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782Y1 - 주름관 에어덕트 - Google Patents

주름관 에어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782Y1
KR200321782Y1 KR20-2003-0012953U KR20030012953U KR200321782Y1 KR 200321782 Y1 KR200321782 Y1 KR 200321782Y1 KR 20030012953 U KR20030012953 U KR 20030012953U KR 200321782 Y1 KR200321782 Y1 KR 200321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dge
support
air duc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현태
Original Assignee
두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현태 filed Critical 두현태
Priority to KR20-2003-0012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7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됨과 아울러 원통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덕트지지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지지체는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소재의 중첩부위를 따라 상기 덕트소재의 내측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그 가장자리가 외측방향으로 절첩됨과 아울러 상기 덕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절첩부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에어덕트를 제공하여 별도의 접착제 또는 접착수단이 필요치 않으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단도 덕트소재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에 대한 내열성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덕트지지체의 단면형상이 코일강선 등에 비해 외부충격에 대해 유리한 형상이므로 에어덕트의 원형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고안임.

Description

주름관 에어덕트 {Flexible Air Duc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등의 환기구에 설치하여 건물 내부로 냉, 난방공기를 공급하거나 환기시키는 공조기의 공기 공급통로 또는 배출통로로 사용되는 주름관 에어덕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덕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덕트지지체의 절첩부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내열성이 향상되고 외부의 충격에도 원형유지력이 좋은 주름관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조기의 급, 배기 통로는 알루미늄 호일에 합성수지막이 부착된 알루미늄 호일테이프(이하 알루미늄 테이프라 함)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에어덕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 사용 목적에 따라 내층과 외층을 알루미늄 테이프로 형성하고 내층과 외층사이에 유리섬유 등으로 단열재를 넣은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알루미늄 테이프를 사용하여 권취한 에어덕트는 외부 압력에 대한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원통형상이 유지되도록 알루미늄 테이프를 중첩되게 권취하면서 중첩되는 알루미늄 테이프 사이에 강선이 코일형태로 삽입되어 권취된다.
또한 화이버 글래스 직물과 합성수지필름이 부착된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진 테이프를 일부 중첩시키면서 나선형 형태로 권취함과 아울러 중첩되는 부분에는 원통형상의 유지를 위해 강선을 매입한 형태로 특수 열처리하여 접착한 에어덕트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에어덕트를 제작할 때는 덕트소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덕트소재가 중첩되는 부위를 열융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고 원통형상유지를 위한 덕트지지체로서 코일강선 등을 함께 매입하여 권취함으로써 원통형상의 에어덕트를 제작하게되는데, 완성된 에어덕트는 압축되면 코일강선에 의해 팽창력이 작용되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팽창력 및 굴곡력과 신축력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시공에 있어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덕트들은 덕트지지체와 덕트소재 간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접착수단이 요구되는 바 제작이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에는 화재발생시 접착제에 의한 유독가스 발생 등으로 인한 문제와 접착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단들은 덕트소재로써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덕트지지체로써 이용되는 코일강선 등은 비교적 강성이 크지 못하므로 외부의 충격시 에어덕트가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덕트지지체와 덕트소재간에 별도의 접착수단이 없이도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에 강하고 또한 덕트의 원형이 견고히 유지되는 주름관 에어덕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덕트지지체 11 : 삽입홈
12 : 결합홈 13 : 절첩부
20(21, 22) : 덕트소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덕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됨과 아울러 원통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덕트지지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지지체는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소재의 중첩부위를 따라 상기 덕트소재의 내측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그 가장자리가 외측방향으로 절첩됨과 아울러 상기 덕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절첩부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접착제 또는 접착수단이 없이도 덕트지지체에 덕트소재가 설치된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단도 덕트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도 1의 A-A'부의 단면도이다.
본 주름관 에어덕트는 가장자리가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원통형 형상을 형성하는 덕트소재(20)를 구비한다.
덕트소재(20)는 에어덕트의 설치환경에 맞추어 단열성 등이 우수한 소재 중 알루미늄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을 취사선택한다.
덕트소재(20)는 덕트소재(20)를 나선형으로 권취할 때 1회전하여 발생하는 중첩부위 중 가장자리가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전단 덕트소재(21), 가장자리가 전단 덕트소재(21)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후단 덕트소재(22)로 나눌수 있으며, 이와같이 덕트소재(20)는 전단 덕트소재(21)의 가장자리와 후단 덕트소재(22)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면서 나사산과 같이 연속적으로 권취된다.
덕트지지체(10)는 덕트소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덕트소재(20)의 원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덕트지지체(10)는 밴드 형상이며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원통형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덕트지지체(10)의 양쪽 가장자리는 외측방향으로 절첩되어 절첩부(13)가 형성된다.
절첩부(13)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11)을 형성하고 삽입홈(11)의 하측으로는 결합홈(12)이 형성된다.
이에 덕트지지체(10)는 덕트소재(20)의 중첩부위를 따라 권취됨과 아울러 덕트소재(20)의 중첩부위는 덕트지지체(10)의 절첩부(1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덕트소재(20)의 중첩부위는 덕트지지체(10)의 삽입홈(11)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홈(12)에 끼워지고 절첩부(13)를 압착하는 것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덕트소재(2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덕트소재(21)가 후단 덕트소재(22)의 하측에 위치하고 후단 덕트소재(22)는 한 번 절곡된 상태로 결합홈(12)에 결합되어있다.
이에 의하여 절첩부(13)의 압착력 뿐만아니라 전단 덕트소재(21)와 후단 덕트소재(22)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덕트소재(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덕트지지체(10)는 단면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절첩되어 있으며 너비가 길고 높이가 짧은 형상으로 코일강선 등에 비하여 더욱 큰 외부저항력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름관 에어덕트는 별도의 접착제 또는 접착수단이 필요치 않으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단도 덕트소재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에 대한 내열성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덕트지지체의 단면형상이 코일강선 등에 비해 외부충격에 대해 유리한 형상이므로 에어덕트의 원형이 견고히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덕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됨과 아울러 원통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덕트지지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지지체는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소재의 중첩부위를 따라 상기 덕트소재의 내측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그 가장자리가 외측방향으로 절첩됨과 아울러 상기 덕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절첩부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에어덕트.
KR20-2003-0012953U 2003-04-25 2003-04-25 주름관 에어덕트 KR200321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53U KR200321782Y1 (ko) 2003-04-25 2003-04-25 주름관 에어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53U KR200321782Y1 (ko) 2003-04-25 2003-04-25 주름관 에어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782Y1 true KR200321782Y1 (ko) 2003-07-31

