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498A -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498A
KR20190044498A KR1020180118749A KR20180118749A KR20190044498A KR 20190044498 A KR20190044498 A KR 20190044498A KR 1020180118749 A KR1020180118749 A KR 1020180118749A KR 20180118749 A KR20180118749 A KR 20180118749A KR 20190044498 A KR20190044498 A KR 20190044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ield
shell
connector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624B1 (ko
Inventor
나츠키 이쿠타
기요타카 오카베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4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의도하지 않은 물체의 접촉으로부터 쉘 접속편을 보호하는 구조와 오삽입 방지 구조를 커넥터의 형상을 복잡화시키지 않고 형성한다.
(해결 수단) 수지제의 하우징 (21) 을 덮는 금속제의 실드 쉘 (46) 을 상대 커넥터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쉘 접속편 (53L, 53R) 의 전방에, 하우징 (21) 에 형성된 오삽입 방지부 (31) 의 볼록부 (32L, 32R) 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볼록부 (32L, 32R) 와 쉘 접속편 (53L, 53R) 이 각각 서로 겹쳐 있다.

Description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SHIELD CONNECTOR AND SHIELD 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주로 동축 케이블을 장치나 회로 등에 접속하는데 사용하여 바람직한 실드 커넥터, 및 복수의 실드 커넥터를 구비한 실드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을 기판에 형성된 전자·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서로 착탈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플러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되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에 장착된다.
동축 케이블용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중에는, 동축 단자를 수지성의 하우징에 수용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는, 수지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된 동축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동축 단자는, 중심 도체를, 절연체를 개재하여 통상의 외측 도체에 의해 포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중심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 (심선) 가 접속되고, 외측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편조) 가 접속된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도, 수지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된 동축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중심 도체는 예를 들어 기판의 신호 회로에 접속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도체는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이 수형이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이 암형인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할 때에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선단측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중심 도체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중심 도체가 서로 접속되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도체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도체가 서로 접속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용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취급되는 신호가 예를 들어 디지털 영상 신호 등의 고주파 신호인 경우, 고주파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금속제의 실드 쉘로 덮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실드 쉘에 의한 노이즈 제거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실드 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실드 쉘을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다.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실드 쉘의 전기적 접속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주측에, 동축 단자의 외측 도체 또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주측에 실드 쉘을 형성하고, 당해 하우징의 내주측에, 실드 쉘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편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주측에 형성한 접속부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주측에 형성한 접속편이 서로 접촉하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실드 쉘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실드 쉘과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의 전기적 접속은, 예를 들어, 실드 쉘에 기판 접속부를 형성하고, 그 기판 접속부를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실드 쉘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기술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35733호
상기 서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실드 쉘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편을 「쉘 접속편」 이라고 하면, 쉘 접속편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쉘 접속편을,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접속부와 접촉 시키기 위해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측에는, 하우징의 삽입구로부터, 다른 케이블이나 공구 등의 의도하지 않은 물체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물체가 쉘 접속편과 접촉하여, 쉘 접속편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의도하지 않은 물체의 접촉으로부터 쉘 접속편을 보호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로는, 예를 들어, 물체의 쉘 접속편으로의 진행을 방해하는 격벽 등을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동종의 신호 (예를 들어, 차량의 어라운드 뷰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의 영상 신호) 를 취급하기 위해서, 복수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실드 커넥터 시스템을 차량 등에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 플러그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각에 오삽입 방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삽입 방지 구조는, 하우징의 삽입구의 형상을 복수의 리셉터클 커넥터 별로 바꿈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도하지 않은 물체의 접촉으로부터 쉘 접속편을 보호하는 구조와, 오삽입 방지 구조를 형성하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형상이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가 곤란해지거나, 또는 제조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의도하지 않은 물체의 접촉으로부터 쉘 접속부 (쉘 접속편) 를 보호하는 구조와 오삽입 방지 구조를 커넥터의 형상을 복잡화시키지 않고 형성할 수 있는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는, 신호 단자와, 절연 재료에 의해 통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측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후부에 신호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벽 외면을 덮는 상판부 및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외면을 각각 덮는 좌우의 측판부를 갖는 실드 쉘을 구비하고, 실드 쉘의 좌우의 측판부 중 일방의 측판부에는,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중 당해 일방의 측판부에 대응하는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쉘 접속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전단부이고 삽입구의 주연부에는, 요철 형상을 갖고, 상대 커넥터의 삽입구로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고, 오삽입 방지부는, 하우징의 일방의 측벽의 전단부로부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갖고, 볼록부는 쉘 접속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삽입구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볼록부와 쉘 접속부가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부의 볼록부는, 상대 커넥터의 삽입구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의도하지 않은 물체가 쉘 접속부에 접촉하여 쉘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오삽입 방지부의 일부에 쉘 접속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쉘 접속부를 보호하는 구조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드 커넥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쉘에는 당해 실드 쉘을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가 형성되고, 쉘 접속부 및 기판 접속부는 모두 하우징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쉘 접속부는, 실드 쉘의 일방의 측판부로부터 하우징의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후 또는 돌출되면서 만곡하고, 또한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하우징의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을 다시 통과하여, 당해 쉘 접속부의 선단부가 실드 쉘의 일방의 측판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쉘의 일방의 측판부에 있어서 쉘 접속부의 선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는, 실드 쉘의 내측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탄성 변형됨으로써 실드 쉘의 외측으로 변위 가능한 탄성 변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은 하우징의 일방의 측벽의 후단부로부터 볼록부에 이를 때까지 신장되는 슬릿이고, 당해 슬릿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볼록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부의 일부는, 삽입구의 하측의 모서리부에 알을 부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 시스템은, 복수의 실드 커넥터를 