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638A - 유리-수지 적층체, 그것을 권취한 유리 롤,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수지 적층체, 그것을 권취한 유리 롤,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638A
KR20130095638A KR1020127029513A KR20127029513A KR20130095638A KR 20130095638 A KR20130095638 A KR 20130095638A KR 1020127029513 A KR1020127029513 A KR 1020127029513A KR 20127029513 A KR20127029513 A KR 20127029513A KR 20130095638 A KR20130095638 A KR 2013009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resin
elongate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808B1 (ko
Inventor
히로키 모리
야스오 테라니시
코이치 모리
카오루 미츠기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52Laterally noncoextensive component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리-수지 적층체(1)는 두께 1~300㎛의 장척 형상 유리 필름(2)의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 1~300㎛, 인장 탄성률 0.3㎬ 이상이고, 박리 가능한 장척 형상 수지 필름(3)이 장척 형상 유리 필름(2)의 단척 방향 양측단(2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리-수지 적층체, 그것을 권취한 유리 롤,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GLASS RESIN LAMINATE, GLASS ROLL FOR TAKING UP SAME AND GLASS ROL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나 태양 전지의 유리 기판 등의 디바이스의 유리 기판, 및 유기 EL 조명의 커버 유리 등에 사용되는 유리 필름을 수지 필름에 적층한 유리-수지 적층체, 상기 유리-수지 적층체를 권취한 유리 롤,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간 절약화의 관점으로부터 CRT형 디스플레이 대신에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더욱 박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특히 유기 EL 디스플레이에는 접거나 권취함으로써 운반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표면이나 건축물의 지붕, 기둥이나 외벽 등 곡면을 갖는 물체의 표면에 태양 전지를 형성하거나, 유기 EL 조명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으면 그 용도가 확대된다. 따라서, 이들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나 커버 유리에는 더욱 박판화와 높은 가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박판화가 진행되고, 높은 가요성이 부여된 유리 필름은 리튬 이온 전지, 디지털 사이니지,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유리 기판 등의 디바이스의 유리 기판, 유기 EL 조명의 커버 유리, 의약품 패키지나 창판(窓板) 유리의 경량화 등에의 이용도 기대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조명 등의 유기 EL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발광체는 산소 등의 기체가 접촉함으로써 열화한다. 따라서 유기 EL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기판에는 높은 가스 배리어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리를 기판에 사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 기판은 수지 필름과 달리 인장 응력이 약하기 때문에 가요성이 낮아 유리 기판을 구부림으로써 유리 기판 표면에 인장 응력이 가해지면 파손에 이르기 쉽다. 유리 기판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박판화를 행할 필요가 있고,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두께 200㎛ 이하의 유리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장척 형상의 유리 필름은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서 포장, 반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유리 필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리 필름 사이에 합지를 개재시키거나, 후공정에서 박리 가능한 수지 필름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유리 필름에 박리 가능한 수지 필름을 적층한 유리-수지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유리-수지 적층체는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박리 가능한 수지 필름을 부착하면 수지 필름측으로 크게 휘어지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수지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고, 스스로 박리되어 버린다는 현상이 일어나 유리 필름의 파손을 방지한다는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8-13317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097733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척 형상 유리 필름에 수지 필름을 부착한 후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휘어짐에 기인한 수지 필름의 주름이나 박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리-수지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두께 1~300㎛인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 1~300㎛이고, 인장 탄성률 0.3㎬ 이상인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이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폭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서 유리-수지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의 점착력은 1×10-3~5×10-1N/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에 있어서,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길이는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에 있어서,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폭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에 있어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은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1㎜ 이상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수지 적층체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 1~300㎛의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 1~300㎛이고, 인장 탄성률 0.3㎬ 이상인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을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박리 가능하게 적층함으로써 유리-수지 적층체를 제작한 후 유리-수지 적층체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 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 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장척 형상 유리 필름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두께 1~300㎛의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 1~300㎛, 인장 탄성률 0.3㎬ 이상이고, 박리 가능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이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리-수지 적층체의 휘어짐을 억제할 수 있어 휘어짐에 기인하는 수지 필름의 주름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유리-수지 적층체에 휘어짐이 발생하는 원인은 유리 필름의 편면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수지 필름을 부착하면 수지 