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518A - 환기용 급 배기관 - Google Patents

환기용 급 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518A
KR20130094518A KR1020120015837A KR20120015837A KR20130094518A KR 20130094518 A KR20130094518 A KR 20130094518A KR 1020120015837 A KR1020120015837 A KR 1020120015837A KR 20120015837 A KR20120015837 A KR 20120015837A KR 20130094518 A KR20130094518 A KR 2013009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abric member
wound
band type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선
Original Assignee
성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선 filed Critical 성경선
Priority to KR102012001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518A/ko
Publication of KR2013009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호스에 맞는 재질의 다층의 원단부재를 적용하면서 이를 이중으로 겹져지도록 형성하여 기존의 합성수지 덕트호스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용 급 배기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밴드형 원단부재(10)를 나선형으로 압착되게 감아지게 하되 각 밴드형 원단부재(10)가 서로 1/2 정도 겹쳐지면서 연속적으로 감겨지고 동시에 밴드형 원단부재(10)가 겹쳐지는 각 중간부의 사이에 강선(20)이 나선형으로 감기어 하나의 밴드형 원단부재(10) 폭에 강선(20)이 양쪽으로 형성하면서 밴드형 원단부재(10)가 2겹으로 중첩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용 급 배기관{Exhaust ventilation air supply}
본 발명은 환기용 급 배기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호일 후랙시블 덕트의 제조방식에 의해 제조되어 제조 및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존의 합성수지 덕트호스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용 급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천정에는 공조장치로서 냉 온풍 등의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덕트호스가 설치되는바,
덕트호스로는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호일 후랙시블 덕트호스는 알루미늄 호일에 강선이 나선형태로 감아져 있고 각 나선 사이에 접혀지도록 형성되어 접혀지는 부분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쭈그러지게 되거나 펼쳐지도록 되어 있으나 외부 충격이나 보온성 등에 극히 약하고 노출되는 부분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내부에도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공기를 입출시킬 때 돌출부분에 의하여 저항이 많이 발생되어 예로 냉온 공기를 공급할 때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최근의 아파트에 천정과 슬라브 사이의 공간이 축소됨에 따라 덕트호스의 직경이 적어지게 되어 더욱 상기 문제점을 가중시키고 있다.
상기한 알루미늄호일 후랙시블 덕트호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급 배기 용도의 덕트호스로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연질 합성수지(PVC)재질의 덕트호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연질 PVC 덕트호스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관 형태에 나선형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사이에 접혀질 수 있도록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는 자바라 형태의 관체로, 이러한 연질 PVC 덕트호스는 열에 상당히 취약하고 무게가 많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제조가격이 상당히 높아 시공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동절기에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팽창현상으로 배관시 처짐 현상이 심하거나 연결부분의 기밀유지가 어렵다.
또한 코너부분 등 구부러지는 부분을 형성할 경우 힘을 가해 원하는 각도로 구부리게 되는데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으로 인하여 원위치하게 때문에 각 구부러지는 부분은 별도의 부품으로 고정할 수 밖에 없어 시공공정이 번거롭고 시공비를 상승시키고 있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환기 용도에 맞는 재질의 다층의 원단부재를 적용하면서 이를 감을 때 이중으로 겹져지도록 형성하여 기존의 합성수지 덕트호스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제조 및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존의 합성수지 덕트호스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용 급 배기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밴드형 원단부재 및 강선이 나선방향으로 감기면서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급 배기관으로서,
알루미늄 호일에 폴리에틸렌필름 및 연질 PVC필름을 접착제로 압착 접합 및 드라이 라미네이팅 방식인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가해 연질 PVC필름을 융착키어 형성하는 밴드형 원단부재와;
상기 밴드형 원단부재를 나선형으로 감되 1/2 정도 겹쳐지면서 밴드형 원단부재가 연속적으로 감기면서 동시에 밴드가 겹쳐지는 각 중간부의 사이에 강선이 나선형으로 감기어 하나의 밴드형 원단부재에 강선이 양쪽으로 구비하면서 밴드형 원단부재가 2겹으로 중첩되도록 하는 환기용 급 배기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밴드형 원단부재를 다중 겹으로 제작되면서 이러한 밴드형 원단부재를 2중으로 중첩되도록 하고 동시에 각 밴드형 원단부재에 2개의 강선이 위치되면서 제작되어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가 우수한 급 배기관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제작되는 급 배기관은 구부리는 부분에서 유연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합성수지 덕트호스에 비해 상당히 가벼울 뿐만 아니라 탄성력이 적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 덕트호스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밴드형 원단부재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밴드형 원단부재(10)를 나선형으로 압착되게 감아지게 하되 각 밴드형 원단부재(10)가 서로 1/2 정도 겹쳐지면서 연속적으로 감겨 원통형의 급 배기관(D)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밴드형 원단부재(10)의 나선방향으로 감기는 동시에 밴드형 원단부재(10)가 겹쳐지는 각 중간부의 사이에 강선(20)이 나선형으로 감기어 하나의 밴드형 원단부재(10) 폭에 강선(20)이 양쪽으로 형성하면서 밴드형 원단부재(10)가 2겹으로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하는 급 배기관(D)은 밴드용 원단부재를 2중으로 중첩되도록 하고 동시에 각 밴드에 2개의 강선이 위치되면서 제작되어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가 우수한 급 배기관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질 특성상 구부리는 부분에서 유연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합성수지 덕트호스에 비해 상당히 가벼울 뿐만 아니라 탄성력이 적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밴드형 원단부재(10)는 알루미늄 호일(11)에 폴리에틸렌필름(12) 및 연질 PVC필름(13)을 접착코팅에 의해 접합되도록 한 상태로 압착시키면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가해 연질 PVC필름(13)을 융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3중 겹으로 형성하는 밴드형 원단부재(1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 실시 예에서 보면, 밴드형 원단부재(10)의 각 층을 이루는 알루미늄 호일(11)의 두께는 약 0.007mm이고 플리에틸렌필름(12)은 약 0.012mm이고 연질 PVC필름(13)은 약 0.065mm이어서 전체적인 두께는 약 0.08mm으로 이루어지는 박형이면서 서로 다른 재질로 중첩되어져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고 강도를 향상시키어 공조용도의 급 배기관으로 충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에서 원단부재를 이루는 각 재질의 두께는 하나의 예 일뿐 이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급 배기관(D)에 적용되는 원단부재에 연질 PVC필름(13)이 포함되어 있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등 PVC재질의 특성을 갖으면서 관의 수명 연장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밴드용 원단부재
20: 강선

