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23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231A
KR20130094231A KR1020130004673A KR20130004673A KR20130094231A KR 20130094231 A KR20130094231 A KR 20130094231A KR 1020130004673 A KR1020130004673 A KR 1020130004673A KR 20130004673 A KR20130004673 A KR 20130004673A KR 20130094231 A KR20130094231 A KR 2013009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ire
ground
connec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058B1 (ko
Inventor
유타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이 용이하고, 전송 특성이 우수한 컴팩트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복수의 제1컨택트(51)와 복수의 제2컨택트(52)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컨택트(51)는 가동 접점부(51a)와 가동 접점부(51a)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지니고, 전선과 접속하는 전선 접속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제2컨택트(52)는 제1컨택트(51)의 길이보다도 짧고, 가동 접점부와 전선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접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컨택트 수용부재는 제2컨택트(52)의 전선 쪽의 단부를 제1컨택트(51)의 전선 접속부(51b)보다도 피삽입부(21a) 쪽으로 치우치도록, 제1컨택트(51)와 제2컨택트(52)를 병렬시켜서 수용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3)는 제2컨택트(52)의 접지 접점부(52b)에 접촉하는 접지 단자(3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의 전선을 지니는 케이블을 접속 대상에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선을 지니는 케이블을 접속 대상에 접속하는 커넥터는, 내부에 전선에 대응하는 단자판(컨택트)을 구비하고 있다. 전선과 컨택트는 납땜이나 압접 접속(1DC: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등에 의해서 접속할 수 있다.
압접 접속에서는, 전선에 접속하는 컨택트의 단부를 U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곳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전선을 끼워 유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컨택트의 U자 형상의 단부의 폭은 전선의 굵기보다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U자 형상의 단부가 일렬로 나열되도록 컨택트를 배치하면, 커넥터의 폭이 케이블의 굵기보다도 커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서는, 컨택트의 한쪽 단부에는 접속 대상기기와 접속하는 단자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전선과 접속하는 전선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컨택트의 배치는, 단자부가 일렬로 배치되고, 전선 접속부가 복수열로 배치되며, 또한, 복수열의 각각의 배치 위치가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위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이와 같이 컨택트를 구성함으로써, 일렬당 배치되는 전선 접속부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단자부 간의 거리를 작게 설정했을 경우더라도 동일 열에 배치된 전선 접속부 간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또, 복수열의 각각의 배치 위치를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위치로 함으로써, 열마다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선 접속부와 전선과의 접속을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컴팩트하게 조립이 용이한 커넥터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로부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컨택트 이외의 컨택트를 제거하는 것으로도 커넥터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JP 2008-084799 A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의 커넥터와 같이 컨택트를 배치하면, 페어내 스크류(Intra Pair Skew)나 차동 임피던스(Differential Impedance) 등의 전송 특성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또, 커넥터로부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컨택트 이외의 컨택트를 제거했을 경우에는, 크로스토크(crossta1k) 등의 전송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전송 특성이 우수한 컴팩트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복수의 전선을 지니는 케이블을 접속 대상에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절연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접속 대상의 잭에 삽입되는 피삽입부를 지니고, 해당 피삽입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플러그부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전선을 상기 플러그부에 안내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피삽입부가 형성된 도체로 이루어진 셸과, 상기 피삽입부가 상기 잭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잭의 신호용 컨택트와 탄성 접촉함으로써 해당 신호용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점부와, 해당 가동 접점부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지니고, 상기 전선과 접속하는 전선 접속부를 지니는 복수의 제1컨택트와, 상기 제1컨택트의 길이보다도 짧은 길이를 지니고, 상기 피삽입부가 상기 잭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잭의 접지용 컨택트와 탄성 접촉함으로써 해당 접지용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전선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접지 접점부를 지니는 복수의 제2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전선 쪽의 단부를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전선 접속부보다도 상기 피삽입부 측으로 치우치도록, 해당 제1컨택트와 해당 제2컨택트를 병렬시켜서 수용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컨택트 수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접지 접점부에 접촉하는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선과 접속하는 부분은 잭의 컨택트와 접촉하는 부분과 비교해서 폭 넓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컨택트와 제2컨택트를, 단부 위치, 특히, 케이블 전선과 접속하는 쪽의 단부를 정렬시켜서 병렬 배치하면, 피삽입부의 폭과 비교해서, 케이블 전선과 접속하는 쪽의 폭이 커진다. 