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710A -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710A
KR20080024710A KR1020060089152A KR20060089152A KR20080024710A KR 20080024710 A KR20080024710 A KR 20080024710A KR 1020060089152 A KR1020060089152 A KR 1020060089152A KR 20060089152 A KR20060089152 A KR 20060089152A KR 20080024710 A KR20080024710 A KR 2008002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t
child
information
garment
centr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임
Original Assignee
윤영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임 filed Critical 윤영임
Priority to KR1020060089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4710A/ko
Publication of KR2008002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4Alarm signalling to a central station with two-way communication, e.g. with signalling back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동이 착의하는 의류를 이용하여 미아방지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히는 의류를 생산하는 과정에 각 의류별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고유기호를 부여하고, 부여된 고유한 식별기호를 중앙 서버에 입력하고, 의류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구매자는 해당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의류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기호와 연동되는 사용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 등 사용자의 상세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미아가 발생하였을 때에 미아를 발견한 발견자는 미아가 착용하고 있는 의류에 명기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고유기호에 따라 서비스 서버에 해당기호와 연동되는 보호자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에 따라 보호자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발생된 미아가 한시라도 빨리 보호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코드, 전파식별 태그(RFID), 전자라벨, 전자라벨인식기, 미아 찾기, 고유기호

Description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방법{Method to Prevent Missing Child using the Clothes attached Numbered Labe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설명 *
1: 서버
2: 고유식별기호가 부착된 의류생산 공장
3: 고유식별기호가 부착된 의류 구매자
4: 아동
5: 미아 발견자
i-1: 의류에 부착된 고유식별기호 서버에 입력
i-2: 구매자가 고유식별기호와 연동하기 위해 자신의 정보 서버에 입력
i-3: 미아 착용 의류에 부착된 고유식별기호 확인
i-4: 고유식별기호와 연계된 미아 보호자 정보 서버에 문의 및 응답
i-5: 미아 보호자 정보에 의해 보호자에게 연락
본 발명은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의류마다 부착된 라벨에 표기된 고유한 식별기호를 이용하여 미아의 보호자를 찾아 연락을 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아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는 미아가 자신의 집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보호자 관련 정보가 부여된 아이템을 유아가 소지하여 해당 연락처로 연락이 이루어져 미아가 보호자에게 돌아가는 방법이 있으나, 해당 아이템의 분실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뚜렷한 대책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아방지를 위하여 아동의 팔찌나 목걸이 등에 보호자의 정보를 삽입하여 차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아동과 보호자에 대한 중요정보가 쉽게 공개되기 때문에 아동 납치 등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
이와 함께 지피에스를 이용한 방법으로 각종 아이템에 지피에스 인식 도구를 삽입하여 이를 아동이 보유하도록 목걸이, 버클 및 기타방법의 형태로 개량되어 효율성이 높은 방안이 있으나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며 또한 아이템의 착탈이 용이하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의류나 가방 및 기타 학용품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바코드 또는 전파식별 태그(RFID) 등 전자 라벨을 각종 아이템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이 전자 라벨의 인식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자라벨 인식기를 보유하기 위하여 과도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과 함께, 의류를 세탁하였을 때 전자 라벨에 손상이 발생하여 전자라벨 인식기의 의류에 관한 정보 인식률의 정확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없어서 의류의 경우 1회 세탁 후에는 전자라벨 본래의 목적한 바의 기능 발휘를 기대할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이고 특징적인 방안으로 인간의 육안을 이용하여 의류에 부착된 미아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아 발생방지를 위한 것으로, 의류에 육안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표기된 고유한 식별기호와 보호자의 정보가 연계되어 중앙 서버에 저장되어 서비스됨으로써, 고유한 식별기호 인식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치 않으며, 미아 발견자는 육안으로 의류의 고유한 식별기호를 확인하고 서비스 서버의 홈페이지를 통해 고유한 식별기호와 연계된 보호자 정보를 확인하여 연락을 취함으로써 더욱 이른 시간에 미아를 보호자에게 인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별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이용한 미아를 방지하는 방법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사용자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중앙서버와, 아동보호시설의 컴퓨터가 연계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을 