필름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유리-수지 적층체의 휘어짐이 커질수록 수지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고, 스스로 박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장척 형상 유리 필름과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을 적층하면서 권취할 경우, 양자의 단척 방향 양측단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워 유리 필름의 일부가 수지 필름으로 피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유리 필름은 수지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는 부분과 피복되어 있지 않은 부분 사이에서 다른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형상이 변화하기 쉬워지고, 점점더 수지 필름이 박리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0.3㎬ 이상이기 때문에 유리 필름에 부착한 후에 복원되려고 하는 힘이 작아 휘어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이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리 필름의 적어도 1쪽의 면 전체면을 수지 필름으로 피복한 상태로 할 수 있어 불균등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한 수지 필름의 박리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온도 23℃에서의 값이다.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장척 형상 수지 시트의 점착력은 1×10-3~5×10-1N/10㎜이면 약점착성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리 필름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길이가 1000㎜ 이상이면 유리 롤로 권취하는 것이 용이하다.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이 길어질수록 반송성, 취급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1×104㎜(10m) 이상, 5×104㎜(50m) 이상, 나아가서는 1×105㎜(100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생산 효율(수율)의 점으로부터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길이는 1×107㎜(10000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폭이 5㎜ 이상이면 각종 디스플레이, 전자 디바이스, 또는 태양 전지에 사용할 수 있다.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폭이 커질수록 대형화에 적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100㎜ 이상, 300㎜ 이상, 600㎜, 나아가서는 8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생산 효율(수율)의 점에서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폭은 30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은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1㎜ 이상 돌출되어 있으면 유리 필름의 전체면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롤은 유리-수지 적층체를 롤 형상으로 권취한 권회체이고, 포장이나 반송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유리 롤의 제조 방법은 두께 1~300㎛의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 1~300㎛이고, 인장 탄성률 0.3㎬ 이상이며, 박리 가능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을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적층함으로써 유리-수지 적층체를 제작한 후 유리-수지 적층체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기 때문에 유리-수지 적층체의 휘어짐을 억제할 수 있어 휘어짐에 기인한 수지 필름의 주름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척 형상 유리 필름과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의 폭이 동일할 경우 양자를 롤 형상으로 권취할 때 서로의 양측단을 정확하게 합치시켜서 부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을 적층하기 때문에 유리 필름의 적어도 1쪽의 면 전체면을 수지 필름으로 피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롤의 제조 방법은 장척 형상 수지 필름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장척 형상 유리 필름에 적층하면 부착시의 주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을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적층하기 때문에 수지 필름의 돌출부를 파지해서 장력을 가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수지 적층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리-수지 적층체, 및 유리-수지 적층체를 권취한 유리 롤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수지 적층체(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형상 유리 필름(2)의 한쪽 면에 장척 형상 수지 필름(3)이 장척 형상 유리 필름(2)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유리 필름(2)의 재질로서는 붕규산 유리, 석영 유리, 소다라임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무알칼리 유리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유리 필름(2)에 알칼리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그 표면층에서 양이온의 치환이 발생하고, 소위 소다 분출 현상이 발생해 구조적으로 성겨지고, 유리 필름(2)을 만곡시켜서 사용하고 있으면 시간 경과 열화에 의해 성겨진 부분부터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에서 무알칼리 유리란 알칼리 성분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리로서,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성분이 1000ppm 이하인 유리이다.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성분이 500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성분이 300ppm 이하이다.
유리 필름(2)의 두께는 1~3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0㎛, 10~100㎛, 20~50㎛이다. 유리 필름(2)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강도가 부족한 경향이 있게 되어 유리-수지 적층체(1)로부터 유리 필름(2)을 박리할 때에 유리 필름(2)의 파손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한편, 유리 필름(2)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가요성이 악화되어 유리 롤로서 권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또한 수지 필름(3)을 부착해도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인장 탄성률이 큰 수지 필름을 사용할 필요성이 적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 필름(2)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법, 슬롯 다운 드로법, 리드로법 등에 의해 성형할 수 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법은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판을 성형할 때에 유리판의 양면이 성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성형법이고, 얻어진 유리판의 양면(투광면)에는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 연마하지 않아도 높은 표면 품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에 있어서, 단면이 쐐기형인 성형체(4)에 공급된 용융 유리가 성형체(4)의 양 측면을 각각 하방으로 흘러내리고, 하단부(41)에서 합류한 직후의 유리 리본(G)은 1쌍의 냉각 롤러(5)에 의해 단척 방향의 수축이 규제되면서 하방으로 늘려져서 소정의 두께까지 얇아진다. 이어서, 상기 소정 두께에 도달한 유리 리본(G)을 서랭로(어닐러; annealer)에서 서서히 냉각하고, 어닐러 롤러(6) 등으로 하방으로 인장하면서 유리 리본(G)의 열변형을 제거하고, 소정 치수로 절단하여 유리 필름(2)이 성형된다.
