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574A - 플렉시블 덕트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574A
KR20200140574A KR1020190067376A KR20190067376A KR20200140574A KR 20200140574 A KR20200140574 A KR 20200140574A KR 1020190067376 A KR1020190067376 A KR 1020190067376A KR 20190067376 A KR20190067376 A KR 20190067376A KR 20200140574 A KR20200140574 A KR 20200140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uct
carbon coating
primer layer
polyethylen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419B1 (ko
Inventor
성경선
Original Assignee
성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선 filed Critical 성경선
Priority to KR102019006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공기조화를 위해 사용되는 플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덕트를 형성하는 원단부재에 항균성을 갖는 탄소코팅층을 형성하여 덕트의 제품 생산시 작업성과 생산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덕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호르몬과 각종 유해 세균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있는 플렉시블 덕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
본 발명은 건물의 공기조화를 위해 사용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빌딩, 공장 또는 병원 등의 건물 내부에서 다양한 각도로 휘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는 플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덕트(DUCT)는 공기조화장치에서 만들어진 조화공기를 실내로 보내고,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일부의 조화공기는 별개의 덕트를 통해서 공기조화기로 되돌아가 외기와 혼합되어 다시 조화공기가 되어 실내로 보내진다. 공기조화의 측면에서는 덕트는 온도와 습도 및 환기를 조절하기 위한 혈관에 비유될 수 있는 것이다.
중앙공조 시설이 구비된 빌딩에서 사용되는 공기조화기는 보통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여과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감습하는 감습기, 가열하는 가열기, 습기를 더해주는 가습기,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덕트는 기체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요 목적으로는 환기, 배기, 냉난방 등이 있으며 산업용, 가정용 으로 쓰이지 않는 곳이 드물다고 할 것이다.
일반적인 덕트의 구조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내부공간을 지니며, 각 면이 방청처리된 강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 등이 사용되어 부식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대형빌딩과 공장의 경우 충분한 공기 유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형 구조물이 요구되나,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덕트는 비용과 공간활용의 측면에서 낭비의 요소가 있음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도금강판을 이용한 덕트의 경우 내부에 쌓이는 먼지를 제거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며, 최근의 경우 로봇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비용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외면받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대형 빌딩의 경우 덕트 내부에 사람이 기어들어가 진공흡입기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대형의 덕트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또는 덕트를 절곡부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 상기 덕트를 각각의 상황에 맞게 판금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덕트의 시공과 재시공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부분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호일을 강선에 부착하여 원형 또는 사각의 플렉시블 덕트를 구성한 제품이 시장에 출시된 바 있다.
상기 플렉시블 덕트는 알루미늄 호일과 합성수지 필름 등이 접합된 원단부재를 겹쳐놓고, 그 내부를 따라 강선을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관체로 구성된 것으로, 배기량이 적고 압력이 낮은 경우 등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렉시블 덕트는 알루미늄 호일과 합성수지 필름 등의 원단부재로 제작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약하여 덕트 내부의 청소작업이 쉽지 않고, 이로 인해 덕트 내부의 오염물질로 인한 각종 세균이 증가하게 되며, 덕트 내부에서 발생한 세균은 실내로 배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덕트는 내수성과 내유성이 우수하나 내열성과 내용제성이 떨어지고, 특히 온풍, 냉풍, 배기가스 또는 실내공기 등에 함유된 각종 세균 및 환경호르몬에 대한 대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위생적으로나 인체의 건강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53714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를 형성하는 원단부재에 항균성을 갖는 탄소코팅층을 형성하여, 덕트의 제품 생산시 작업성과 생산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덕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호르몬과 각종 유해 세균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있는 플렉시블 덕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는, 일부분이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원단부재와, 상기 원단부재의 중첩부분에 강선이 권취되는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재는,
알루미늄 호일층;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2 프라이머층;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는, 일부분이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원단부재와, 상기 원단부재의 중첩부분에 강선이 권취되는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재는,
연질 PVC필름층;
상기 PVC필름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4 프라이머층;
제4 프라이머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
상기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3 프라이머층;
상기 제3 프라이머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호일층;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2 프라이머층;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덕트를 형성하는 원단부재에 항균성을 갖는 탄소코팅층을 형성하여, 덕트 내부에서 온풍, 냉품, 배기가스 또는 실내공기 등에 함유된 각종 세균의 전파를 미연에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단부재에서 상기 탄소코팅층이 형성되는 면적을 절반으로 줄여 탄소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원단부재 전체에 탄소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도 원단부재 전체에 탄소코팅층을 형성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의 종단면과 상기 덕트를 형성하는 원단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를 형성하는 원단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의 탄소코팅층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가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D)는, 일부분이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원단부재(10); 및 상기 원단부재(10)의 중첩부분에 권취되는 강선(20);을 포함한다.