갖는 실드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각 실드 커넥터는, 신호 단자와, 절연 재료에 의해 통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측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후부에 신호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벽 외면을 덮는 상판부 및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외면을 각각 덮는 좌우의 측판부를 갖는 실드 쉘을 구비하고, 각 실드 커넥터의 실드 쉘의 좌우의 측판부 중 일방의 측판부에는,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중 당해 일방의 측판부에 대응하는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쉘 접속부가 형성되고, 각 실드 커넥터의 하우징의 전단부이고 삽입구의 주연부에는, 요철 형상을 갖고, 상대 커넥터의 삽입구로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고, 각 실드 커넥터의 오삽입 방지부는, 하우징의 일방의 측벽의 전단부로부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갖고, 각 실드 커넥터의 볼록부는 쉘 접속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실드 커넥터의 각각의 하우징의 삽입구를 그들의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볼록부의 위치 또는 형상이 복수의 실드 커넥터 사이에서 상이해도, 복수의 실드 커넥터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볼록부와 쉘 접속부가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 시스템의 각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오삽입 방지부의 볼록부는, 상대 커넥터의 삽입구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의도하지 않은 물체가 쉘 접속부에 접촉하여 쉘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오삽입 방지부의 일부에 쉘 접속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쉘 접속부를 보호하는 구조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각 실드 커넥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도하지 않은 물체의 접촉으로부터 쉘 접속부를 보호하는 구조와 오삽입 방지 구조를 커넥터의 형상을 복잡화시키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를 우상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를 우상 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를 도 4 중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의 전부 좌측 및 전부 우측을 도 5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의 실드 쉘의 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를 도 9 중의 화살표 X-X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의 동축 단자를 도 10 중의 화살표 XI-XI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드 커넥터)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를 우상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실드 커넥터 (1) 를 우상 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실드 커넥터 (1) 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실드 커넥터 (1) 를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실드 커넥터 (1) 의 도 4 중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드 커넥터 (1) 의 삽입구 (27) 에 상대 커넥터 (71) (도 9 참조) 의 선단측이 삽입되는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방향」 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커넥터 발거 방향」 이라고 한다. 도 1 등에 있어서의 화살표 (In) 는 커넥터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Out) 는 커넥터 발거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실드 커넥터 (1) 에 있어서의 커넥터 삽입 방향의 앞쪽을 전(前)이라고 하고, 뒤쪽을 후(後)라고 한다. 또한, 실드 커넥터 (1) 를 기판에 장착하는 측을 하(下)로 하고, 그 반대측을 상(上)으로 한다. 또한, 좌(左) 및 우(右)에 대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커넥터 (1) 를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 및 우를 기준으로 한다. 도 1 등에 있어서의 화살표 U, D, L, R 은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전, 후, 상, 하, 좌, 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도 1 에 있어서, 실드 커넥터 (1) 는, 기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실드 커넥터 (1) 에는,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 커넥터 (71) (도 9 참조) 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실드 커넥터 (1) 에 상대 커넥터 (71) 가 접속됨으로써, 상대 커넥터 (71) 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 (121) 의 내부 도체 (122) 및 외부 도체 (123) 가 기판의 신호 회로 및 그라운드 회로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커넥터 (1) 는, 동축 단자 (11), 하우징 (21) 및 실드 쉘 (46) 을 구비하고 있다.
동축 단자 (11)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로서의 중심 도체 (12), 외측 도체 (13), 절연 부재 (14), 제 1 회로 접속부 (15) 및 제 2 회로 접속부 (16) 를 구비하고 있다. 중심 도체 (12) 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봉상 또는 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도체 (13) 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중심 도체 (12) 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14) 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중심 도체 (12) 와 외측 도체 (1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회로 접속부 (15) 는, 중심 도체 (12) 를 기판의 예를 들어 신호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 중심 도체 (12) 의 후부에 중심 도체 (12)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회로 접속부 (16) 는, 외측 도체 (13) 를 예를 들어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 외측 도체 (13) 의 후부에 외측 도체 (13)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도체 (13) 의 외주면의 상부에는, 동축 단자 (11) 를 하우징 (21) 에 걸림하기 위한 걸림 볼록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중심 도체 (12) 및 제 1 회로 접속부 (15) 는, 예를 들어, 금속 판재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거나, 또는 금속 봉재 혹은 금속 선재에 대하여 절삭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도체 (13) 및 1 쌍의 제 2 회로 접속부 (16) 는, 예를 들어, 금속 판재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21) 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21) 은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21) 은,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의 통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측이 개구하고, 후단측이 폐색되어 있다. 하우징 (21) 은, 상벽 (22), 하벽 (23), 좌벽 (24), 우벽 (25) 및 후벽 (26) 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 (21) 의 전단측의 개구는,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삽입되는 삽입구 (27) 가 되어 있다. 하우징 (21) 내에는,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끼워 맞춤된다.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후부에는 동축 단자 (11) 의 전부가 수용되어 있다. 즉, 하우징 (21) 의 후벽 (26) 에는, 후벽 (26) 을 관통하는 단자 지지공 (28) 이 형성되고, 단자 지지공 (28) 내에 동축 단자 (11) 의 전부가 삽입되어 있다. 동축 단자 (11) 는, 동축 단자 (11) 의 외측 도체 (13) 의 외주면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 볼록부 (17) 가, 단자 지지공 (28) 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에 걸림됨으로써, 단자 지지공 (28)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전단부이고 삽입구 (27) 의 주연부에는, 상대 커넥터를 삽입구 (27) 에 삽입할 때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부 (31) 가 형성되어 있다. 오삽입 방지부 (31) 는, 삽입구 (27) 의 주연부에 성형된 요철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 은, 후술하는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을 나타내고 있다.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은, 예를 들어 6 개의 실드 커넥터 (151 ∼ 156)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실드 커넥터 (151 ∼ 156) 는, 오삽입 방지부 (31) 및 슬릿 (39L, 39R) 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실드 커넥터 (151 ∼ 156) 중, 실드 커넥터 (151) 가 도 1 에 나타내는 실드 커넥터 (1) 에 해당된다. 또한, 도 8 중의 2 점 쇄선은, 만일 오삽입 방지부 (3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삽입구 (27) 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드 커넥터 (1 (151)) 의 오삽입 방지부 (3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볼록부 (32L, 32R), 1 개의 모서리 돌출부 (34), 및 1 개의 모서리 알부 (35) 를 가지고 있다.
일방의 볼록부 (32L) 는, 하우징 (21) 의 좌벽 (24) 의 전단부이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고, 당해 부분으로부터 하우징 (21) 의 내측, 즉 우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볼록부 (32L) 는, 하우징 (21) 의 좌벽 (24) 의 전단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타방의 볼록부 (32R)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우벽 (25) 의 전단부이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고, 당해 부분으로부터 하우징 (21) 의 내측, 즉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볼록부 (32R) 는, 하우징 (21) 의 우벽 (25) 의 전단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실드 커넥터 (1 (151)) 의 오삽입 방지부 (31) 에 있어서의 좌측의 볼록부 (32L) 와 우측의 볼록부 (32R)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또한, 볼록부 (32L) 와 볼록부 (32R) 는, 형상,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의 길이 (폭) 가 서로 상이하다.