통한 미아 찾기 방법에 있어서, 의류의 라벨에 각 의류마다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구입하는 단계와, 의류별 고유한 식별기호를 중앙서버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미아의 발생시에 미아 발견자 또는 미아보호시설 둘 중 하나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미아의 의류에 부착된 라벨에 표기된 식별기호를 입력하여 미아 발생관련 정보를 서버에 고지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미아 관련 정보를 미아 발견자, 미아 보호시설, 미아 보호자 중 하나 이상에 미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별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이용한 미아를 방지하는 방법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사용자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중앙서버와,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을 통한 미아 찾기 방법에 있어서, 의류의 라벨에 각 의류마다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구입하는 단계와, 의류별 고유한 식별 기호를 중앙서버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미아의 발생시에 미아 발견자 또는 미아보호시설 둘 중 하나가 전화기를 이용하여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미아의 의류에 부착된 라벨에 표기된 식별기호를 입력하여 미아 발생관련 정보를 서버에 고지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미아 관련 정보를 미아 발견자, 미아 보호시설, 미아 보호자 중 하나 이상에 미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아 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는 라벨이 부착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라벨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고유한 식별기호가 각 의류마다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별기호'는 각 의류마다 다르게 표기되는 고유한 기호로서,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숫자로 이루어진 일련번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문자 또는 기호 등과 조합되어 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는 미아방지 방법은 미아가 발생하여 미아 관련 정보의 부재로 인하여 미아를 보호자에게 인계하지 못하고 아동 보호시설로 인계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아를 조기에 아동의 보호자에게 인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세히는 다른 아이템에 비하여 비교적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의류를 이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초기에 제품을 생산할 때 각 의류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의류 생산이 이루어지며, 생산된 의류에 부여되는 일련 번호는 도 3에서와 같이 의류별로 한 장 한 장 생산할 때 고유하게 인식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기호의 형태로 부여된다.
이와 함께 부여된 식별기호는 서버에 저장되게 되는데 이때 저장된 고유한 식별기호는 제품을 제작하기 이전이나 제품이 제작된 이후에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두 가지 방법을 비교하여 보면 먼저 제품을 제작하고 생산된 제품의 식별기호가 부여되게 되며, 이때 부여된 제품의 식별기호를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제품 구매자가 제품의 식별기호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함으로써 추후에 발생할지도 모를 미아의 의류에 부착된 의류의 식별기호와 연계된 정보를 미아 발견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미아의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였을 때 해당 정보를 미아 발견자에게 제공하고 미아 발견자는 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미아의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함으로써 미아를 보호자에게 인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추가로 의류의 식별기호에 적용될 식별기호를 서버에 먼저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추후 사용가능한 의류의 식별기호를 한꺼번에 서버에 먼저 저장하여 두고 추후 제품을 생산할 때에 제품의 식별기호에 맞춰 의류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 방법은 단지 한 번의 정보 입력만으로 추가적인 관리 요소가 줄어들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방법이라 하겠다.
생산된 의류제품은 상기한 방법에서와 같이 판매 후 구매자가 구매한 의류제품과 관련하여 자신의 정보를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의류제품의 식별기호와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통일하여야 한다.
그렇다고 하여 의류의 식별기호를 항상 의류 제작자가 관리하거나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일 수도 있으나, 의류 제작자와는 상관없는 서버 관리자가 있을 수 있 어서 서버 관리자는 의류의 식별기호에 관여하지 않고 의류의 구매자가 의류의 식별기호와 함께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제시된 의류 식별기호를 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은 흐름도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품판매 후에 구매자 정보 입력과정에 의류 식별기호도 동시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미아 발견자가 서버에 미아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할 경우에 있어서 미아 보호자 관련 정보를 인터넷 등 불특정 다수가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할 수 없기 때문에, 미아 보호자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미아 발견자에 대한 적절한 인증 절차가 필요한데, 예를 들어 미아 발견자가 서버에 미아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단체를 경찰 공무원으로 한정할 경우 서버에 미아의 보호자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자는 경찰 공무원으로 한정되어 다른 일반인이라든지 기타 사람에게는 관련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하겠다.