그 때문에, 커넥터 자체가 커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때문에, 전술한 구성에서는, 제1컨택트와 제2컨택트를 병렬 배치할 때, 제2컨택트의 전선 쪽의 단부를 제1컨택트의 전선 접속부보다도 피삽입부 쪽에 치우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컨택트의 폭 넓게 구성된 부분, 즉, 제1컨택트의 전선 접속부와, 제2컨택트의 전선 쪽의 단부가 병렬하는 것을 회피하여, 커넥터의 케이블에 접속하는 쪽의 단부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 제2컨택트의 접지 접점부는 케이블 전선에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있지만,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에 수용된 접지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컨택트의 전위는 접지 전위로 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크로스토크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접지 접점부와 탄성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접지 단자와 제2컨택트의 접지 접점부는 탄성 접촉하므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이들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커넥터를 작업장소에서 조립하는 등의 경우에,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기술의 정도에 좌우되는 일없이 커넥터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케이블은 접지용 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접지용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지용 전선 접속부와, 상기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지 단자 접속부를 지니는 도체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커버 부재 및 접지 단자를 개재해서, 전선의 접지용 전선과 제2컨택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컨택트와 커버 부재가 동일 전위(접지 전위)로 되고, 커넥터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특성 및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셸에, 상기 커버 부재에 접속하는 커버 접속부를 구비하면, 셸의 전위도 확실히 접지 전위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상세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컨택트의 배치와, 컨택트와 전선과의 접속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컨택트의 배치와, 컨택트와 전선과의 접속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가이드 부재의 전후 방향에서 볼 때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접지 단자를 구비하지 않은 위치에 있어서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접지 단자를 구비한 위치에 있어서의 측단면도.
이하에 도면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보다 상세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는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제1케이스(11), 제2케이스(12)에 의해 케이스(1)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의 한쪽의 단부에는, 복수의 전선을 합해서 피복한 케이블(C)이 삽입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C)은 동축 케이블로 하고, 복수의 신호용 전선(Cs)을 폴리에틸렌 등의 유도체에 의해 피복하며, 유도체의 바깥쪽을 접지용 전선(Cg)으로서의 편조선이 덮고, 또한, 접지용 전선(Cg)을 비닐 등의 절연체에 의해 피복하고 있다.
또, 케이스(1)의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는 후술하는 피삽입부(21a)가 뻗어 나가고 있다. 피삽입부(21a)를 접속 대상의 잭에 삽입함으로써, 케이블(C)을 접속 대상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케이블(C)이 삽입되어 있는 쪽을 후방, 피삽입부(21)가 돌출하고 있는 쪽을 전방이라 칭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제1케이스(11) 쪽을 아래쪽, 제2케이스(12) 쪽을 위쪽이라 표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의 내면에는 4개의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의 측벽으로부터는 걸어맞춤 구멍(11c)이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1b)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케이스(12)의 내면에는 제1케이스(11)의 오목부(11a)에 대응하는 볼록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끼워맞춘 때에는, 오목부(11a)에 볼록부(12a)가 끼워맞춤되어,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의 상대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 제2케이스(12)의 전후의 측벽의 외면에는, 제1케이스(11)의 걸어맞춤 구멍(11c)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돌기(1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끼워맞춘 때에는, 걸어맞춤 돌기(12b)가 제1케이스(11)의 걸어맞춤 구멍(11c)에 걸어맞춤되어,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의 끼워맞춤이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내부에는, 피삽입부(21a)를 지니는 플러그부(2)와, 케이블(C)의 전선을 플러그부(2)에 안내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3)와, 피삽입부(21a)가 노출되도록 플러그부(2)를 덮는 금속 등의 도체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4)가 수용되어 있다. 또, 플러그부(2)는, 피삽입부(21a)가 케이스(1)의 전방에서 돌출하도록, 케이스(1)에 수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부(2)는, 금속 등의 도체로 이루어진 셸(21),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바디(body)(22),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컨택트(5)를 전후 양단부가 뻗어나가도록 내삽하여, 보유하는 컨택트 수용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셸(21)은, 접속 대상의 잭에 삽입되는 피삽입부(21a), 피삽입부(21a)의 후방에 접속하는 밑벽(21b), 밑벽(21b)의 양측부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1쌍의 제1측벽(21c), 밑벽(21b)의 양측부의 제1측벽(21c)보다도 소정 거리를 둔 후방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제2측벽(21d), 밑벽(21b)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뻗어나오는 설부(舌部)(21e)(본 발명의 커버 접속부의 예)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측벽(21c)은 안쪽으로 절곡 가공된 클릭부(21f)를 구비하고 있고, 제1측벽(21c) 및 제2측벽(21d)은 걸림구멍(21g)을 구비하고 있다.
