메인서버(300)로 발신하여 메인서버(300)로부터 인증받게 되면 상기 NFC태그에 저장된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NFC태그에 저장된 데이터가 보호자정보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화면창에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표시하여 보호자의 연락처, 주소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NFC태그에 저장된 데이터가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판독된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통해 이동통신망(200)을 거쳐 메인서버(300)에 접속하여 판독된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되어 메인서버(300)에 저장된 보호자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보호자의 연락처, 주소 등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설치된 QR코드 인식프로그램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카메라로 입사되는 신발의 QR코드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를 판독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메인서버(300)로 1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게 되고, 메인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1차 인증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메인서버(300)로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게 되고 메인서버(3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2차 인증 신호를 보내게 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는 메인서버(300)로부터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3차 인증정보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보안코드로서, 웹사이트 또는 인터넷 카페 등의 가입시 추가입력하는 보안코드와 유사하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의 답신정보를 이동통신망(200)을 이용하여 메인서버(300)로 발신하여 메인서버(300)로부터 인증받게 되면 상기 NFC태그에 저장된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QR코드이미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보호자정보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화면창에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표시하며, QR코드이미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일 경우에는 판독된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통해 메인서버(300)에 접속하고 이와 매칭되는 보호자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화면창에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메인서버(300)는, 각 NFC태그 및 각 QR코드이미지에 포함된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 별로 매칭되는 보호자정보가 저장되며,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해당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되는 보호자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특정 언어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전달되는 정보, 또는 메인서버(3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정보는 특정 언어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사용언어의 차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정보 입력수단(400)은, 메인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신발에 포함된 NFC태그 및 QR코드이미지의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시키기 위한 보호자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가 가능한 PC, 스마트폰, 노트북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의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NFC태그 및 QR코드이미지를 배치함으로써,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NFC태그 및 QR코드이미지를 인식하여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여 필요한 연락을 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종방지 대상이 실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NFC리더나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QR코드 인식프로그램에 의해 판독되는 NFC태그 및 QR코드이미지를 통해 보호자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제3자가 길을 잃은 실종방지 대상을 발견한 경우 미아관련 유관기관에 데려가지 않더라도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 연락처, 주소 등을 확인하여 직접 연락할 수 있어 실종방지 대상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미아관련 유관기관의 실종관련 업무가 집약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신발구매자가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호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신발 구매자는 신발 구매후 신발 판매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보호자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고, 신발 구매자인 보호자의 단말기(500)를 통해 보호자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신발 구매자가 보호자정보를 보호자 단말기(500)로 등록하는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의 보호자 단말기(500)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NFC리더나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QR코드 인식프로그램에 의해 1차 인증정보부인 NFC태그 또는 QR코드이미지를 판독하여 보호자 단말기(5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1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5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발신된 1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300)가 인증하는 1차 인증단계; NFC태그 또는 QR코드이미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숫자로 된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5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발신하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5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발신된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300)가 인증하는 2차 인증단계; 보호자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 메인서버(300)로부터 보호자 단말기(500)로 추가 인증번호를 발신하는 단계; 메인서버(300)로부터 발신된 추가 인증번호를 보호자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500)로 입력된 추가 인증번호를 메인서버(300)가 인증하는 단계; 보호자 연락처 등에 대한 보호자정보를 보호자 단말기(5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발신하는 단계; 및 보호자 단말기(500)로부터 발신된 보호자정보를 메인서버(300)가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특정 언어로 동작하는 보호자 단말기(5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전달되는 정보, 또는 메인서버(300)로부터 보호자 단말기(500)로 전달되는 정보는 특정 언어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신발 구매자가 사용언어의 차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300)가 수신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메인서버(300)가 추가 인증번호를 발신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500) 이외에도 보호자의 이메일 또는 SNS를 이용하여 추가 인증번호를 발신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정보에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신발 구매자인 보호자가 보호자정보를 추후에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발 판매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보호자의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단계를 경유하여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자정보는 복수 개로 등록 및/또는 저장할 수 있고, 관공서를 포함하는 유관기관의 연락처 등은 디폴트로 등록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종사고 발생시에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의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 해당 실종방지 대상의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1차 인증정보부인 NFC태그 또는 QR코드이미지를 제3자가 식별하여 제3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즉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NFC리더나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QR코드 인식프로그램에 의해 1차 인증정보부인 NFC태그 또는 QR코드이미지를 판독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1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발신된 1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300)가 인증하는 1차 인증단계; NFC태그 또는 QR코드이미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숫자로 된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발신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메인서버(300)로 발신된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300)가 인증하는 2차 인증단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보안코드와 같은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3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발신하는 단계; 메인서버(300)로부터 발신된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의 답신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메인서버(300)가 수신하여 인증하는 3차 인증단계; 메인서버(30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복수 개의 보호자 연락처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발신하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500)로의 통화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메인서버(3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발신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신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300)로 발신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발신된 신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메인서버(300)가 보호자 단말기(500)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메인서버(30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복수 개의 보호자 연락처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발신하는 단계에서는, 메인서버(300)에 등록 및/또는 저장된 복수의 보호자 및 유관기관에 일괄적으로 발신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개별적으로 발신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서버(3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보호자 단말기(500)로의 통화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단계에서는, 보호자정보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표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등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와 같이 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보호자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되어 소정의 피해를 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신발 10 : 설포
20 : 갑피 30 : 밑창
40 : 야광부재 50 : QR코드필름
52 : QR코드이미지 54 : 숫자(2차 인증정보부)
60 : NFC태그 70 : 수벨크로
80 : 암벨크로 1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 : 이동통신망 300 : 메인서버
400 : 보호자정보 입력수단 500 : 보호자 단말기