수지 필름(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의 단척 방향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적층된다. 돌출량은 유리 필름(2)의 단척 방향 양측단(21)으로부터 1㎜~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0㎜, 5~50㎜, 1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수지 필름(3)의 돌출량이 작아질수록 유리 필름(2)과 수지 필름(3)을 권취할 때 유리 필름(2)의 전체면에 수지 필름(3)을 확실하게 피복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수지 필름(3)의 돌출량이 커질수록 유리-수지 적층체를 핸들링하기 어려워진다.
수지 필름(3)의 두께는 1~3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0㎛, 30~100㎛이다. 수지 필름(3)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유리-수지 적층체(1)의 휘어짐이 커진다. 한편, 수지 필름(3)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취급성이나 강도가 저하된다.
수지 필름(3)의 인장 탄성률이 클수록 유리-수지 적층체(1)의 휘어짐이 작아지기 때문에 0.3㎬ 이상, 0.5㎬ 이상, 1㎬ 이상,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유리 필름의 영률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3)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PEN,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시클로올레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3)의 편면(상면)에는 박리 가능한 점착층(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그 점착력은 1×10-3~5×10-1N/10㎜, 5×10-3~3×10-1N/10㎜, 1×10-2~1×10-1N/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수지 필름(3)이 약점착성이 되기 때문에 수지 필름(3)을 유리 필름(2)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분리)할 수 있다. 점착력이 지나치게 약하면 충분한 점착성이 얻어지지 않게 되고, 반대로 지나치게 강하면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점착층의 재료, 두께 등은 원하는 특성이 얻어지도록 적당하게 선택하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 필름(2)의 수지 필름(3)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도 필요에 따라서 제 2 수지 필름(도시 생략)을 적층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2)의 전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 2 수지 필름의 폭은 수지 필름(3)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크게 하면 좋다. 제 2 수지 필름에는 점착층을 형성해도 되지만 점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수지 필름(2)의 점착력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착시켜도 된다. 즉 수지 필름(2)의 돌출부에 비점착성의 제 2 수지 필름의 양측단을 맞추고, 수지 필름(2)의 점착력에 의해 양자를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2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권취가 가능해 지도록 가요성을 갖는 수지, 예를 들면 수지 필름(2)과 동일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7)은 상술한 유리-수지 적층체(1)를 롤 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유리 롤(7)은 상기 유리-수지 적층체(1)의 수지 필름(3)쪽을 외측으로 해서 심재 상에 권취한 것이고, 수지 필름(3)이 유리 필름(2)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고, 그 인장 탄성률이 0.3㎬ 이상이기 때문에 유리 롤(7)로부터 유리-수지 적층체(1)를 인출한 후라도 휘어짐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수지 필름(3)이 유리 필름(2)으로부터 스스로 박리되는 일은 없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표 1은 실시예(시료 No.1)와 비교예(시료 No.2, 시료 No.3)의 유리-수지 적층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표 1의 각 시료는 다음과 같이 제작했다.
우선 유리 필름으로서 두께 50㎛, 폭 300㎜, 길이 3000㎜인 무알칼리 유리(니폰덴키가라스가부시키가이샤제 OA-10G)를 준비했다. 또한 수지 필름으로서 표 중에 나타내는 재질, 두께, 폭이고, 길이가 3000㎜인 수지 필름을 준비했다. 또한,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의미하고, 각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는 두께 1㎛이고, 점착력이 2.7×10-2N/10㎜인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수지 필름을 부착하면서 수지 필름쪽을 외측으로 해서 심재(외경 165㎜, 폭 500㎜의 관 형상체)에 권취함으로써 각 시료(유리-수지 적층체)를 롤 형상으로 권취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유리 롤의 권취 장력은 170N이고, 이것을 1시간 방치한 후 시료를 인출했다. 그 후, 각 시료를 롤로 권취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시켰을 때의 박리성(역방향 굽힘 시험)과, 평면 상에 적재했을 때의 박리성(평면 적재 시험)을 조사했다. 또한, 역방향 굽힘 시험에서는 외경 85㎜의 염화비닐관의 표면에 시료를 따라서 만곡시켰다.
