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115Y1 -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 Google Patents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0115Y1 KR200350115Y1 KR20-2004-0002827U KR20040002827U KR200350115Y1 KR 200350115 Y1 KR200350115 Y1 KR 200350115Y1 KR 20040002827 U KR20040002827 U KR 20040002827U KR 200350115 Y1 KR200350115 Y1 KR 2003501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hole
- tube
- wir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패널로 축조된 건물에 설치되는 벽 또는 천정에 천공된 전기배선용 관통공에 삽결되어 화재발생시 도선을 따라 벽으로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전기배선용 관통공의 내경에 삽입밀착되고, 소정 크기의 내경이 형성되며 난연재로 된 차폐관과; 차폐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배치되어 벽면으로부터의 차폐관 이탈을 방지하며, 소정 크기의 통공이 전기배선용 관통공의 중심선에 일치되게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의 통공으로 삽입되어 차폐관의 내측으로 도선안내로를 형성하고, 고정판의 통공 외측에 간섭되도록 통공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절연재와 난연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도선안내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선에 불이 붙었을 경우 이 도선에 발생한 불꽃이 벽이나 천정 등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화재발생 후 화재의 전이속도를 최대한 지연 및 차폐시켜 화재로 인한 인적손해 및 물질적 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패널로 축조된 건물에 설치되는 벽 또는 천정에 천공된 전기배선용 관통공에 삽결되어 화재발생시 도선을 따라 벽으로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선에 불이 붙었을 경우 이 도선으로부터 발생한 불꽃이 벽이나 천정 등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화원을 차단함으로써 화재발생 후 화재의 전이속도를 최대한 지연 및 차폐시켜 화재로 인한 인적손해 및 물질적 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벽체나 천정을 통해서 각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곳까지 배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설계 당시부터 내부구조에 따라 벽체 및 각각 필요한 위치에 따라 콘센트 및 배선 통로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건물은 벽체가 대부분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져 있어 도선에 불이 붙더라도 벽으로는 불이 옮겨 붙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실내에 각종 인테리어 공사가 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선에 불이 붙으면 인접한 벽지에 불이 옮겨 붙어 순식간에 불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경우에는 외측면은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측에는 방음 및 방온을 위해 스치로폼 등의 친화성 재질이 사용되기 때문에 도선에 불이 붙으면 패널로 순식간에 불이 전이되어 불을 쉽게 진화하기 어려운 상태로 이르게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아울러, 도선이 벽이나 천정을 뚫고 배선될 경우에는 불붙은 도선은 벽을 태우고 화재가 발생된 벽의 반대편까지 불을 전이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급격하고도 넓은 지역으로 화재를 전이시켜 막대한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적 피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화재로 인해 도선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에서도 전기가 통하고 있는 상태라면, 패널의 철판도 도통된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감전사고로 확산될 우려도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립식 건축물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면 최대한 짧은 시간내에 신속하게 진화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화재가 발생하면 발생지로부터 불이 옮겨가는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이 인명의 피해는 물론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관건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발생 후, 화원의 차폐 및 전이지연은 피해를 최소화 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누전 등에 의해 도선에 불이 붙더라도 이 불이 인접한 벽이나 벽의 반대편으로 전이되는 현상을 지연 및 차폐시켜 인적 손실 및 물적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결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 제1실시예 고정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c는 본 고안 제1실시예가 벽면(조립식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결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 제2실시예 고정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고안 제2실시예가 벽면(조립식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고정판이 사용처에 따라 절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a : 조립식 패널(벽, 벽면) 101b : 천정
101c : 철판 102 : 전기배선용 관통공
103 : 차폐관 104 : 고정판
105 : 통공 106 : 플랜지
107 : 도선안내구 108 : 스치로폼
상기한 목적은, 조립식 패널로 축조된 건물에 설치되는 벽(101a) 또는천정(101b)에 천공된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삽결되어 화재발생시 도선을 따라 벽(101a)으로 불이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삽입밀착되고, 소정 크기의 내경이 형성되며 난연재로 된 차폐관(103)과; 상기 차폐관(103)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배치되어 벽면(101a)으로부터의 차폐관(103) 이탈을 방지하며, 소정 크기의 통공(105)이 형성된 고정판(104)과; 상기 고정판(104)의 통공(105)으로 삽입되며, 고정판(104)의 통공(105) 외측에 간섭되도록 통공(105)측에 플랜지(106)가 형성된 관형태의 도선안내구(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선안내구(107)는 절연재와 난연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차폐관(103)과 차폐관(103)의 내경에 삽입된 도선안내구(107)를 전기배선 관통공(102)의 양단에서 삽입하여 도선안내구(107)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암수결합(108a)(108b)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선을 하기 위해서는 벽면(조립식 패널)(101a) 또는 천정(101b)에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을 