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307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307A
KR20130094307A KR1020137004260A KR20137004260A KR20130094307A KR 20130094307 A KR20130094307 A KR 20130094307A KR 1020137004260 A KR1020137004260 A KR 1020137004260A KR 20137004260 A KR20137004260 A KR 20137004260A KR 20130094307 A KR20130094307 A KR 2013009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ight
light
irradiated
laser
det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06F3/042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using sweeping light beams, e.g. using rotating or vibrating mirr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이 프로젝터(100)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61a, 62a, 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64a)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광 발생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레이저광 발생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85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8569호 공보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레이저광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레이저광 발생부)와, 적외선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레이저광 발생부)와, 회전 가능한 MEMS 미러와, 적외선 레이저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레이저 주사형 프로젝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레이저 주사형 프로젝터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레이저광을 MEMS 미러의 메인 미러부에 의해 반사시킴과 함께, MEMS 미러의 회전에 의해 주사시킴으로써, 벽면 등에 화상을 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레이저 주사형 프로젝터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레이저광은, 빔 스플리터, MEMS 미러의 제1 미러 프레임 및 반사 미러를 통하여 벽면 위의 근방(벽면에서 1mm 위)을 벽면의 표면을 따라 조사(照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적외선 레이저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외선 레이저광은, MEMS 미러의 회전에 의해, 벽면 위를 수평으로 주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벽면 위를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은 경우에,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손가락과 포토다이오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가락과 포토다이오드 사이의 거리와,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검출된 시점에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화상의 수평면 내의 좌표에 기초하여, 손가락이 닿은 벽면 위의 좌표가 구해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아이콘 등을 투영한 경우, 손가락이 닿은 벽면 위의 좌표에 기초하여, 손가락이 아이콘에 닿은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856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8569호 공보에 기재된 레이저 주사형 프로젝터에서는, 투영된 화상 중 사용자의 손가락(검출 대상물)을 검지하기 위한 적외선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경로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경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이 화상을 투영하는 영역에 적외선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위해 반사 미러 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구성이 복잡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프로젝터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와,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동기하여 주사되고,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비가시광을 조사하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와,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주사시킴으로써, 임의의 투영 영역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를 구비하고,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일 국면에 따른 프로젝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이 화상을 투영하는 영역에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므로, 가시광의 레이저광이 화상을 투영하는 영역에 비가시광을 조사하기 위한 반사 미러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만큼,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동기하여 주사되고,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비가시광을 조사하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면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검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가시광의 레이저광 및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투영부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투영부에 의해 화상을 투영 영역에 투영할 수 있다.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은, 동일한 주사 경로를 주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검출 대상물에 의해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반사된 시점에서의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경로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검지하기 위한 광 검출기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검출 대상물의 색이 검정인 경우에도,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광 검출기에 의해 검지할 수 있으므로, 광 검출기의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검지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광 검출기가 검지한 시점에서의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검출 대상물과 광 검출기 사이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와 달리, 프로젝터가 원래 갖는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연산(산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광 검출기가 검지한 시점에서의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는 좌표를 검출 대상물의 좌표로서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프로젝터가 원래 갖는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좌표(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 대상물의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연산(산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광 검출기는, 제1 광 검출기와,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가 제1 광 검출기보다도 높은 제2 광 검출기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비가시광의 강도와,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비가시광의 강도와의 차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검출 대상물의 평면 위의 위치 외에,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도 검출되므로, 검출 대상물의 3차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주사시킴으로써, 투영 영역에 아이콘에 대응하는 화상을 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는, 제1 광 검출기 및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아이콘을 드래그하는 동작과, 아이콘으로부터 검출 대상물이 떨어지는 동작을 판별함과 함께,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별한 경우에, 아이콘을 드래그함과 함께 검출 대상물의 이동에 연동하여 아이콘을 이동하는 영상을 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하는 투영 영역 위의 동작 외에, 아이콘을 드래그하도록 하는 투영 영역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높이 위치에서의 동작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 가능한 동작의 종류를 많게 할 수 있다.
