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336B1 -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336B1
KR101040336B1 KR1020110019282A KR20110019282A KR101040336B1 KR 101040336 B1 KR101040336 B1 KR 101040336B1 KR 1020110019282 A KR1020110019282 A KR 1020110019282A KR 20110019282 A KR20110019282 A KR 20110019282A KR 101040336 B1 KR101040336 B1 KR 10104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ing
electric wire
wires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상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기술단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기술단
Priority to KR102011001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1)에 매설되되, 내주면에 나사부(11a)가 형성된 말단부가 배전함(2)의 수용부로 노출되고, 내측으로 전선(L1,L2)이 삽입되는 매립관부(11)와; 둘레면에 나사부(12a-1)를 갖추고서, 매립관부(11)의 나사부(11a)에 체결되는 전선인입부(12a)와, 전선인입부(12a)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12b)와, 만곡부(12b)의 말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선인출부(12c)로 구성된 전선안내관부(12)를 갖춘 배선관체(10)와: 전선안내관부(12)의 만곡부(12b)에 수용되어 전선안내관부(12)의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L1,L2)을 매설하는 차폐재(20)와; 반원형상을 이루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클램프(31-1)와, 한 쌍의 고정클램프(31-1)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31-2)을 갖추고서, 배선관체(10)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선관체(10)를 통해 흐르는 전류 및 배선관체(10) 내의 전선(L1,L2)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수단(31)과; 전류감지수단(31)으로부터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선관체(10)와 전선(L1,L2) 간의 간섭으로 인한 누전으로 판단하여 램프(33)를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32)과; 제어유닛(3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누전상태를 외부에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램프(33)를 갖춘 클램프메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선안내관부의 내부에 차폐재를 충진하고 차폐재에 의해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의 일부가 매설되도록 하므로서, 과전류 또는 노후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어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의 피복을 타고 불길이 번지더라도 내부에 충진된 차폐재에 의해 불길이 저지되기 때문에,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이 화재에 의해 완전히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Insulation Tube For Wiring Guide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변전소에서 상용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선은 통상 아파트의 각 가정으로 전원을 분기시키는 분전반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 단순히 전력선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분전반까지 연장하고, 그 파이프의 내측으로 전력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분전반 내부에 설치된 차단기에 설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설치된 전력선이 노후로 인해 피복이 갈라지거나 탈피되어 내부에 구리선이 노출되게 되는데, 노출된 구리선이 파이프와 혼촉(접촉)할 경우 파이프를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유지보수를 위해 파이프에 접촉하고나 잡게 되면 감전과 같은 전기안전사고로 이어져 작업자의 목숨을 위협하는 바, 이러한 누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논의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전력선은 과전류 또는 노후로 인해 전력선에 화재에 휩싸이는 경우 전력선의 피복을 따라 화재가 신속하게 번져 전부 전소되기 쉽고, 전소된 전력선의 경우 재차 시공해야하므로, 비용 및 시간 과다하게 소요되며, 이로 인해 각 가정의 전력사용자는 시공기간에는 전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는 바,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선관체와 노후된 전선 간의 혼촉에 따른 누전으로 인한 전기감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차폐재가 충진된 배선관체의 내부에 전선이 삽입되어 보호되므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차폐재에 의해 전선이 전부 전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설되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말단부가 배전함의 수용부로 노출되고, 내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매립관부와;
둘레면에 나사부를 갖추고서, 매립관부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전선인입부와, 전선인입부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와, 만곡부의 말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선인출부로 구성된 전선안내관부를 갖춘 배선관체:
전선안내관부의 만곡부에 수용되어 전선안내관부의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을 매설하는 차폐재:
반원형상을 이루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클램프와, 한 쌍의 고정클램프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을 갖추고서, 배선관체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선관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 및 배선관체 내의 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수단과; 전류감지수단으로부터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선관체와 전선 간의 간섭으로 인한 누전으로 판단하여 램프를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누전상태를 외부에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램프를 갖춘 클램프메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배전관체에 설치된 클램프메타를 통해 배전관체와 노후전선 간의 혼촉으로 인한 누전 여부를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인한 전기감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선안내관부의 내부에 차폐재를 충진하고 차폐재에 의해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의 일부가 매설되도록 하므로서, 과전류 또는 노후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어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의 피복을 타고 불길이 번지더라도 내부에 충진된 차폐재에 의해 불길이 저지되기 때문에,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이 화재에 의해 전부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의 외관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에서 배선관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에서 클램프메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에서 배선관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에서 클램프메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은, 벽체(1)에 매설되되, 내주면에 나사부(11a)가 형성된 말단부가 배전함(2)의 수용부로 노출되고, 내측으로 전선(L1,L2)이 삽입되는 매립관부(11)와; 둘레면에 나사부(12a-1)를 갖추고서, 매립관부(11)의 나사부(11a)에 체결되는 전선인입부(12a)와, 전선인입부(12a)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12b)와, 만곡부(12b)의 말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선인출부(12c)로 구성된 전선안내관부(12)를 갖춘 배선관체(10)와: 전선안내관부(12)의 만곡부(12b)에 수용되어 전선안내관부(12)의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L1,L2)을 매설하는 차폐재(20)와: 배선관체(10)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선관체(10)를 따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클램프메타(3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5b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매립관부(11)는 전체적으로 벽체(1)에 매설되되, 말단부가 배전함(2)의 수용부 즉, 내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말단부의 내주면에는 전선안내관부(12)의 전선인입부(12a)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a-1)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배전함(2)의 내측에 배치되며 매립관부(11)와 상호 체결되는 전선안내관부(12)는, 둘레면에 나사부(12a-1)를 갖추고서, 매립관부(11)의 나사부(11a)에 체결되는 전선인입부(12a)와; 전선인입부(12a)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12b)와; 만곡부(12b)의 말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선인출부(12c)로 구성되며, 이를 도 3 내지 도 4b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전선인입부(12a)의 말단부에는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12b)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12b)의 내측에는 차폐재(20)가 충진된다.
