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831B1 -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831B1
KR101395831B1 KR1020130071816A KR20130071816A KR101395831B1 KR 101395831 B1 KR101395831 B1 KR 101395831B1 KR 1020130071816 A KR1020130071816 A KR 1020130071816A KR 20130071816 A KR20130071816 A KR 20130071816A KR 101395831 B1 KR101395831 B1 KR 10139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terminal device
complainant
service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호
황실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Abstract

본 발명은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별도의 프로그램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MISSING CHILD REPORT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인식한 신고자단말장치가, 아이와 관계없는 제3자가 소지하고 있는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해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제공하여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이나 놀이공원 등과 같이 사람들이 혼잡한 공간이나 관광지에서 보호자의 부주의로 많은 수의 미아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미아 발생을 방지하거나 발생된 미아를 찾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관련된 종래 방안으로서는 소지품에 보호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등을 표시한 부착물을 부착하는 방안 또는 보호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 등의 장신구를 어린이가 착용케 하는 방안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안의 경우 미아를 발견한 신고자의 부착물 확인을 통한 연락처 인지뿐만 아니라, 인지된 연락처로의 연락 또는 신고와 같은 신고자의 자발적인 동작에 의존해서만, 미아의 발견 사실을 보호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별도의 프로그램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깅정보에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 각각의 식별정보 모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제공부가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상기 접속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의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지정된 연동장치와의 연동이 요청되는 경우에, 상기 전달부가 상기 연동장치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방법은, 신고자단말장치가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서비스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관리하는 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깅정보에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 각각의 식별정보 모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상기 접속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의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지정된 연동장치와의 연동이 요청되는 경우에, 상기 전달단계에서, 상기 연동장치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은,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서비스장치에 전송하는 신고자단말장치; 및 상기 태깅정보를 전송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인식한 신고자단말장치가, 아이와 관계없는 제3자가 소지하고 있는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해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제공하여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 상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별도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은,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태깅하여 미아 신고를 접수하는 신고자단말장치(100), 및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의 태깅정보 수신에 따라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뿐만 아니라,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의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와 연동되는 연동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신고자단말장치(100)는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서비스장치(200)에 전송함으로써 미아 신고를 접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고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이러한, 신고자단말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태그를 태깅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잇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아이가 소지한 태그를 태깅한 신고자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제공하여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태그를 소지하는 아이의 연령의 경우, 만 0세부터 초등학생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예컨대, 보호가 필요한 노인 등과 같이 보호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연령을 그 대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아이에게 미아 신고 접수를 위한 태그를 소지하도록 함으로써, 태그에 대한 인식을 통해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가 원활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태그에 대한 인식을 통해 미아 신고를 접수하기 위해서는 태그를 인식하는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미아 신고 접수를 목적으로 개발되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의무적으로 설치되지 않는 이상, 모든 신고자단말장치(100)에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이로 인해, 미아 신고 접수를 위한 태그를 소지하고 있는 미아를 발견하다 하더라도, 신고자가 직접 미아의 연락처를 확인하여 미아 발견 사실을 보호자에게 통지하는 원시적인 방안에만 의존해야만 하므로, 미아에 대한 신고 접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태깅한 신고자단말장치(100) 상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별도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고자단말장치(100)는 태그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고자단말장치(100)는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인식된 태깅정보를 서비스장치(200)에 전달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를 요청하게 된다.
이때, 신고자단말장치(100)는 미아 신고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이며, 신고자의 조작에 따라 탑재된 NFC 기능만을 활성화시켜 아이가 소지한 태그를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태깅정보에는 태그를 소지한 아이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 고유의 식별정보와, 태그를 인식한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예: 전화번호)가 함께 포함되어, 서비스장치(200)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신고자단말장치(100)는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고자단말장치(100)는 인식된 태깅정보의 전달에 대응하여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주소를 기초로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접속된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서 안내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게 된다.
이때, 신고자단말장치(10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예를 들어 경찰청 서버 또는 보호자에게 단문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센터(SMSC)에 해당하는 연동장치(300)와 연계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를 완료하게 된다.
서비스장치(200)는 신고자단말장치(100)가 미아신고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태깅정보를 전달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대상인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태깅정보를 전달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등록자단말장치(2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자단말장치(200)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대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미아신고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여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예컨대, 경찰청 서버 또는 단문메시지센터(SMSC)에 해당하는 연동장치(30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경우, 연동장치(100)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는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신고자단말장치(100)가 미아신고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220), 및 신고자단말장치(100)가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아이와 관련된 등록자단말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부(240),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기 위한 미아신고접수페이지의 접속주소를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250) 및,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연동장치(30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2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210), 판단부(220), 제어부(230), 관리부(240), 제공부(250) 및 전달부(260)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200)의 전술한 구성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판단부(220)는 신고자단말장치(100)가 미아신고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20)는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가 수신부(210)를 통해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태깅정보를 전달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대상인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판단부(220)는 태깅정보를 전달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등록자단말장치(2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자단말장치(200)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대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판단부(220)는 평소 일상생활에서 태그와 관련된 기타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인식이 빈번하거나, 또는 가능하도록 지정된 사람들(예: 부모님, 유치원 선생님,.. 등)을 지정하고, 지정된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아래 [표 1]과 같이 아이와 관련된 등록자단말장치로서 아이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등록/관리하게 된다.
이름 등록자단말장치
아이 A 엄마: 010-XXX-XXXX
아빠: 010-XXX-XXXX
.
.
.
선생님: 010-XXX-XXXX
아이 B 엄마: 010-XXX-XXXX
아빠: 010-XXX-XXXX
.
.
.
선생님: 010-XXX-XXXX
.
.
.
.
.
.
.
.
아이 F 엄마: 010-XXX-XXXX
아빠: 010-XXX-XXXX
.
.
.
선생님: 010-XXX-XXXX
