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471B1 -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471B1
KR101896471B1 KR1020170046635A KR20170046635A KR101896471B1 KR 101896471 B1 KR101896471 B1 KR 101896471B1 KR 1020170046635 A KR1020170046635 A KR 1020170046635A KR 20170046635 A KR20170046635 A KR 20170046635A KR 101896471 B1 KR101896471 B1 KR 10189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dhesive
flexible duct
fabrics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에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에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에어테크
Priority to KR1020170046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에 접착제 및 열접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효율적인 원단공급으로 원단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후렉시블 덕트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부직포를 갖는 후렉시블 덕트를 권취과정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권취 공정에 의하여 제공으로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원단의 재질이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 각각 구비하는 제1원단(20) 및 제2원단(30)과, 상기 제1,2원단(20,30)이 각각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원단에 접착제 도포가되면서 공급되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제1,2원단 공급수단(40,50)과, 상기 제1,2원단 공급수단(40,50)에 의해 제공되는 제1,2원단(20,30)을 권취하는 권취수단(60)과, 상기 권취수단(60)에 감기는 제1,2원단(20,30)에 열풍공급으로 접합하도록 각각 구비하는 열접합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원단 공급수단(40,50)은, 원단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41,51)와, 상기 가이드롤러(41,51)를 따라 이동하는 원단의 적정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해 주도록 구비하는 접착제 도포수단(42,52)과,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원단이 통과하는 과정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어 주도록 구비하는 열풍건조함(43,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Production system for flexible duct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박막의 띠형 알루미늄 등의 원단과 강선의 공급으로 권취 로울러에 의해 감기면서 동시에 보강 원단이 외면에 겹쳐 권취되도록 하여 제조되는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취 롤러에 박막의 띠형 알루미늄 등의 원단과 강선의 공급으로 원단이 나선방향으로 감기면서 원단의 겹치는 부분에 강선이 위치하도록 감겨 연속적으로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를 생산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알루미늄과 PET가 합지된 원단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본드 등의 접착제 공급으로 원단에 접착제가 발라지면서 권취시 겹쳐지는 부분이 접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난연소재인 타포린 등의 원단을 적용할 경우에는 본드로 접착이 용이하지 못하여 별도의 열접착수단을 구비한 제조장치를 구비하여 생산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설비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후렉시블 덕트에 부직포를 구비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다단의 공정에 의해 수행된다.
기존 생산 방식에 의한 내피 및 외피용 후렉시블 덕트를 각각 생산하는 제1,2차 공정, 상기 내피용 후렉시블 덕트에 부직포를 감싸는 제3차 공정, 상기 부직포를 감싼 내피용 후렉시블 덕트에 외피용 후렉시블 덕트를 끼워 일체화하는 제4차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단의 공정에 의해 부직포를 갖는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방법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떨어져 제조단가가 상당히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에 접착제 및 열접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효율적인 원단공급으로 원단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후렉시블 덕트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부직포를 갖는 후렉시블 덕트를 개별적으로 생산하여 조립하지 않고 권취과정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부직포가 내재되는 후렉시블 덕트의 제공으로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틀의 상부에 각각 구비하는 롤로 감긴 제1원단 및 제2원단; 상기 제1원단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원단에 접착제 도포 및 건조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제1원단 공급수단; 상기 제2원단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원단에 접착제 도포 및 건조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제2원단 공급수단; 상기 제1원단 공급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제1,2원단이 감겨 권취하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수단에 감기는 제1,2원단에 열풍공급으로 접합하도록 각각 구비하는 열접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원단 공급수단은,
원단이 이동하면서 늘어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원단의 적정 위치에 본드를 도포해 주도록 구비하는 접착제 공급 및 도포수단; 상기 본드가 도포된 원단이 통과하는 과정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어 주도록 구비하는 열풍건조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2원단의 사이에 구비하는 부직포를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거쳐 제1,2원단의 사이로 공급되어 귄취롤러의 권취에 의해 제1,2원단 사이에 부직포가 내입된 후렉시블 덕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과 PET필름을 적용한 원단의 경우 접착제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내피 소재인 부직포 타포린 등 접착제 접합이 적합하지 않는 경우 열접합으로 제작 수행할 수 있는 등 접착제 접합 및 열접합을 선택적으로 혹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다양한 원단으로 후렉시블 덕트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권취작업에 의해 제1,2원단 사이에 부직포를 갖는 후렉시블 덕트를 연속적으로 제작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의 제작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작과정을 보인 실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작과정을 보인 다른 실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그 중 특정 실시 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해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작과정을 보인 실시 상태도로서,