바디(22)는, 컨택트(5)를 삽입하는 컨택트 삽입홈(22b)이 형성되어, 피삽입부(21a)에 내삽되는 컨택트 삽입부(22a), 컨택트 삽입부(22a)의 후방에 접속하는 밑벽(22c), 밑벽(22c)의 전단부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1쌍의 위치 결정 기둥(22d)을 구비하고 있다. 또, 위치 결정 기둥(22d)의 후방 측벽면에는 오목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삽입부(22a)를 피삽입부(21a)에 내삽할 때에는, 위치 결정 기둥(22d)의 전방 측벽이 피삽입부(21a)의 후단에 맞닿아, 바디(2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컨택트 수용부재(23)는, 컨택트(5)를 지지하는 지지 홈이 생성된 컨택트 지지부(23a), 컨택트 지지부(23a)의 후방에 접속되어, 컨택트(5)를 내삽하도록 수용하는 컨택트 수용부(23b)를 구비하고 있다. 컨택트(5)는, 그 전단부가 컨택트 지지부(23a)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컨택트 지지부(23a)에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컨택트 삽입부(22a)의 후부는, 컨택트 지지부(23a)를 삽입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택트 지지부(23a)를 컨택트 삽입부(22a)에 삽입한 때에는, 컨택트 지지부(23a)보다도 돌출하고 있는 컨택트(5)의 전단부는 컨택트 삽입부(22a)의 컨택트 삽입홈(22b)에 삽입된다. 또한, 도 3에서는, 컨택트(5)와 컨택트 수용부재(23)를 분리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은 삽입 성형에 의해 일체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수용부(23b)의 전방 측벽에는, 바디(22)의 위치 결정 기둥(22d)의 오목부(22e)에 대응하는 1쌍의 볼록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지지부(23a)를 컨택트 삽입부(22a)에 삽입한 때에는, 볼록부(23c)가 위치 결정 기둥(22d)의 오목부(22e)에 끼워맞춤되고(도 5 참조), 컨택트 수용부재(23)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컨택트 수용부(23b)의 전방 측벽의 볼록부(23c) 사이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f)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지지부(23a)를 컨택트 삽입부(22a)에 삽입한 때에는, 이 돌출부(23f)는 위치 결정 기둥(22d) 사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컨택트 수용부(23b)의 양쪽 측벽에는 오목부(23d)가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지지부(23a)를 컨택트 삽입부(22a)에 삽입한 때에는, 셸(21)의 클릭부(21f)가 이 오목부(23d)에 걸어맞춤된다(도 5 참조). 이것에 의해, 컨택트 수용부재(23)가 바디(22)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컨택트 수용부재(23)의 후방 측면에는, 3개의 걸어맞춤홈(23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홈(23e)의 수는 후술하는 접지 단자(31)의 수에 대응하고 있다.
도 4는 컨택트(5)의 배치와, 컨택트(5)와 가이드 부재 및 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택트(5)는 제1컨택트(51)와 제2컨택트(52)의 2종류의 컨택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1컨택트(51)의 전단부에는, 커넥터를 접속 대상의 잭에 삽입했을 때, 잭의 신호용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점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가동 접점부(51a)는 탄성을 지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부(51a)는 잭의 컨택트에 대해서 탄성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부(51a)와 잭의 컨택트를 확실히 접촉시키고, 또한, 확실히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컨택트(51)의 후단부에는, 케이블(C)의 신호용 전선(Cs)과 접속하는 전선 접속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전선 접속부(51b)의 단부는 위쪽으로 절곡 가공되고, 그 선단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컨택트(51)에서는, 전선 접속부(51b)의 폭은 가동 접점부(51a)의 폭보다도 커지고 있다.