상기 투영 영역에 아이콘에 대응하는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1 광 검출기 및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후,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가 소정의 높이 미만인 경우에는,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검출 대상물의 동작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아이콘을 드래그한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단한 후, 제1 광 검출기 및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롭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검출 대상물의 동작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아이콘을 드롭한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상기 투영 영역에 아이콘에 대응하는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1 광 검출기 및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후,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검출 대상물이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에서 떨어졌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검출 대상물의 동작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아이콘에서 떨어진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상기 광 검출기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검출 대상물은, 사람의 손가락이며, 광 검출기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로서의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사람의 손가락이 투영 영역에 닿아 있는 경우에, 사람의 손가락이 닿아 있는 투영 영역 위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는,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레이저광 발생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에 의해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투영 영역에 검정의 화상이 표시된 경우에도,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므로,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는,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광 발생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투영 영역에 컬러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광 발생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동일 광축 상에서 합성됨으로써,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투영 영역에 컬러의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에 의해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투영 영역에 검정의 화상이 표시된 경우에도,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므로,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합성되는 점을 기준점으로 한 경우에, 기준점에 대한 하류측에서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함과 함께,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대략 일치하는 광축의 연장선상의 기준점에 대한 상류측에 제2 레이저광 발생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에 대해서는, 광축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변화시키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광축을 변화시키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만큼, 프로젝터의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광 발생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을 반사시킴과 함께,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광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이 복수의 광학 부재의 각각에 의해 반사됨과 함께,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복수의 광학 부재를 투과함으로써,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게 구성하면,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복수의 광학 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광 발생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광량은, 투영되는 화상에 따라서 변화함과 함께,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광량은, 대략 일정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시광의 광량이 변화함으로써 농담을 갖는 화상을 투영할 수 있음과 함께, 적외선의 광량이 대략 일정함으로써,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투영부에 조사되는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투영부는, 임의의 투영 영역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주사함으로써 화상을 투영하는 진동 미러를 포함하고,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가시광의 레이저광 및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진동 미러에 조사되어 주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진동 미러에 의해 화상을 투영 영역에 투영할 수 있다.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젝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투영 영역에 화상을 투영하는 스플리터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투영 영역 중 하나의 투영 영역에 투영된 투영 화상을 사용자가 조작용으로서 사용함과 함께, 복수의 투영 영역 중 다른 투영 영역에 투영된 투영 화상을 프리젠테이션용(표시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는 검출 대상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검출 대상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드래그 및 드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드래그 및 드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아이콘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 위에 배치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100)는, 스크린(2) 등의 투영 영역을 향해서 프리젠테이션용(표시용)의 화상(2a)이 투영(2D 표시(평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 및 스크린(2)은, 본 발명의 「투영 영역」의 일례이다. 또한, 프로젝터(100)는, 테이블(1) 등의 투영 영역의 상면에 대하여, 프리젠테이션용의 화상(2a)과 마찬가지의 화상(1a)이 투영(2D 표시(평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 위에 투영되는 화상(1a)의 크기는, 스크린(2)에 투영되는 화상(2a)의 크기보다도 작아지도록 투영된다. 또한, 프로젝터(100)의 화상(1a)이 투영되는 측의 측면에는, 적외선의 레이저광(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검출하기 위한 2개의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외선 검출기(10b)의 테이블(1)의 표면 위로부터의 높이가, 적외선 검출기(10a)의 테이블(1)의 표면 위로부터의 높이보다도 커지도록 적외선 검출기(10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적외선 검출기(10a)는, 본 발명의 「제1 광 검출기」일례이며, 적외선 검출기(10b)는, 본 발명의 「제2 광 검출기」의 일례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100)는, 조작 패널(20)과, 제어 처리 블록(30)과, 데이터 처리 블록(40)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50)와, 레이저 광원(60)과, 비디오 RAM(SD RAM)(71)과, 빔 스플리터(80)와, 2개의 확대 렌즈(90 및 91)를 포함한다. 또한, 빔 스플리터(80)는, 본 발명의 「스플리터 부재」의 일례이다.