Family

ID=4941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953U KR200321782Y1 (ko) 2003-04-25 2003-04-25 주름관 에어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7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29B1 (ko) 2011-04-27 2013-07-05 강덕례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제조장치
KR101331070B1 (ko) * 2011-09-21 2013-11-19 이용덕 형상유지 자바라를 이용한 분사구방향 가변고정형 농축산 방역기의 약제분사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29B1 (ko) 2011-04-27 2013-07-05 강덕례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제조장치
KR101331070B1 (ko) * 2011-09-21 2013-11-19 이용덕 형상유지 자바라를 이용한 분사구방향 가변고정형 농축산 방역기의 약제분사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8092B2 (ja) 伸展可能でかつ巻取り可能な部材
US3818948A (en) Flexible and foldable conduit
JP4783034B2 (ja) 空調用伸縮性フレキシブルダクト
KR20160068816A (ko) 향상된 가요성을 가진 권취가능한 적층형 텍스타일 슬리브 및 권취가능한 텍스타일 슬리브의 포일 레이어 내에서의 균열을 감소시키는 방법
JP4775630B2 (ja) ダクトホース
KR200321782Y1 (ko) 주름관 에어덕트
JP6751299B2 (ja) 空調用ドレン管
JP2008292024A (ja) 不燃性断熱ダクト
KR100955533B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JP2008096073A (ja) ダクトホース
JP5674204B2 (ja) ダクト
WO2002010633A1 (en) Flexible protective sleeve
JPH07174292A (ja) 断熱ホース
KR200227606Y1 (ko)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JP2010085059A (ja) 空調用ダクトの保温装置及び保温方法
JP3161118U (ja) 空調用ダクト
JP2009115354A (ja) 気密性可撓ダク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14032B2 (ja) 保温フレキシブルダクト
JP2556744Y2 (ja) 空調用ダクトおよびダクト用金属薄板
JP200109097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用ドレンホース
JPH0814490A (ja) 不織布管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断熱二重管
KR200471170Y1 (ko) 플렉시블 덕트
JP4772300B2 (ja) 2層ダクト
KR200459327Y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JP4279017B2 (ja) フレキシブル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