상기 만곡부(12b)의 내측에 충진되는 차폐재(20)는 공지의 소화분말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차단기(4)에 연결되는 실외전선(L1) 또는 각 보조차단기(5)로부터 인출되는 실내전선(L2)이 피복의 결함 또는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시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의 피복을 타고 불길이 번지게 되는데, 이때 배선관체(10)의 전선안내관부(12)까지 불길이 인입될 경우 이를 차폐재(20)에 의해 불길이 저지되도록 하여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이 화재에 의해 완전히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배선관체(10)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선관체(10)를 따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클램프메타(30)는, 반원형상을 이루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클램프(31-1)와, 한 쌍의 고정클램프(31-1)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31-2)을 갖추고서, 배선관체(10)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선관체(10)를 통해 흐르는 전류 및 배선관체(10) 내의 전선(L1,L2)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수단(31)과; 전류감지수단(31)으로부터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선관체(10)와 전선(L1,L2) 간의 간섭으로 인한 누전으로 판단하여 램프(33)를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32)과; 제어유닛(3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누전상태를 외부에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램프(33)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기준 값은 정상상태에서의 클램프메타(30)의 측정전류 평균값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이 기준 값은 클램프메타(30) 측정값을 매개로 한 누전상태 판단를 위한 기준 값이 된다. 상기 기준 값은 작업자가 제어유닛(32)을 통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류감지수단(31)의 내부에는 통칭 CT(Current Transfomer)라 지칭되는 변류기가 내설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원형공이 형성된 원통형 철심(코아) 또는 영구자석에 전류 검출을 위한 2차측 코일을 감고 그 원형공으로는 전선을 관통시켜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자기 변환을 통해 2차측의 소전류로 변환시켜는 일종의 트랜스포머이며,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전선(L1) 또는 실외전선(L2)이 아무런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전류가 흐른다면 제어유닛(32)은 전류감지수단(31)으로부터 전달받은 측정값이 기준 값(허용범위) 내에 해당하기 때문에 램프(33)를 동작시키지 않게 된다.
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전선(L1) 또는 실외전선(L2)이 노후로 인해 피복이 벗겨져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구리선이 배선관체(10)와 접촉하게 되면서 누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전류감지수단(31)이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유닛(32)으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유닛(32)은 전류감지수단(31)으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선관체(10)와 전선(L1,L2) 간의 간섭으로 인한 누전으로 판단하여 램프(33)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램프(33)는 제어유닛(32)에 의해 점등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지보수를 위해 배전함(2)을 개방했을 때에 클램프메타(30)의 램프(33)에 점등 상태를 통하여 누전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힌지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2-1)를 갖춘 배전함(2)을 설치하고, 배전함(2)의 내부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장착판(3)을 설치하며, 장착판(3)에는 메인차단기(4)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5)를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해 준다.
특히, 상기 배전함(2)을 설치해 줄 때에 외부로 노출된 매립관부(11)의 말단부가 배전함(2)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배전함(2)을 설치한 상태에서 매립관부(11)에 내설된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을 배전함(2)으로 노출시켜 주고, 노출된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을 전선안내관부(12)에 삽입하여 관통되도록 한 다음 전선안내관부(12) 전선인입부(12a)를 매립관부(11)의 내주면을 향해 체결하여 고정한다.
특히, 상기 전선안내관부(12)를 매립관부(11)에 체결시켜 줄 때에 만곡부(12b)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해 줌으로서, 만곡부(12b)에 충진된 차폐재(20)가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작업중 실수로 만곡부(12b)에 충진된 차폐재(20)가 외부로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차폐재(20)를 재차 만곡부(12b)에 충진하여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의 외면이 매설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실외전선(L1) 및 실내전선(L2)을 설치한 상태에서 실외전선(L1)은 메인차단기(4)에 실내전선(L2)은 보조차단기(5)에 설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이 과전류 또는 노후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의 피복을 타고 불길이 번지게 되는데, 이때 배선관체(10)의 전선안내관부(12)까지 불길이 인입될 경우 만곡부(12b)의 내부에 충진된 차폐재(20)에 의해 불길이 저지되기 때문에,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이 화재에 의해 전부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도 6과 같이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외전선(L1) 또는 실내전선(L2)의 노후로 인해 피복에 금이 가거나 또는 피복이 탈피되어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된 경우 구리선과 배선관체(10) 간에 접촉으로 인해 누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배선관체(10)의 외면에 설치된 클램프메타(30)가 검출하게 된다.