기틀(10)의 상부에 각각 구비하는 롤 형태로 감긴 제1원단(20) 및 제2원단(30)과, 상기 제1원단(20)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제1원단 공급수단(40)과, 상기 제2원단(30)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원단에 접착제 도포 및 건조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제2원단 공급수단(50)과, 상기 제1,2원단 공급수단(40,50)에 의해 제공되는 제1,2원단(20,30)이 권취롤러(61)에 감겨 권취하는 권취수단(60)와, 상기 권취수단(60)에 감기는 제1,2원단(20,30)에 일측에 열풍공급으로 접합하도록 각각 구비하는 열접합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제1,2원단(20,30)은 박판의 알루미늄, PET필름, 알루미늄과 PET필름의 합지, 난연성 소재인 타포린 등 이들 중 각각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과 PET필름을 합지한 원단인 경우 알루미늄 후렉시블 덕트의 내부에 발생하는 공명 등의 소음을 해소하기 위해 알루미늄 박판에 천공된 구멍을 커버해 주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열접합수단(70)은 후방에 송풍기를 갖는 히팅관을 구비한 것으로 적정 온도의 열풍을 접합 위치에 주입시키어 권취과정에서 열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2원단 공급수단(40,50)은,
원단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41,51)와, 상기 가이드롤러(41,51)를 따라 이동하는 원단의 적정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해 주도록 구비하는 접착제 도포수단(42,52)과,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원단이 통과하는 과정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어 주도록 구비하는 열풍건조함(43,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러(41,51) 중에는 원단이 적정 텐션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텐션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열풍건조함(43,53)은 내부를 점검하는 도어를 구비하면서 내부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42,52)에는 접착제 보관통(44)의 접착제를 접착제 공급수단(45,55)에 의해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42,52)을 일렬로 2개소에 구비할 수 있고 이는 접착제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기포 등으로 인하여 원단에 도포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상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 형태로 감겨진 제1,2원단(20,30)은 권취수단(60)인 권취롤러(61)의 회전에 의하여 각각 당겨져 다수의 가이드롤러(41,51)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되는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각 원단의 적정위치에 구비되는 접착제 도포수단(42,52)에 의하여 이동하는 원단의 한 면에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접착제가 도포된 원단은 열풍건조함(43)을 각각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열풍구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에 의해 신속히 건조되면서 권취수단(60)의 권취롤러(61)에 제1원단(20)이 내측에 위치하고 제2원단(30)이 외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각각 나선방향으로 감기면서 제1원단(20)의 겹치는 부분에 기존방법과 같이 별도로 강선이 위치하게 공급되고 겹쳐진 부분은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면서 감겨 이중 원단으로 이루어진 후렉시블 덕트가 연속적으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에서는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를 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권취롤러(61)의 원단 공급 입구에 구비한 열접합수단(70)에 의하여 열접합을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원단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1,2원단(20,30)이 동시에 감겨져 내측에 위치하는 제1원단(20)에는 기존의 후렉시블 덕트와 같이 강선이 내재된 상태이고 제2원단(30)은 외면을 덮어주는 역할을 갖게 하는 재질의 원단을 적용된다. 여기서 제2원단(30)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원단(20)을 타포린 재질로 적용할 경우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열접합수단(70)에 의하여 열접합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원단을 적용하지 않고 제1원단인 타포린 재질만 적용하여 후렉시블 덕트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도로서,
롤 형태로 감기어 구비하는 제1원단(20) 및 제2원단(30)의 사이에 롤 형태로 감긴 부직포(80)를 구비하여 다수의 가이드 롤러(81)를 따라 이동하여 권취롤러(61)에 감길 때 제1,2원단(20,30)의 사이에 유입되어 함께 감기도록 하고 동시에 열접합수단(70)에 의하여 겹친 부분이 접합되면서 연속적으로 부직포를 갖는 후렉시블 덕트를 하나의 시스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원단(20)은 내피 기능을 수행하고 제2원단(30)은 외피기능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사이에 제3원단이 부직포(80)가 내재되고 각 층마다 열접합에 의하여 접합되므로 견고성이 우수하고 보온성이 우수한 후렉시블 덕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후렉시블 덕트용 원단을 박판의 알루미늄, PET필름, 알루미늄과 PET필름의 합지, 난연성 소재인 타포린 등 이들 중 각각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선택된 재질의 원단에 적합한 접착제 접합 또는 열접합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연속성을 갖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ㅇ이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있는 것이다.