상기 원단부재(10)는 소정의 폭(W)을 갖는 긴 띠 또는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나선형으로 권치하되, 원단부재(10)의 권취된 일측부와 아직 권취되지 않은 원단부재(10)의 타측부 약 1/2 정도가 중첩되면서 연속적으로 권취되고, 이로 인해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형의 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부재(10)의 중첩부분에는 강선(20)이 함께 권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덕트(D)는 띠 형상의 원단부재(10)를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동시에 중첩부분에 강선(20)이 위치하여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고,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지지강도가 우수한 플렉시블 덕트(D)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D)의 종단면과 상기 덕트(D)를 형성하는 원단부재(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D)의 상기 원단부재(10)는, 알루미늄 호일층(11), 프라이머층(15), 폴리에틸렌(PE)필름층(12), 및 탄소코팅층(14)을 포함한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은 두께 약 0.01mm 이하의 박막의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고, 원단부재(10)의 권취에 의해 관 형태의 덕트(D)를 형성할 때, 상기 덕트(D)의 외주연(최외측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서 형성되는 제2 프라이머층(15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프라이머층(15b)은 일반적인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아크릴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라이머층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상기 나열한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면에 제2 프라이머층(15b)이 형성된 후, 상기 제2 프라이머층(15b)의 일면에는 제1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필름층(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은 주로 두께 약 0.010 ~ 0.020m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필름을 포함하고, 가공이 쉬워 주로 페트병과 장남감 등 다양한 제품군에 주원료로 사용되며, 비교적 안전한 소재로 내구성과 내열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은 상기 제2 프라이머층(15b)에 의해 상호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은 양면 또는 일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극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는 폴리에틸렌필름층(12a)에 극성을 부여하여 층간 밀착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원단부재(10)를 알루미늄 호일층(11), 제2 프라이머층(15b) 및 폴리에틸렌필름층(12a)만으로 형성할 경우, 덕트(D)의 내주연에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상기 폴리에틸렌필름층(12a)에서 발생하는 환경호르몬이 실내로 배출될 수 있고, 특히 화재발생시 폴리에틸렌필름층(12a)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유독가스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덕트(D)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항균성을 갖는 탄소코팅층(14)을 덕트(D)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탄소코팅층(14)은 탄소분말을 포함하되 두께 0.001 ~ 0.030 mm정도로 형성되고, 탄소분말의 입자크기는 50 ~ 100nm의 사이즈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를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덕트(D) 내주연의 폴리에틸렌필름층(12a) 또는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15a)에 분사하여 형성된다. 상기 탄소코팅층(14)의 두께 및/또는 탄소분말의 입자크기는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소코팅층(14)은 탄소소재와 접착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의 일면에 형성할 수 있고,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15a)을 먼저 형성한 후,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의 일면에 탄소소재를 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소코팅층(14)은 카본 또는 활성탄소 등의 탄소소재를 포함하고, 덕트(D)의 내주연(최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산화방지, 제습, 탈취 및 항균효과로 인해 덕트(D)에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악취를 제거하여 거주환경의 위생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또한, 상기 탄소코팅층(14)은 폴리에스테르필름(PET)을 탄소소재로 코팅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을 카본, 활성탄소 등의 탄소소재로 코팅하고, 탄소코팅된 폴리에스테르필름을 폴리에틸렌필름층(12)의 일면에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소코팅층(14)은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15a)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원단부재(10)가 권취되어서 형성되는 덕트(D)의 내주연(최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탄소코팅층(14)에 포함되는 카본은 나노카본 20 ~ 40중량%와 카본 60 ~ 8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나노카본의 사용량이 20중량% 미만이거나 카본의 사용량이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혼합물을 제조시 카본은 충분히 분산되지만 큰 카본의 입자로 인해 조밀하게 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에서 나노카본의 사용량이 40중량%를 초과하거나 카본의 사용량이 60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나노카본의 사용량 과다로 나노카본이 서로 엉키어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탄소코팅층(14)의 안정성 유지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상기 탄소코팅층(14)은 자외선 