한편, 제2컨택트(52)의 전단부에는, 커넥터를 접속 대상의 잭에 삽입했을 때, 잭의 접지용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점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컨택트(52)의 가동 접점부(52a)도 제1컨택트(51)의 가동 접점부(51a)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지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2컨택트(52)의 후단부에는, 케이블(C)의 전선에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접지 접점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부(2)를 위쪽에서부터 보면, 컨택트 수용부재(23)의 걸어맞춤홈(23e) 부분에 있어서, 제2컨택트(52)의 접지 접점부(52b)가 노출되어 있다(도 5 참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컨택트(52)의 길이는 제1컨택트(51)의 길이보다도 짧게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컨택트(51) 및 복수의 제2컨택트(52)는 병렬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2컨택트(52)의 후단은 제1컨택트(51)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컨택트(52)의 후단(접지 접점부(52b)의 후단)이, 제1컨택트(51) 중, 가동 접점부(51a)의 폭보다도 폭 넓게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전단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컨택트(52)는 측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컨택트가 굴곡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에 제2컨택트의 접지 접점부(52b)를 배치하고 있다. 제1컨택트(51)와 제2컨택트(52)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컨택트(51)의 전선 접속부(51b)와 제2컨택트(52)의 접지 접점부(52b)가 병렬로 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어, 커넥터의 폭을 좁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컨택트(51)의 가동 접점부(51a)의 전단은 제2컨택트(52)의 가동 접점부(52a)의 전단보다도 물러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가이드 부재(3)의 평면도이고, 도 8은 가이드 부재(3)의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는, 케이블(C)의 신호용 전선(Cs)의 각각을 삽입 통과하여, 전방으로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 구멍(3a)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의 전방 측벽(도면에서는 아래쪽)에는, 전선 가이드 구멍(3a)에 의해 전방을 향해서 안내된 신호용 전선(Cs)을 위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각각의 신호용 전선(Cs)은 서로 접촉하는 일 없이 가이드 부재(3)에 보유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3)에는, 가이드 부재(3)를 플러그부(2)에 부착했을 때, 제1컨택트(51)의 전선 접속부(51b)의 U자 형상 부분을 받아들이는 컨택트 가이드 구멍(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컨택트 가이드 구멍(3c)은 전선 가이드 구멍(3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를 플러그부(2)에 부착한 때에는, 컨택트 가이드 구멍(3c)에 삽입된 전선 접속부(51b)의 U자 형상 부분이, 전선 가이드 구멍(3a)에 삽입 통과된 신호용 전선(Cs)을 끼워넣는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신호용 전선(Cs)과 전선 접속부(51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전선 접속부(51b)의 선단은 컨택트 가이드 구멍(3c)으로부터는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9 참조).
가이드 부재(3)의 밑면에는, 접지 단자(31)를 수용하는 접지 단자 수용홈(3d)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 부재(3)의 상부면에는, 접지 단자 수용홈(3d)과 연통하도록 걸림 구멍(3g)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 단자(31)는, 단자 본체(31a), 탄성을 지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단자 본체(31a)로부터 전방으로 뻗는 접지 접점부(31b), 본체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지 단자(31)를 가이드 부재(3)1의 밑면으로부터 접지 단자 수용홈(3d)을 따라서 삽입한다. 이때, 접지 단자의 돌출부(31c)는 가이드 부재(3)의 걸림구멍(3g)에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3)의 상부면보다도 돌출한다. 또한, 접지 단자(31)의 돌출부(31c)에는 1쌍의 걸림돌기(31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걸림돌기(31d)가 가이드 부재(3)의 걸림구멍(3g)에 걸려, 접지 단자(31)가 접지 단자 수용홈(3d)으로부터 빠져 나가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 가이드 부재(3)의 상부면에는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가이드 구멍(3c) 및 걸림구멍(3g)은 이 오목부(3e)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의 전방에는, 컨택트 수용부재(23)의 걸어맞춤홈(23e)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돌기(3h)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돌기(3h)의 밑면 측에도 접지 단자 수용홈(3d)이 형성되어 있고, 접지 단자(31)의 접지 접점부(31b)의 전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부재(3)를 플러그부(2)에 부착한 때에는, 가이드 부재(3)의 걸어맞춤돌기(3h)가 컨택트 수용부재(23)의 걸어맞춤홈(23e)에 걸어맞춤되는 동시에, 접지 단자(31)의 접지 접점부(31b)가 제2컨택트(52)의 접지 접점부(52b)에 탄성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3)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제2컨택트(52)와 접지 단자(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컨택트(52)를 접지할 수 있다. 또, 접지 단자(31)의 접지 접점부(31b)가 탄성 접촉하므로, 접지 단자(31)와 제2컨택트(52)를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립 작업을 용이화하고, 작업자의 기술의 정도에 좌우되는 일없이, 커넥터의 품질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작업 현장에서 커넥터를 조립할 때에는 중요하다.