실드 커넥터 (1 (151)) 의 오삽입 방지부 (31) 에 있어서의 모서리 돌출부 (34) 는, 하우징 (21) 의 우벽 (25) 의 상부에 배치되고, 당해 부분으로부터 하우징 (21) 의 내측, 즉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모서리 돌출부 (34) 는, 하우징 (21) 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신장되어 있다.
실드 커넥터 (1 (151)) 의 오삽입 방지부 (31) 에 있어서의 모서리 알부 (35) 는, 하우징 (21) 의 우벽 (25) 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삽입구 (27) 의 우하(右下)의 모서리는 좌하(左下)의 모서리와 비교하여 완만하게 커브되어 있다. 즉, 삽입구 (27) 의 우하의 모서리에는, 좌하의 모서리보다 큰 알이 부여되어 있다. 이 큰 알이 부여된 부분이 모서리 알부 (35) 이다. 또한, 모서리 알부 (35) 는, 하우징 (21) 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신장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후부 상측의 좌부 및 우부에는, 실드 쉘 (46) 을 하우징 (21) 에 걸림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절결 (37)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하우징 (21) 의 후부 하측의 좌부 및 우부에는, 실드 쉘 (46) 을 하우징 (21) 에 걸림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좌벽 (24)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을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공으로서의 슬릿 (39L)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39L) 은 하우징 (21) 의 좌벽 (24) 의 후단부로부터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직전의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39L) 의 후단부 (40L) 는 하우징 (21) 의 후벽 (26) 의 좌단부를 우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슬릿 (39L) 은 하우징 (21) 의 좌벽 (24) 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슬릿 (39L) 의 후단부 (40L) 는 하우징 (21) 의 후벽 (26) 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슬릿 (39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는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이상이다. 또한, 슬릿 (39L) 의 후단부 (40L) 의 우방으로의 신장량은,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우방으로의 돌출량 이상이다.
또한, 하우징 (21) 의 우벽 (25)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을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공으로서의 슬릿 (39R) 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 (39R) 은, 좌측의 슬릿 (39L) 과 동일하게, 하우징 (21) 의 우벽 (25) 의 후단부로부터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직전의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39R) 의 후단부 (40R) 는 하우징 (21) 의 후벽 (26) 의 우단부를 좌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슬릿 (39R) 은 하우징 (21) 의 우벽 (25) 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슬릿 (39R) 의 후단부 (40R) 는 하우징 (21) 의 후벽 (26) 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슬릿 (39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는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이상이다. 또한, 슬릿 (39R) 의 후단부 (40R) 의 좌방으로의 신장량은,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좌방으로의 돌출량 이상이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상부에는, 상대 커넥터 (71) 의 로크 기구 (88) 의 빔부 (89) 가 삽입되는 빔부 삽입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상벽 (22) 의 전단부에는, 상대 커넥터 (71) 의 로크 기구 (88) 의 로크 돌기부 (90) 를 걸림하는 로크공 (44) 이 형성되어 있다.
실드 쉘 (46) 은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드 쉘 (46) 은, 금속 판재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실드 쉘 (46)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부 (47), 좌판부 (48) 및 우판부 (49) 를 가지고 있다. 실드 쉘 (46)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 의 외주측에 장착되어 있다. 실드 쉘 (46) 의 상판부 (47), 좌판부 (48) 및 우판부 (49) 는 하우징 (21) 의 상벽 (22) 의 외면, 좌벽 (24) 의 외면 및 우벽 (25) 의 외면을 각각 전면적으로 덮고 있다. 실드 쉘 (46) 은, 주로, 상대 커넥터 (71) 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 (121) 의 내부 도체 (122) 및 외부 도체 (123) 와, 실드 커넥터 (1) 가 장착된 기판의 회로 사이에 있어서 고주파의 노이즈를 차폐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쉘 (46) 의 후부 상측의 좌부 및 우부에는, 실드 쉘 (46) 을 하우징 (21) 의 걸림 절결 (37) 에 걸림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상측 걸림부 (5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드 쉘 (46) 의 후부 하측의 좌부 및 우부에는, 실드 쉘 (46) 을 하우징 (21) 의 걸림 홈에 걸림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하측 걸림부 (51)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좌측만 도시).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쉘 (46) 에는, 당해 실드 쉘 (46) 을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기판 접속부 (52) 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드 쉘 (46) 에는 6 개의 기판 접속부 (52) 가 형성되고, 그들 중 3 개의 기판 접속부 (52) 는,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의 하부의 전부, 전후 방향 중간부 및 후부에 각각 배치되고, 좌판부 (48) 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나머지 3 개의 기판 접속부 (52) 는,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의 하부의 전부, 전후 방향 중간부 및 후부에 각각 배치되고, 우판부 (49) 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쉘 (46) 에는, 상대 커넥터 (71) 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 (121) 의 외부 도체 (123) 와 실드 쉘 (46)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쉘 접속부로서의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이 형성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 실드 커넥터 (1) 의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이, 상대 커넥터 (71) 가 갖는 1 쌍의 외부 접속부 (84) (도 11 참조) 와 각각 접촉한다.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중, 일방의 쉘 접속편 (53L) 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고, 당해 부분으로부터 우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은, 하우징 (21) 의 좌벽 (24) 의 슬릿 (39L) 을 통과하여 하우징 (21) 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타방의 쉘 접속편 (53R) 은,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고, 당해 부분으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우측의 쉘 접속편 (53L) 은, 하우징 (21) 의 우벽 (25) 의 슬릿 (39R) 을 통과하여 하우징 (21) 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외측 도체 (13) 의 상하 방향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쉘 접속편 (53L, 53R) 은 각각 실드 쉘 (46) 에 일체 형성되고, 예를 들어 굽힘 가공에 의해 각각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삽입 방지부 (31) 의 좌측의 볼록부 (32L) 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좌측의 볼록부 (32L) 의 배치는,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의 전방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볼록부 (32L) 와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이 서로 겹쳐 있고, 즉, 쉘 접속편 (53L) 이 볼록부 (32L)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는,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보다 작지만,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의 좌우 방향의 길이 (돌출량) 는,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좌우 방향의 길이 (돌출량) 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쉘 접속편 (53L) 의 좌부는 좌측의 볼록부 (32L) 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쉘 접속편 (53L) 의 우단부는 좌측의 볼록부 (32L) 로부터 소량 돌출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은, 오삽입 방지부 (31) 의 우측의 볼록부 (32R) 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우측의 볼록부 (32R) 의 배치는,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의 전방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우측의 볼록부 (32R) 와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이 서로 겹쳐 있고, 즉, 쉘 접속편 (53R) 이 볼록부 (32R)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는,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보다 작지만,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의 좌우 방향의 길이 (돌출량) 는,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좌우 방향의 길이 (돌출량) 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쉘 접속편 (53R) 의 우부는 우측의 볼록부 (32R) 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쉘 접속편 (53R) 의 좌단부는 우측의 볼록부 (32R) 로부터 소량 돌출되어 있다.