이에, 판단부(220)는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우선적으로 태깅정보에 포함된 아이의 식별정보와, 신고자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아이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등록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지를 판별한다.
이때, 판단부(220)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등록자단말장치 각각의 식별정보 모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신고자단말장치(100) 소지자가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사람이 아닌, 제3자의 신고자이며, 현재 아이가 미아가 된 상황으로 간주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220)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특정 등록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신고자단말장치(100) 소지자가 아이에 대한 접근이 빈번하거나, 가능한 기 등록된 사람이며, 현재 아이가 미아가 된 상황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신고자단말장치(100)를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제어부(230)는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판단부(220)에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공부(250)가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미아신고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를 신고자단말장치(100)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여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예컨대, 경찰청 서버 또는 단문메시지센터(SMSC)에 해당하는 연동장치(30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경우, 전달부(260)로 하여금 연동장치(100)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23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통해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단계별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대해서는 아이의 신원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제한적으로 연동장치(300)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원활한 미아 신고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대해 이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는 것은, 신고자단말장치(100) 소지자의 아이에 대한 납치, 금품요구 등 부도덕한 목적의 행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통해 신고자단말장치(100)에 제공되는 안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고자단말장치(100)가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비스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소지한 신고자 하여금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도 '연결' 버튼의 클릭을 통해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신고단말장치(100)는 신고자로부터, 미아 신고가 접수되면, 아이에 대한 식별정보와, 신고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고접수정보를 경찰청 서버에 해당하는 연동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신고접수정보를 전달받은 연동장치(300)에서는 전달된 아이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서비스장치(300)에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예: 보호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를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도 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찰청 담당자의 PC 화면에 미아 신고가 접수된 아이의 자세한 신원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경찰청 담당자로 하여금 아이의 보호자에게 미아 발생 사실을 통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신고단말장치(100)는 미아 신고가 접수되는 동시에, 경찰청 담당자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신고자로 하여금 아이 인상착의, 발견위치 등을 경찰청 담당자에게 전달하고, 경찰청 담당자의 안내에 따라 아이를 근처 경찰서에 안전하게 인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신고자의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그로고 위치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의사를 확인하게 된다.
신고자의 동의 의사가 확인되면,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보호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아이와 관련된 신고접수정보를 단문메시지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호자의 연락처는 신고자에게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단문메시지센터에 해당하는 연동장치(300)에서는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신고접수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 아이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예: 보호자의 연락처)를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획득하여, 단문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 보호자에게 미아 발생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인식한 신고자단말장치가, 아이와 관계없는 제3자가 소지하고 있는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해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제공하여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 상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별도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인식된 태깅정보를 서비스장치(200)에 전달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를 요청한다(S110-S120).
이때, 신고자단말장치(100)는 미아 신고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이며, 신고자의 조작에 따라 탑재된 NFC 기능만을 활성화시켜 아이가 소지한 태그를 인식하게 된다.
이에, 서비스장치(200)는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태깅정보를 전달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대상인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130).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태깅정보를 전달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등록자단말장치(2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자단말장치(200)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대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200)는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미아신고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여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S140).
이후, 신고자단말장치(100)는 인식된 태깅정보의 전달에 대응하여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주소를 기초로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접속된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서 안내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게 된다(S150-S160).
이때, 신고자단말장치(10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예를 들어 경찰청 서버 또는 보호자에게 단문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센터(SMSC)에 해당하는 연동장치(300)와 연계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를 완료하게 된다(S170).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연동장치(30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경우, 연동장치(100)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원활한 미아 신고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80-S20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판단부(220)는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가 수신부(210)를 통해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태깅정보를 전달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대상인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310-S340).
이때, 판단부(220)는 신고자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우선적으로 태깅정보에 포함된 아이의 식별정보와, 신고자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아이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등록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판단부(220)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등록자단말장치 각각의 식별정보 모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신고자단말장치(100) 소지자가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사람이 아닌, 제3자의 신고자이며, 현재 아이가 미아가 된 상황으로 간주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판단부(220)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특정 등록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신고자단말장치(100) 소지자가 아이에 대한 접근이 빈번하거나, 가능한 기 등록된 사람이며, 현재 아이가 미아가 된 상황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신고자단말장치(100)를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30)는 판단부(220)에서, 신고자단말장치(100)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공부(250)가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미아신고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를 신고자단말장치(100)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여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S350).
그런 다음, 제어부(23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신고자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예컨대, 경찰청 서버 또는 단문메시지센터(SMSC)에 해당하는 연동장치(30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경우, 전달부(260)로 하여금 연동장치(100)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도록 한다(S360-S370).
이때, 제어부(230)는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통해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단계별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100)에 대해서는 아이의 신원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제한적으로 연동장치(300)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원활한 미아 신고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신고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인식한 신고자단말장치가, 아이와 관계없는 제3자가 소지하고 있는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해 미아신고접수페이지를 제공하여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자단말장치 상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별도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태깅한 신고자단말장치 상에 미아 신고와 관련된 별도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미아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신고자단말장치
200: 서비스장치
210: 수신부 220: 판단부
230: 제어부 240: 관리부
250: 제공부 260: 전달부
300: 연동장치