경화도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도료는 알루미늄 호일층(11)과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을 보호하면서 이들의 표면강도를 향상시켜 원단부재(10) 전체의 표면강도를 높여주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내광성이 강한 우레탄 수지를 베이스로 한 자외선 경화도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원단부재(10)는 알루미늄 호일층(11),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 및 탄소코팅층(14)을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과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은 제2 프라이머층(15b)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과 탄소코팅층(14)은 제1 프라이머층(15a)에 의해 상호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원단부재(10)가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덕트(D)를 형성할 때, 형성되는 덕트(D)의 최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측부와 덕트(D)의 내주연(최내측)에 위치하는 탄소코팅층(14)의 타측부가 중첩되고, 상기 중첩부분에 강선(20)이 구비되며, 상호 중첩되는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측부와 탄소코팅층(14)의 타측부는 접착제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측부 또는/및 탄소코팅층(14)의 타측부에 도포될 수 있고, 나선형으로 권취시 상호 중첩되는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측부 또는/및 탄소코팅층(14)의 타측부에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덕트(D)는, 상기 원단부재(10)가 권취되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덕트(D)의 내주연에 항균성을 갖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코팅층(14)을 형성하여, 상기 탄소코팅층(14)에 의해 덕트(D) 내부의 온풍, 냉풍, 배기가스 또는 실내공기 등에 함유된 각종 세균의 전파를 미연에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D)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의 타면(탄소코팅층(14)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3 프라이머층(15c); 상기 제3 프라이머층(15c)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 상기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4 프라이머층(15d); 및 상기 제4 프라이머층(15d)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질의 PVC필름층(13);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원단부재(10)는, 연질 PVC필름층(13); 상기 PVC필름층(13)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4 프라이머층(15d); 제4 프라이머층(15d)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 상기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3 프라이머층(15c); 상기 제3 프라이머층(15c)의 일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호일층(11);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2 프라이머층(15b); 상기 제2 프라이머층(15b)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15a); 및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코팅층(14);을 포함한다.
상기 원단부재(10)는 상기의 적층 순서에 따라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상기의 순서에 구애받지 않으며, 상기 탄소코팅층(14)은 접착제가 포함될 경우 제1 프라이머층(15a) 없이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단부재(10)는 탄소코팅층(14),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 및 알루미늄 호일층(11)을 포함하고, 여기에 상기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 및 연질 PVC필름층(13)을 더 포함하며, 이 상태로 압착하면서 권취하고,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가해 연질 PVC필름층(13)을 열융착함으로써 원통형 또는 관 형태의 덕트(D)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원단부재(10)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덕트(D)를 형성할 때, 상기 연질 PVC필름층(13)이 덕트(D)의 외주연(최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상기 연질 PVC필름층(13)에 가함으로써 접착되어 원통형의 덕트(D)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소코팅층(14),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 및 알루미늄 호일층(11)을 포함한 상태에서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 및 연질 PVC필름층(13)을 더 포함함으로써 원단부재(10) 전체의 표면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가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질 PVC필름층(13)을 대체하여 화재발생 시에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내열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필름층(PET)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프라이머층(15a),(15b)는 일반적인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아크릴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라이머층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상기 나열한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부재(10)는 소정의 폭(W)을 갖는 길이가 긴 띠 또는 밴드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에서 폭(W)방향 중심기준으로 좌측부의 결합부(10a)와 우측부의 지지부(10b)로 구분되고, 나선형으로 권취될 때, 상기 결합부(10a)가 지지부(10b)에 안착되며, 상기 결합부(10a)와 지지부(10b)가 상하로 중첩되면서 접합한다. 