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390Y1 -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 Google Patents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390Y1
KR200495390Y1 KR2020200002254U KR20200002254U KR200495390Y1 KR 200495390 Y1 KR200495390 Y1 KR 200495390Y1 KR 2020200002254 U KR2020200002254 U KR 2020200002254U KR 20200002254 U KR20200002254 U KR 20200002254U KR 200495390 Y1 KR200495390 Y1 KR 200495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bric
core
core material
flexible hos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38U (ko
Inventor
김삼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신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신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신소재
Priority to KR2020200002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9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fibres or threads, e.g. of textile which may or may not be impregnated, or provided with an impermeable layer, e.g. fire-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4Hoses, i.e. flexible pipes wound from strips or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직경과 피치로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구비되는 심재; 상기 심재를 따라 외측에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감겨지도록 하며, 화이버글라스의 양측 표면으로 테프론 및 실리콘 코팅이 이루어지는 일정 폭의 밴드형상인 커버 원단; 상기 커버 원단의 외측에서 상기 심재를 따라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심재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원단의 외주면을 일정 압력으로 감싸도록 하여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기 심재와 상기 커버 원단이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보강테의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외측 표면으로 테프론 및 실리콘이 코팅된 로 이루어지는 커버 원단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구비되는 심재를 따라 감겨지도록 하면서 심재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원단의 외측을 금속의 보강테가 감싸도록 함으로써 심재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원단의 손상과 그로 인한 유체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서 내열 플렉시블 호스는 빌딩, 공장,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측으로 도입하거나 혼탁한 실내공기를 건물 밖으로 배출시키거나 혹은 냉난방용 냉온류를 유통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특히, 산업분야에서 공조용으로 사용하는 플렉시블 호스는 호스 본체의 소재가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소재를 한 층으로만 형성하기도 하지만 내피와 외피로서 형성하기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재에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스파이럴 코일이 개재되도록 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자유 자재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955533호(2010.04.22.)의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서는 화이바글라스를 소재로 하는 원단의 표면에는 난연성 수지를 코팅한 화이바글라스의 내부에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철심이 구비되도록 하여 의 신축성에 의해서 표면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자바라 형상으로 덕트가 형성되도록 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관형상의 덕트 형상 유지를 화이바글라스로 이루어지는 원단에 의해서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동 중이거나 시공 중 변형이 발생되기도 하고, 난연성에서는 우수한 반면 내열성에는 약점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등록특허 제0955533호(2010.04.22.)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원단의 내측으로 스파이럴 코일형 심재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관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측에서는 스파이럴 코일형 심재가 지지되는 원단의 외측으로 보강테가 연결되게 함으로써 이동이나 시공 중에도 원단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이버글라스의 양면으로 테프론 및 실리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내열성을 증강시켜 내열성이 필요한 좀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는, 일정 직경과 피치로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구비되는 심재; 상기 심재를 따라 외측에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감겨지도록 하며, 화이버글라스의 양측 표면으로 테프론 및 실리콘 코팅이 이루어지는 일정 폭의 밴드형상인 커버 원단; 상기 커버 원단의 외측에서 상기 심재를 따라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심재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원단의 외주면을 일정 압력으로 감싸도록 하여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기 심재와 상기 커버 원단이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보강테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커버 원단은 상기 심재의 피치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 원단은 상기 심재의 내측과 외측을 동시에 감싸도록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테는 상기 심재와 함께 상기 심재의 내측과 외측을 감싸는 상기 커버 원단들을 동시에 감싸도록 한다.