Claims (13)

  1. 미아 신고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미아 신고 서비스가 아닌 기 지정된 타 서비스에서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기초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정보에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 각각의 식별정보 모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제공부가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상기 접속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의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지정된 연동장치와의 연동이 요청되는 경우에, 상기 전달부가 상기 연동장치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미아 신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신고자단말장치가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서비스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미아 신고 서비스가 아닌 기 지정된 타 서비스에서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기초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신고 서비스 방법.
  7. 미아 신고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미아 신고 서비스가 아닌 기 지정된 타 서비스에서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기초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관리하는 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정보에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 각각의 식별정보 모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상기 접속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의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 접수와 관련하여, 지정된 연동장치와의 연동이 요청되는 경우에, 상기 전달단계에서, 상기 연동장치에 한해서만 상기 아이에 대한 신원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미아 신고 서비스와 관련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미아 신고 서비스가 아닌 기 지정된 타 서비스에서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기초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3.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서비스장치에 전송하는 신고자단말장치; 및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미아 신고 서비스가 아닌 기 지정된 타 서비스에서 상기 아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등록자단말장치를 기초로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해야 하는 미아신고접수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신고자단말장치가 상기 미아신고접수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고자단말장치를 미아신고접수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아이의 신원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기 신고자단말장치에서 상기 아이에 대한 미아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KR1020130071816A 2013-06-21 2013-06-21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9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816A KR101395831B1 (ko) 2013-06-21 2013-06-21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816A KR101395831B1 (ko) 2013-06-21 2013-06-21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831B1 true KR101395831B1 (ko) 2014-05-16

Family

ID=5089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816A KR101395831B1 (ko) 2013-06-21 2013-06-21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6070A1 (en) * 2020-05-22 2021-11-25 Nicole D. Reyes-Sim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nationwide child protection datab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10A (ko) * 2006-09-14 2008-03-19 윤영임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KR20090096113A (ko) * 2008-03-07 2009-09-10 김준식 스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53337B1 (ko) * 2012-12-21 2013-04-10 이준하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10A (ko) * 2006-09-14 2008-03-19 윤영임 미아방지용 식별기호가 표기된 라벨이 부착된 의류 및 이를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KR20090096113A (ko) * 2008-03-07 2009-09-10 김준식 스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53337B1 (ko) * 2012-12-21 2013-04-10 이준하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6070A1 (en) * 2020-05-22 2021-11-25 Nicole D. Reyes-Sim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nationwide child protection data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8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supporting digital requests for emergency service
US115587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US202301233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US8471699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travelers
US87928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service requests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relevant parties
KR101271785B1 (ko)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 이동 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422013A1 (en) Enhanced Emergency Communications & Transfers
CN108416995B (zh) 一种紧急求助消息响应方法及装置
CN105453069A (zh) 情景众包响应系统
KR20150006494A (ko)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KR20150003430A (ko) 보조단말기 통신을 통한 위급상황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US9042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internet-based emergency calls
JP202006445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395831B1 (ko) 미아 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230097022A1 (en) Emergency data exchange
US1133706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izing digital assistants
JP2019029918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363275B1 (ko) 위급 상황 정보 중개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48952A1 (en) Responder Dispatch Coordination System & Integrations
TWI816214B (zh) 緊急急救系統及其方法
KR101150072B1 (ko) 동행인 추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202303633A (zh) 醫療器材維修通報系統
CN112967156A (zh) 一种用于监管游客强制消费行为的景区旅游管理系统
JP2019023828A (ja) 緊急時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99987A (ko) Nfc 장치를 이용한 안심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