천공하고 도선(전기선)을 배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도선보호관은, 상기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결합되는 것으로,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안내구(107)에 외감된 차폐관(103)을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삽입시키는 바, 상기 차폐관(103)은 유리섬유, 석면, 난연 우레탄폼 등의 난연재 및 불연재를 사용하도록 하여 화재발생시 벽면(조립식 패널)(101a) 내측에 설치된 스치로폼(108) 등의 친화성 물질에 쉽게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조립식 패널이 실내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스치로폼을 내장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차폐관(103)은 보온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전기로부터의 절연성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관(103)의 내경에 삽입된 도선안내구(107), 또는, 도선안내구(107)에 외감된 차폐관(103)을 벽체(101a)의 전기배선 관통공(102)에 삽입할 때에는 전기배선 관통공(102)의 양단에서 마주보게 삽입하여 도선안내구(107)의 일단과 타단이 암수결합(108a)(108b)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도선안내구(107) 일단의 외경은 다른 하나의 도선안내구(107)의 내경보다 크게 확경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암수결합(108a)(108b)되도록 하여 간단한 조립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선안내구(107)는 변압기, 차단기 등에 사용되는 애관(碍管) 또는, 주름이 있는 자기(瓷器) 또는 내열플라스틱관 타입의 내부절연재 및 세라믹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열플라스틱 중 하나의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고온에서 가열하면 고리화반응, 탈수소반응 등이 일어나 생성물이 생긴다. 처음에 아크릴 섬유를 쓰면 흑색 섬유로 되며, 수백 ℃에서 2,000℃ 가까이 까지의 내열성을 나타내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세라믹단열재는 무기 비금속원료를 성형한 후 높은 온도로 열처리한 고체 재료로서, 단열재로 쓰이는 세라믹스의 공통되는 특징은 아주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포들은 열의 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에 단열의 효과가 있다. 대표적인 세라믹 단열재로는 천연원료인 규조토나 펄라이트 등으로 만든 것, 유리가루에 발포제를 섞어 가열한 기포유리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선안내구(107)는 여러 차례의 배선작업 및 조립작업 등과 오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립식 패널에 내장된 스치로폼이 움직이더라도 변형없이 최초 설치상태의 관타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내구성 및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절연과 난연성을 포함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차폐관(103)의 재질에 따라 차폐관(103)의 내경에 도선안내구(107)를 삽입할 수도 있으며, 도선안내구(107)에 차폐관(103)을 외감시킬 수도 있다.
즉, 차폐관(103)이 내연 우레탄폼의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제작 편의상 도선안내구(107)의 외관에 성형될 차폐관(103)의 크기에 맞는 수지틀(도시하지 않음)을 고정시키고, 이 수지틀의 내부로 내연 우레탄폼을 발포시키면 도선안내구(107)의 외경면에 차폐관(103)이 외감되는 형태를 갖게 되고, 석면 또는 세라믹 단열재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성형된 차폐관(103)의 내경에 도선안내구(107)를 삽입하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도선안내구(107)와 차폐관(103)이 재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결합구조가 발생하므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폐관(103)의 양단으로는 고정판(104)을 배치하여 벽면(101a)에 이 고정판(104)이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04)을 벽면(101a)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면(101a)에 고정판(104)을 부착하여도 무방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또는 리벳을 이용하도 무방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판(104)을 패널(벽체)(101a)의 철판(101c)에 고정시키는 것이 작업성 및 화재의 전이성 차폐를 고려할 때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삽입된 차폐관(103)의 내경에는 도 1a, 도 1b,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갖는 관형태의 도선안내구(107)를 삽입하여(억지끼움)(차폐관(103)이 세라믹 단열재일 경우의 결합예) 도선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관(103)의 양단에 배치된 고정판(104)의 통공(105)으로 도선안내구(107)를 삽입하고, 이 도선안내구(107)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106)가 고정판(104)의 통공(105) 연부에 간섭되어 도선안내구(107)가 차폐관(103)의 내경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관(103)의 양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도선안내구(107)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의 외경보다 확경된 내경을 갖도록 하여 암수결합(108a,108b)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은 도 2a, 도 2b,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101b)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로서, 천정(101b)에 천공된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차폐관(103)을 삽입시킨 후, 천정(101b) 바닥면에 고정판(104)과 도선안내구(107)를 고정시키거나, 도선안내구(107)와 고정판(104)이 삽입된 차폐관(103)을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폐관(103)을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에 먼저 삽입한 후, 고정판(104)의 통공(105)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안내구(107)를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억지끼움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이들의 결합순서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벽면(101a)이나 천정(101b)에 결합된 도선안내구(107)의 내부로 도선을 통과시켜 배선작업을 수행하면 되며, 도선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도선에서 발생하는 불꽃은 세라믹 등과 같은 불연성재질로 된 도선안내구(107)에 의해 일차적인 차폐효과에 의해 화재의 전이가 지연되며, 아울러, 차폐관(103)에 의해 화재로 인한 열 및 불꽃이 패널(벽면)(101a) 내측에 삽입된 스치로폼(108) 등의 친화성 물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전이속도가 