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27Y1 -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 Google Patents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27Y1
KR200459327Y1 KR2020110007931U KR20110007931U KR200459327Y1 KR 200459327 Y1 KR200459327 Y1 KR 200459327Y1 KR 2020110007931 U KR2020110007931 U KR 2020110007931U KR 20110007931 U KR20110007931 U KR 20110007931U KR 200459327 Y1 KR200459327 Y1 KR 200459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conditioning
flexible duct
ban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호문
Original Assignee
진호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호문 filed Critical 진호문
Priority to KR2020110007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나선형으로 권취시켜 형성된 겹침부와, 상기 겹침부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외면에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압착, 결합되는 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
본 고안은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조배관의 배관파이프가 휘어지게 연결되는 부위를 손쉽게 연결 시공하고, 특히 화재의 발생시 화염에 의해 쉽게 타거나 녹지 않도록 하여 연기로부터 실내가 보호되어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및 선박 등의 내부에는 공조 배관파이프가 다양한 라인으로 배관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관파이프는 건물 및 선박 등의 내부 구조에 따라 1단 또는 2단으로 휘어져서 배관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휘어지게 배관되는 부분에는 통상 플렉시블 덕트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서 공조배관을 구성하고 있다.
종래의 공조용 배관파이프의 휘어지는 연결부에는 알루미늄 호일을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공조배관용 덕트로 사용하거나, PVC 코팅된 소재를 사용하여 덕트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알루미늄 호일의 경우, 알루미늄 호일을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배관파이프의 휘어지는 연결부에 시공할 경우 변형이 용이하여 시공은 비교적 손쉽게 할 수 있으나, 외력에 의해 알루미늄 호일이 쉽게 파손되거나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알루미늄 호일과 PVC 코팅된 소재로 이루어진 공조배관용 덕트는 화재의 발생시 불연이나 난연의 기능이 없어서 쉽게 타거나 녹게되어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표면에 난연성 수지나 난연성 실리콘이 도포된 화이바글라스를 소재로하는 원단을 관체형으로 형성하고, 관체형으로 형성된 화이바글라스의 내부에 다수의 철심을 단계별로 내장하고, 화이바글라스의 내부에 내장된 다수의 철심이 임의로 유동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화이바글라스의 내측표면과 철심이 개재된 수개의 부위에 부분적으로 난연성 실리콘층이 도포된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가 이미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는 관체형으로 형성된 화이바글라스의 표면에 난연성 수지나 난연성 실리콘이 도포되어 있어 철심과 화이바글라스를 열융착으로 결합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철심이 임의로 유동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화이바글라스의 내측표면과 철심이 개재된 수개의 부위에 부분적으로 난연성 실리콘층을 도포함으로써 제조공정의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공조배관 플렉시블 덕트는 철심이 임의로 유동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화이바글라스의 내측표면과 철심이 개재된 수개의 부위에 부분적으로 난연성 실리콘층을 도포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길이가 긴 형상으로 제조되지 못하여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없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키고, 화재시 화염에 의해 쉽게 타거나 녹지 않도록 하여 연기로부터 실내가 보호되어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플렉시블 덕트를 손쉽게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나선형으로 권취시켜 형성된 겹침부와, 상기 겹침부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외면에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압착, 결합되는 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가 제공된다.
상기 덕트의 양단에는 덕트 체결용 클램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 체결용 클램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제1 밴드와, 상기 제1 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단부에 고정부가 설치된 제2 밴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의 타단부에는 중심부에 안착부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은 화이바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단의 표면에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수지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와 같이 철심이 임의로 유동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화이바글라스의 내측표면과 철심이 개재된 수개의 부위에 부분적으로 난연성 실리콘층을 도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키고, 화재시 화염에 의해 쉽게 타거나 녹지 않도록 하여 연기로부터 실내가 보호되어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플렉시블 덕트를 손쉽게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체결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덕트 체결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체결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덕트 체결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는 겹침부(14), 접힘부(16), 강판(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겹침부(14)는 원단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나선형을 권취시켜 형성된다.
여기서,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12)은 화이바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단(12)의 표면에는 화재시 화염에 의해 쉽게 타거나 녹지 않도록 난연성 또는 불연성수지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부(16)는 겹침부(14)의 중심부을 내측에서 외측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접힘부(16)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원단이 중공의 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중공의 관을 따라 이송되는 기체가 관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강판(18)은 강판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며, 'U'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어 접힘부(16)의 외면에 압착 결합된다.
강판(18)을 접힘부(16)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면, 플렉시블 덕트(10)는 다수의 요철부가 외주면에 일정간격의 피치(P)로 형성된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요철부에 의해 플렉시블 덕트(10)는 용이하게 휘어짐이 가능하다.
또한, 플렉시블 덕트(10)의 양단에는 덕트(10)를 각 배관파이프와 연결할 시 덕트(10)가 각 배관파이프에 고정할 수 있게 덕트 체결용 클램프(20)가 결합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덕트 체결용 클램프(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체결홈(22)이 형성된 제1 밴드(24)와, 제1 밴드(24)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단부에 고정부(26)가 설치된 제2 밴드(28)와, 제1 밴드(24)와 제2 밴드(28)의 타단부에 일단과 타단이 각가 결합되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연결부재(30)는 중심부에 안착부(30a)가 돌출 형성되고, 안착부(30a)는 외면에 강판(18)이 압착, 결합된 접힘부(16)의 외면에 안착된다.
즉, 제1 밴드(24)와 제2 밴드(28)는 일정한 피치(P)로 접힙부(16)와 접힘부(16) 사이에 형성된 요철부에 안착되며, 연결부재(30)의 안착홈(30a)은 나선형으로 형성된 접힘부(16)에 안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의하면, 제조공장에서 최조 제조되는 형태는 길이가 긴 형태로 제조되어, 시공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길이의 규격으로 복수개가 사용될 경우에는 제조단계에서 필요한 길이의 완제품 형태로 제조하여 시공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배관용 덕트와 같이 철심이 임의로 유동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화이바글라스의 내측표면과 철심이 개재된 수개의 부위에 부분적으로 난연성 실리콘층을 도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자동화하여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재시 화염에 의해 쉽게 타거나 녹지 않도록 하여 연기로부터 실내가 보호되어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플렉시블 덕트를 손쉽게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12: 원단
14: 겹침부
16: 접힘부
18: 강판
20: 덕트 체결용 클램프
22: 체결홈
24: 제1 밴드
26: 고정부
28: 제2 밴드
30: 연결부재
30a: 안착부