쉘 접속편 (53L, 53R) 과 오삽입 방지부 (31) 의 볼록부 (32L, 32R) 의 위치 관계 등을 이와 같이 설정한 것에 의해, 다른 케이블이나 공구 등의 의도하지 않은 물체가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로부터 하우징 (21) 내에 들어가, 이 물체가 쉘 접속편 (53L, 53R) 에 접촉하여 쉘 접속편 (53L, 53R) 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의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로부터 하우징 (21)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쉘 접속편 (53L, 53R) 을 상대 커넥터 (71) 의 1 쌍의 외부 접속부 (84) 에 각각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은, 하우징 (21) 의 좌벽 (24) 에 형성된 슬릿 (39L) 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슬릿 (39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는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또한, 슬릿 (39L) 의 후단부 (40L) 의 우방으로의 신장량은,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의 좌우 방향의 길이 (돌출량) 보다 크다. 동일하게,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은, 하우징 (21) 의 우벽 (25) 에 형성된 슬릿 (39R) 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슬릿 (39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폭) 는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또한, 슬릿 (39R) 의 후단부 (40R) 의 좌방으로의 신장량은,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의 좌우 방향의 길이 (돌출량) 보다 크다.
쉘 접속편 (53L, 53R) 과 하우징 (21) 의 슬릿 (39L, 36R) 의 위치 관계 등을 이와 같이 설정한 것에 의해, 실드 커넥터 (1) 의 제조시에, 실드 쉘 (46) 을 하우징 (21) 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하우징 (21) 을 따라 슬라이드시켜 하우징 (21) 에 장착할 때, 쉘 접속편 (53L, 53R) 을, 슬릿 (39L, 39R) 을 통과시켜 하우징 (21) 의 전단부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및 우판부 (49) 의 전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쉘 접속편 (53L, 53R) 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및 우판부 (49) 의 하부 전단부에 각각 배치된 1 쌍의 기판 접속부 (52) 와 각각 접근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은, 좌판부 (48) 의 하부 전단부에 배치된 기판 접속부 (52) 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은, 우판부 (49) 의 하부 전단부에 배치된 기판 접속부 (52) 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쉘 접속편 (53L, 53R) 의 위치와 기판 접속부 (52) 의 위치를 서로 접근시킨 것에 의해, 쉘 접속편 (53L, 53R) 과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 사이의 전기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노이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쉘 접속편 (53L, 53R) 은 루프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 6 은 실드 커넥터 (1) 의 전부 좌측 및 전부 우측의 도 5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로부터 하우징 (21) 의 좌벽 (24) 에 형성된 슬릿 (39L) 을 좌로부터 우로 빠져 나가 하우징 (21) 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후방으로 만곡하고, 그 후,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그 후, 쉘 접속편 (53L) 은, 좌방으로 만곡하면서, 하우징 (21) 의 내측으로부터 슬릿 (39L) 을 우로부터 좌로 빠져 나가, 당해 쉘 접속편 (53L) 의 선단부 (후단부) 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에 접촉하고 있다. 동일하게,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은,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로부터 하우징 (21) 의 우벽 (25) 에 형성된 슬릿 (39R) 을 우로부터 좌로 빠져 나가 하우징 (21) 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후방으로 만곡하고, 그 후,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그 후, 쉘 접속편 (53R) 은, 우방으로 만곡하면서, 하우징 (21) 의 내측으로부터 슬릿 (39R) 을 좌로부터 우로 빠져 나가, 당해 쉘 접속편 (53R) 의 선단부 (후단부) 가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에 접촉하고 있다.
각 쉘 접속편 (53L, 53R) 의 형상을 이와 같이 루프상으로 설정한 것에 의해, 상대 커넥터 (71) 의 각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쉘 (46) 의 전기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 상대 커넥터 (71) 의 좌측 및 우측의 외부 접속부 (84) 는, 좌측 및 우측의 쉘 접속편 (53L, 53R) 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 (도 6 중의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부분) 에 각각 접촉한다. 이 결과, 좌측의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사이에는, 좌측의 외부 접속부 (84) 와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이 접촉된 부분의 전측으로부터 쉘 접속편 (53L) 의 전단부를 통하여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에 이르는 전기 경로 (도 6 중의 화살표 KL1 을 참조) 와, 좌측의 외부 접속부 (84) 와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이 접촉한 부분의 후측으로부터 쉘 접속편 (53L) 의 후단부를 통하여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에 이르는 전기 경로 (도 6 중의 화살표 (KL2) 를 참조) 가 형성된다. 이들 전기 경로의 길이는 모두, 좌측의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사이의 최단의 거리에 가깝다. 이와 같이 좌측의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사이에 복수의 짧은 전기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노이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동일하게,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 우측의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사이에는, 도 6 중의 화살표 (KR1 및 KR2) 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복수의 전기 경로가 형성된다. 이들 전기 경로의 길이는 모두, 우측의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사이의 최단의 거리에 가깝다. 이에 의해, 노이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에 있어서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의 후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우방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탄성 변형됨으로써 좌방으로 변위 가능한 탄성 변위부 (55L)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7 은, 실드 쉘 (46) 의 전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의 전단부에는, 가로공 (58) 이 형성되고, 가로공 (58) 내에 탄성 변위부 (55L) 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위부 (55L) 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봉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위부 (55L) 의 전단부 (56L) (기단부) 는 좌판부 (48) 에 지지되고, 탄성 변위부 (55L) 의 후단부 (57L) (선단부) 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 상대 커넥터 (71) 의 좌측의 외부 접속부 (84) 에 의해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이 우로부터 좌로 밀리고, 이에 의해, 쉘 접속편 (53L) 의 후단부에 의해 탄성 변위부 (55L) 의 후단부 (57L) 가 좌로 밀린다. 이에 의해, 쉘 접속편 (53L) 의 후단부 및 탄성 변위부 (55L) 의 후단부 (57L) 가 모두 좌방으로 변위한다. 쉘 접속편 (53L) 뿐만 아니라 탄성 변위부 (55L) 도 변위하기 때문에, 쉘 접속편 (53L) 의 변위 범위가 커진다.