상기 보강테는 Ω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테는 상기 심재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 원단을 포함하는 외경보다는 작은 폭으로 일측이 개방되도록 압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부의 양측 단부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압입부의 폭은 신축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는 스파이럴 코일형상의 심재를 따라 일정 폭의 커버 원단이 감겨지면서 외부가 커버되도록 하고, 커버 원단의 심재가 밀착되는 부위를 따라 보강테가 압착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호스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원단은 양측 표면으로 테프론 및 실리콘 코팅된 화이버글라스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내열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켜 고온의 열기가 배출되어야 하는 내열성이 요구되는 산업현장에서도 폭넓게 적용할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보강테에 의해 호스를 이동하거나 시공 중 바닥에 아무렇게 방치하더라도 바닥으로부터 커버 원단의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시공 후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의 분리된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보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서 보강테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보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서 심재의 외측으로 커버 원단과 보강테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보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서 심재의 외측으로 커버 원단을 연결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보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서 심재를 감싸도록 결합된 커버 원단의 외측으로 보강테가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의 분리된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의 결합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심재(10)와 커버 원단(20)과 보강테(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심재(10)는 일정 직경과 피치로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심재(10)는 코일형상으로 일정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피치간 간격이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심재(10)는 그 자체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일정 형상을 유지하면서 피치간 간격의 신축 작용에 의해서 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심재(1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구성이 커버 원단(20)이다.
커버 원단(20)은 일정 폭의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심재(10)를 따라 외측에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감겨지도록 하면서 심재(10)에서 양단부가 중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 원단(20)은 심재(10)의 피치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심재(10)의 외측에서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 원단(20)이 심재(10)의 피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면 양측의 심재(10)에 커버 원단(20)의 양측이 동시에 밀착되는 동시에 각 심재(10)에는 심재(10)를 따라 감겨지는 커버 원단(20)의 서로 다른 단부가 중첩되게 된다.
이러한 커버 원단(20)은 화이버글라스의 양측 표면으로 테프론 및 실리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난연성과 함께 내열성이 더욱 증강되도록 한다.
이렇게 심재(10)의 외부로는 심재(10)를 따라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보강테(30)가 결합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보강테(30)는 심재(10)가 구비되는 커버 원단(20)의 외측에서 커버 원단(20)을 심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심재(10)에 지지되는 커버 원단(2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보강테(30)는 도 4에서와 같이 Ω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심재(10)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 원단(20)을 포함하는 외경보다는 작은 폭으로 일측이 개방되도록 압입부(31)를 형성하고, 이 압입부(31)의 양측 단부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압입부(31)의 폭은 신축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강테(30)는 심재(10)와 마찬가지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형성하여 심재(10)에 지지되는 커버 원단(20)을 심재(10)와 함께 외측에서 일정 압력으로 감싸도록 하여 심재(10)와 커버 원단(20)과 보강테(30)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커버 원단(20)을 심재(10)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보강테(30)는 재질을 스테인레스 또는 아연도 강판으로 제작되도록 하며, 다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는 도 5에서와 같이 일정 직경과 피치로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심재(10)를 제작하며, 이러한 심재(10)의 외측으로 심재(10)의 피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커버 원단(20)을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회전시키면서 양측의 심재(10)에 양측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하면서 감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심재(10)의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한 코일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일정 폭의 커버 원단(20)이 단부간 상호 겹쳐지면서 감겨지도록 한다.
즉, 커버 원단(20)은 심재(10)의 양측간 이격되도록 한 코일간 피치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는 밴드형상으로 구비하여 양측의 코일간으로 양측의 단부가 걸쳐지도록 하면서 연속해서 감겨지도록 하면 각 코일의 외측에서는 커버 원단(20)의 단부가 각각 겹쳐지게 된다.
이렇게 커버 원단(20)이 겹쳐지는 심재(10)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보강테(3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의 보강테(30)는 외측으로부터 심재(10)가 구비되는 커버 원단(20)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보강테(30)의 압입부(31) 폭이 확장되었다 수축되면서 심재(10)와 함께 커버 원단(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보강테(30)는 심재(10)의 설치 형상을 따라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결국 심재(10)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원단(20)을 외측에서 보호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커버 원단(20)은 심재(10)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를 보강테(30)에 의해서 상호 고정되도록 하면서 이 보강테(30)에 의해서 커버 원단(20)을 보호할 수가 있다.