제어 처리 블록(30)은, 프로젝터(1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31)와 외부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F)인 비디오 I/F(32)와, SD-RAM(33)과, 외부 I/F(34)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블록(40)은, 데이터/계조 변환기(41)와, 비트 데이터 변환기(42)와, 타이밍 컨트롤러(43)와, 데이터 컨트롤러(44)를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50)는, 미러 서보 블록(51)과, 변환기(5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광원(60)은, 적색 레이저 제어 회로(61)와, 녹색 레이저 제어 회로(62)와, 청색 레이저 제어 회로(63)와, 적외선 레이저 제어 회로(6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적색 레이저 제어 회로(61)와, 녹색 레이저 제어 회로(62)와, 청색 레이저 제어 회로(63)와, 적외선 레이저 제어 회로(64)에는, 각각, 적색의 레이저광(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적색 LD(레이저 다이오드)(61a)와, 녹색의 레이저광(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녹색 LD(62a)와, 청색의 레이저광(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청색 LD(63a)와,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LD(64a)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색 LD(61a)와, 녹색 LD(62a)와, 청색 LD(63a)와, 적외선 LD(64a)가 각각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MEMS 미러(69a)에 입사할 때의 광축은,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와, 적외선 LD(64a)와는 동기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이 주사됨으로써, 테이블(1) 및 스크린(2)에 각각 화상(1a 및 2a)이 투영된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레이저광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은, 동일 광축 상에서 합성됨으로써,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동일한 주사 경로를 주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테이블(1) 위의 위치(좌표)와,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위치(좌표)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고, 사용자(사람)의 손가락 등의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의 광량은, 투영되는 화상에 따라서 변화하는 한편,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량은, 대략 일정하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는, 본 발명의 「제1 레이저광 발생부」의 일례이며, 적외선 LD(64a)는, 본 발명의 「제2 레이저광 발생부」의 일례이다.
또한, 레이저 광원(60)은, 4개의 콜리메이트 렌즈(65)와, 3개의 편광 빔 스플리터(66a, 66b 및 66c)와, 광 검출기(67)와, 렌즈(68)와, 레이저광을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기 위한 MEMS 미러(69a)와, 레이저광을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기 위한 MEMS 미러(69b)와, MEMS 미러(69a) 및 MEMS 미러(69b)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7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MEMS 미러(69a 및 69b)는, 본 발명의 「투영부」및 「진동 미러」의 일례이다. 또한, 편광 빔 스플리터(66a, 66b 및 66c)는, 본 발명의「광학 부재」의 일례이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은, 3개의 편광 빔 스플리터(66a, 66b 및 66c)의 각각에 의해 약 90도 방향을 바꾸어 반사함과 함께,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은, 3개의 편광 빔 스플리터(66a, 66b 및 66c)를 투과함으로써,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합성되는 점(편광 빔 스플리터(66c)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한 경우에는, 기준점에 대한 하류측(편광 빔 스플리터(66c)의 MEMS 미러(69a 및 69b)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서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외선 LD(64a)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대략 일치하는 광축의 연장선상의 기준점에 대한 상류측(편광 빔 스플리터(66c)의 MEMS 미러(69a 및 69b)가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20)은, 프로젝터(100)의 케이스의 표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20)은, 예를 들면, 조작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도시 생략)나, 프로젝터(10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조작 패널(20)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면, 조작 내용에 따른 신호를 제어 처리 블록(30)의 제어부(3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100)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외부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I/F(32)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I/F(34)는, 예를 들면, SD 카드(92) 등의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31)는, SD 카드(9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는 비디오 RAM(71)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31)는, 데이터 처리 블록(40)의 타이밍 컨트롤러(43)와 서로 통신함으로써, 비디오 RAM(71)에 일시적으로 보유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블록(40)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43)는, 제어부(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컨트롤러(44)를 통해 비디오 RAM(71)에 보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컨트롤러(44)는, 판독한 데이터를 비트 데이터 변환기(4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트 데이터 변환기(42)는, 타이밍 컨트롤러(4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데이터/계조 변환기(4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트 데이터 변환기(42)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레이저광에 의해 투영 가능한 형식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43)는, 적외선 레이저 제어 회로(64)에 접속되어 있으며,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에 동기하여, 적외선 LD(64a)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적외선 레이저 제어 회로(64)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계조 변환기(41)는, 비트 데이터 변환기(4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적색(R: Red), 녹색(G: Green) 및 청색(B: Blue)의 3색 계조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데이터를 적색 레이저 제어 회로(61)와, 녹색 레이저 제어 회로(62)와, 청색 레이저 제어 회로(63)에 각각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색 레이저 제어 회로(61)는, 데이터/계조 변환기(41)로부터의 데이터를 적색 LD(61a)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녹색 레이저 제어 회로(62)는, 데이터/계조 변환기(41)로부터의 데이터를 녹색 LD(62a)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청색 레이저 제어 회로(63)는, 데이터/계조 변환기(41)로부터의 데이터를 청색 LD(63a)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100)의 화상(1a)이 투영되는 측의 측면에 설치되는 