검출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실내전선(L1) 또는 실외전선(L2)이 노후로 인해 피복이 벗겨져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구리선이 배선관체(10)와 접촉하게 되면서 누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전류감지수단(31)이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유닛(32)으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유닛(32)은 전류감지수단(31)으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선관체(10)와 전선(L1,L2) 간의 간섭으로 인한 누전으로 판단하여 램프(33)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램프(33)는 제어유닛(32)에 의해 점등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램프(33)의 점등 유무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벽체 2: 배전함 3: 장착판
4: 메인차단기 5: 보조차단기 10: 배선관체
11: 매립관부 11a.12a-1: 나사부 12: 전선안내관부
12a: 전선인입부 12b: 만곡부 12c: 전선인출부
20: 차폐재 30: 클램프메타 31: 전류감지수단
32: 제어유닛 33: 램프 L1: 실외전선
L2: 실내전선

Claims (1)

  1. 벽체(1)에 매설되되, 내주면에 나사부(11a)가 형성된 말단부가 배전함(2)의 수용부로 노출되고, 내측으로 전선(L1,L2)이 삽입되는 매립관부(11)와;
    둘레면에 나사부(12a-1)를 갖추고서, 매립관부(11)의 나사부(11a)에 체결되는 전선인입부(12a)와, 전선인입부(12a)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12b)와, 만곡부(12b)의 말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선인출부(12c)로 구성된 전선안내관부(12)를 갖춘 배선관체(10):
    전선안내관부(12)의 만곡부(12b)에 수용되어 전선안내관부(12)의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L1,L2)을 매설하는 차폐재(20):
    반원형상을 이루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클램프(31-1)와, 한 쌍의 고정클램프(31-1)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31-2)을 갖추고서, 배선관체(10)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선관체(10)를 통해 흐르는 전류 및 배선관체(10) 내의 전선(L1,L2)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수단(31)과; 전류감지수단(31)으로부터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준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선관체(10)와 전선(L1,L2) 간의 간섭으로 인한 누전으로 판단하여 램프(33)를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32)과; 제어유닛(3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누전상태를 외부에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램프(33)를 갖춘 클램프메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KR1020110019282A 2011-03-04 2011-03-04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KR10104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82A KR101040336B1 (ko) 2011-03-04 2011-03-04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82A KR101040336B1 (ko) 2011-03-04 2011-03-04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336B1 true KR101040336B1 (ko) 2011-06-10

Family

ID=4440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282A KR101040336B1 (ko) 2011-03-04 2011-03-04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548B1 (ko) * 2021-03-03 2021-12-2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감전방지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363667B1 (ko) * 2021-03-03 2022-02-16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배전반 안전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115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350115Y1 (ko) 2004-02-05 2004-05-10 라대일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JP2007315007A (ja) 2006-05-25 2007-12-06 Sekisui Chem Co Ltd 防火措置構造
KR101022752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의 외부인입전선 보호용 절연함
KR101022750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용 전선의 배선안내 절연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115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350115Y1 (ko) 2004-02-05 2004-05-10 라대일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JP2007315007A (ja) 2006-05-25 2007-12-06 Sekisui Chem Co Ltd 防火措置構造
KR101022752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의 외부인입전선 보호용 절연함
KR101022750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용 전선의 배선안내 절연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548B1 (ko) * 2021-03-03 2021-12-2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감전방지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363667B1 (ko) * 2021-03-03 2022-02-16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배전반 안전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348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KR101022752B1 (ko) 공동주택의 외부인입전선 보호용 절연함
KR101262797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131877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1331179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한 고정브래킷
KR101022750B1 (ko) 공동주택용 전선의 배선안내 절연관
KR101040336B1 (ko)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US10109992B2 (en) Methods for installing a riser glove onto cables extending form a riser conduit
CN103050240B (zh) 一种变压器套管末屏信号引出装置
KR102363667B1 (ko) 공동주택 배전반 안전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200443114Y1 (ko) 퓨즈내장형 계기용 변압기
US7923640B2 (en) High current cable
KR101506886B1 (ko) 코일전극을 이용한 방전 및 침수 감전방지 장치
KR102068785B1 (ko)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커넥터
CN216771816U (zh) 智能三相过线管
JP2013246994A (ja) 回路遮断器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KR101219138B1 (ko)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의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1175738B1 (ko) 애자의 누설전류 검출장치
CN209608023U (zh) 兼有检测接地线通道功能的漏电保护插头
KR101506887B1 (ko) 원통형 전극타입의 방전 에너지 방지 및 침수 감전 방지 장치
CN2906958Y (zh) 10kv电缆、配电变压器接地铜环
CN110176743A (zh) 带测温功能的电缆接头的绝缘堵头
US201503253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al ground-faults in residential electical wir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