동일하게,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에 있어서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의 후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좌방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탄성 변형함으로써 우방으로 변위 가능한 탄성 변위부 (55R) 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위부 (55R) 는, 실드 쉘 (46) 의 우판부 (49) 의 전단부에 형성된 가로공 (58) 내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위부 (55R) 의 전단부 (56R) (기단부) 는 우판부 (49) 에 지지되고, 탄성 변위부 (55R) 의 후단부 (57R) (선단부) 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 상대 커넥터 (71) 의 우측의 외부 접속부 (84) 에 의해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이 좌로부터 우로 밀리고, 이에 의해, 쉘 접속편 (53R) 의 후단부에 의해 탄성 변위부 (55R) 의 후단부 (57R) 가 우방으로 밀린다. 이에 의해, 쉘 접속편 (53R) 의 후단부 및 탄성 변위부 (55R) 의 후단부 (57R) 가 모두 우방으로 변위한다. 쉘 접속편 (53R) 뿐만 아니라 탄성 변위부 (55R) 도 변위하기 때문에, 쉘 접속편 (53R) 의 변위 범위가 커진다.
(상대 커넥터)
도 9 는, 실드 커넥터 (1) 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 (71)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상대 커넥터 (71) 의 도 9 중의 화살표 X-X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11) 의 도 10 중의 화살표 XI-X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대 커넥터 (71) 는,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이고, 동축 케이블 (121) 의 단부에 장착된다. 상대 커넥터 (71)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단자 (72), 도전 부재 (83) 및 하우징 (86) 을 구비하고 있다.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73), 중심 도체 (73) 의 외주측에 형성된 외부 도체 (76), 및 중심 도체 (73) 와 외부 도체 (76) 사이에 형성된 절연 부재 (81) 를 구비하고 있다.
중심 도체 (73) 는 중심 접촉부 (74) 및 내부 도체 배럴부 (75)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심 접촉부 (74) 는, 암형이고,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심 접촉부 (74) 에는,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 실드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중심 도체 (12) 가 탄성 접촉 상태로 끼워 맞춤된다. 또한, 내부 도체 배럴부 (75) 에는 동축 케이블 (121) 의 내부 도체 (122) 가 압착 접속되어 있다.
외부 도체 (76) 는, 외측 끼워 맞춤부 (77), 외부 도체 배럴부 (78) 및 피복 배럴부 (79) 를 가지고 있다. 외측 끼워 맞춤부 (77) 에는,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 실드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외측 도체 (13) 가 끼워 맞춤된다. 또한, 외부 도체 배럴부 (78) 에는 동축 케이블 (121) 의 외부 도체 (123) 가 압착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피복 배럴부 (79) 에는 동축 케이블 (121) 의 절연 피복 (125) 이 압착 고정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외측 도체 (76) 에 있어서, 중심 도체 (73) 의 내부 도체 배럴부 (75) 가 배치되어 있는 지점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대 커넥터 (71) 에 동축 케이블 (121) 을 장착할 때에, 내부 도체 (122) 를 내부 도체 배럴부 (75) 에 압착 접속하기 위한 공구를 차입하기 위한 공구 차입구 (8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외측 도체 (76) 에 있어서, 중심 도체 (73) 의 내부 도체 배럴부 (75) 가 배치되어 있는 지점에는, 도전 부재 (83) 가 장착되어 있다. 도전 부재 (83) 는 동축 단자 (72) 의 당해 지점의 하측, 좌측 및 우측을 덮고 있다. 그러나, 도전 부재 (83) 는 동축 단자 (72) 의 당해 지점의 상측은 덮고 있지 않다. 즉, 동축 단자 (72) 의 하부의 공구 차입구 (80) 는 도전 부재 (83) 에 의해 막혀 있지만, 상부의 공구 차입구 (80) 는 도전 부재 (83) 에 의해 막혀 있지 않다.
또한, 도전 부재 (83) 는, 동축 단자 (72) 의 외측 도체 (76) 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전 부재 (83) 의 좌면 및 우면은,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 실드 커넥터 (1) 의 쉘 접속편 (53L, 53R) 과 접속되는 1 쌍의 외부 접속부 (84)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 (71) 의 하우징 (86) 은, 도 8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횡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이고 양단이 개구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86) 내에는 동축 단자 (72) 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86) 의 좌벽 및 우벽에는, 접속공 (87) 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 (86) 내에 있어서 접속공 (87) 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접속부 (84) 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 실드 커넥터 (1) 의 쉘 접속편 (53L, 53R) 이 접속공 (87) 내에 들어가 외부 접속부 (84) 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 (71) 의 하우징 (86) 에는, 상대 커넥터 (71) 를 실드 커넥터 (1) 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는 로크 기구 (88) 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 (88) 는 빔부 (89) 및 로크 돌기부 (9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 (71) 의 하우징 (86) 의 선단측은, 실드 커넥터 (1) 의 하우징 (21) 의 오삽입 방지부 (31) 의 형상과 합치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을 실드 커넥터 (1) 의 삽입구 (27) 로부터 실드 커넥터 (1) 의 하우징 (21) 의 안쪽까지 삽입하면, 상대 커넥터 (71) 의 로크 기구 (88) 의 로크 돌기부 (90) 가 실드 커넥터 (1) 의 로크공 (44) 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 (71) 가 실드 커넥터 (1) 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실드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중심 도체 (12) 가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중심 도체 (73) 의 중심 접촉부 (74) 내에 들어가, 이들 중심 도체 (12, 73) 끼리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121) 의 내부 도체 (122) 가, 예를 들어 기판의 신호 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실드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외측 도체 (13) 가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외측 도체 (76) 의 외측 끼워 맞춤부 (77) 내에 들어가고, 이들 외측 도체 (13, 76) 끼리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121) 의 외부 도체 (123) 가,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대 커넥터 (71) 가 실드 커넥터 (1) 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실드 커넥터 (1) 의 실드 쉘 (46) 의 쉘 접속편 (53L, 53R) 이, 상대 커넥터 (71) 의 도전 부재 (83) 의 1 쌍의 외부 접속부 (84) 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121) 의 외부 도체 (123) 가, 실드 쉘 (46) 을 통하여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의 실드 쉘 (46) 내에 들어가고, 그 부분의 상측, 좌측 및 우측이 실드 쉘 (46) 에 의해 덮인다.