또, 가이드 부재(3)의 걸어맞춤돌기(3h)에 의해, 접지 접점부(31b)와 접지 접점부(52b)의 접촉 부분이 커버된다(도 6 참조).
또한, 가이드 부재(3)의 측벽에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1쌍의 볼록부(3f)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를 플러그부(2)에 부착한 때에는, 이 볼록부(3f)가 플러그부(2)의 셸(21)의 제1측벽(21c)과 제2측벽(21d)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들어간다(도 2 및 도 5 참조). 이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3)를 플러그부(2)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는, 상부벽(4a), 상부벽(4a)의 양단부로부터 늘어지도록 설치된 1쌍의 제1측벽(4b), 상부벽(4a)의 제1측벽(4b)보다도 후방으로부터 늘어지도록 설치된 1쌍의 제2측벽(4c)을 구비하고 있다. 제1측벽(4b) 및 제2측벽(4c)에는 걸림돌기(4d)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를 플러그부(2)에 부착한 때에는, 걸림돌기(4d)가 셸(21)의 제1측벽(21c) 및 제2측벽(21d)의 걸림구멍(21g)에 걸린다(도 2 및 도 5 참조).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4)가 플러그부(2)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4)의 후단에는 코킹함으로써 케이블(C)을 보유하는 케이블 보유부(4e)(본 발명의 접지용 전선 접속부의 예)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C)이 동축 케이블과 같이 외주에 접지용 전선(Cg)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케이블 보유부(4e)를 개재해서 커버 부재(4)와 접지용 전선(Cg)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커버 부재(4)를 플러그부(2)에 부착한 때에는, 플러그부(2)의 셸(21)의 설부(21e)가 케이블 보유부(4e)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4)가 접지용 전선(Cg)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커버 부재(4)를 개재해서, 접지용 전선(Cg)과 셸(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커버 부재(4)의 상부면에는, 탄성을 지니도록 아래쪽으로 만곡하는 접지 단자 접속부(4f)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를 플러그부(2)에 부착한 때에는, 이 접지 단자 접속부(4f)는 가이드 부재(3)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접지 단자(31)의 돌출부(31c)와 탄성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4)가 접지용 전선(Cg)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커버 부재(4), 접지 단자(31)를 개재해서, 접지용 전선(Cg)과 제2컨택트(5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2컨택트(52)에 대해서 접지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커버 부재(4), 셸(21), 제2컨택트(52)가 동일 전위(접지 전위)로 되어, 커넥터의 EMI 특성 및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커버 부재(4)의 상부면에는 개구부(4g)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4g)는 가이드 부재(3)의 가이드 홈(3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조립하는 방법]
이하에, 본 발명의 커넥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케이블(C)의 피복을 벗기고, 신호용 전선(Cs) 및 접지용 전선(Cg)을 노출시킨다. 다음에, 각각의 신호용 전선(Cs)을 가이드 부재(3)의 전선 가이드 구멍(3a)에 삽입 통과하고, 가이드 홈(3b)을 따르도록 위쪽으로 절곡시킨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3)를 플러그부(2)에 부착한다.
이때, 플러그부(2)의 제1컨택트(51)의 전선 접속부(51b)는 가이드 부재(3)의 컨택트 가이드 구멍(3c)에 삽입된다. 컨택트 가이드 구멍(3c)에 삽입된 제1컨택트(51)의 전선 접속부(51b)는, 전선 가이드 구멍(3a)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신호용 전선(Cs)에 압접되어, 신호용 전선(Cs)과 제1컨택트(5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가이드 부재(3)에 수용된 접지 단자(31)가 제2컨택트(52)의 접지 접점부(52b)와 접촉하고, 이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가이드 부재(3)가 부착된 플러그부(2)에 대해서 커버 부재(4)를 부착하고, 커버 부재(4)의 케이블 보유부(4e)를 케이블(C)의 외주에 대해서 코킹한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C)의 접지용 전선(Cg)과 커버 부재(4)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커버 부재(4)는 접지 단자 접속부(4f)를 개재해서 가이드 부재(3)에 보유된 접지 단자(31)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4), 접지 단자(31)를 개재해서, 접지용 전선(Cg)과 제2컨택트(52)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플러그부(2)의 셸(21)의 설부(21e)가 케이블 보유부(4e)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4)를 개재해서, 접지용 전선(Cg)과 플러그부(2)의 셸(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컨택트(52), 커버 부재(4), 플러그부(2)의 셸(21)이 모두 같은 전위(접지 전위)로 되어, 커넥터의 EMI 특성 및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후에, 가이드 부재(3) 및 커버 부재(4)가 부착된 플러그부(2)에 대해서, 상하로부터 제1케이스(11) 및 제2케이스(12)를 부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소형화를 실현하면서, 조립의 용이성, 커넥터 성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별도의 실시형태]
[1]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압접에 의해 제1컨택트(51)와 신호용 전선(Cs)을 접속하기 위하여 제1컨택트(51)의 전선 접속부(51b)를 U자 형상으로 구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제1컨택트(51)와 신호용 전선(Cs)을 접속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컨택트(51)의 전선 접속부를 U자 형상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평판 형상 등이어도 무방하다.
