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656B1 -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 Google Patents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656B1
KR102230656B1 KR1020200111705A KR20200111705A KR102230656B1 KR 102230656 B1 KR102230656 B1 KR 102230656B1 KR 1020200111705 A KR1020200111705 A KR 1020200111705A KR 20200111705 A KR20200111705 A KR 20200111705A KR 102230656 B1 KR102230656 B1 KR 10223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ner tube
uneven
exteri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인
Original Assignee
(주)울산시스템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울산시스템공조 filed Critical (주)울산시스템공조
Priority to KR102020011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4Hoses, i.e. flexible pipes wound from strips or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화성의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관 몸체부; 및, 상기 연결관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대관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 몸체부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끼움관이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한 쌍의 끼움관의 외주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홈에는, 상기 걸림단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각각에는 제 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대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요철부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요철부가 형성되고,상기 제 1요철부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
본 발명은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덕트와 디퓨져를 연결하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안하되, 중앙 덕트와 디퓨져 각각의 연결단에 결합되는 배관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부분을 요철 방식으로 결합하여 접촉 면적을 늘리고, 상기 양단 외부에서의 방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배관 자체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 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공조기(10)는 건물 내부로 냉,난방 공기를 공급하거나 환기시키는 장치로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중앙 덕트(11)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중앙 덕트(11)의 연결 통로상에 형성되는 가지관(12)에 의해 건물내의 각 구역으로 분기되어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중앙 덕트(11)는 일반적으로 함석, SUS, 합성수지 또는 발포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덕트(11)의 통로상의 일부를 개통시켜 다수의 가지관(12)이 형성된다. 가지관(12)은 중앙 덕트(11)와 마찬가지로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상기 가지관(12)은 플렉시블 덕트(13)를 매개로 하여 건물의 천정부재(15) 사이에 설치되는 디퓨저(14)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에서 사용되어지는 플렉시블 덕트는 알루미늄 호일을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공조배관용 덕트로 사용하거나, PVC 코팅된 소재를 사용하여 덕트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호일의 경우, 알루미늄 호일을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배관파이프의 휘어지는 연결부에 시공할 경우 변형이 용이하여 시공은 비교적 손쉽게 할 수 있으나, 외력에 의해 알루미늄 호일이 쉽게 파손되거나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알루미늄 호일과 PVC 코팅된 소재로 이루어진 공조배관용 덕트는 화재의 발생시 불연이나 난연의 기능이 없어서 쉽게 타거나 녹게되어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해결하게 위해 종래에는 관체형으로 형성된 화이바글라스의 내부에 다수의 철심을 단계별로 내장하고, 화이바글라스의 내부에 내장된 다수의 철심이 임의로 유동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화이바글라스의 내측표면과 철심이 개재된 수개의 부위에 부분적으로 난연성 실리콘층이 도포된 플렉시블 덕트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배관의 내부에서 일정 이상의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이 열이 상기 철심에 전달되어 오히려 플렉시블 덕트의 변형을 더 유발하고 열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화재의 위험이 더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3714호(2015.09.10)
상기에 기술되는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중앙 덕트와 디퓨져를 연결하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안하되, 중앙 덕트와 디퓨져 각각의 연결단에 결합되는 배관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부분을 요철 방식으로 결합하여 접촉 면적을 늘리고, 상기 양단 외부에서의 방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배관 자체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 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 재질의 배관 몸체를 이중으로 구성하되, 내측에 배치되는 내관의 두께 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외관의 두께를 더 두텁게 구현하여 절곡되는 상태에서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에 냉각 코일을 배치하여, 내관의 내부를 통해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내관 및 외관의 온도를 일정 이하로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화성의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관 몸체부; 및,
상기 연결관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대관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 몸체부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끼움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상대관 각각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 부재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끼움홈의 내주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단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각각의 내주에는 제 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제 1요철부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요철부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요철부는,
상기 제 2요철부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1요철이 형성된 링 형상의 요철부 몸체와,
상기 요철부 몸체의 외주의 다수 위치에서 외측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끼움관을 관통하는 다수의 노출핀들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 몸체부는,