2개의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는, 각각, 가산기(11)와 감산기(12)가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11)는, 적외선 검출기(10a)가 검출한 광의 강도와 적외선 검출기(10b)가 검출한 광의 강도를 가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감산기(12)는, 적외선 검출기(10a)가 검출한 광의 강도와 적외선 검출기(10b)가 검출한 광의 강도를 감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가산기(11) 및 감산기(1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변환기(52)를 통해, 제어부(31)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1)는,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가 검출하는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 차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31)는,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가 검출하는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아이콘을 드래그하는 동작과, 아이콘으로부터 검출 대상물이 떨어지는 동작을 판별하여,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별한 후, 아이콘을 드래그함과 함께 검출 대상물의 이동에 연동하여 아이콘을 이동하는 영상을 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프로젝터(100)가 검출 대상물을 검출할 때의 제어부(3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도 2 참조)로부터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이 조사됨과 함께, 레이저광이 주사됨으로써, 테이블(1) 및 스크린(2) 위에 각각 화상(1a 및 2a)이 투영된다. 예를 들면, 테이블(1) 및 스크린(2) 위에는, 아이콘 등의 화상이 투영되어 있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에 동기하여, 적외선 LD(64a)로부터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조사됨과 함께, 레이저광이 주사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에서,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의 동작이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 S1에서,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가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주사하고 있는 화상(1a)의 좌표(테이블(1)의 좌표)를,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 위의 좌표로서 판단한다. 또한, 검출 대상물이 사용자의 손가락인 경우에는, 손가락의 손톱으로부터의 반사광의 세기가, 손가락의 피부로부터의 반사광의 세기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가 각각 검출하는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를 가산기(11)(도 2 참조)에 의해 가산하여, 가산된 반사광의 강도가 가장 큰 시점(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된 시점)의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화상(1a)의 좌표를,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 위의 좌표로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아 있는 화상의 부분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된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 차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가 산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의 표면에 닿아 있는 경우에서는, 적외선 검출기(10a)가 검출하는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는, 적외선 검출기(10a)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적외선 검출기(10b)가 검출하는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보다도, 검출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만큼 커진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는, 적외선 검출기(10b)가 검출하는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는, 적외선 검출기(10b)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적외선 검출기(10a)가 검출하는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보다도, 검출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만큼 커진다. 이와 같이,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다름으로써,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가 검출하는 반사광의 강도가 각각 다르므로,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가 검출하는 반사광의 강도의 차분의 크기에 의해,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텝 S4로 진행하여,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에 닿은 것인지의 여부(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0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스텝 S4에서,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에 닿아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즉,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에 닿을 때까지, 스텝 S1 내지 스텝 S4의 동작이 반복된다. 스텝 S4에서,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에 닿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하여,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0인 상태 그대로, 테이블(1)의 표면 위를 이동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 위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대상물의 이동에 연동하여 포인터를 이동하는 영상을 테이블(1) 및 스크린(2)에 투영한다. 그 후,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5에서,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로 진행하여,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것인지의 여부(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0보다도 큰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 위의 좌표는, 아이콘의 화상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텝 S7에서,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8에서,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소정의 거리 미만(도 8의 상태 A 참조)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하여,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을 드래그하는 영상이 테이블(1)(스크린(2))에 투영된다. 그 후, 검출 대상물의 이동(도 8의 상태 B)에 연동하여, 아이콘의 화상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10에서,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에 닿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1에서, 아이콘을 드롭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아이콘을 드롭하는 영상이 테이블(1)(스크린(2))에 투영된다. 그 후,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8에서, 검출 대상물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상(도 10 참조)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에 투영되는 아이콘에서 떨어졌다고 판단된다. 