Claims (2)

  1. 밴드형 원단부재 및 강선이 나선방향으로 감기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기용 급 배기관으로서,
    상기 밴드형 원단부재(10)를 나선형으로 압착되게 감아지게 하되 각 밴드형 원단부재(10)가 서로 1/2 정도 겹쳐지면서 연속적으로 감겨지고 동시에 밴드형 원단부재(10)가 겹쳐지는 각 중간부의 사이에 강선(20)이 나선형으로 감기어 밴드형 원단부재(10)의 한 폭에 강선(20)이 양쪽으로 위치하면서 밴드형 원단부재(10)가 2겹으로 중첩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 배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원단부재(10)는 알루미늄 호일(11)에 폴리에틸렌필름(12) 및 연질 PVC필름(13)을 접착코팅에 의해 접합되도록 한 상태로 압착시키면서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가해 연질 PVC필름(13)을 융착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 배기관.
KR1020120015837A 2012-02-16 2012-02-16 환기용 급 배기관 KR20130094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37A KR20130094518A (ko) 2012-02-16 2012-02-16 환기용 급 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37A KR20130094518A (ko) 2012-02-16 2012-02-16 환기용 급 배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18A true KR20130094518A (ko) 2013-08-26

Family

ID=4921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837A KR20130094518A (ko) 2012-02-16 2012-02-16 환기용 급 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45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26A (ko) 2014-04-20 2015-10-28 윤성환 친환경 및 저소음 냉난방 공조용 플렉시블 덕트
KR101896471B1 (ko) * 2017-04-11 2018-09-07 주식회사 성원에어테크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JP2018173178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空調ダクト
KR20200046256A (ko) 2018-10-24 2020-05-07 주식회사 대한후렉시블 항균 후렉시블 덕트
KR20200140574A (ko) * 2019-06-07 2020-12-16 성경선 플렉시블 덕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26A (ko) 2014-04-20 2015-10-28 윤성환 친환경 및 저소음 냉난방 공조용 플렉시블 덕트
JP2018173178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空調ダクト
KR101896471B1 (ko) * 2017-04-11 2018-09-07 주식회사 성원에어테크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KR20200046256A (ko) 2018-10-24 2020-05-07 주식회사 대한후렉시블 항균 후렉시블 덕트
KR20200140574A (ko) * 2019-06-07 2020-12-16 성경선 플렉시블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560B2 (en) Multi-layer pressure actuated extendable hose
KR20130094518A (ko) 환기용 급 배기관
RU2383472C2 (ru) Воздухопровод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в воздушном судне
ES2191609T3 (es) Tubo flexible de revestimiento para la reconstruccion de conductos y tuberias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l mismo.
ES2150824A1 (es) Conducto termoaislante reductor de ruido.
US5360037A (en) Diffusion-proof rubber hose having plastic memory
CN101571219A (zh) 隔热软管及其生产方法
JP2006234188A (ja) 空調用伸縮性フレキシブルダクト
JP2006194430A (ja) 耐圧ホース
US20110284116A1 (en) High-temperature flexible composite hose
JPH10160231A (ja) 送吸気用ダクト
JP2008292024A (ja) 不燃性断熱ダクト
US20170227248A1 (en) Flexible ventilation duct and a related production method
JP7422628B2 (ja) 可撓性ホース
JP5743309B2 (ja) フレキシブルダクト
JP2008096073A (ja) ダクトホース
JP4870152B2 (ja) 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742182C1 (ru) Трубк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в виде композитной пленочной структуры, полая структура, содержащая трубку,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ки и полой структуры
JP7411881B2 (ja) 可撓性ホース
JP4850036B2 (ja) 伸縮性ホースの製造方法
EP3826823A1 (en) Semi-rigid conduit for conveying a gas and production method of said conduit
JP2015004503A (ja) フレキシブルダクト
JP2005001335A (ja) 外形波形状の可撓管の製造方法
JP6271373B2 (ja) 可撓性断熱ホース
KR200459327Y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