제 1두께를 이루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두께를 이루는 내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두께는, 상기 제 2두께보다 일정 두께 더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의 내부에는,
와이어가 내설되되,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에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와이어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설치홈은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외주에는 일정 두께를 이루는 내열성 코팅층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냉각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냉각 코일은, 전류 제공기로부터 일정의 전류를 제공 받아 일정의 냉각 온도로 냉각되고,
상기 내관의 내주에는 온도 측정 프로브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온도 측정 프로브의 타단은 상기 외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측정 프로브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되는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전류를 상기 냉각 코일로 전송하여 상기 내관의 내부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내관의 내주 및 외주에는 웨이브 형상의 금속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관의 외주와 상기 외관의 내주의 사이에는,
격자 형상의 스페이서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탄성을 이루되,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술한 과제를 통해 본 발명은 중앙 덕트와 디퓨져를 연결하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안하되, 중앙 덕트와 디퓨져 각각의 연결단에 결합되는 배관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부분을 요철 방식으로 결합하여 접촉 면적을 늘리고, 상기 양단 외부에서의 방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배관 자체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 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 재질의 배관 몸체를 이중으로 구성하되, 내측에 배치되는 내관의 두께 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외관의 두께를 더 두텁게 구현하여 절곡되는 상태에서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에 냉각 코일을 배치하여, 내관의 내부를 통해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내관 및 외관의 온도를 일정 이하로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공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대관과 본 발명의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상대관과 본 발명의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결합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단과 걸림홈의 형상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요철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 몸체부가 이중의 관으로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냉각 코일에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상대관과 본 발명의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상대관과 본 발명의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의 결합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화성의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관 몸체부(100)와, 상기 연결관 몸체부(100)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대관(10)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대관은 도 1에 도시되는 중앙 덕트와 디퓨져이며, 플렉시블 덕트의 양단에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는 상기 연결관 몸체부(100)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관(210)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끼움관(210)에는 끼움홈(211)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상대물(11, 14)에는 상기 각각의 끼움홈(211)에 끼워지는 끼움 부재(51)가 형성된 끼움부(50)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단과 걸림홈의 형상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한 쌍의 끼움관(210)의 내주 즉, 상기 각각의 끼움홈(211)의 내주에는 걸림단(22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 부재(51)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단(22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52)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요철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 각각에는 제 1요철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요철부(201)는 끼움관(210)의 내주인 끼움홈(211)에 형성된다.
상기 상대관(11,14)의 단부에는, 상기 제 1요철부(201)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요철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요철부(201)는 끼움 부재(51)의 외주에 형성된다. 상기 끼움 부재(51)가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지면서 제 1,2요철부(201, 202)를 서로 요철 결합된다. 상기 요철은 스크류 방식의 결합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요철부(201)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요철부(201)는, 상기 제 2요철부(202)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1요철(201a')이 형성된 링 형상의 요철부 몸체(201a)와, 상기 요철부 몸체(201a)의 외주의 다수 위치에서 외측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 각각을 관통하는 다수의 노출핀들(201b)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출핀들(201b)은 상기 요철부 몸체(201a)에서 탈착 가능하고, 끼움관(210)을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 몸체부가 이중의 관으로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연결관 몸체부(100)는, 제 1두께(t1)를 이루는 외관(110)과, 상기 외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두께(t2)를 이루는 내관(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두께(t1)는, 상기 제 2두께(t2)보다 일정 두께 더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관(110)과 상기 내관(120)의 내부에는, 와이어(130)가 내설된다.
상기 외관(110)과 상기 내관(120)에는, 상기 와이어(130)가 끼워지는 와이어 설치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130)와 상기 와이어 설치홈(131)은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130)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130)의 외주에는 일정 두께를 이루는 내열성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냉각 코일에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내관(120)과 상기 외관(11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냉각 코일(140)이 배치된다.
상기 냉각 코일(140)은, 전류 제공기(150)로부터 일정의 전류를 제공 받아 일정의 냉각 온도로 냉각된다.