[2]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C)의 외주에 접지용 전선(Cg)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케이블(C)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호용 전선(Cs)과 접지용 전선(Cg)이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도, 케이블 보유부(4e)가 접지용 전선(Cg)과 접속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케이블(C)이 접지용 전선(Cg)을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케이블 보유부(4e)는 케이블(C)의 피복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지 단자(31)는 제2컨택트(52)와 절연체에 접속되므로, 제2컨택트(52)는 실질적으로 접지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선을 지니는 케이블을 접속 대상에 접속하는 커넥터에 사용할 수 있다.
C: 케이블 Cs: 신호용 전선
Cg: 접지용 전선 1: 케이스
2: 플러그부 21: 셸
21a: 피삽입부 21e: 설부(커버 접속부)
23: 컨택트 수용부재 3: 가이드 부재
31: 접지 단자 31b: 접지 접점부
4: 커버 부재 4a: 상부벽
4b: 제1측벽 4c: 제2측벽
4d: 걸림돌기
4e: 케이블 보유부(접지용 전선 접속부)
4f: 접지 단자 접속부 5: 컨택트
51: 제1컨택트 51a: 가동 접점부
51b: 전선 접속부 52: 제2컨택트
52a: 가동 접점부 52b: 접지 접점부

Claims (4)

  1. 복수의 전선을 지니는 케이블을 접속 대상에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절연체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접속 대상의 잭에 삽입되는 피삽입부를 지니고, 해당 피삽입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플러그부;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전선을 상기 플러그부에 안내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피삽입부가 형성된 도체로 이루어진 셸과,
    상기 피삽입부가 상기 잭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잭의 신호용 컨택트와 탄성 접촉함으로써 해당 신호용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점부와, 해당 가동 접점부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지니고, 상기 전선과 접속하는 전선 접속부를 지니는 복수의 제1컨택트와,
    상기 제1컨택트의 길이보다도 짧은 길이를 지니고, 상기 피삽입부가 상기 잭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잭의 접지용 컨택트와 탄성 접촉함으로써 해당 접지용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전선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접지 접점부를 지니는 복수의 제2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전선 쪽의 단부를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전선 접속부보다도 상기 피삽입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해당 제1컨택트와 해당 제2컨택트를 병렬시켜서 수용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컨택트 수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접지 접점부에 접촉하는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접지 접점부와 탄성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접지용 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접지용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지용 전선 접속부와, 상기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지 단자 접속부를 지니는 도체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셸은 상기 커버 부재에 접속하는 커버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KR1020130004673A 2012-02-15 2013-01-16 커넥터 KR101945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0736 2012-02-15
JP2012030736A JP5811460B2 (ja) 2012-02-15 2012-02-15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231A true KR20130094231A (ko) 2013-08-23
KR101945058B1 KR101945058B1 (ko) 2019-02-01

Family

ID=4768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673A KR101945058B1 (ko) 2012-02-15 2013-01-16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70597B2 (ko)
EP (1) EP2629374B1 (ko)
JP (1) JP5811460B2 (ko)
KR (1) KR101945058B1 (ko)
CN (1) CN103259107B (ko)
TW (1) TWI5259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58B1 (ko) * 2014-11-04 2015-03-24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이어폰 연결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6759B (zh) * 2013-07-10 2018-12-04 莫列斯有限公司 具有接地夹具的薄片体连接器
US9356404B2 (en) * 2013-09-25 2016-05-3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104112952A (zh) * 2014-07-21 2014-10-22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一种连接装置及连接方法
US10312645B2 (en) 2015-11-06 2019-06-04 Molex, Llc Compact high speed connector
US10305224B2 (en) * 2016-05-18 2019-05-28 Amphenol Corporation Controlled impedance edged coupled connectors
CN115241696A (zh) 2016-05-31 2022-10-25 安费诺有限公司 高性能线缆终端装置
JP6708025B2 (ja) * 2016-07-04 2020-06-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EP3327869B1 (de) * 2016-11-23 2019-01-09 MD Elektronik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ein mehradriges elektrisches kabel
JP6946042B2 (ja) * 2017-04-20 2021-10-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の立上部を有したケーブルコネクタと、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CN111164836B (zh) 2017-08-03 2023-05-12 安费诺有限公司 用于低损耗互连系统的连接器