총체적으로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의류가 생산되는 과정에 식별기호를 의류에 부여하게 되고, 식별기호는 의류 생산자, 의류 구매자, 또는 제 3의 서버 운영자에 의해 서버에 저장되게 되며, 추가로 의류 구매자는 미아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방문하여 구매자의 신상 정보 즉 주소, 전화번호, 주민번호 등을 입력하고 회원 가입절차를 밟게 된다.
이와 함께 미아가 발생하였을 때, 미아 발견자가 일반 시민일 경우 미아를 경찰서 등의 미아를 보호할 수 있는 미아 보호시설에 인계하게 되고 경찰서 등에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미아 보호자 관련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에서는 정보 요청 자의 적정성 여부를 인증 단계에서 정보 요청자의 적법성 여부를 묻는 인증 단계를 거쳐 미아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를 받은 경찰 등이 미아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해 미아를 보호자에게 인계하게 되거나, 미아 발견자가 직접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미아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미아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공중전화망의 전화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수행하는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의류별 식별기호를 부착하고, 서버에 저장하고 서버에 사용자 정보 즉 의류를 착의할 아동의 보호자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하는 등의 과정은 동일하고, 미아가 발생하였을 때 미아 발견자가 공중전화망의 전화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미아 관련 정보 즉 의류에 부착된 의류별 식별기호를 입력하고, 미아 관련 정보를 요청하였을 때 미아 보호자에 대한 연락처 등 미아 보호자 정보를 제공하여 미아가 보호자에게 인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미아 발견자의 의중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미아 발견자의 신상정보 즉 주민번호를 묻거나, 미아 발견자의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묻거나, 발신번호 확인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통화 미아 발견자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확보한 후 미아 보호자 정보를 미아 발견자에게 제공하거나, 미아 발견자 정보를 미아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
상기한 의류별 일련번호의 특징을 기존에 제시된 전자라벨과 대비하여 살펴보면, 기존의 전자라벨의 경우 육안으로는 라벨의 고유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전자라벨의 고유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자라벨 인식을 위한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자라벨인식을 위한 인식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전자라벨 인식기 자체가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함께 의류에 부착된 전자라벨의 경우 세탁을 하였을 때 손상의 우려가 심하기 때문에 전자라벨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어서 실제로 적용되기 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류의 식별기호를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별도의 장비를 요하지 아니하고 인간의 육안으로 해당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해당정보가 일부 훼손된다고 하더라도 육안으로 인식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르지 않아서 해당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과, 의류제품의 식별기호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입력하는 단계에 있어서도 이사를 한다거나 기타 이유에 의하여 의류 구매자의 상세 정보가 바뀌었을 때에도 의류 구매자가 직접 자신의 상세정보를 서버에 접속하여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고유한 식별기호와 연계된 정확한 사용자 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 변화에 따라 수시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외형적으로 보기에는 전자라벨을 이용하는 방법이 디지털화된 방법으로써 더욱 진보적이고 첨단화된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방법이라고 인식할 수도 있으나, 현실에서는 해당 기술을 적용할 때 나타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의 문제, 소용 비용의 문제, 해당 기술 적용을 위한 각 단계의 요구 정도와 활용 정도 또는 기술의 달성 가능성 등을 살펴보면 전자라벨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아날로그화된 정보를 의류에 부여하고 서버에 저장하는 각 단계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과 미아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이용하는 방법이 미아의 조기발견과 함께 빠르게 미아 발견자가 미아관련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고 이와 연계하여 빠르게 미아를 보호자에게 인도하는 과정 등을 아무런 문제없이 수행함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디지털화된 전자라벨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다른 상품에 비하여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의류에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고유한 식별기호를 이용하여 미아의 보호자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적용상에 큰 문제없이 용이하게 미아의 지속적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사용자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중앙서버와, 아동보호시설의 컴퓨터가 연계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을 통한 미아 찾기 방법에 있어서,
    의류의 라벨에 각 의류마다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구입하는 단계와,
    의류별 고유한 식별 기호를 중앙서버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미아의 발생시에 미아 발견자 또는 미아보호시설 둘 중 하나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미아의 의류에 부착된 라벨에 표기된 고유한 식별기호를 입력하여 미아 발생관련 정보를 서버에 고지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미아 관련 정보를 미아 발견자, 미아 보호시설, 미아 보호자 중 하나 이상에 미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별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이용한 미아를 방지하는 방법.