따라서 덕트(D)의 외주연은 상기 결합부(10a)가 연속되어서 형성되고, 덕트(D)의 내주연은 상기 지지부(10b)가 연속되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소코팅층(14)은 상기 지지부(10b)에만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10a)에는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b)는 원단부재(10)가 나선형으로 권치됨으로 인해 유동방향으로 연속되면서 덕트(D)의 내주연을 형성하고, 덕트(D)의 외주연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10a)에는 탄소코팅층(14)을 형성하지 않고 덕트(D)의 내주연을 형성하는 상기 지지부(10b)에만 탄소코팅층(14)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덕트(D)의 내주연 전체에 탄소코팅층(14)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탄소코팅층(14)을 원단부재(10)의 1/2 이하의 폭(W)을 갖는 지지부(10b)에만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단부재(10)의 권취시 상기 결합부(10a)에 위치하는 제1 프라이머층(15a)이 권취된 지지부(10b)의 상부에 접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단부재(10)에서 항균성을 갖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상기 탄소코팅층(14)의 면적을 1/2로 줄여 사용되는 탄소소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원단부재(10) 전체에 탄소코팅층(14)을 형성하지 않고도 원단부재(10) 전체에 탄소코팅층(14)을 형성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코팅층(14)을 원단부재(10)의 1/2 이하의 폭(W)을 갖는 지지부(10b)에만 형성하여, 제1 프라이머층(15a)도 상기 탄소코팅층(14)의 폭(W)에 대응하는 폭(W)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프라이머층(15)과 탄소코팅층(14)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원단부재(10)에 형성되는 탄소코팅층(14)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탄소코팅층(14)은 다수의 가로선(14a)과 세로선(14b)에 의한 다수의 격자홈(14c)을 갖는 망사(메쉬,mesh)구조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탄소코팅층(14)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탄소코팅층(14)의 가로선(14a)과 세로선(14b)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격자홈(14c)부분까지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은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상기 탄소코팅층(14)에 대응하는 망사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탄소코팅층(14)은 탄소소재의 분말을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에 분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6은 상기 탄소코팅층(1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소코팅층(14)에는 원단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파인 그루브(groove,14d) 또는 요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소코팅층(14)의 일면에 상기 그루브(14d)가 형성될 경우에는, 덕트((D)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여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14d)는 원단부재(10)가 나선형으로 권치됨으로 인해 상기 덕트(D)의 내주연에 나선형 또는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덕트(D) 내부로 유입되는 물기 또는 덕트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기가 그루브(14d) 내부에 머물거나 머물다 증발되어서 덕트(D)의 외부로 곧바로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14d)가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과 접합하는 탄소코팅층(14)의 타면에 형성될 경우, 탄소코팅층(14)과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과의 접합면적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탄소코팅층(14)과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 사이에 제1 프라이머층(15a)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그루브(14d)로 인해 탄소코팅층(14)과 제1 프라이머층(15a)의 접합면적이 확장되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또한, 상기 그루브(14d)는 상기 탄소코팅층(14)에서 원단부재(10)의 폭(W)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D : 덕트 10 : 원단부재
10a : 결합부 10b : 지지부
11 : 알루미늄 호일층 12a, 12b : 제1,제2 폴리에틸렌필름층
13 : 연질 PVC필름층 14 : 탄소코팅층
15a,15b,15c,15d : 제1,제2,제3,제4 프라이머층
20 : 강선

Claims (6)

  1. 일부분이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원단부재(10)와, 상기 원단부재(10)의 중첩부분에 강선(20)이 권취되는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재(10)는,
    알루미늄 호일층(11);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2 프라이머층(15b);
    상기 제2 프라이머층(15)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15a); 및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코팅층(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
  2. 일부분이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원단부재(10)와, 상기 원단부재(10)의 중첩부분에 강선(20)이 권취되는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재(10)는,
    연질 PVC필름층(13);
    상기 PVC필름층(13)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4 프라이머층(15d);
    제4 프라이머층(15d)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
    상기 제2 폴리에틸렌필름층(12b)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3 프라이머층(15c);
    상기 제3 프라이머층(15c)의 일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호일층(11);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제2 프라이머층(15b);