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 (71) 와 실드 커넥터 (1) 의 접속 부분이, 그라운드 전위가 설정된 실드에 의해 넓게 포위된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121) 의 내부 도체 (122), 상대 커넥터 (71) 의 중심 도체 (73) 또는 실드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12) 로부터 방출되는 고주파 노이즈를 실드 쉘 (46) 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고주파 노이즈가, 동축 케이블 (121) 의 내부 도체 (122), 상대 커넥터 (71) 의 중심 도체 (73) 또는 실드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12) 에 혼입되는 것을 실드 쉘 (46) 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대 커넥터 (71) 에 있어서, 실드 쉘 (46) 로 덮이는 범위에는,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외측 도체 (76) 에 있어서, 중심 도체 (73) 의 내부 도체 배럴부 (75) 가 배치되어 있는 지점이 포함되어 있다. 즉, 실드 쉘 (46) 로 덮이는 범위에는,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외측 도체 (76) 의 상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는 공구 차입구 (80) 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공구 차입구 (80) 는, 전기적으로 보아, 실드 쉘 (46) 에 의해 막혀 있다.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 (71) 의 중심 도체 (73) 의 내부 도체 배럴부 (75) 및 그 부근으로부터 공구 차입구 (80) 를 통하여 방출되는 고주파 노이즈를 실드 쉘 (46) 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고주파 노이즈가, 공구 차입구 (80) 를 통하여 상대 커넥터 (71) 의 중심 도체 (73) 에 혼입되는 것을 실드 쉘 (46) 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실드 커넥터 시스템)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은, 복수 (예를 들어 6 개) 의 실드 커넥터 (151 ∼ 156)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실드 커넥터 (151 ∼ 156) 는, 오삽입 방지부 (31) 및 슬릿 (39L, 39R) 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드 커넥터 (151 ∼ 156) 의 오삽입 방지부 (31) 는, (a)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b)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c)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d)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e) 모서리 돌출부 (34) 의 유무 혹은 위치, 또는 (f) 모서리 알부 (35) 의 유무 혹은 위치가 실드 커넥터 (151 ∼ 156) 별로 상이하다. 실드 커넥터 (151 ∼ 156) 에 있어서, 상기 (a) ∼ (f) 모두가 동일한 오삽입 방지부 (31) 를 갖는 실드 커넥터가 2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에 포함되는 모든 실드 커넥터 (151 ∼ 156) 에 있어서, 각각의 실드 커넥터 (151 ∼ 156) 의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들의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오삽입 방지부 (31) 의 1 쌍의 볼록부 (32L, 32R) 와 실드 쉘 (46) 의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은 각각 서로 겹쳐 있다. 즉, 모든 실드 커넥터 (151 ∼ 156) 에 있어서, 쉘 접속편 (53L, 53R) 의 직전에 볼록부 (32L, 32R) 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에 포함되는 모든 실드 커넥터 (151 ∼ 156) 에 있어서, 실드 쉘 (46) 은 공통이다. 그러므로, 좌측의 쉘 접속편 (53L) 의 위치는 실드 커넥터 (151 ∼ 156) 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고, 우측의 쉘 접속편 (53R) 의 위치도 실드 커넥터 (151 ∼ 156) 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다. 실드 커넥터 (151 ∼ 156) 사이에 있어서,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각각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실드 커넥터 (151 ∼ 156) 의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들의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볼록부 (32L) 와 쉘 접속편 (53L) 이 서로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각각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그들 상하 방향의 위치가, 볼록부 (32L) 와 쉘 접속편 (53L) 이 서로 겹친다는 조건을 만족하면서, 서로 상이하다. 또한, 실드 커넥터 (151 ∼ 156) 사이에 있어서,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각각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실드 커넥터 (151 ∼ 156) 의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들의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볼록부 (32L) 와 쉘 접속편 (53L) 이 서로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각각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그들 상하 방향의 길이가, 볼록부 (32L) 와 쉘 접속편 (53L) 이 서로 겹친다는 조건을 만족하면서, 서로 상이하다. 또한, 실드 커넥터 (151 ∼ 156) 사이에 있어서,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위치 또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위치 및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실드 커넥터 (151 ∼ 156) 의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들의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볼록부 (32R) 와 쉘 접속편 (53R) 이 서로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실드 커넥터 (151 ∼ 156) 에 있어서, 하우징 (21) 의 좌벽 (24) 에 형성된 슬릿 (39L)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및 상하 방향의 길이는,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및 상하 방향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드 커넥터 (151 ∼ 156) 사이에서,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또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는, 거기에 대응하여 슬릿 (39L)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또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다. 동일하게, 실드 커넥터 (151 ∼ 156) 사이에서,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또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는, 거기에 대응하여 하우징 (21) 의 우벽 (25) 에 형성된 슬릿 (39R)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또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슬릿 (39L) 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이고, 우측의 슬릿 (39R) 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이다. 따라서,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위치 및 길이가, 볼록부 (32L) 와 쉘 접속편 (53L) 이 서로 겹치도록 설정되고, 또한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위치 및 길이가, 볼록부 (32R) 와 쉘 접속편 (53R) 이 서로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드 커넥터 (1) 의 제조시에, 실드 쉘 (46) 을 하우징 (21) 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하우징 (21) 을 따라 슬라이드시켜 하우징 (21) 에 장착할 때에 쉘 접속편 (53L, 53R) 을, 슬릿 (39L, 39R) 을 통하여 하우징 (21) 의 전단부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작용 효과는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에 의하면, 실드 커넥터 (1 (151 ∼ 156)) 에 오삽입 방지부 (31)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 커넥터 (1 (151 ∼ 156)) 에, 당해 실드 커넥터와 대응하지 않는 상대 커넥터를 삽입하고자 해도, 당해 실드 커넥터의 볼록부 (32L, 32R), 모서리 돌출부 (34) 또는 모서리 알부 (35) 가 당해 상대 커넥터의 선단부에 충돌하여, 삽입할 수 없다.