Claims (4)

  1.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12)을 나선형으로 권취시켜 형성된 겹침부(14);
    상기 겹침부(14)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접힘부(16); 및
    상기 접힘부의(16) 외면에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압착, 결합되는 강판(18);을 포함하되,
    상기 덕트의 양단에는 덕트 체결용 클램프(20)가 결합되고,
    상기 덕트 체결용 클램프(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체결홈(22)이 형성된 제1 밴드(24)와, 상기 제1 밴드(24)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단부에 고정부(26)가 설치된 제2 밴드(28)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밴드(24)와 상기 제2 밴드(28)의 타단부에는 중심부에 안착부(30a)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3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12)은 화이바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단(12)의 표면에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수지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2020110007931U 2011-08-31 2011-08-31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200459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931U KR200459327Y1 (ko) 2011-08-31 2011-08-31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931U KR200459327Y1 (ko) 2011-08-31 2011-08-31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327Y1 true KR200459327Y1 (ko) 2012-03-22

Family

ID=4762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931U KR200459327Y1 (ko) 2011-08-31 2011-08-31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2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176A (ko) * 2004-10-05 2006-04-10 주식회사 알텍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및 이를 이용한 후렉시블덕트의 제조방법
KR100835787B1 (ko) 2007-05-08 2008-06-05 두현태 플렉시블 덕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176A (ko) * 2004-10-05 2006-04-10 주식회사 알텍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및 이를 이용한 후렉시블덕트의 제조방법
KR100835787B1 (ko) 2007-05-08 2008-06-05 두현태 플렉시블 덕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8948A (en) Flexible and foldable conduit
CA2854297C (en) Insulated duct with air jacket and method of use
JP2006234188A (ja) 空調用伸縮性フレキシブルダクト
US9833646B2 (en) Fire protection cuff
KR200459327Y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20130094518A (ko) 환기용 급 배기관
KR100955533B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GB2364359A (en) Non-combustible insulating duct
JP2008292024A (ja) 不燃性断熱ダクト
KR101423435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KR101339856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US20050092384A1 (en) Semi-flexible air duct
ES2729479T3 (es) Pieza de conexión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AU2017202654A1 (en) Fire protection cuff
KR200303953Y1 (ko) 보온재와 보호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냉방시스템용배관케이블
KR200321782Y1 (ko) 주름관 에어덕트
CN212839859U (zh) 一种橡塑复合风管及风管系统
JP2010085059A (ja) 空調用ダクトの保温装置及び保温方法
KR200227606Y1 (ko)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JP2023023417A (ja) フレキシブルダクト
JP2006057967A (ja) 分岐型サプライチャンバー
KR200495390Y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CN206802634U (zh) 一种空调铜管双管保温管
KR101616259B1 (ko) 에어컨의 배관재 삽입용 주름관
JP6611587B2 (ja) ダクト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