그 후,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이 화상을 투영하는 영역에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므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이 화상을 투영하는 영역에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조사되기 위한 반사 미러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만큼,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동기하여 주사되고,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비가시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LD(64a)를 구비함으로써,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검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가시광의 레이저광 및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MEMS 미러(69a 및 69b)에 조사됨으로써,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MEMS 미러(69a 및 69b)에 의해 화상(1a, 2a)을 테이블(1)(스크린(2))에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동일한 주사 경로를 주사함으로써,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반사된 시점에서의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경로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검출기(10a)가, 적외선LD(64a)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검지함으로써, 검출 대상물의 색이 검정인 경우에도,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적외선 검출기(10a)에 의해 검지할 수 있으므로, 적외선 검출기(10a)의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검지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1)가,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적외선 검출기(10a)가 검지한 시점에서의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면 검출 대상물과 적외선 검출기(10a) 사이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와 달리, 프로젝터가 원래 갖는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연산(산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1)가,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고,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적외선 검출기(10a)가 검지한 시점에서의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는 좌표를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의 좌표로서 검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프로젝터(100)가 원래 갖는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좌표(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 대상물의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연산(산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검출기(10a)에 의해 검출되는 적외선 레이저광의 강도와, 적외선 검출기(10b)에 의해 검출되는 적외선 레이저광의 강도와의 차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평면 위의 위치 외에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도 검출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3차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아이콘을 드래그하는 동작과, 아이콘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떨어지는 동작을 판별함과 함께,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별한 경우에, 아이콘을 드래그함과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에 연동하여 아이콘을 이동하는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하는 테이블(1) 위의 동작 외에, 아이콘을 드래그하도록 하는 테이블(1)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높이 위치에서의 동작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 가능한 동작의 종류를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가 소정의 높이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제어부(31)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아이콘을 드래그한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단한 후,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롭하였다고 제어부(31)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아이콘을 드롭한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에 투영되는 아이콘에서 떨어졌다고 제어부(31)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아이콘에서 떨어진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검출기(10a 및 10b)는,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블(1)에 닿아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아 있는 테이블(1) 위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레이저광 발생부가,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을 각각 조사하는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제2 레이저광 발생부가,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LD(64a)를 포함함으로써,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테이블(1)에 컬러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에 의해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테이블(1) 또는 스크린(2)에 검정의 화상이 표시된 경우에도,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므로, 검출 대상물(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합성되는 점을 기준점으로 한 경우에, 기준점에 대한 하류측에서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대략 일치시킴과 함께,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대략 일치하는 광축의 연장선상의 기준점에 대한 상류측에 적외선 LD(64a)를 배치함으로써,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에 대해서는, 광축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변화시키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광축을 변화시키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만큼, 프로젝터(100)의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이 3개의 편광 빔 스플리터(66a, 66b 및 66c)의 각각에 의해 반사됨과 함께,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3개의 편광 빔 스플리터(66a, 66b 및 66c)를 투과함으로써,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3개의 편광 빔 스플리터(66a, 66b 및 66c)에 의해, 용이하게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광량이, 투영되는 화상(1a, 2a)에 따라서 변화함과 함께,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광량이, 대략 일정함으로써, 가시광의 광량이 변화함으로써 농담을 갖는 화상(1a, 2a)을 투영할 수 있음과 함께, 적외선의 광량이 대략 일정함으로써,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위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가시광의 레이저광 및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MEMS 미러(69a 및 69b)에 조사되어 주사됨으로써,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MEMS 미러(69a 및 69b)에 의해 화상(1a, 2a)을 테이블(1)(스크린(2))에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색 LD(61a), 녹색 LD(62a) 및 청색 