또한,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에 포함되는 어느 실드 커넥터 (1 (151 ∼ 156)) 에 있어서도, 오삽입 방지부 (31) 의 1 쌍의 볼록부 (32L, 32R) 는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의 직전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 (21) 의 삽입구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1 쌍의 볼록부 (32L, 32R) 와 1 쌍의 쉘 접속편 (53L, 53R) 이 각각 서로 겹쳐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물체가 쉘 접속편 (53L, 53R) 에 접촉하여 쉘 접속편 (53L, 53R) 이 파손되는 것을 각 볼록부 (32L, 32R) 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드 커넥터 (1 (151 ∼ 156)) 의 오삽입 방지부 (31) 의 1 쌍의 볼록부 (32L, 32R) 는, 상대 커넥터의 실드 커넥터 (1 (151 ∼ 156)) 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의도하지 않은 물체의 접촉으로부터 쉘 접속편 (53L, 53R) 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쉘 접속편 (53L, 53R) 을 보호하는 구조를 실드 커넥터 (1 (151 ∼ 156)) 에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드 커넥터 (1 (151 ∼ 156)) 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드 커넥터 (1)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에서는, 쉘 접속편 (53L, 53R) 이 하우징 (21) 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실드 쉘 (46) 의 6 개의 기판 접속부 (52) 중 2 개가 하우징 (21) 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쉘 접속편 (53L, 53R) 과 기판 접속부 (52) 사이의 거리가 작아, 양자 사이의 전기 경로가 짧다. 이에 의해, 노이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쉘 접속편 (53L, 53R) 및 2 개의 기판 접속부 (52) 가 하우징 (21) 의 전단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도 10 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쉘 접속편 (53L, 53R) 과 기판 접속부 (52) 사이의 전기 경로가 실드 커넥터 (1) 의 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 (71) 가 실드 커넥터 (1) 에 접속되어 로크 기구 (88) 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에, 쉘 접속편 (53L, 53R) 과 기판 접속부 (52) 사이의 전기 경로가, 상대 커넥터 (71) 의 동축 단자 (72) 의 외측 도체 (76) 에 있어서 중심 도체 (73) 의 내부 도체 배럴부 (75) 가 배치되어 있는 지점 (공구 차입구 (80)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 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것보다 동축 케이블 (121) 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 (121) 을 통하여 상대 커넥터 (71) 와 실드 커넥터 (1) 의 접속 부분에 전해지는 고주파 노이즈를, 당해 노이즈가 공구 차입구 (80) 를 통하여 중심 도체 (73) 의 내부 도체 배럴부 (75) 에 혼입되기 전에, 1 쌍의 외부 접속부 (84), 쉘 접속편 (53L, 53R), 상기 2 개의 기판 접속부 (52) 및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로부터 형성되는 전기 경로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쉘 접속편 (53L, 53R) 이 루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에 접속되고, 로크 기구 (88) 에 의해 양커넥터가 고정된 상태로, 상대 커넥터 (71) 의 각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커넥터 (1) 의 실드 쉘 (46) 의 전기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이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쉘 (46) 에 탄성 변위부 (55L, 55R) 가 형성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 (71) 의 선단측이 실드 커넥터 (1) 의 삽입구 (27) 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쉘 접속편 (53L, 53R) 과 함께 탄성 변위부 (55L, 55R) 가 하우징 (21) (실드 쉘 (46)) 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에 의해, 쉘 접속편 (53L, 53R) 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쉘 접속편 (53L, 53R) 의 적절한 탄성력의 설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쉘 접속편 (53L, 53R) 이 상대 커넥터 (71) 의 외부 접속부 (84) 와 실드 쉘 (46) 사이에서 부서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에 있어서, 하우징 (21) 의 좌벽 (24) 에 형성된 슬릿 (39L) 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이고, 또한, 슬릿 (39L) 의 후단부 (40L) 의 우방으로의 신장량은, 좌측의 볼록부 (32L) 의 우방으로의 돌출량 이상이다. 또한, 하우징 (21) 의 우벽 (25) 에 형성된 슬릿 (39R) 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이고, 또한, 슬릿 (39R) 의 후단부 (40R) 의 우방으로의 신장량은, 우측의 볼록부 (32R) 의 우방으로의 돌출량 이상이다. 이에 의해, 하우징 (21) 을,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하우징 (21) 의 형상에 합치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가동하는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실드 커넥터 (1) 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의 하측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모서리부에 모서리 알부 (35) 를 형성함으로써 오삽입 방지부 (31) 가 형성되어 있다. 실드 커넥터 (1) 가 기판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당해 실드 커넥터 (1) 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하우징 (21) 의 하측의 부분의 응력이 커지기 쉽다. 따라서, 하우징 (21) 의 하측의 부분에 모서리 알부 (35) 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21) 에 있어서 응력이 커지기 쉬운 부분을 모서리 알부 (35) 에 의해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21) 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드 커넥터 (1) 는, 예를 들어 수백 ㎐ 내지 수 ㎓ 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전송에 적용함으로써, 실드 쉘 (46) 에 의한 노이즈 제거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시킬 수 있고, 신호의 전송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및 우판부 (49) 의 각각에 쉘 접속편 (53L, 53R) 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및 우판부 (49) 중 어느 일방에만 쉘 접속편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오삽입 방지부 (31) 에 좌우 1 쌍의 볼록부 (32L, 32R) 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실드 쉘 (46) 의 좌판부 (48) 및 우판부 (49) 중 어느 일방에만 쉘 접속편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 (21) 의 좌벽 (24) 및 우벽 (25) 중, 쉘 접속편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벽에만 오삽입 방지부의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실드 커넥터 (1) 에 동축 단자 (11) 를 형성했지만, 실드 커넥터에 다른 종류의 신호 단자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쉘 접속편 (53L, 53R) 을 오삽입 방지부 (31) 의 볼록부 (32L, 32R) 의 직후에 배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쉘 접속편 (53L, 53R) 의 위치는, 오삽입 방지부 (31) 의 볼록부 (32L, 32R) 의 후방이면, 직후가 아니어도 된다.