Claims (12)

  1.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가 저장된 형태로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프로그램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면서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증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정보부는,
    야광(夜光)부재와;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거나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는 QR코드부, 및 상기 야광부재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R코드부는,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인쇄되거나,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상기 투명필름의 하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로 이루어진 1차 인증정보부; 및
    상기 QR코드이미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필름의 하면에 인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R코드부는,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의 상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로 이루어진 1차 인증정보부;
    상기 QR코드이미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필름의 상면에 인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 및
    상기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광투과성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부는,
    상기 야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기 위해 상기 야광부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집광필름과, 상기 집광필름의 상면에 적층되고 QR코드이미지가 인쇄되는 투명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부는,
    상기 야광부재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로 이루어지는 1차 인증정보부; 및
    상기 야광부재의 외면 또는 NFC태그의 외면에 인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2차 인증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야광부재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야광필름 또는 야광판으로 이루어져서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한 켤레의 신발 각각의 짝에 각각 채용되고,
    상기 한 켤레의 신발 각각의 짝에는 동일한 인증정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7.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프로그램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면서 상기 보호자정보 또는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증정보부를 포함하고, 실종방지 대상이 착용하는 신발;
    상기 인증정보부에 포함된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별로 매칭되는 보호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해당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되는 보호자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신발에 포함된 인증정보부의 보호자정보 접속데이터와 매칭시키기 위한 보호자정보를 입력하는 보호자정보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부는,
    야광(夜光)부재와;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거나 상기 야광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에 인쇄되는 QR코드이미지를 포함하는 QR코드부, 및 상기 야광부재의 내부 또는 일면에 구비되는 NFC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시스템.
  9.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인증하는 1차 및 2차 인증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발신된 3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의 답신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인증하는 3차 인증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복수 개의 보호자 연락처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발신하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로의 통화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신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시스템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실종방지 시스템 제어방법은, 신발 구매자가 보호자정보를 보호자단말기를 통해 메인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 구매자가 보호자정보를 보호자단말기를 통해 메인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1차 인증정보부 및 2차 인증정보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보호자 연락처에 대한 정보 등을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시스템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단계이후에,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의 이메일로 인증번호를 발신하여 추가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시스템 제어방법.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정보부는,
    상기 신발에 구비되는 QR코드부 및/또는 NFC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인증정보부는,
    상기 QR코드부 및/또는 NFC태그와 함께 구비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3차 인증정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보안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종방지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50110989A 2015-08-06 2015-08-06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7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989A KR20170017283A (ko) 2015-08-06 2015-08-06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5/008340 WO2017022877A1 (ko) 2015-08-06 2015-08-10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989A KR20170017283A (ko) 2015-08-06 2015-08-06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283A true KR20170017283A (ko) 2017-02-15

Family

ID=5794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989A KR20170017283A (ko) 2015-08-06 2015-08-06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17283A (ko)
WO (1) WO20170228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28Y1 (ko) * 2019-04-03 2020-04-06 김홍일 미아 방지용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9514A (zh) * 2018-02-26 2018-06-01 北京摩拜科技有限公司 标签封装结构和自行车
CN109760352A (zh) * 2018-12-28 2019-05-17 叶海江 鞋底智能化识别生产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64A (ko) 2012-11-12 2014-05-21 구애경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072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아동화전문가집단 바코드를 이용한 실종자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0398A (ko) * 2012-03-02 2013-09-11 우경진 가상전화번호를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KR20140012258A (ko) * 2012-07-19 2014-02-03 주식회사 케이티 Nfc 태그 및 비상 대피로 안내 장치
KR101465110B1 (ko) * 2013-05-14 2014-11-25 주식회사 아이엠지코퍼레이션 패턴인식을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56557B1 (ko) * 2013-08-09 2014-02-05 이애연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실종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64A (ko) 2012-11-12 2014-05-21 구애경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28Y1 (ko) * 2019-04-03 2020-04-06 김홍일 미아 방지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2877A1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9615B2 (en) Medical and personal data retrieval system
US201602676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medical information
KR100289518B1 (ko) 신원확인오류방지장치및방법과,신원확인팔찌
KR101356557B1 (ko)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실종방지 시스템
US9350727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validating an identification token
US200200579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ersonal safety with conspicuously concealed, incidentalist, concomitant, or deniable remote monitoring possibilities of a witnessential network, or the like
KR20040089728A (ko) 식별 장치
US11309083B2 (en) Systems fo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vital signs in the field with redundant electronic/visual security mechanisms
KR20170017283A (ko)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실종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26298B1 (ko) 비상벨 단말 및 m2m 통신을 이용한 비상벨 시스템 그리고 그 운용 방법
US9990828B2 (en) Rescue method, rescue system, wandering person care method, and wandering person care system
KR100950704B1 (ko) Rfid를 이용한 보안 액세스 기반 신원미상자 정보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5110B1 (ko) 패턴인식을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11217348B2 (en) Systems for secure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tracking with redundant electronic/visual security mechanisms
KR101420867B1 (ko)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US99834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 document
US10341340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a mobile data terminal
KR200486329Y1 (ko) 스마트 경보 장치
US20220057525A1 (en) Identification device
KR102345534B1 (ko)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229352B2 (en) Chip arrangement and method for checking whether a chip is arranged in an intended chip carrier
KR20130100398A (ko) 가상전화번호를 이용한 미아 예방 시스템
KR101583621B1 (ko) Qr코드를 이용한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실종방지 시스템
KR101583622B1 (ko) Nfc를 이용한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실종방지 시스템
CA23576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ersonal safety with conspicuously concealed, incidentalist, concomitant, or deniable remote monitoring possibilities of a witnessential network,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