그 결과, 실시예인 시료 No.1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전혀 주름이나 박리가 보이지 않았지만 비교예인 시료 No.2, 시료 No.3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역방향 굽힘 시험에서 시료를 만곡시켰을 때에 박리되었다. 또한 평면 적재 시험에서 시료를 적재한 직후부터 휘어진 부분이 존재하고,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수지 필름이 박리된 후 수분만에 전체 폭에 걸쳐서 박리되었다.
또한 시료 No.1의 유리-수지 적층체에 대해 수지 필름의 돌출부를 파지하고, 유리 필름으로부터 박리한 결과 유리 필름이 파손되는 일없이 양자를 용이하게 박리(분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시료 No.1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롤 형상으로 권취한 후라도 수지 필름이 스스로 박리되는 일은 없고,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등의 용도에 있어서 투명 도전막 등의 성막 처리, 패터닝, 세정 처리 등 여러 가지 전자 디바이스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때의 롤투롤 공정에 용이하게 도입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유리-수지 적층체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등의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 유기 EL 조명의 커버 유리, 리튬 이온 전지, 디지털 사이니지,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유리 기판 등의 디바이스의 유리 기판, 의약품 패키지나 창판 유리의 경량화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유리-수지 적층체 2 : 유리 필름
21 : 양측단 3 : 수지 필름
4 : 성형체 5 : 냉각 롤러
6 : 어닐러 롤러 7 : 유리 롤

Claims (8)

  1. 두께 1~300㎛의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 1~300㎛이고 인장 탄성률 0.3㎬ 이상이며 박리 가능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이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수지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의 점착력은 1×10-3~5×10-1N/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수지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길이는 1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수지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폭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수지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은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1㎜ 이상 돌출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수지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수지 적층체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7. 두께 1~300㎛의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 1~300㎛이고 인장 탄성률 0.3㎬ 이상이며 박리 가능한 장척 형상 수지 필름을 장척 형상 유리 필름의 단척 방향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적층함으로써 유리-수지 적층체를 제작한 후 상기 유리-수지 적층체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형상 수지 필름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장척 형상 유리 필름에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KR1020127029513A 2010-08-31 2011-08-31 유리-수지 적층체, 그것을 권취한 유리 롤,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 KR101844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4724 2010-08-31
JP2010194724A JP5874159B2 (ja) 2010-08-31 2010-08-31 ガラス−樹脂積層体、およびそれを巻き取ったガラスロール、並びに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PCT/JP2011/069713 WO2012029830A1 (ja) 2010-08-31 2011-08-31 ガラス-樹脂積層体、およびそれを巻き取ったガラスロール、並びに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638A true KR20130095638A (ko) 2013-08-28
KR101844808B1 KR101844808B1 (ko) 2018-04-03

Family

ID=4577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513A KR101844808B1 (ko) 2010-08-31 2011-08-31 유리-수지 적층체, 그것을 권취한 유리 롤,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8497B2 (ko)
EP (1) EP2548730B1 (ko)
JP (1) JP5874159B2 (ko)
KR (1) KR101844808B1 (ko)
CN (1) CN102905891B (ko)
TW (1) TWI547449B (ko)
WO (1) WO201202983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207A (ko) * 2015-09-16 2017-03-24 솔브레인 주식회사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강화 유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3210A (ko) * 2015-09-16 2017-03-24 솔브레인 주식회사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5370A (ko) * 2017-07-31 2020-04-0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2507B2 (ja) *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TWI565646B (zh) 2010-11-30 2017-01-11 康寧公司 藉由張緊交插材料捲繞玻璃帶
JP5849492B2 (ja) * 2011-07-25 2016-0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US20130196163A1 (en) * 2012-01-31 2013-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glass laminate and web processing apparatus
JP5883333B2 (ja) * 2012-04-02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4996A (ja) * 2012-07-10 2014-01-30 Asahi Glass Co Ltd インプリント方法
DE102012215149A1 (de) 2012-08-27 2014-03-20 Schott Ag Glassubstratband
TWI599478B (zh) * 2012-10-19 2017-09-21 Nitto Denko Corp Thin glass long body
JP2014113687A (ja) * 2012-12-06 2014-06-26 Nitto Denko Corp 薄ガラス積層体
US9164595B2 (en) * 2013-03-08 2015-10-20 Darren C. PETERSEN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screen
US9158390B2 (en) * 2013-03-08 2015-10-13 Darren C. PETERSEN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 sensing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DE102013108308A1 (de) * 2013-08-01 2015-02-19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tektion in Bandrollen aus sprödhartem oder sprödbrechendem, zumindest teiltransparentem Material, sowie deren Verwendung