또한, 오삽입 방지부 (31) 의 형상은, 하우징 (21) 의 삽입구 (27) 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볼록부 (32L, 32R) 와 쉘 접속편 (53L, 53R) 이 각각 서로 겹쳐 있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0) 을 구성하는 실드 커넥터의 개수는 2 개 이상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실드 커넥터
11 동축 단자
12 중심 도체 (신호 단자)
13 외측 도체
14 절연 부재
21 하우징
24 좌벽
25 우벽
27 삽입구
31 오삽입 방지부
32L, 32R 볼록부
35 모서리 알부
39L, 39R 슬릿 (삽입 통과공)
46 실드 쉘
47 상판부
48 좌판부
49 우판부
52 기판 접속부
53L, 53R 쉘 접속편 (쉘 접속부)
55L, 55R 탄성 변위부
150 실드 커넥터 시스템
151 ∼ 156 실드 커넥터

Claims (7)

  1. 신호 단자와,
    절연 재료에 의해 통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측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후부에 상기 신호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벽 외면을 덮는 상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외면을 각각 덮는 좌우의 측판부를 갖는 실드 쉘을 구비하고,
    상기 실드 쉘의 좌우의 측판부 중 일방의 측판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중 당해 일방의 측판부에 대응하는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쉘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이고 상기 삽입구의 주연부에는, 요철 형상을 갖고, 상대 커넥터의 상기 삽입구로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방의 측벽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쉘 접속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삽입구를 그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쉘 접속부가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쉘에는 당해 실드 쉘을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쉘 접속부 및 상기 기판 접속부는 모두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접속부는, 상기 실드 쉘의 상기 일방의 측판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후 또는 돌출되면서 만곡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삽입 통과공을 다시 통과하여, 당해 쉘 접속부의 선단부가 상기 실드 쉘의 상기 일방의 측판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쉘의 상기 일방의 측판부에 있어서 상기 쉘 접속부의 선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는, 상기 실드 쉘의 내측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실드 쉘의 외측으로 변위 가능한 탄성 변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삽입 통과공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방의 측벽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부에 이를 때까지 신장되는 슬릿이고, 당해 슬릿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볼록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부의 일부는, 상기 삽입구의 하측의 모서리부에 알을 부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7. 복수의 실드 커넥터를 갖는 실드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각 상기 실드 커넥터는,
    신호 단자와,
    절연 재료에 의해 통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측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후부에 상기 신호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벽 외면을 덮는 상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외면을 각각 덮는 좌우의 측판부를 갖는 실드 쉘을 구비하고,
    각 상기 실드 커넥터의 상기 실드 쉘의 좌우의 측판부 중 일방의 측판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의 측벽 중 당해 일방의 측판부에 대응하는 일방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쉘 접속부가 형성되고,
    각 상기 실드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이고 상기 삽입구의 주연부에는, 요철 형상을 갖고, 상대 커넥터의 상기 삽입구로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고,
    각 상기 실드 커넥터의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방의 측벽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갖고,
    각 상기 실드 커넥터의 상기 볼록부는 상기 쉘 접속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실드 커넥터의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삽입구를 그들의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볼록부의 위치 또는 형상이 상기 복수의 실드 커넥터 사이에서 상이해도, 상기 복수의 실드 커넥터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볼록부와 상기 쉘 접속부가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시스템.
KR1020180118749A 2017-10-20 2018-10-05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KR102569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3594 2017-10-20
JP2017203594A JP6792537B2 (ja) 2017-10-20 2017-10-20 シールドコネクタおよびシールドコネク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98A true KR20190044498A (ko) 2019-04-30
KR102569624B1 KR102569624B1 (ko) 2023-08-22

Family

ID=6622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749A KR102569624B1 (ko) 2017-10-20 2018-10-05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92537B2 (ko)
KR (1) KR102569624B1 (ko)
CN (1) CN109698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2510B1 (ja) * 2019-06-18 2020-03-25 Eizo株式会社 接地構造、電源基板、電気装置、及び接地方法
JP2023098099A (ja) * 2021-12-28 2023-07-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455A (ja) * 2001-01-04 2002-07-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端子
JP2008041419A (ja) * 2006-08-07 2008-02-21 Nintendo Co Ltd コネクタ
US20090233484A1 (en) * 2008-03-17 2009-09-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shell
JP2013109880A (ja) * 2011-11-18 2013-06-06 Tyco Electronics Japan 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3235733A (ja) 2012-05-09 2013-11-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5201381A (ja) * 2014-04-09 2015-11-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8794B2 (en) * 2003-05-09 2005-07-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odular jack having an anti-mismating member to prevent incorrect insertion of a smaller sized plug
JP4382700B2 (ja) * 2005-05-30 2009-12-16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ジャック
CN200941505Y (zh) * 2006-08-01 2007-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22766Y (zh) * 2007-08-22 2008-09-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CN201197003Y (zh) * 2008-03-17 2009-02-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408881Y (zh) * 2009-05-12 2010-02-17 昆山上正电子科技有限公司 防错插rj-45连接器
CN204464636U (zh) * 2015-02-12 2015-07-08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具有防误插结构的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455A (ja) * 2001-01-04 2002-07-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端子
JP2008041419A (ja) * 2006-08-07 2008-02-21 Nintendo Co Ltd コネクタ
US20090233484A1 (en) * 2008-03-17 2009-09-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shell
JP2013109880A (ja) * 2011-11-18 2013-06-06 Tyco Electronics Japan 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3235733A (ja) 2012-05-09 2013-11-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5201381A (ja) * 2014-04-09 2015-11-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8438A (zh) 2019-04-30
JP6792537B2 (ja) 2020-11-25
JP2019079620A (ja) 2019-05-23
CN109698438B (zh) 2021-07-13
KR102569624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4416B2 (en) Connector
US11056836B2 (en) Shield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housings and shield connector using the same
US20160093984A1 (en) Connector
WO2018070203A1 (ja) コネクタ構造
WO2018070201A1 (ja) コネクタ構造
KR20020025737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암형커넥터
JP7324038B2 (ja) コネクタ
US10651618B2 (en) Double density small form-factor plug connector
CN108574184B (zh) 屏蔽端子
US1110819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1074197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714868B2 (en) Waterproof connector for a board
WO2018070204A1 (ja) コネクタ構造
KR20190044498A (ko) 실드 커넥터 및 실드 커넥터 시스템
JP2019114457A (ja) シールド端子ユニットおよびコネクタ
US11211737B2 (en) Network connector module for a network connector
US11482814B2 (en) Connector with structure for suppressing rattling of the shield terminal
CN113196583B (zh) 带端子电线、端子模块及连接器
WO2020137886A1 (ja)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コネクタ
KR102366174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2019133944A (ja) コネクタ構造
US20200313361A1 (en) Connector
KR20190061888A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KR10236615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US20190252835A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