  2.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사용자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중앙서버와,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을 통한 미아 찾기 방법에 있어서,
    의류의 라벨에 각 의류마다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구입하는 단계와,
    의류별 고유한 식별 기호를 중앙서버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연락처를 포함한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미아의 발생시에 미아 발견자 또는 미아보호시설 둘 중 하나가 전화기를 이용하여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미아의 의류에 부착된 라벨에 표기된 고유한 식별기호를 입력하여 미아 발생관련 정보를 서버에 고지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미아 관련 정보를 미아 발견자, 미아 보호시설, 미아 보호자 중 하나 이상에 미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별 고유한 식별기호가 표기된 의류를 이용한 미아를 방지하는 방법.
  3. 라벨이 부착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라벨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고유한 식별기호가 각 의류마다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라벨이 부착된 의류.
KR1020060089152A 2006-09-14 2006-09-14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KR20080024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52A KR20080024710A (ko) 2006-09-14 2006-09-14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52A KR20080024710A (ko) 2006-09-14 2006-09-14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710A true KR20080024710A (ko) 2008-03-19

Family

ID=3941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152A KR20080024710A (ko) 2006-09-14 2006-09-14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47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31B1 (ko) * 2013-06-21 2014-05-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0766919A (zh) * 2019-10-22 2020-02-07 成都中科大旗软件股份有限公司 用于游客防走失的报警提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31B1 (ko) * 2013-06-21 2014-05-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0766919A (zh) * 2019-10-22 2020-02-07 成都中科大旗软件股份有限公司 用于游客防走失的报警提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984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identity verification
Martínez Pérez et al. Application of RFID technology in patient tracking and medication traceability in emergency care
US77692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storage, and analysis of biometric data
Gasson et al. Normality mining: Privacy implications of behavioral profiles drawn from GPS enabled mobile phones
US9990828B2 (en) Rescue method, rescue system, wandering person care method, and wandering person care system
US20180253430A1 (en) Tagging, Tracking, and Cataloging Articles of Clothing
JP2003513380A (ja) 洋服、アクセサリー、或いは携行可能な装置等の私物を識別するシステム
US11956696B2 (en) System, software application and method of advanced interaction with transportable containers
KR100325780B1 (ko) 분실방지 겸 미아방지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80024710A (ko)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KR100364144B1 (ko) 태그를 이용한 분실물 처리 방법
KR101420867B1 (ko) 개인정보 내장형 휴대용 qr코드 표식체의 운용시스템
KR100331742B1 (ko) 물품 분실 및 미아 발생 방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15457A (ko) 고유식별번호를 사용하여 분실물 또는 미아를 찾는 방법
US20160155133A1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consumer products via social networks
JP2005063427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サーバ、読取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60106510A (ko) 날씨 콘텐츠정보 생성장치
KR2000004985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미아신원확인시스템
US20170017966A1 (en) unknown
JP2011180691A (ja) ファッションアイテムチェック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3127122A1 (ja) 店舗支援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agdev et al. Exercising RFID in retail sector for economic growth and enhanced customer satisfaction.
WO2023026277A1 (en) Context-based moniitoring of hand actions
KR20050111371A (ko) 의류의 로트번호를 이용한 미아 관리시스템 및 방법
van Lieshout et al. Privacy implications of RFID: an assessment of threats and opportun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