WO2015174006A1 (ja) * 2014-05-13 2015-1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el素子及び照明装置
JP6361440B2 (ja) * 2014-05-30 2018-07-25 Agc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DE102014221245A1 (de) 2014-10-20 2016-04-21 Tesa Se Dünnglasfolienverbundbahn mit Versteifungsstreifen
KR20190066615A (ko) * 2016-10-26 2019-06-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테이프가 형성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37334B1 (ko) * 2016-10-26 2021-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수지 복합체
EP3533772A4 (en) 2016-10-26 2020-06-24 Nitto Denko Corporation GLASS ROLL WITH RESIN FILM
JP6909403B2 (ja) * 2017-07-31 2021-07-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200247092A1 (en) * 2017-09-29 2020-08-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0032563A (ja) * 2018-08-28 2020-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
JP7171330B2 (ja) * 2018-09-14 2022-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
JP7454555B2 (ja) 2019-03-29 2024-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複合体の搬送方法
EP3785897B1 (en) 2019-08-29 2021-12-29 SHPP Global Technologies B.V. Transparent, flexible, impact resistant, multilayer film comprising polycarbonate copolymers
CN111320356A (zh) * 2020-02-20 2020-06-23 江汉大学 一种高硬度高透明性聚酰亚胺覆膜型超薄玻璃的制备方法
JP2022040755A (ja) * 2020-08-31 2022-03-1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9923A (ja) 1986-12-02 1988-06-11 Maruzen Petrochem Co Ltd 高分子系摺動材
JPS63139923U (ko) * 1987-03-05 1988-09-14
JP4326635B2 (ja) * 1999-09-29 2009-09-09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取扱い方法及びガラス積層体
JP4250276B2 (ja) * 1999-10-20 2009-04-08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455139B2 (ja) * 2004-04-21 2010-04-21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4678847B2 (ja) * 2004-10-28 2011-04-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組成物から得られる粘着層を有する粘着性フィルム
EP2277835A1 (en) 2006-10-24 2011-01-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A process for producing a glass ribbon
JP5177790B2 (ja) 2006-10-24 2013-04-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リボン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15682B (zh) * 2007-10-30 2013-03-27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树脂复合物的制造方法
JP5788134B2 (ja) * 2008-10-01 2015-09-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435267B2 (ja) * 2008-10-01 2014-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532507B2 (ja) *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JP5691148B2 (ja) 2008-10-01 2015-04-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532506B2 (ja) *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207A (ko) * 2015-09-16 2017-03-24 솔브레인 주식회사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강화 유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3210A (ko) * 2015-09-16 2017-03-24 솔브레인 주식회사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8779A (ko) * 2015-09-16 2021-10-01 솔브레인 주식회사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강화 유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5370A (ko) * 2017-07-31 2020-04-0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1186A (ja) 2012-03-15
CN102905891A (zh) 2013-01-30
TW201213248A (en) 2012-04-01
EP2548730B1 (en) 2014-08-06
EP2548730A1 (en) 2013-01-23
EP2548730A4 (en) 2013-09-11
CN102905891B (zh) 2016-03-23
JP5874159B2 (ja) 2016-03-02
US9278497B2 (en) 2016-03-08
WO2012029830A1 (ja) 2012-03-08
US20120156439A1 (en) 2012-06-21
KR101844808B1 (ko) 2018-04-03
TWI547449B (zh)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5638A (ko) 유리-수지 적층체, 그것을 권취한 유리 롤,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
JP5645123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794325B2 (ja) 電子デバイス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JP5510880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WO2011071067A1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692513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KR20130086113A (ko) 유리 필름 적층체
KR101846637B1 (ko) 박유리 장척체
JP5585937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US9724890B2 (en) Thin glass elongated body
JP5251087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5803535B2 (ja) 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関連処理方法
JP6376587B2 (ja) 長尺状ガラスの製造方法
JP2019072991A (ja) 無機物層積層体の製造方法
JP5822075B2 (ja) ロール状薄肉ガラス板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4237578A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5163581A (ja) ガラスフィルムの端面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