LD(63a)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 LD(64a)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테이블(1)(스크린(2))에 화상(1a, 2a)을 투영하는 빔 스플리터(80)를 설치함으로써, 테이블(1)에 투영된 화상(1a)을 사용자가 조작용으로서 사용함과 함께, 스크린(2)에 투영된 화상(2a)을 프리젠테이션용(표시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을 투영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색 또는 2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화상을 투영하여도 되고, 4색 이상의 레이저광에 의해 화상을 투영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검출 대상물의 위치(좌표)를 검지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외선의 레이저광 이외의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에 의해 검출 대상물의 위치(좌표)를 검지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젝터에 적외선 검출기가 2개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에 적외선 검출기를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 검출기가 검출하는 광의 강도 차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물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검출기가 검출하는 광의 강도 차에 기초하는 산출 이외의 방법에 의해, 검출 대상물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대상물의 3차원의 좌표를 구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검출 대상물의 테이블(1) 위의 좌표(2차원 좌표)를 구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적외선 검출기를 프로젝터에 1개 설치하면 된다.

Claims (20)

  1. 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1 레이저광 발생부(61a, 62a, 63a)와,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동기하여 주사되고,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비가시광을 조사하는 제2 레이저광 발생부(64a)와,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주사시킴으로써, 임의의 투영 영역(1, 2)에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69a, 69b)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 및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상기 투영부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은, 동일한 주사 경로를 주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검지하기 위한 광 검출기(10a, 10b)를 더 구비하는 프로젝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상기 광 검출기가 검지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어부(31)를 더 구비하는 프로젝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검출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상기 광 검출기가 검지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주사 신호에 기초하는 좌표를 상기 검출 대상물의 좌표로서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기는, 제1 광 검출기(10a)와, 상기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제1 광 검출기보다도 높은 제2 광 검출기(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강도와, 상기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강도와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을 주사시킴으로써, 상기 투영 영역에 아이콘에 대응하는 화상을 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 검출기 및 상기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하는 동작과, 상기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검출 대상물이 떨어지는 동작을 판별함과 함께,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함과 함께 상기 검출 대상물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아이콘을 이동하는 영상을 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 검출기 및 상기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후,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가 소정의 높이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였다고 판단한 후, 상기 제1 광 검출기 및 상기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을 드롭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 검출기 및 상기 제2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으로부터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물의 상기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0이라고 판단한 후,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 대상물이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되는 아이콘에서 떨어졌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대상물은, 인간의 손가락이며,
    상기 광 검출기는,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검출 대상물로서의 인간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는, 상기 비가시광으로서의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레이저광 발생부(64a)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는, 상기 가시광으로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광 발생부(61a, 62a, 63a)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동일 광축 상에서 합성됨으로써,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이 합성되는 점을 기준점으로 한 경우에, 상기 기준점에 대한 하류측에서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함과 함께,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적외선의 레이저광의 대략 일치하는 광축의 연장선 상의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류측에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가 배치되어 있는 프로젝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을 반사시킴과 함께,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레이저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광학 부재(66a, 66b, 66c)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광학 부재의 각각에 의해 반사됨과 함께,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상기 복수의 광학 부재를 투과함으로써,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가시광의 광량은, 투영되는 화상에 따라서 변화함과 함께,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광량은 대략 일정한 프로젝터.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임의의 투영 영역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주사함으로써 화상을 투영하는 진동 미러(69a, 69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 및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이 상기 진동 미러에 조사되어 주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가시광의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비가시광의 레이저광의 광축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투영 영역에 화상을 투영하는 스플리터 부재(80)를 더 구비하는 프로젝터.