즉, 보강테(30)는 커버 원단(20)으로부터 일정 직경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시공 중이거나 보관 중에는 보강테(30)가 바닥에 접촉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커버 원단(2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테(30)가 바닥에 먼저 접촉되면서 커버 원단(20)이 직접 바닥과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커버 원단(20)의 손상이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 원단(20)의 손상이나 마모가 방지되면 본 고안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안전한 유체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보강테(30)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커버 원단(20)이 심재(10)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 심재(10)로부터 커버 원단(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어 안정된 형상 유지가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은 화이버글라스(21)의 적어도 내측 표면으로 테프론이 코팅되게 함으로써 커버 원단(20)의 내열성이 더욱 증강되도록 하여 본 고안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열기를 갖게 되더라도 안정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심재
20 : 커버 원단
21 : 화이버글라스 22 : 테프론 및 실리콘
30 : 보강테
31 : 압입부

Claims (6)

  1. 일정 직경과 피치로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구비되는 심재;
    상기 심재를 따라 외측에서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감겨지도록 하며, 화이버글라스의 양측 표면으로 테프론 및 실리콘 코팅이 이루어지는 일정 폭의 밴드형상인 커버 원단;
    상기 커버 원단의 외측에서 상기 심재를 따라 스파이럴 코일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심재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원단의 외주면을 일정 압력으로 감싸도록 하여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기 심재와 상기 커버 원단이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보강테;로 이루어지되,
    상기 심재에는 상기 심재를 따라 감겨지는 커버 원단의 서로 다른 단부가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테는 상기 심재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 원단을 포함하는 외경보다는 작은 폭으로 일측이 개방되도록 압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부의 양측 단부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압입부의 폭은 신축 가능하도록 하며, 스테인레스 또는 아연도 강판의 재질로 제작된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원단은 상기 심재의 피치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원단은 상기 심재의 내측과 외측을 동시에 감싸도록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테는 상기 심재와 함께 상기 심재의 내측과 외측을 감싸는 상기 커버 원단들을 동시에 감싸도록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테는 Ω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6. 삭제
KR2020200002254U 2020-06-29 2020-06-29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KR200495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54U KR200495390Y1 (ko) 2020-06-29 2020-06-29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54U KR200495390Y1 (ko) 2020-06-29 2020-06-29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38U KR20220000038U (ko) 2022-01-06
KR200495390Y1 true KR200495390Y1 (ko) 2022-05-16

Family

ID=7934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54U KR200495390Y1 (ko) 2020-06-29 2020-06-29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39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4B1 (ko) * 2008-03-18 2010-03-05 윤성환 후렉시블 덕트
KR100966726B1 (ko) * 2010-01-05 2010-06-29 두현태 파일직물을 이용한 에어덕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33B1 (ko) 2008-05-06 2010-04-30 진호문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4B1 (ko) * 2008-03-18 2010-03-05 윤성환 후렉시블 덕트
KR100966726B1 (ko) * 2010-01-05 2010-06-29 두현태 파일직물을 이용한 에어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38U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23703A (en) Flexible pipe
US3102740A (en) Protective jacket for assembly about cold fluid-conveying ducts
KR102141900B1 (ko) 공기 조화기 시스템
KR200495390Y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BRPI0316896B1 (pt) conduto e método de fabricação do mesmo
JP2008196738A (ja) 換気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熱交換ユニット
KR102246594B1 (ko) 공조 배관용 플랙시블 덕트를 갖는 분배기
KR200488320Y1 (ko) 보온 외장재의 빗물 유입 방지용 커버
KR101329983B1 (ko) 주름관형 비금속 익스펜션 조인트
KR100955533B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JP3196651U (ja) 温水循環用導管材
KR102292451B1 (ko) 공조배관용 초박판 플렉시블 덕트
CN209762473U (zh) 一种软管
JPH11159685A (ja) 配管用ヒータ
JP7411881B2 (ja) 可撓性ホース
JPH03271652A (ja) 断熱ダクト
US20180245718A1 (en) Flexible chimney hose liner
CN217874828U (zh) 一种埋地保温金属波纹管结构
CN220817012U (zh) 用于洁净室高温热水管道的保温结构组件
JP7479763B2 (ja) 可撓性ホ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30656B1 (ko)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20020076714A (ko) 단열처리된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
KR200380169Y1 (ko) 공기조화용 스파이럴 덕트
KR850002602Y1 (ko) 냉난방 덕트용 냉열기 송풍관
JP2012167887A (ja) 熱交換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