지연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b,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4)의 형상 차폐관(103)이 벽체(101a) 및 천정(101b)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추면 되는 것으로 모양은 원형이든 다각형이든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a와 같이 고정판(104)에 형성된 통공(105)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배선작업시 천공된 전기배선용 관통공(102)이 구석이나 귀퉁이에 형성될 경우를 감안한 것으로 본 고안이 청구하는 청구범위 내에서는 이러한 응용범위도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선이 누전 등 의해 불이 붙게 되더라도 도선이 화재를 전이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하여 화재의 전이속도를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써, 신속한 진화작업에 의해 인면의 피해는 물론 물질적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 조립식 패널로 축조된 건물에 설치되는 벽 또는 천정에 천공된 전기배선용 관통공에 삽결되어 화재발생시 도선을 따라 벽으로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에 있어서,상기 전기배선용 관통공의 내경에 삽입밀착되고, 소정 크기의 내경이 형성되며 난연재로 된 차폐관과;상기 차폐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배치되어 벽면으로부터의 차폐관 이탈을 방지하며, 소정 크기의 통공이 전기배선용 관통공의 중심선에 일치되게 형성된 고정판과;상기 차폐판고정판의 통공으로 삽입되어 차폐관의 내측으로 도선안내로를 형성하고, 고정판의 통공 외측에 간섭되도록 통공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도선안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도선안내구는 절연재와 난연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 특징으로 하는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차폐관과 차폐관의 내경에 삽입된 도선안내구를 전기배선 관통공의 양단에서 삽입하여 도선안내구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암수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2827U KR200350115Y1 (ko) | 2004-02-05 | 2004-02-05 |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2827U KR200350115Y1 (ko) | 2004-02-05 | 2004-02-05 |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0115Y1 true KR200350115Y1 (ko) | 2004-05-10 |
Family
ID=4934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2827U KR200350115Y1 (ko) | 2004-02-05 | 2004-02-05 |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0115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661B1 (ko) | 2006-04-04 | 2006-07-10 |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지중배선의 방연실구조 |
KR101040336B1 (ko) | 2011-03-04 | 2011-06-10 | (주)케이아이기술단 |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
KR101230713B1 (ko) | 2011-09-08 | 2013-02-07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
CN108729599A (zh) * | 2018-05-07 | 2018-11-02 | 天津生态城公屋建设有限公司 | 一种被动式超低能耗建筑外遮阳安装用防水密封构造 |
KR20190024049A (ko) * | 2017-08-31 | 2019-03-08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설비라인의 화재 차단용 패싱박스 |
-
2004
- 2004-02-05 KR KR20-2004-0002827U patent/KR2003501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661B1 (ko) | 2006-04-04 | 2006-07-10 |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지중배선의 방연실구조 |
KR101040336B1 (ko) | 2011-03-04 | 2011-06-10 | (주)케이아이기술단 |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
KR101230713B1 (ko) | 2011-09-08 | 2013-02-07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
KR20190024049A (ko) * | 2017-08-31 | 2019-03-08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설비라인의 화재 차단용 패싱박스 |
KR102005023B1 (ko) * | 2017-08-31 | 2019-07-29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설비라인의 화재 차단용 패싱박스 |
CN108729599A (zh) * | 2018-05-07 | 2018-11-02 | 天津生态城公屋建设有限公司 | 一种被动式超低能耗建筑外遮阳安装用防水密封构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01851B2 (ja) | スリーブ形成シート及び貫通部構造の形成方法 | |
US8042316B2 (en) | Fireproof door | |
US20070206374A1 (en) | Fire Rated Recessed Lighting Assembly | |
JP5846945B2 (ja) | 防火構造体、および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 | |
JP5301850B2 (ja) | スリーブ形成シート及び貫通部構造の形成方法 | |
KR200350115Y1 (ko) |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 |
KR102239032B1 (ko) |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 |
JP4907499B2 (ja) |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 |
JP5462478B2 (ja) |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 | |
JP2010139056A (ja) |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 |
KR20090008933A (ko) | 방화문 | |
JP6762146B2 (ja) | 防火措置具 | |
KR20180124620A (ko) | 방화자켓 | |
KR102089940B1 (ko) |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 |
KR102073509B1 (ko) |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 |
JP4927797B2 (ja) | 配線ボックス用耐火処理部材 | |
JP2009055697A (ja) | 中空壁における延焼防止構造 | |
KR101938732B1 (ko) |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 |
KR101114558B1 (ko) | 내화형 디지털 도어락 | |
KR101805156B1 (ko) | 부스덕트 | |
EP3280018B1 (en) | Electrical installation box with insert of fire retardant material | |
CN211266362U (zh) | 用于装配式冷库顶部的穿线结构 | |
JP4804338B2 (ja) | 耐火壁へのボックス類の配設構造及び耐火材 | |
CN219476346U (zh) | 一种铠装阻燃防火电缆 | |
KR101775647B1 (ko) | 차열 방화셔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