KR1020137004260A 2010-07-29 2011-07-14 프로젝터 KR20130094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9928A JP5510155B2 (ja) 2010-07-29 2010-07-29 プロジェクタ
JPJP-P-2010-169928 2010-07-29
PCT/JP2011/066050 WO2012014690A1 (ja) 2010-07-29 2011-07-14 プロジェ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07A true KR20130094307A (ko) 2013-08-23

Family

ID=4552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260A KR20130094307A (ko) 2010-07-29 2011-07-14 프로젝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27717A1 (ko)
EP (1) EP2600185A4 (ko)
JP (1) JP5510155B2 (ko)
KR (1) KR20130094307A (ko)
TW (1) TW201218765A (ko)
WO (1) WO2012014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149A (ja) * 2011-04-20 2012-11-29 Panasonic Corp 映像投影装置
JP2014126693A (ja) * 2012-12-26 2014-07-07 Funai Electric Co Ltd 映像投影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6167529B2 (ja) * 2013-01-16 2017-07-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02330B2 (ja) * 2013-02-22 2017-03-29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KR102082702B1 (ko) * 2013-03-28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영상표시장치
JP6100080B2 (ja) * 2013-05-08 2017-03-22 株式会社東芝 プロジェクタ及び携帯端末
JP6160329B2 (ja) * 2013-07-24 2017-07-12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WO2015045125A1 (ja) * 2013-09-27 2015-04-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投射装置
JP6314688B2 (ja) * 2014-06-25 2018-04-25 船井電機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6042637A1 (ja) * 2014-09-18 2016-03-24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源装置、電子黒板システムおよび光源装置の制御方法
CN105589607B (zh) * 2016-02-14 2018-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系统、触控显示系统和触控交互方法
KR101976605B1 (ko) 2016-05-20 2019-05-09 이탁건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7152897B2 (ja) 2018-08-02 2022-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1093B2 (ja) * 1992-10-27 1997-09-10 松下電工株式会社 形状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910737B2 (ja) * 1998-07-31 2007-04-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黒板システム
JP2003029201A (ja) * 2001-07-11 2003-01-29 Canon Inc 画像投射装置及び画像補正方法
JP4612853B2 (ja) * 2005-03-29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指示位置認識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情報入力装置
JP2007040720A (ja) * 2005-07-29 2007-02-15 Sunx Ltd 光電センサ
JP5214223B2 (ja) * 2007-11-15 2013-06-19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5277703B2 (ja) 2008-04-21 2013-08-2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
US7869204B2 (en) * 2008-09-15 2011-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size portable computer having a fully integrated virtual keyboard projector and a display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4690A1 (ja) 2012-02-02
US20130127717A1 (en) 2013-05-23
TW201218765A (en) 2012-05-01
JP5510155B2 (ja) 2014-06-04
JP2012032464A (ja) 2012-02-16
EP2600185A1 (en) 2013-06-05
EP2600185A4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4307A (ko) 프로젝터
JP5488306B2 (ja) プロジェクタ
JP5710929B2 (ja) プロジェクタ
JP2013065061A (ja) プロジェクタ
US11366322B2 (en) Beam angle sensor in virtual/augmented reality system
JP6123365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104981757B (zh) 灵活的房间控制器
JP5971053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123006A (ja) プロジェクタ
JP2013061598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US20210041230A1 (en)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ing method
JP4930115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6009396A (ja) 入力装置
US20150185321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7004536A (ja) プロジェクタ
JP5971368B2 (ja) プロジェクタ
US9335158B2 (en) Projector and projector system
US20230043439A1 (en) 3d mapping in 2d scanning display
JP2014123170A (ja) 位置判定装置及び位置判定方法
WO2023015024A1 (en) 3d mapping in 2d scanning display
EP4381335A1 (en) 3d mapping in 2d scanning display
JP6168174B2 (ja) プロジェクタ
JP5494853B2 (ja) プロジェクタ
JP2015080218A (ja) プロジェクタ
JP2016192799A (ja) 位置検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