US11437762B2 (en) 2019-02-22 2022-09-06 Amphen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210070115A (ko) * 2019-12-04 2021-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JP7321075B2 (ja) * 2019-12-23 2023-08-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磁気セン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6266A1 (en) * 2003-06-27 2004-12-30 Lai Chin Te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shield device
JP2006260836A (ja) * 2005-03-15 2006-09-28 Fci Asia Technology Pte Ltd 電気コネクタ
JP2008084799A (ja) 2006-09-29 2008-04-10 Hosiden Corp コネクタ
US20100210124A1 (en) * 2009-02-16 2010-08-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terminal having tail portion interconnected to metallic shell surrounding the connector
US20110034083A1 (en) * 2009-08-10 2011-02-1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ower profile cab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6250B2 (ja) * 2002-06-28 2006-02-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4079377A (ja) * 2002-08-20 2004-03-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多芯型ケーブルの端末接続構造
TWM261868U (en) * 2004-06-18 2005-04-11 Advanced Connectek Inc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device
JP4917784B2 (ja) * 2005-09-26 2012-04-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7410366B2 (en) * 2006-08-25 2008-08-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educed crosstalk and electromaganectic interference
JP5186170B2 (ja) * 2007-10-05 2013-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電部材、その導電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CN102047507B (zh) * 2008-06-04 2013-04-24 星电株式会社 电连接器
US8123562B2 (en) * 2009-11-25 2012-02-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ntact soldering ends
TWM426929U (en) * 2011-11-18 2012-04-11 Kuang Ying Comp Equipment Co USB fema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6266A1 (en) * 2003-06-27 2004-12-30 Lai Chin Te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shield device
JP2006260836A (ja) * 2005-03-15 2006-09-28 Fci Asia Technology Pte Ltd 電気コネクタ
JP2008084799A (ja) 2006-09-29 2008-04-10 Hosiden Corp コネクタ
US20100210124A1 (en) * 2009-02-16 2010-08-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terminal having tail portion interconnected to metallic shell surrounding the connector
US20110034083A1 (en) * 2009-08-10 2011-02-1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ower profile cabl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58B1 (ko) * 2014-11-04 2015-03-24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이어폰 연결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9374A1 (en) 2013-08-21
US8870597B2 (en) 2014-10-28
KR101945058B1 (ko) 2019-02-01
EP2629374B1 (en) 2016-06-29
CN103259107B (zh) 2017-05-03
US20140051290A1 (en) 2014-02-20
JP2013168280A (ja) 2013-08-29
CN103259107A (zh) 2013-08-21
JP5811460B2 (ja) 2015-11-11
TWI525941B (zh) 2016-03-11
TW201351808A (zh)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4231A (ko) 커넥터
CN213151160U (zh) 背板连接器
US8814599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crimping ring
US8303329B2 (en) Low profile cable connector assembly
CN106207669B (zh) 线缆连接器组件
US8591259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shell
JP67080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3085729A1 (en) Cable header connector
WO2013085732A1 (en) Cable header connector
US20140235090A1 (en) Joint connector
US8303342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CN103311746A (zh) 电缆插头连接器
US9033738B2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l structure
JPH10228962A (ja) 低プロフィールコネクタシステム
US8858254B2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6035841A1 (ja) 通信用コネクタ
KR20150018372A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20180120567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JP6332087B2 (ja) 通信用コネクタ
KR20190044498A (ko)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US959036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transfer structure
CN110429407B (zh) 电连接器
US20160254621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metal shell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CN110808491B (zh) 电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