상기 내관(120)의 내주에는 온도 측정 프로브(16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온도 측정 프로브(160)의 타단은 상기 외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기(30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300)는, 상기 온도 측정 프로브(160)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류 제공기(150)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되는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온도 이르도록 상기 전류를 상기 냉각 코일(140)로 전송하여 상기 내관의 내부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내관의 내주 및 외주에는 웨이브 형상을 이루는 외면을 갖는 금속층(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관의 외주와 상기 외관의 내주의 사이에는, 격자 형상의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탄성을 이루되,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의 발명의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은 중앙 덕트와 디퓨져를 연결하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를 제안하되, 중앙 덕트와 디퓨져 각각의 연결단에 결합되는 배관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부분을 요철 방식으로 결합하여 접촉 면적을 늘리고, 상기 양단 외부에서의 방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배관 자체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 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 재질의 배관 몸체를 이중으로 구성하되, 내측에 배치되는 내관의 두께 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외관의 두께를 거 두텁게 구현하여 절곡되는 상태에서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에 냉각 코일을 배치하여, 내관의 내부를 통해 고온의 열기가 유동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내관 및 외관의 온도를 일정 이하로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연결부 몸체부
200 : 결합부
300 : 제어기

Claims (3)

  1.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화성의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관 몸체부; 및,
    상기 연결관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대관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 몸체부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끼움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상대관 각각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 부재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끼움홈의 내주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단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각각의 내주에는 제 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제 1요철부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요철부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되,
    상기 제 1요철부는,
    상기 제 2요철부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1요철이 형성된 링 형상의 요철부 몸체와,
    상기 요철부 몸체의 외주의 다수 위치에서 외측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끼움관을 관통하는 다수의 노출핀들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 몸체부는,
    제 1두께를 이루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두께를 이루는 내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두께는, 상기 제 2두께보다 일정 두께 더 두텁게 형성되고,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의 내부에는,
    와이어가 내설되되,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에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와이어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설치홈은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외주에는 일정 두께를 이루는 내열성 코팅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냉각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냉각 코일은, 전류 제공기로부터 일정의 전류를 제공 받아 일정의 냉각 온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내주에는 온도 측정 프로브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온도 측정 프로브의 타단은 상기 외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측정 프로브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되는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온도에 이르도록 상기 전류를 상기 냉각 코일로 전송하여 상기 내관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내관의 내주 및 외주에는 웨이브 형상의 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내관의 외주와 상기 외관의 내주의 사이에는,
    격자 형상의 스페이서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탄성을 이루되,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3. 삭제
KR1020200111705A 2020-09-02 2020-09-02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10223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705A KR102230656B1 (ko) 2020-09-02 2020-09-02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705A KR102230656B1 (ko) 2020-09-02 2020-09-02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656B1 true KR102230656B1 (ko) 2021-03-22

Family

ID=7522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705A KR102230656B1 (ko) 2020-09-02 2020-09-02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6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540A (ja) * 2001-12-04 2003-06-20 Hisao Maruyama 空調用ダクト
JP2009139049A (ja) * 2007-12-10 2009-06-25 Panasonic Corp 同時給排形換気扇
KR20090095401A (ko) * 2008-03-05 2009-09-09 브이에스텍 주식회사 환경친화형 공조 덕트의 연결장치
KR101553714B1 (ko) 2013-03-25 2015-09-17 (주)하이플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20200038359A (ko) * 2018-10-02 2020-04-13 하경도 공기조화용 천정형 공조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540A (ja) * 2001-12-04 2003-06-20 Hisao Maruyama 空調用ダクト
JP2009139049A (ja) * 2007-12-10 2009-06-25 Panasonic Corp 同時給排形換気扇
KR20090095401A (ko) * 2008-03-05 2009-09-09 브이에스텍 주식회사 환경친화형 공조 덕트의 연결장치
KR101553714B1 (ko) 2013-03-25 2015-09-17 (주)하이플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20200038359A (ko) * 2018-10-02 2020-04-13 하경도 공기조화용 천정형 공조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21406B1 (pt) sistema e método para vedar, em um conduto, um espaço entre uma parede interna do conduto e pelo menos um tubo ou cabo que se estende através do conduto
KR102230656B1 (ko) 공조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101264588B1 (ko) 배관용 히터 및 그 제작방법
KR102246594B1 (ko) 공조 배관용 플랙시블 덕트를 갖는 분배기
US20190247685A1 (en) Fireproof cover utilizing thermal insulation layers
US5575312A (en) Fire retarding heating and cooling duct
JP5209253B2 (ja) 中空壁における延焼防止構造
KR101562238B1 (ko) 절개형 히터 자켓 및 절개형 히터 자켓 제조방법
KR200350115Y1 (ko)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CN209762473U (zh) 一种软管
US20050092384A1 (en) Semi-flexible air duct
JP4712773B2 (ja) 高断熱型ツインチューブ
KR102137591B1 (ko) 배관용 히터
KR100698473B1 (ko) 건축물용 합성수지재 방수전선관
WO2016206544A1 (zh) 热交换装置
KR20220130571A (ko) 소방시설 동파방지용 스마트 면상발열체 시스템
CN216905712U (zh) 软连接管路及空气处理机组
JPH09178081A (ja) 断熱複合管
KR200495390Y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IT201900015587A1 (it) Tubo per una rete di distribuzione di un fluido termoconvettore, in particolare per impianti idrotermosanitari, impianto comprendente tale tubo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tale tubo
US20140272212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duct boot insulation cover
TW202040039A (zh) 絕緣軟管配置
KR20100003770U (ko) 장방형 환기덕트의 단부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링
JP3177294U (ja) 熱防護被覆送風ダクト
EP3737892B1 (en) Hydraulic connection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