    상기 제2 프라이머층(15b)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1 프라이머층(15a); 및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코팅층(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재(10)는 폭(W)방향 중심기준으로 일측부의 결합부(10a)와 타측부의 지지부(10b)로 구분되고, 나선형으로 권취시 상기 결합부(10a)가 지지부(10b)의 상부에 안착되어서 중첩되며,
    상기 탄소코팅층(14)은 상기 지지부(10b)에 형성되고, 상기 원단부재(10)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덕트의 내주연을 형성하는 상기 지지부(10b)에 의해 덕트의 내주연에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코팅층(14)은 다수의 가로선(14a)과 세로선(14b)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격자홈(14c)을 갖는 망사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은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층(12a)의 일면에 망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탄소코팅층(14)은 탄소분말을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에 분사 또는 도포하여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15a)에 대응하는 망사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코팅층(14)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4d)가 원단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14d)는 상기 원단부재(10)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덕트의 내주연에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
KR1020190067376A 2019-06-07 2019-06-07 플렉시블 덕트 KR102267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76A KR102267419B1 (ko) 2019-06-07 2019-06-07 플렉시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76A KR102267419B1 (ko) 2019-06-07 2019-06-07 플렉시블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74A true KR20200140574A (ko) 2020-12-16
KR102267419B1 KR102267419B1 (ko) 2021-06-18

Family

ID=7404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376A KR102267419B1 (ko) 2019-06-07 2019-06-07 플렉시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18B1 (ko) 2022-01-12 2022-07-07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어셈블리
KR20220131786A (ko) 2021-03-22 2022-09-29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99Y1 (ko) * 2004-01-02 2004-04-01 김재상 자체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후렉시블 닥트 호스
KR20130094518A (ko) * 2012-02-16 2013-08-26 성경선 환기용 급 배기관
KR20130103258A (ko) * 2012-03-10 2013-09-23 윤성환 냉난방 공조용 항균 후렉시블 호스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6390A (ko) * 2012-05-11 2013-11-20 노병오 탄소 코팅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553714B1 (ko) 2013-03-25 2015-09-17 (주)하이플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99Y1 (ko) * 2004-01-02 2004-04-01 김재상 자체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후렉시블 닥트 호스
KR20130094518A (ko) * 2012-02-16 2013-08-26 성경선 환기용 급 배기관
KR20130103258A (ko) * 2012-03-10 2013-09-23 윤성환 냉난방 공조용 항균 후렉시블 호스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6390A (ko) * 2012-05-11 2013-11-20 노병오 탄소 코팅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553714B1 (ko) 2013-03-25 2015-09-17 (주)하이플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786A (ko) 2021-03-22 2022-09-29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KR102418718B1 (ko) 2022-01-12 2022-07-07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419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419B1 (ko) 플렉시블 덕트
US6565430B2 (en) Pliable air duct with dust and condensation repellency
KR20200046256A (ko) 항균 후렉시블 덕트
JPH09210291A (ja) 断熱管
US6716520B2 (en) Structural reflective insulating material for ducts and other purposes
KR20130094518A (ko) 환기용 급 배기관
WO2018176956A1 (zh) 一种隔音杀菌pvc复合板
JP6662849B2 (ja) 可撓性通気ダクト及び関連の生産方法
KR101847337B1 (ko) 황토를 함유한 덕트 호스 제조용 조성물
US20080200111A1 (en) Sealed ventilation duct
CN204296134U (zh) 一种由复合板制作的空调送风管
JP3219649B2 (ja) 住宅用ダクトホース
ATE431520T1 (de) Flexible luftleitung mit innerer dämmung aus geschäumtem polyäthylen
CN206683114U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
RU2011125610A (ru) Активная воздухораспределяющая потолочная облицовка и активный воздуховод с ионным движителем (варианты)
KR200346598Y1 (ko) 플렉시블 덕트 호스
EP2100067B1 (en) Duct element for air handling systems
KR200346599Y1 (ko) 자체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후렉시블 닥트 호스
US11053677B2 (en) Gas-bearing multi-layer membrane building structure
JP2001248886A (ja) 送風用ダクト及び送風システム
KR200370481Y1 (ko) 후렉시블닥트 호스
JPH1114129A (ja) フレキシブル空調ダクト
CN210562744U (zh) 一种柔性吸隔声降噪装置
CN215060177U (zh) 一种基于镀锌板的空调风管
JP2008224180A (ja) ダクト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