또한, 내 외피 사이에 부직포를 내입시키는 작업공정이 종래는 3-4차 공정에 의하여 수행되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공정시스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20: 제1원단 30: 제2원단
40: 제1원단 공급수단 50: 제2원단 공급수단
41,51: 가이드 롤러 42,52: 접착제 도포수단
43,53: 열풍건조함 45,55: 접착제 공급수단
60: 권취수단 61: 권취롤러
70: 열접합수단
80: 부직포

Claims (3)

  1. 기틀에 구비하는 롤 형태의 원단이 원단 공급수단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한 상태로 권취수단에 의해 나선방향으로 감기면서 원단의 겹치는 부분에 강선이 위치하게 공급되고 겹쳐진 부분은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면서 감겨 후렉시블 덕트가 연속적으로 만들어지도록 하는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원단의 재질이 다르게 선택되어 각각 구비하는 제1원단(20) 및 제2원단(30)이 제1,2원단 공급수단(40,50)에 의해 각각 지그재그로 이동 공급되는 과정에서 접착제 도포수단(42,52)에 의해 원단에 접착제 도포를 한 후 열풍건조함(43,53)을 통과시키어 원단에 도포한 접착제를 열풍으로 건조되면서 공급되도록 함과,
    상기 제1,2원단(20,30)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이동하여 권취수단(60)의 권취롤러(61)에 의해 감겨 권취할 때 제1,2원단(20,30)의 감기는 입구 쪽으로 열접합수단(70)에 의한 열풍 공급으로 제1,2원단(20,30)이 접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42,52)은 일렬로 2개소에 구비하면서 접착제 보관통(44)으로부터 접착제를 접착제 공급수단(45,55)에 의해 공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6635A 2017-04-11 2017-04-11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KR10189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35A KR101896471B1 (ko) 2017-04-11 2017-04-11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35A KR101896471B1 (ko) 2017-04-11 2017-04-11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471B1 true KR101896471B1 (ko) 2018-09-07

Family

ID=6359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635A KR101896471B1 (ko) 2017-04-11 2017-04-11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4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239A (ko) * 2000-06-27 2002-01-09 박민석 원단 접착장치
JP2005319625A (ja) * 2004-05-07 2005-11-17 Kansui Kogyo Kk 管ライニング用積層基材の製造方法及び管ライニング材の製造方法
KR20130094518A (ko) * 2012-02-16 2013-08-26 성경선 환기용 급 배기관
KR101579913B1 (ko) * 2014-04-20 2015-12-23 윤성환 친환경 및 저소음 냉난방 공조용 플렉시블 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239A (ko) * 2000-06-27 2002-01-09 박민석 원단 접착장치
JP2005319625A (ja) * 2004-05-07 2005-11-17 Kansui Kogyo Kk 管ライニング用積層基材の製造方法及び管ライニング材の製造方法
KR20130094518A (ko) * 2012-02-16 2013-08-26 성경선 환기용 급 배기관
KR101579913B1 (ko) * 2014-04-20 2015-12-23 윤성환 친환경 및 저소음 냉난방 공조용 플렉시블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068B1 (ko)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
JPS6215672B2 (ko)
US9994069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9938109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ealing tape roll
EP3202973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uble-layer fabric for down products having pattern joining line formed by high-frequency bonding
CN113800314B (zh) 一种膜纸复合方法及系统
JP2010095001A5 (ko)
ITTO20070315A1 (it) Metodo ed impianto per l'unione di due parti di una calzatura
US20140000797A1 (en) Device For Bonding Textile Fibers By Means Of Hot Gases
US20080269033A1 (en)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KR101896471B1 (ko) 공조용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시스템
US20070028836A1 (en) Apparatus for applying an adhesive substance to a fabric strip
CN205736316U (zh) 无纺布与透气膜复合的设备
CN104652744A (zh) 一种装饰用墙布、装饰用墙布加工方法及其装置
KR20100053657A (ko) 다층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599328B (zh) Followed by the member attaching device and the member attachment method
KR100938258B1 (ko) 필름타입 알루미늄 튜브 제조장치
KR101176872B1 (ko) 시트 혹은 필름에 종이를 점착하는 방법
WO2017154871A1 (ja) シワを有する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573537B (zh) 用于焊接织物的设备
CN114474950A (zh) 一种高效率粘合机及其控制方法
KR20030095629A (ko) 양면 합포 방법 및 양면 합포기
NL1033501C2 (nl)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een lamelstuk voor een jaloezie en het lamelstuk dat aldus is gevormd.
US20090000725A1 (en) Method For Bonding A Dry Fiber Strip To A Dry Fiber Strand
US20150218665A1 (en) Softening process and system for roll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